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을 너무 늦게 확인해서 이제야 답변드리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현재 영상 개수가 200개가 넘어서, 어느 부분에서 제가 언급했는지 파악이 어렵지만 찾아보니 아마 다음의 영상일거에요 : th-cam.com/video/IhLUlXF98qw/w-d-xo.html 혹시나 다른분들도 참고하실 수 있도록 답글 드립니다.
답글 써주신 분께서 설명해주신 부분이 맞습니다, 극한적으로 길이를 잘게 자른 것으로, 예를들어 sigma(수열 개념, 합의 기호) 에 어떠한 일반항이 들어가 있고 그에 1/N이 곱해져있다면, N을 무한대로 보내는 극한을 생각해보시면 되겠습니다 물리적인 의미를 생각하기 위해, 극한을 바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보내지는 과정'을 생각해보세요! 1/2, 1/3, 1/4 ... 1/100, ,,,,점점 잘게 쪼개지는 1/N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그것을 적분형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d를 붙이는 것 입니다
@@MUBAK-n6e 전자기학1 재생목록 첫 영상이 벡터의 소개 및 벡터 연산기초 부터 설명드린 영상이라, 제 채널의 '전자기학1' 재생목록을 순서대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다중적분과 벡터미적분학은 필요하지만 선형대수는 (우선 전자기학만을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 ) 벡터라는 것이 선형대수에서 나오는 개념이지만, 실제 전자기학의 개념을 이해할 때에는 선형대수가 직관적으로 직접 도움을 주지는 않습니다.
질량을 구하는
스칼라 선적분,면적분,부피적분에서
전하밀도로 바뀌고 전하량을 구하는 방식이란걸 이해했습니다
전자기학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없으셨으면 많이 해맸을거 같아요
늘 좋은 말씀을 남겨주셔서 제가 감사합니다 : )
혹시 예제 문제풀이 영상이 어디 있을까요? 찾기 힘드네요...
댓글을 너무 늦게 확인해서 이제야 답변드리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현재 영상 개수가 200개가 넘어서, 어느 부분에서 제가 언급했는지 파악이 어렵지만
찾아보니 아마 다음의 영상일거에요 :
th-cam.com/video/IhLUlXF98qw/w-d-xo.html
혹시나 다른분들도 참고하실 수 있도록 답글 드립니다.
전기장의 크기를 구하기위해서는
길이에 대하여 적분해야하는데 R단위벡터를
R벡터/R길이 로 두고 R길이를 적분괄호안에 넣을 수 있나요????
영상 내에서 정확히 어떤 부분을 말씀하시는지 잘 파악이 안되지만, R단위벡터 = R벡터/R길이 는 언제나 (정의 이기 때문에) 성립하므로 적분기호와 상관없이 적분안에서도 그렇게 표현가능합니다:)
링형 선전하, 정사각형 선전하 모두 상관없이 그 선전하 위에 어떤 위치에서든 똑같은 전기장이 작용하는 건가요?
선전하, 면전하, 체적전하를 공부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전자기학 진도를 빼고 싶은데 미적분에서 막히네요;;;
미적분 같은 전자기학 기초 수학을 배우고 싶은데
혹시 보스님 영상에서 나올까요
아니면 미적분 기초 수학을 끝내놓고 전자기학을 들어가는게 좋을까요
보스님 조언 부탁드립니다.
제 채널 재생목록 중 [벡터 미적분학]이 있으니 한번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 해당 재생목록의 영상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실 경우에는, 고등수학 중 미적분의 기초를 완전하게 마치고 공부하시는 편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bosstudyroom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dl의 정확한 의미가 뭔가요 ?? 앞에 d붙는게 무슨 의미이죠 ??
길이를 잘게 나눴다 미소길이
답글 써주신 분께서 설명해주신 부분이 맞습니다, 극한적으로 길이를 잘게 자른 것으로, 예를들어 sigma(수열 개념, 합의 기호) 에 어떠한 일반항이 들어가 있고 그에 1/N이 곱해져있다면, N을 무한대로 보내는 극한을 생각해보시면 되겠습니다
물리적인 의미를 생각하기 위해, 극한을 바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보내지는 과정'을 생각해보세요! 1/2, 1/3, 1/4 ... 1/100, ,,,,점점 잘게 쪼개지는 1/N임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그것을 적분형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d를 붙이는 것 입니다
전하밀도에관한 개념설명도있을까요?
이번 영상은 선전하, 면전하 및 체적전하분포를 설명드린 것과 동시에
각각에 해당하는 전하밀도까지 설명드린 영상입니다.
어떤 부분이 부족했는지 피드백을 남겨주시면, 간략하게나마 추가답변 드리겠습니다.
질문을 바꾸겠습ㄴ니다 ㅠㅠ 이 전자기학 내용을 이해하기위해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개념이 선형대수,수리물리,미분적분으로 알고있습니다, 이 과정에대한 이해가있어야 전자기학에서 유도되는것들이 이해하기 수월하겠죠? 보스님의 어떤 블로그,영상을 우선적으로 공부하는게 좋을까욥?
@@MUBAK-n6e 전자기학1 재생목록 첫 영상이 벡터의 소개 및 벡터 연산기초 부터 설명드린 영상이라, 제 채널의 '전자기학1' 재생목록을 순서대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다중적분과 벡터미적분학은 필요하지만 선형대수는 (우선 전자기학만을 위해서는)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 )
벡터라는 것이 선형대수에서 나오는 개념이지만, 실제 전자기학의 개념을 이해할 때에는 선형대수가 직관적으로 직접 도움을 주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차근차근따라가보겠습니다. 제 전공의 한줄기 빛이십니다...!
좋은 말씀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
다 봤음
선생님
점전하전기장공식에서 선전하전기장으로 유도할때
단위벡터를 풀어서 유도하자나요
근데 선전하공식문제풀때 왜 방향벡터로 안쓰고 또 단위벡터로 문제를 푸나요...?
(전기밀도/2파이€p)방향벡터가 맞지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