자동제어+PLC(1)-이 영상으로 끝내자구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0 ธ.ค. 2018
  • 자동제어와 PLC 첫번째로 신호의 종류와 배선에 대한 설명입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5

  • @user-uq7lh7gn8n
    @user-uq7lh7gn8n 5 ปีที่แล้ว +9

    좋은강의해주시는 마이님에 대한 감사한 마음으로 광고스킵 하지 않고 보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jongpilpark2389
    @jongpilpark2389 4 ปีที่แล้ว +3

    영상볼때마다 감탄하네요! 전문가 수준이시네요.

  • @yongsukchoi5221
    @yongsukchoi5221 5 ปีที่แล้ว +3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광고를 스킵 할 수 없는 자료!! 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광고를 끝까지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lz2lo7qx2q
    @user-lz2lo7qx2q 5 ปีที่แล้ว +3

    강의듣고나니 뭔가 개운하네요
    감사합니다

  • @wcshin1355
    @wcshin1355 5 ปีที่แล้ว +5

    간단하게 핵심 설명 감사합니다~~

  • @user-pe8lm2qk8u
    @user-pe8lm2qk8u 5 ปีที่แล้ว +1

    설명 최고수준입니다

  • @user-yg7yt2vu4w
    @user-yg7yt2vu4w 4 ปีที่แล้ว +5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user-vn2yz6zf8s
    @user-vn2yz6zf8s 4 ปีที่แล้ว +2

    티비마이님 넘 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user-kdsoo
    @user-kdsoo ปีที่แล้ว

    너무 이해가 잘 됩니다. 많은 응용이 따르면 물론 더 복잡해 지겠지만요. 너무 어렵게만 느껴졌었어요. 감사드림니다. ^^

  • @jennap2961
    @jennap2961 5 ปีที่แล้ว +1

    진짜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cc1eg8ze2g
    @user-cc1eg8ze2g 2 ปีที่แล้ว

    항상감사하게 시청함니다

  • @user-nb1yt1pd7i
    @user-nb1yt1pd7i 5 ปีที่แล้ว +2

    너무너무 좋은영상이네요
    대단하십니다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허접한 영상을 좋게 봐 주시니 감사합니다.

  • @CK-yz5sv
    @CK-yz5sv 5 ปีที่แล้ว +3

    감사합니다~! Plc 궁금햇는데 많이 도움이 되네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user-gs7tp6pb7o
    @user-gs7tp6pb7o 5 ปีที่แล้ว +1

    영상감사해요 ㆍ

  • @user-cz2jf4yn3p
    @user-cz2jf4yn3p 5 ปีที่แล้ว +2

    감사히 보고 갑니다 ^^

  • @ethanhur5166
    @ethanhur516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자동제어 초보자들에 딱좋은 내용이네요

  • @user-np5kx5qi4s
    @user-np5kx5qi4s 6 วันที่ผ่านมา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1366
    @---1366 5 ปีที่แล้ว

    도움이 많이 되요.

  • @user-qy9og2su4v
    @user-qy9og2su4v 5 ปีที่แล้ว +9

    우와...정말 대단하세요...저는 현장에서 기계장비 성능 검증하고 밸런싱하는 일 하는데 너무 실무에 도움되는 내용들이네요. 감사합니다~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2

      아이고 진짜 실무 전문가가 오셨네요. 잘 좀 봐 주세요.

  • @yaguruttazumma3421
    @yaguruttazumma3421 4 ปีที่แล้ว +5

    ㅋㅋㄱ 잠시 광고보고 오겟슴다 ㅋㄱ 학교에서 plc 배우는데 영상 들으니 시스템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것 같네용

  • @user-kq2vx5bp4u
    @user-kq2vx5bp4u ปีที่แล้ว +1

    좋은정보네요.. 전문적이진않지만 ..최대한 쉽게 알려주시려는게 ..정말 좋습니다.. 배우고 싶었는데.. 시간적여유가 없어서 힘들었는데.. ..대략이해는 오는것 같습니다..
    전기에 능통하신분들이라면 금방이해할듯 한데..저는 아직 초보라서 감은오는데.. 전문가들 분들에 비해서 못할듯하군요.. 어느정도 전기적인 이해가 있어야 할걸로 보여지는군요
    저도 처음에 릴레이나 스위치에대해서 기호나 원리도 잘몰랐으니 쓰는 용어도 다르고 ..ㅎㅎ

  • @fpdhskem
    @fpdhskem 3 ปีที่แล้ว

    대박이네요

  • @user-hl4gg2qb7v
    @user-hl4gg2qb7v 3 ปีที่แล้ว +1

    짧게 핵심만 말하는게
    고수임이 느껴진다

  • @sungkikim873
    @sungkikim873 ปีที่แล้ว

    마이선생님 감시합니다.
    하드와이어 케이블 말고, 통신케이블에 대해서 공부할수 있는 영상 있을까요??
    이를테면,
    PLC PLC간 통신으로 인터페이스할때 쓰는 통신방법(이더넷?, 모드버스?) 그리고 그에 띠른 케이블 사양(RS485? 등)
    통신애 대한 개념이 없어서 그런지 너무 헷갈리네요 ㅠㅠ 도움 받을수 있는지 문의드려요

  • @imseek1575
    @imseek1575 2 ปีที่แล้ว

    Plc 운영 교육인줄 알았는데
    결선 자동제어 설명이네요

  • @kkkyjiu2503
    @kkkyjiu2503 ปีที่แล้ว +2

    이걸보고 암이 나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David-nu8gx
    @David-nu8gx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예를들면 MCC가 무슨 기능을 하고 필요한지 이거 개념을 모르는 분들은 이해가 쉽지 않은 영상이기도 합니다.
    가장 기초적인 부분 영상도 있나요?

  • @leebeable2252
    @leebeable2252 5 ปีที่แล้ว

    칭찬해...

  • @user-vn1se4ro9y
    @user-vn1se4ro9y 5 ปีที่แล้ว

    유튜버님 자동제어랑 plc 로 업으로하시면은 한달에얼마정도 버시나요?

  • @limyang6498
    @limyang6498 5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ez2gn6qg6z
    @user-ez2gn6qg6z 3 ปีที่แล้ว +2

    4~20ma는(250ohm저항 접속)1~5v임.
    0~20ma가 0~5v.

  • @futurek1421
    @futurek1421 5 ปีที่แล้ว

    정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와이델타 기동 판넬의 EOCR결선이랑 CT결선 , 전류계,전압계등 기타부품들 연결방법도 설명해주시면 안되시나여 ㅠ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디지털eocr할 계획 있습니다.

  • @user-dr3fd9nm6o
    @user-dr3fd9nm6o 5 ปีที่แล้ว +2

    마이선생님 4:00에 전압 계기판값 600V중에 반값. 300V값이 뜨면 아날로그 출력 값은 12mA가 맞지 않나요?

  • @TheSflanker2
    @TheSflanker2 5 ปีที่แล้ว +3

    세번의 강의로 PLC 개념이 확 잡혔습니다. HMI도 한번 강의 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HMI는 아는게 없어서 딱히 떠오르는 내용이 없네요. PLC 영상에서 말씀드렸듯이 PLC프로그램 화면을 보기 좋게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라고만 아셔도 충분하겠습니다.
      영상 내용이 생각나면 한 번 만들어 보겠습니다만 지금은 딱히 없네요.

    • @TheSflanker2
      @TheSflanker2 5 ปีที่แล้ว

      @@user-qk3kk4rs2u 네 알겠습니다 대충 감은 옵니다. 감사합니다

  •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왕 짱 짱

  • @juntong1147
    @juntong1147 3 ปีที่แล้ว

    배우고 실무에 적용하기까지 기간을 얼마나 잡아야할까요?

  • @user-zy4qd6wm2n
    @user-zy4qd6wm2n 4 ปีที่แล้ว +2

    plc와 전장설계의 차이가 어떻게 되나요??

  • @CHANKKOMI
    @CHANKKOMI 4 ปีที่แล้ว

    조금 수정할 부분도 있어요~ 485 는 시리얼통신을 이야기하는 거구요. 485로 한정 짓지 마시고, 통신제어로 하시는 게 좋을 거에요. 실제로 485 통신은 출력점으로 서보나 스테핑을 돌릴때 제약이 굉장히 많습니다. 통신제어 > 시리얼통신 > 485 통신으로 485는 범위가 매우 한정되어있어요. 또, 직렬통신이다보니 속도가 아주 느리답니다. 차라리 요즘 많이 쓰는 이더넷 기반의 통신으로 해주시는게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어쩌면 아날로그 신호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업계서는 I/O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구분해서 이야기한답니다

    • @user-jv4zj3jz7t
      @user-jv4zj3jz7t 4 ปีที่แล้ว

      설명 잘 하신거 같은데.. 서보나 인버터등을 사용할때는 485통신을 쓰지않습니다. 시리얼통신이 가능하긴하나, 실제 적용들은 랜케이블이나 광케이블로 적용을 하는편이며,
      232, 422,485 같은 시리얼 통신은 메인설비가 아닌곳들은 이것들로 통신을 잡습니다. 닭잡는데 소잡는칼 필요없듯이 필요한구간에 필요한 통신을 선정하고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 @CHANKKOMI
      @CHANKKOMI 4 ปีที่แล้ว

      @@user-jv4zj3jz7t 아니에요 서보나 인버터를 돌릴때 485통신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물론 2축이상 돌릴때 속도가 지연되는게 육안으로도 확인이 됩니다. 485 통신을 txd , rx 로 서로 주고 받는 직렬통신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일단 미쓰비시의 cc-link 통신자체의 기반이 rs-485 입니다. 또한 modbus도 요즘에야 ethernet 기반이 있다지만, 불과 몇년 전까지 거의 전부가 rs-485 였습니다. 지금도 파나소닉 A6, 미쓰비시 J4, LS 메카피온 등 서보모터 모두가 시리얼통신은 rs-485 기반의 modbus를 사용합니다. 전 어제도 의뢰와서 서보 단축제어로 modbus 프로그래밍 했는걸요. 마스터는 top hmi 였고. 서보엠프는 파나소닉 a6 다기능타입이었습니다. PLC 나 모션컨트롤러 안쓰고 정밀제어 필요없는 단축구동일 때, 전 가끔 씩 쓰고 있습니다.

    • @user-jv4zj3jz7t
      @user-jv4zj3jz7t 4 ปีที่แล้ว

      @@CHANKKOMI미스비시 cc link 야 485통신이 베이스가 맞죠. 제가 실언을 했네요.
      하지만 요즘은 거의 이더넷이나 광통신으로 가는추세라 그렇게 적었네요

    • @CHANKKOMI
      @CHANKKOMI 4 ปีที่แล้ว

      @@user-jv4zj3jz7t 아닙니다 ㅎㅎ 광통신이 좋죠 저도 2축이상 시리얼통신 절대 안씁니다
      사실 저는 아직까지 절대 다수로 펄스제어와 i/o 제어가 많네요

  • @uio86a
    @uio86a 4 ปีที่แล้ว

    근데 전자가잇으면 1이고 없으면 0인가요? 이걸로 어떻게 숫자와 색깔 문자로나타낼수잇는건가요

  • @user-dy3dg1kc6c
    @user-dy3dg1kc6c 4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식물공장형 시설재배를 준비중인 사람인데요ㅎ 당장은 수동으로 벨브 조작을 하고 추후 솔레노이드 벨브를 이용하여 자동조작을 계획중인데요 예를들어 수십개의 벨브중 원하는 벨브만 열고닫고 이런조작을 원하는데 plc라는 분야를 공부하면 되는건가요?(전문업체 견적은 상상초월이라 직접 해보려 합니다ㅎㅎ)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4 ปีที่แล้ว

      자동조작이라는 것이 어떤 센서에 의해 조작하는 것이 아니고 그냥 먼 곳에서 조작하는 것이라면 PLC까지는 안 가고, 시퀀스라고 하는데요, 사실 시퀀스의 시도 안 되요.
      솔레노이드밸브(급수전자변)를 이용한 급수시설 영상이 올라와 있습니다.
      이 영상을 봐 주세요. th-cam.com/video/BPUT-kQZaXA/w-d-xo.html

    • @sunnyjoo5159
      @sunnyjoo5159 4 ปีที่แล้ว

      다 됩니다.
      습도 온도 밸브....
      제어 다 됩니다.
      Plc를 할려면 전기를 알아야 합니다.
      시퀀스를 보고 그리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Plc와 hmi와 통신해서 제어도 됩니다.

    • @hoseongseo7177
      @hoseongseo7177 2 ปีที่แล้ว

      걍 타이어 달고 수동으로 하세요...

    • @hoseongseo7177
      @hoseongseo7177 2 ปีที่แล้ว

      @@sunnyjoo5159
      젼.비용 대비 경제성 검토 후 실행

    • @hoseongseo7177
      @hoseongseo7177 2 ปีที่แล้ว

      나두 궁금 한게 얼마정도가 plc의 경제성을 모르겠네..

  • @user-gy6wr1kh8y
    @user-gy6wr1kh8y 2 ปีที่แล้ว

    PLC업종으로 일하다가 전기안전관리 같은 업종으로 이직하는게 유리할까요?!

  • @JamesKooTV
    @JamesKooTV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강의아니고혹시 직접 작업도 하시나요?

  • @moonsun2154
    @moonsun2154 ปีที่แล้ว

    우와 멋졌다 20분이면 돼요
    20분지식만 있거든요 ㅋㅋㅋㅋㅋ

  • @user-ny1pe6zf8n
    @user-ny1pe6zf8n 3 ปีที่แล้ว

    DDC를 언급하시는거 보니 빌딩자동제어 하시는분인가 보네요.통상의 경우 RCS, TM/TC,MCP등이라고도 지칭을 하는데 빌딩자동제어에서는 DDC가들어간다고 하여 DDC판넬이라고 지칭을 많이 하더라구요.혹여나 혼동하시는 분들이 있을까해서 글 남겨봅니다.그리고 네트워크를 1:N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통합 네트워크장치(HUB 사용)를 구축합니다.
    디지털계전기의 경우 멀티드롭으로 485통신을 하는경우도 있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LS의 GIMAC,GIPAM의 경우 GMPC라는 전용장치를 사용하여 상위와의 통신을 연계 시키기도 합니다.
    그리고 혹여 RCS,TM/TC의 릴레이만 봐도 엄청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기존 구축되어 있는 제어반의 경우에는 PLC 혹은 RTU,DDC등의 프로그램을 모니터링만 가능하시다면 프로그램상의 출력 ADD만 찾아서 각각의 릴레이와 매칭시켜 보시면 릴레이들이 가지는 기능을 유추하실수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요즘의 경우 8POINT,16POINT등의 경우에는 릴레이출력카드를 사용하여 릴레이로 회로를 구성하지만 32POINT이상의 TR출력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릴레이보드를 사용하며 간혹 IO보드를 사용하여 다시 일반 릴레이를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초보자들을 위해 이런 교육영상을 올려 놓으신거보니 멋지시네요 ㅎ
    잘듣고 갑니다.

  • @user-ds3bg6ln6q
    @user-ds3bg6ln6q 4 ปีที่แล้ว

    선박시스템하고 똑같은것 같은데요

  • @user-hu2yg4fo3s
    @user-hu2yg4fo3s 5 ปีที่แล้ว

    동영상 잘 보았습니다.
    Plc-2는 언제 볼수 있나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주말쯤 올릴 계획입니다. 허접한 영상이 올라올 수도 있어요.

    • @user-hu2yg4fo3s
      @user-hu2yg4fo3s 5 ปีที่แล้ว

      @@user-qk3kk4rs2u 네!
      ㅋㅋ 화이팅 입니다.

  • @uio86a
    @uio86a 4 ปีที่แล้ว

    Plc를 이해할수잇는 책이있을까요

  • @user-ld3xm5os7z
    @user-ld3xm5os7z 4 ปีที่แล้ว

    Mcc판넬에서 DDc판넬로 갈때 왜4가닥인가요? 기동2가닥 확인2가닥
    확인2가닥이 정지인가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4 ปีที่แล้ว

      확인이라는 건 돌고 있는지 안 돌고 있는지를 확인한다는 의미입니다. 접점이 붙어 있으면 돌고 있는 거고 접점이 떨어져 있으면 멈춰 있는거예요.

  • @user-vn1se4ro9y
    @user-vn1se4ro9y 5 ปีที่แล้ว

    관련된 좋은책도 추천해주세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1

      책보다도 LS산전 연수원에서 하는 교육이 있어요. 다음 영상에서 말씀 드릴께요.

  • @user-qp4rf7er4w
    @user-qp4rf7er4w 4 ปีที่แล้ว +1

    DDC, MCC가 뭐의 약자 인가요?

    • @user-bg8ty5rh9w
      @user-bg8ty5rh9w ปีที่แล้ว

      일반적인 릴레이가 많이 있네 와 마그네틱 릴레이가 많이 있네 . . 작은 전류를 접점에 흘릴 수 있네 와 모타같은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네 . . . (아마도)

  • @kuraedio
    @kuraedio 4 ปีที่แล้ว

    굉장히 어려워보인다 PLC

  • @user-px7bp9xh7y
    @user-px7bp9xh7y 4 ปีที่แล้ว

    티비마이님은 어떤일을 하시는지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4 ปีที่แล้ว

      전기안전관리와 시설관리륵 하고 있어요. 저의 소개 영상이 따로 있습니다. 한 번 봐 주세요.
      방글님은 어떤 일을 하시나요?

    • @user-px7bp9xh7y
      @user-px7bp9xh7y 4 ปีที่แล้ว

      전기 현장일 하고 있습니다 전기는 분야가 넓어서 최소 10년은 갈고 닦아야 되는데 사수를 잘 만나야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경기도 화성에 있습니다 혹시 근방에 계시지는 않으시구요? ㅎㅎ

  • @user-qe1xs1kc4p
    @user-qe1xs1kc4p 2 ปีที่แล้ว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어떤건지 알 수 있을까요? 무료인가요?

  • @fate6179
    @fate6179 5 ปีที่แล้ว

    혹시 이쪽 계통 종사자 이신가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예 전기안전관리 유지관리하고 있어요.

    • @fate6179
      @fate6179 5 ปีที่แล้ว

      @@user-qk3kk4rs2u 근데 궁금한게 전기안전관리 쪽도 plc하세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fate6179 전기안전관리 선임하고 시설 유지관리도 하고 냉난방운전도 해요. 냉난방 감시 펌프 휀 가동하는게 다 PLC로 움직여요.

  • @707krek7
    @707krek7 5 ปีที่แล้ว

    온도센서는 + - 극성이 있나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1

      온도센서는 pt1000옴이라고 해서 저항이예요. 그래서 극성이 없어요.

    • @sunnyjoo5159
      @sunnyjoo5159 4 ปีที่แล้ว

      온도센서는 아날로그 입니다.

    • @user-bg8ty5rh9w
      @user-bg8ty5rh9w ปีที่แล้ว

      온도샌서에는 pt100,jpt100,썸머커플..k,t,j 등등 type들이 있으며 . . 백금을 이용한 pt계열은(3가닥이며) 온도가 변화하면 측정되는 저항값이 달라지고, tc(썸머커플 각타입들(측정가능범위에따라서색갈이다름:(예)tc k type 청색)은 수미리암페어의 기전력이 온도변화에따라 두가닥에서 나오게 됨) 이런저항값또는미소한저류값을받아서 드스트리뷰터라는 변환장치등을 이용해서DC 4~20mA,또는DC 1~5V,로 나가라고 설정하게 되어있슴. 보편적인 국제적 약속이지만 , 상황에 따라서 조정을 할때도 있슴 . . 리니어한 신호처리도 있고 비선형적인 신호처리도 있슴, 밸브를 25%열면 물은 50%가 흐르게됨(물은 관을 통과하면서 비선형적임) 신호는 25% 8mA를 밸브로 주었으며 밸브는 25%열렸고 흐르는 물은 50%가 흐르게됨 ,따라서 밸브에서는 올라오는 프로새스값은 12mA가되고 밸브포지션값은 25%위치값인 8mA가 될것임....대충..각종쌘서(검출기)들은 각나라들마다 잘만드는 재품들이 있으며 꼭 4~20mA가 아니고 ,특수한경우 0~10mA도 있을 수 있슴. DC 4~20mA회로에 250옴저항을 걸면 저항에는DC 1~5V 가 됨. 장거리는 전류신호로 주고 받고 계측기입력이 1~5V직류전압신호라면 250옴 저항을 양단자에 걸어주워야함 .(전압으로 신호를 주고 받으면 전압강하에의한 각종 오차가 발생함으로 전류로 현장에서 제어룸까지 신호를 주고받으며 보편적인 계측기들은 전압으로 입력을 받음으로 계측기 입력 단자에 쎤트250옴 저항을 걸어주게됨 ,물론 4~20mA을 직접받는 재품들도 있슴. .쌘서라고하는건 그종류가 무지하게 많을 수도 있슴..(조금이라도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참고로만 하세요 )
      답글

  • @kk-fc7de
    @kk-fc7de 5 ปีที่แล้ว

    시퀀스 관련 질문할게잇어 메일 보내드렷는데 확인부탁드립니다.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답장 보냈습니다.
      참고로 2개소 제어 영상을 한 번 봐 주세요. th-cam.com/video/jk94lwK1QsI/w-d-xo.html
      그리고, 보조릴레이 대신 보조접점을 사용하는 영상입니다.th-cam.com/video/8ET3JLCabKA/w-d-xo.html

  • @user-gf3dm8rs1d
    @user-gf3dm8rs1d 5 ปีที่แล้ว

    PLC로 무엇이 가능한가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제일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컴퓨터에서 냉난방이나 펌프를 껏다 켤 수 있어요. 보통 빌딩자동제어라고 하는게 다 PLC를 이용합니다.

    • @user-gf3dm8rs1d
      @user-gf3dm8rs1d 5 ปีที่แล้ว

      @@user-qk3kk4rs2u 님 그러면요 게임기나, 로봇, 인공지능도 가능한가요?

    • @user-qk3kk4rs2u
      @user-qk3kk4rs2u  5 ปีที่แล้ว

      제 채널은 전기안전관리와 전기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내용이예요. 게임이나 로봇에 대해서는 저도 잘 몰라요.

    • @user-gf3dm8rs1d
      @user-gf3dm8rs1d 5 ปีที่แล้ว

      그렇군요.

    • @user-ez2gn6qg6z
      @user-ez2gn6qg6z 3 ปีที่แล้ว

      산업 현장 자동화 설비 제어 기타 제어가 필요한 모든 광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