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콘크리트공사 콘크리트타설 방법.!]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 เม.ย. 2019
  • 라보떼(여성의류) : ☞ m.smartstore.naver.com/la--be...
    망치잡은사나이: ☞ / my_videos ar=2&o=U
    퍼스트하우스.h: ☞ m.blog.naver.com/gjtjdtnsj
    퍼스트스킬: ☞ blog.naver.com/firstskill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97

  • @user-lo3ui4wo6z
    @user-lo3ui4wo6z 4 ปีที่แล้ว +1

    빠른답변 감사합니다. 비닐만 덮고 타설 하께요.

  • @goyusam
    @goyusam 4 ปีที่แล้ว +2

    눈호강 잘했습니다^^

  • @user-em1kk8wq9k
    @user-em1kk8wq9k 3 ปีที่แล้ว +1

    잘봤습니다.

  • @TV-eb5os
    @TV-eb5os ปีที่แล้ว +1

    잘보고 갑니다~

  • @m0187723
    @m0187723 5 ปีที่แล้ว

    총 작업평수와 총 공사비용 궁금합니다.

  • @kimkim1482
    @kimkim1482 ปีที่แล้ว +1

    공사문의드릴려고 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 @hammy930
    @hammy930 4 ปีที่แล้ว +3

    안녕하세요 대표님, 우선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메쉬를 깔고 메쉬를 받춰주는 췌어는 굳이 안해도 되나요? 저는 뉴질랜드에서 견습생으로 일을 하고있는데요, 저희는 메쉬를 받춰주는 췌어를 꼭 넣어서 받춰주더라고요. 근데 그 췌어가 50-65, 75 이상짜리 바닥의 높낮이에 따라 사용하는데, 지금 영상을 보면서 췌어가 없어도 되네요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답글 부탁드립니다. Dannie Kim.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4 ปีที่แล้ว

      있으면 좋죠 ^^ 뭐든 FM으로 배우시면 되지만 여기 한국에는 인건비가 상승되어있으면 소규모 마당콘크리트타설에는 굳이 안써도 됩니다. 그리고 상황과 여건에 맞춰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배움은 FM으로 배워두세요.
      허나 현실은 그렇지 않은 경우들이 많다는..

    • @hammy930
      @hammy930 4 ปีที่แล้ว +1

      @@hammermansports 감사합니다

    • @gholbang
      @gholbang 2 ปีที่แล้ว

      한국에선 다 대충 저렇게 하더라구요 ㅋㅋㅋ 한국에서 노가다는 그냥 유럽의 노가다를 일본이 베끼고 그 일본걸 한국이 베낀거라 어딘가 이상하게 나사가 빠져있습니다 한국에선 저런 소규모 공사에서 제대로된 공사를 찾아본다는게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요 우리나라 단독주택 집짓는거 몇십년전에 지어놓은 주택들보면 그야말로 한숨이 나오다 못해서 미니 삼풍백화점들입니다

  • @user-lo3ui4wo6z
    @user-lo3ui4wo6z 4 ปีที่แล้ว +3

    자갈없이 비닐만깔고 타설후 매숴와 글라이딩 하면 될까요?6메터에 2메타정도 하려는데 너무몰라 난감하네요.좀가르켜주시면 감사 하겠읍니다.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4 ปีที่แล้ว +2

      6×2미터면 그냥 타설하셔도 괜찮습니다. ^^

  • @user-ut3gv5bb9x
    @user-ut3gv5bb9x 2 ปีที่แล้ว

    마당 코크리트 작업. 평탄작업을 관리기로 로타리 작업 하면 평탄작업이 아주. 잘됩니다

  • @namin1108
    @namin1108 5 ปีที่แล้ว +3

    저도 전원주택을샀는데 흙이 마당이 밭흙이더라구요 그래서 일단 강자갈 25톤 2차를 갔다 부어놨는데 이제 어느정도 자갈이 땅에묻히고 했는데 주차장 만들려고 하는데 자갈위에 비닐을 깔고 해야하는지 그냥 자갈위에 메쉬철망 놓고 타설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어떤분은 그냥해도 된다 어떤분은 비닐안하면 시멘트물이 땅에 흡수되어 강도가 떨어진다 뭐가 정답인가요

    • @user-vz3fq8eg5e
      @user-vz3fq8eg5e 5 ปีที่แล้ว +1

      비닐까는 이유는 딱 한가지입니다.레드믹스콘크리트의 수분을 흙에 빼았기지 않기 위해서 입니다.수분을 빼앗기면 레미콘 경화 화학반응에 꼭 필요한 H2O가 부족해져서 콘크리트의 강도 즉 송장에 기록된 18~24Mpa에 택도 없이 못미칩니다.그래서 비닐을 까는거지롱~그래도 금(crack)은 갑니다.미리 금유도선을 만드세요.

    • @usocute123
      @usocute123 5 ปีที่แล้ว

      언감생선 금유도선 만드는방법에 대해서 아시면 자세한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내일 콘크리트 100여평 15전정도 타설해야되는데 너무 아는게 없네요.

    • @user-vz3fq8eg5e
      @user-vz3fq8eg5e 5 ปีที่แล้ว +1

      @@usocute123
      타설후 2~4일쯤 지난후 타설면적에 먹매김을 등분할로 하시고 먹줄따라 콘크리트 커팅을 약4~5cm 깊이로 "양생 수축현상으로 금이 가려면 미리 여기서 가라"라고...너무 넓으면 업자 부르시고 혼자해도 되면 그라인더 커팅하시면 됩니다

    • @usocute123
      @usocute123 5 ปีที่แล้ว

      언감생선 가로28미터 세로 12미터 정도인데 어느정도 간격으로하여야하며 그라인더커팅은 핸드그라인더말고 다른거로해야될까요? 그리고 안에다 와이어메쉬 넣을건데 와이어넣으면 그러인더 커팅도 어렵지 않을까요? 커팅말고 타설후 바로 뭔가를 찔러넣어서 금유도선을 만들수는 없나요?

    • @user-vz3fq8eg5e
      @user-vz3fq8eg5e 5 ปีที่แล้ว

      @@usocute123
      사방2m 간격으로 땀흘리는거 상관 안하시면 마스크쓰고 일반 그라인더도 와이어매쉬와 상관없이 가능합니다. 타설중이나 직후에 크랙유도 작업은 난이도가 최상일겁니다. 지금까지 그런제품이 없는거로 알고있습니다.

  • @user-jx9jh8we7y
    @user-jx9jh8we7y 5 ปีที่แล้ว +2

    메쉬는 얼만큼 하나씩 깔아야 하나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3

      붙여서 한장씩 까시면되구요 겹쳐도 상관없어요.

  • @user-ep7di1hr8b
    @user-ep7di1hr8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가지 여쭙겟습니다.
    시멘트 색갈말고 마사색처럼 연한 자연 흙색을 낼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레미콘에 안료를 넣는 방식이좋은가요?
    아니면
    시멘타설 할 때 마사를 직접 뿌리는 방식?
    고견 부탁드립니다.

  • @user-sz6rz3cr5o
    @user-sz6rz3cr5o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타설 중간 중간에 절개(컷팅)선 안 넣어도 크랙 안 갈까요? 절개선 넣으면 비용이 더 드나요^^? 감사합니다~~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래도 세월이 가면 크렉은 조금씩 갑니다.

  • @user-os8go4ur5w
    @user-os8go4ur5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이어 메쉬는 결책선으로 서로 엮어주고 바닥에서 띄워야 하는데 저리하면메쉬는 바닥에 가라안고 신축줄눈도 어이구

  • @DaeYounKim05
    @DaeYounKim05 5 ปีที่แล้ว +2

    남 공사하는데 이렇다 저렇다 말 안하는게 노가다판의 룰 이라면 룰이지만 한국 현실이 그런지 모르겠지만 공구리 치는데 너무 막 친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뭐 아무런 문제 없겠죠??? 항상 통용 되는 말 이지만 아무 문제 없죠??? 물 조정을 해서 잡아 내는 방법이라.... 위험한 말씀이네요 ㅎㅎㅎㅎㅎ

  • @ceosealemon
    @ceosealemon 2 ปีที่แล้ว +2

    비닐 위에 레미콘 타설하면 밑에 바닥이랑 견고하게 쩍 달라붙지 않지 않나요? 레미콘 회사에 어떤 것 주문하면 되나요? 타설하고 입금하나요? 타설전 입금해야 되나요? 아니면 전과 후 반반 입금해야 되는지요?

    • @lwyw991
      @lwyw991 ปีที่แล้ว

      비닐을 까는 이유는 양생때문이라 레미콘의 수분이 빨리 빠지지말라고 까는거구요, 아파트현장에서는 펌프카타설 시 25-18-15 슈트타설 시 25-18-12 했는데 일반 가정집에서는 잘 모르겠구요, 작은업체가 주문하면 입금 후 레미콘 받을 수 있습니다.

  • @user-st3sb6pz9o
    @user-st3sb6pz9o 3 ปีที่แล้ว

    바닥콘크리트 영상잘밨어요
    철망을 타설하면서 넣는듯 보이는데
    넣는이유가 있나요 ?
    답변부드립니다

    • @yoonopt
      @yoonopt 2 ปีที่แล้ว

      콘크리트는 압축강도는 강하지만 인장강도(쪼개짐)는 약합니다. 우연하게도 철망이나 철근은 콘크리트와 열팽창계수가 비슷하고 이것을 콘크리트에 집어넣으면 인장강도가 올라갑니다. 따라서 무거운 하중을 견뎌야하는 경우에는 철망을 넣는 것이 쪼개짐, 균열을 막을 수 있습니다.

  • @kuya2849
    @kuya2849 2 ปีที่แล้ว +3

    외국에서 주택가 앞마당 바닥콘크리트 까는거 보니까
    1.바닥평탄화
    2.잡석깔고
    3.물을 뿌리고
    4.기계로 땅을 다지고
    5.철근을 일정하게 깔고 고정하고
    6.레미컨 붓고
    7.빗자루 자국내고
    8.기계로바닥에일정한간격으로홈을파고
    9.바닥에 물을뿌림
    * 비니루 안깔고, 매쉬와이어 안하네요
    (잡석깔고,철근 했으니)

    • @user-wj9bi3qr4y
      @user-wj9bi3qr4y 2 ปีที่แล้ว +1

      마을길이니 다져진 땅이라 굳이 다질 필요 없겟고 물구배를 고려하면 평탄화할 필요 없겟죠.
      와이어메쉬 두겹깔면 철근이랑 동일한 강도 나옵니다. 다져진 땅에 비닐은 콘크리트 부착력에 오히려 손해라 안까눈게 낫고요.

    • @zonnage2877
      @zonnage2877 ปีที่แล้ว

      외국이랑 비교하지마세요 우리나라 콘크리트미장은 똥이나 다름없습니다

  • @user-vh5df4qy6l
    @user-vh5df4qy6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킹을 길게 잡으니 무겁죠

  • @user-cx4sd1ui9z
    @user-cx4sd1ui9z 5 ปีที่แล้ว +2

    마당콘크리트
    여름.무지무지더워
    콘크리트열받으면
    겨울.미끄러워
    와이어메시는물빠지고
    깔아주야지
    바로깔고지근지근밟으면바닥에딱달라부터
    크렉효과글쎄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네 바로깔아주고 지근지근 안밟고 적당히 밟아줘아뒀습니다. ^^
      더운건 사실입니다.
      더이상 답변은 그전에 다드린거라..

    • @user-dv4wj9zg6c
      @user-dv4wj9zg6c 4 ปีที่แล้ว

      자갈 잔디 깔면 시원하고 좋죠~ 뽑고 뽑아도 미친듯이 올라오는 잡초랑 싸울 시간 넉넉하면 콘크리트 타설 안해도 됩니다.^^
      말투에서 상대방에 대한 존중도 없고 뻔히 다아는 사실을 전문가 앞에서 주름을 잡으시네요.

  • @user-bc7kw8be3m
    @user-bc7kw8be3m 28 วันที่ผ่านมา

    몇전이상 와야 메시 집어 넣어야 되나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28 วันที่ผ่านมา

      딱 기준은 없는데 크렉방지를 위해서 넣으면 좋아요.
      특히 차가 다니는 부분은 더 그렇구요.

  • @minholee4154
    @minholee4154 4 ปีที่แล้ว

    철사로된 저거를 먼저 깔고 콘크리트를 부어야 더 튼튼한거 아닌가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3 ปีที่แล้ว

      현장상황이 보시다시피 바람이 엄청 불었어요! 미리 자리를 잡아놔도 위치가 변형 될 수도 있답니다. 그래도 와이어메쉬깔고 꾹꾹 밟아 위치를 잘 잡았기 때문에 강도발현엔 문제가 없을 것 같아요 ^^

  • @user-ki6tl9hj3u
    @user-ki6tl9hj3u 2 ปีที่แล้ว +3

    비닐을 깔고, 타설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2 ปีที่แล้ว +2

      날씨가 많이 덥고 습윤양생을 하기위해서 물빠짐을 최소한하기 위해서입니다.

    • @user-ki6tl9hj3u
      @user-ki6tl9hj3u 2 ปีที่แล้ว

      @@hammermansports
      비닐을 안깔고 작업하면 무슨 문제있나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2 ปีที่แล้ว +2

      @@user-ki6tl9hj3u 문제는 크게 없는데 수분이 빨리빠지면 크렉이 더갑니다.
      물을 많이 뿌려주세요.

  • @user-td9dm7nh5s
    @user-td9dm7nh5s 5 ปีที่แล้ว +1

    마당은 콘크리트 사양을 알고 싶습니다..... 어떤사양으로 하셨는지???? 자갈 사이즈 압축강도 슬럼프값 등등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1

      골재25mm 강도21Mpa 슬럼프80mm 입니다. 현장상황과 여건에 맞춰서 슬럼프 조정하시면 됩니다.

    • @poclainger
      @poclainger 2 ปีที่แล้ว

      @@hammermansports 강도말할때 현장에서 200이니 180이니 그러던데요. 21mpa면 210인건가요? 그리고 슬럼프가 뭔지 궁금하네요 ;;

  • @user-fs4oi3nm6c
    @user-fs4oi3nm6c 5 ปีที่แล้ว +3

    비닐깔구 매쉬미리넣고 콘크리트를 부으면 안되는건가요? 궁금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당연히 안됩니다. 매쉬가 바닥에 붙어있는데 의미가 없죠.! 매쉬는 크랙을 방지하기위한건데 그래서 콘크리트 피복두께가 어느정도 나와야합니다. 그래서 타설하고 한장씩깔고 밟아주는게 좋죠.^^

    • @user-fs4oi3nm6c
      @user-fs4oi3nm6c 5 ปีที่แล้ว

      @@hammermansports 감사합니다
      적당히 중간층에 매쉬가 있어야 하는거군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user-fs4oi3nm6c 네 맞습니다. ^^

    • @user-gy6ig3hx8y
      @user-gy6ig3hx8y ปีที่แล้ว +1

      깔고 해도 됩니다
      하지만 타설하는 중간중간에 메쉬를 갈구리로 들어주고 발로 밟아 주면 됩니다

    • @user-rz8kd5id9q
      @user-rz8kd5id9q ปีที่แล้ว

      망치잡은사나이 전화 번호좀
      알려주세요 ~~

  • @ikum222
    @ikum222 3 ปีที่แล้ว +2

    마당은 두께를 어느정도 타설 하나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3 ปีที่แล้ว +1

      정해진 두께는 없지만 보통180~250정도 칩니다. ^^

    • @yoonopt
      @yoonopt 2 ปีที่แล้ว

      @@hammermansports 대략 보도에는 7센티에서 10센티, 일반주차장은 15센티 이상이고 아래에 안정자갈을 15센티 이상 깔아주고 땅다짐을 해주어야 합니다. 물론 짐을 옮기는 지게차의 경우는 훨씬 두꺼워야 합니다. 그리고 콘크리트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철근 보강을 잘해주는게 훨씬 효과적입니다. 관련 두께는 구글로 논문을 검색하시거나 해외 콘크리트 타설 전문 홈페이지에 보시면 잘 나와 있습니다.

  • @South_korea-
    @South_korea-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닐 그대로 시멘트 부으면 😢환경 호르몬

  • @user-fn4gr5fp8w
    @user-fn4gr5fp8w 4 ปีที่แล้ว

    이정도 공사 면 얼마정도 하나요? 물론 타설양에 따라 틀리지만,,,현재 방송보는 현장대조하고싶습니다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4 ปีที่แล้ว

      마당 콘크리트만 칠건지 면적이 젤 중요합니다
      몇평인가요?

    • @user-fn4gr5fp8w
      @user-fn4gr5fp8w 4 ปีที่แล้ว

      오수 우수 추가 작업이랑 대지는 190평이고 집이 30평 창고 11평입니다 전체 구배 및 오수 작업 할려구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4 ปีที่แล้ว

      @@user-fn4gr5fp8w 전체 마당콘크리트 타설 하실계획인가요?

    • @user-fn4gr5fp8w
      @user-fn4gr5fp8w 4 ปีที่แล้ว

      네,,,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4 ปีที่แล้ว

      20전 타설이 1600~1800정도 나오겠습니다.

  • @user-tl3qx8qk1t
    @user-tl3qx8qk1t 5 ปีที่แล้ว

    파이프가 저렇게 높으면 겨울에 지붕물이 우수라인으로 흐르면서
    얼어붙고 마당으로 넘칠텐데 괞챦나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지붕물이 우수라인으로 흐르면서 얼어붙고 마당으로 넘칠려면 집의 내부온도가 차갑고 남향이 아니고 지붕물의 물동이 구조가 많이 꺽여있거나 아무튼 그런구조면 그럴경우가 있겠지만 내구성이 좋고 좋은집은 지붕위의 적설이 쌓여있을때 안좋은 주택보다 빨리 눈이 녹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맨홀까지얼어서 넘칠정도면 강원도! 철원!? 정도 되나요? 내구성 좋은집들은 다를겁니다. ^^

  • @user-yd1ru1nc5v
    @user-yd1ru1nc5v 5 ปีที่แล้ว +6

    마당에 철사 체크 무늬 까는건 알겠는데 왜 비닐은 까는거에요? 습기 올라오지 말라고요? 집 짓는곳에는 깔던데 왜 마당에 비닐을 까는거죠? 비 내리면 아래로 스며 들지 못하지 않나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7

      아닙니다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우수배관과 우수맨홀을 작업한 이유가 거기 있겠죠. ! 비는 우수 맨홀을 통해서 다 빠리게 되어있구요 지반으로 흐르는 물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지반으로 스며드는 물 일부는 양이 얼마 안되어서 다 빠져나갈 공간은 있습니다. 만약에 비닐을 설치하지 않고 타설을 하게되면 급속한 콘크리트의 수분이 빠지므로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지며 크렉이 잘가고 지반에서 올라오는 습기와 오염물이 콘크리트위로 스며들어 이끼나 변색이되는 것을 간혹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지반으로 물이 들어간다면 주거공간 기초하부로 습기가 올라가는 현상들이 생기겠죠.! 물론 기촌하분에도 비닐을 깔아두었지만 아무튼 그래요 ^^

    • @user-xd8hm2hu3h
      @user-xd8hm2hu3h 3 ปีที่แล้ว +1

      @@hammermansports 일반적으로 타설하기전 마감재가 혼합석 또는 골재입니다. 바닥에 필름을 설치하는 유일한 이유는 흡수력이 높은 이 골재(혼합석)한테 콘크리트의 수분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데 급격한 수분감소는 급격한 건조에 따른 부피 수축으로 인한 건조수축균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름을 설치하는 것입니다. 콘크리트강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콘크리트의 강도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초기 수화열이 발생한 이후 수분이 증발되어야 합니다. 마당콘크리트에서는 방수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이끼, 오염물과 필름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Joint filler를 설치하기도 하는데요. 이것을 설치하면 콘크리트 단면이 관통되어 지반력이 발생하면 물 아니라 지면에 있는 것들이 올라올수도 있습니다.

  • @user-dw6ml2dp1l
    @user-dw6ml2dp1l 5 ปีที่แล้ว +1

    저정도묜 가격이 얼마정도 되나요?

  • @user-jt5bu7vl7y
    @user-jt5bu7vl7y 5 ปีที่แล้ว

    바이브레다 안하면 크릭가는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1

      바이브레다 마당 콘크리트에 사용하던 사람이 있던가요?
      기초바닥으로 알고계신거 아니가요!?
      저도 한번 보고 배우게 영상좀 링크걸어주세요. ^^
      마당콘크리튼 300쳐야겠네요. ㅎ

    • @user-jt5bu7vl7y
      @user-jt5bu7vl7y 5 ปีที่แล้ว

      @@hammermansports 콘크리트는 시멘트 물이 어디로 빠지나요? 무조건 콘은 바이브 질을해야 골재가 가라앉고 기포가 빠짐 니다 이구구 이걸 우야노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1

      @@user-jt5bu7vl7y 걱정마세요.
      잘되었으니 말로설명을 어떻게 다드립니까!

    • @user-zr8vq5fp3f
      @user-zr8vq5fp3f ปีที่แล้ว

      최성수님 노답이네요 깔걸 까야지 ㅋ

    • @user-vh5df4qy6l
      @user-vh5df4qy6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ammermansports4년전 글이지만 어이없는 답글에 참 답답하시겠네요.

  • @user-mr4mg8ll3d
    @user-mr4mg8ll3d 5 ปีที่แล้ว +10

    우수 떨어지는집가장자리
    구겨져서 흙 드러난 곳 아무도 비닐 펴지도 않고 엉망으로 하네

    • @kys5281
      @kys5281 5 ปีที่แล้ว +2

      이렇게 비닐 깔고 타설 하는곳 없어요 그냥 맨땅에다 합니다
      여기는 정말 확실히 하네요

  • @zonnage2877
    @zonnage2877 ปีที่แล้ว

    이렇게까니깐 쩍쩍갈라지고 움푹패이고 물웅덩이생기고 내리막에 쓸려나가지 진짜 우리나라 콘크리트 미장은 70년대수준에 머물리있는데 작업자들이 70년 이전생들이라 그런가?

  • @user-vw7vu7zi2h
    @user-vw7vu7zi2h 5 ปีที่แล้ว

    th-cam.com/video/qKw2cZ_5OCw/w-d-xo.html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1

      좋은정보 감사하지만요.
      저기 머리수만봐도 견적이 대략 나오네요. ^^
      아무튼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보고 배우겠습니다.

    • @user-qv2mc4vd1h
      @user-qv2mc4vd1h 5 ปีที่แล้ว

      일위대가표에 대한 개념이 없는 댓글이네요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user-qv2mc4vd1h 답글달기도 힘들더라구요.
      ^^ 답답할뿐입니다.

    • @hammermansports
      @hammermansports  5 ปีที่แล้ว

      @@user-qq9ib9hm6p 우리나라 기술자로 저정도 머리수 계산하면 2천은 나오겠네요. ㅎ

    • @seungh3828
      @seungh3828 5 ปีที่แล้ว

      외국방식 좋죠...하지만 소비자들의 안목은 올라가고
      공사비용은 싸게하시려고만 하니 업체 입장에서는
      무조건 기술자들에게 시키는것보단 기술잇는 직원을 써서 직영공사로 직접할수 잇는걸 해야만
      오더를 딸 수 잇다는게 지금의 현실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