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가지를 고려해봐야하는데요 연결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안정성은 거의 비슷할거라고 보고요 인아웃 컨버터의 칩셋 스펙은 id44쪽이 높긴한데 인아웃풋 최대 입출력 레벨은 ssl12쪽이 더 좋습니다 일장일단이 있고 루프백은 둘 다 지원 디지털 인아웃 지원은 id44는 adat in out에 spdif도 지원하기 때문에 만약 추가적인 디지털 입출력을 이용한 확장을 고려하신다면 id44가 좀 더 좋겠죠 DA를 많이 고려하신다고 하니 말씀드리는것이지만, 개인적으로 id44 mk1을 한동안 사용했던 적이 있는데요. 둘 중 비교하자면 제 개인 취향으로는 DA는 ssl쪽이 더 나았습니다
제품에 따라 다릅니다. 전자 드럼패드가 미디 인 아웃을 지원하면 미디 단자를 통해 입력을 받을 수 있을 테고, USB를 지원하면 인터페이스와 별개로 USB로 DAW를 통해 녹음을 받을 수 있겠죠. 별도의 +4dBu의 라인 아웃을 지원하면 인터페이스의 라인 인으로 입력을 받을 수 있을 거고요. 이 제품은 따로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연결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몇 개의 젠더를 통해서 연결은 가능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음질의 열화가 심해지겠죠. 만약 전자 드럼이 그런 기능이 있다면 그걸 통해서 녹음을 받을 수 있겠죠 ^^
@@용연향 자세한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초보라 질문이 너무 광범위하게 드렸어요 롤랜드 spd 30 드럼패드를 스네어나 킥을 연장해서 드럼연습을 하고있는데 녹음을 하고 싶어서요. 현재는 아이패드나 노트북으로 유투브 틀어서 헤드폰으로 들으면서 연습을 합니다 어떤 믹서를 사야하는지 고민중에 선생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조언을 구할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드럼 패드는 솔직히 저도 써보질 않아서 뭐라고 정확히 설명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spd30 같은 경우는 확인해보니 usb를 이용한 pc연결을 지원하고, 제품 자체가 midi in/out 단자도 있고, 55케이블 라인아웃 단자도 있습니다. midi 단자나 라인 아웃 단자를 활용해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usb로도(USB B TO A나 B TO C케이블로) 바로 pc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편하신대로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 제품의 디지털 인풋은 소위 '옵티컬'이라고도 불리는 일반적인 toslink 단자를 쓰는 2채널 'spdif' 규격이 아닙니다. 'adat'이라고 하는 프로 오디오에서 사용하는 최대 8채널 입출력 디지털 규격입니다. spdif는 소니&필립스에서 만들었고 adat은 알레시스라고 하는 회사에서 만든 규격입니다. 단자만 같은 toslink일 뿐 신호의 규격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게임컴 메인보드 혹은 사운드 카드의 디지털 아웃과 연결해도 아무런 신호도 받지 못합니다. 만약 투컴 세팅으로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게임컴에 별도의 adat out을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셔야 할텐데 문제는 보통 adat 규격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가 만만치 않은 가격대 입니다. rme의 babyface pro나 digiface처럼 spdif와 adat을 동시에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도 있지만 이 또한 적지 않은 가격이구요. 특히 디지털 아웃을 지원할 경우는요. 사실 그렇기 때문에 이 제품을 방송용으로 사용하시고 싶다면 원컴에서의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워낙 좋은 제품이기 때문에 저도 개인적으로 리뷰하면서 매우 아쉬웠던 부분입니다. 보통 ADAT과 SPDIF 둘 다 호환되게 만드는게 요즘 트렌드거든요. 방송 기능이 꽤 괜찮게 있기는 하지만 ADAT 같은 경우는 보통 외장 8채널 프리앰프를 확장할 때 주로 쓰기 때문에 그런 용도로만 넣어놓은게 아닌가 싶습니다.
오디오에 진심이라 상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잘 모르는 사람이 봐도 이해하기 쉬워서 참 좋네요 ㅋㅋㅋ
설명을 잘 해주시네용 잘 보고 갑니당~
나름 신경써서 만드시는데 잘 되시길 바랍니다!
박스 뜯는게 뭐 그리 중요하다 20%를 넣으세요~
억양이 우리쪽 지방동네사시나보네 외모가 이명기 야구선수 많이 닮으셨네요 ㅋㅋ 번창하세요
오디언트 ID44 MK2와 고민되네요. 윈도우에서의 안정성과 DA 측면을 중요하게 생갹하는데 어떤 모델이 좋을까요?
몇 가지를 고려해봐야하는데요 연결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안정성은 거의 비슷할거라고 보고요 인아웃 컨버터의 칩셋 스펙은 id44쪽이 높긴한데 인아웃풋 최대 입출력 레벨은 ssl12쪽이 더 좋습니다 일장일단이 있고 루프백은 둘 다 지원 디지털 인아웃 지원은 id44는 adat in out에 spdif도 지원하기 때문에 만약 추가적인 디지털 입출력을 이용한 확장을 고려하신다면 id44가 좀 더 좋겠죠 DA를 많이 고려하신다고 하니 말씀드리는것이지만, 개인적으로 id44 mk1을 한동안 사용했던 적이 있는데요. 둘 중 비교하자면 제 개인 취향으로는 DA는 ssl쪽이 더 나았습니다
혹시 전자드럼패드 연결해서 녹음할때 기타연결하는 곳에 넣나요? MR 을 휴대폰이나 아이패드를 연결해서 전자드럼 녹음을 동시에 할수있나요?감사합니다
제품에 따라 다릅니다. 전자 드럼패드가 미디 인 아웃을 지원하면 미디 단자를 통해 입력을 받을 수 있을 테고, USB를 지원하면 인터페이스와 별개로 USB로 DAW를 통해 녹음을 받을 수 있겠죠. 별도의 +4dBu의 라인 아웃을 지원하면 인터페이스의 라인 인으로 입력을 받을 수 있을 거고요. 이 제품은 따로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연결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몇 개의 젠더를 통해서 연결은 가능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음질의 열화가 심해지겠죠. 만약 전자 드럼이 그런 기능이 있다면 그걸 통해서 녹음을 받을 수 있겠죠 ^^
@@용연향 자세한 답변감사합니다 제가 초보라 질문이 너무 광범위하게 드렸어요 롤랜드 spd 30 드럼패드를 스네어나 킥을 연장해서 드럼연습을 하고있는데 녹음을 하고 싶어서요. 현재는 아이패드나 노트북으로 유투브 틀어서 헤드폰으로 들으면서 연습을 합니다 어떤 믹서를 사야하는지 고민중에 선생님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조언을 구할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드럼 패드는 솔직히 저도 써보질 않아서 뭐라고 정확히 설명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spd30 같은 경우는 확인해보니 usb를 이용한 pc연결을 지원하고, 제품 자체가 midi in/out 단자도 있고, 55케이블 라인아웃 단자도 있습니다. midi 단자나 라인 아웃 단자를 활용해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usb로도(USB B TO A나 B TO C케이블로) 바로 pc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편하신대로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용연향 감사합니다 알려주신대로 해볼께요 한국은 새벽일텐데 죄송합니다. 번창하세요
2컴 세팅이 혹시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송출컴에 오디오인터페이스를 설치를 해서 게임컴에 있는 소리를 들을수 있는지 디지털 인풋으로 연결하면 되는지 문의드립니다
이 제품의 디지털 인풋은 소위 '옵티컬'이라고도 불리는 일반적인 toslink 단자를 쓰는 2채널 'spdif' 규격이 아닙니다. 'adat'이라고 하는 프로 오디오에서 사용하는 최대 8채널 입출력 디지털 규격입니다. spdif는 소니&필립스에서 만들었고 adat은 알레시스라고 하는 회사에서 만든 규격입니다. 단자만 같은 toslink일 뿐 신호의 규격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게임컴 메인보드 혹은 사운드 카드의 디지털 아웃과 연결해도 아무런 신호도 받지 못합니다. 만약 투컴 세팅으로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게임컴에 별도의 adat out을 지원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하셔야 할텐데 문제는 보통 adat 규격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가 만만치 않은 가격대 입니다. rme의 babyface pro나 digiface처럼 spdif와 adat을 동시에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도 있지만 이 또한 적지 않은 가격이구요. 특히 디지털 아웃을 지원할 경우는요. 사실 그렇기 때문에 이 제품을 방송용으로 사용하시고 싶다면 원컴에서의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워낙 좋은 제품이기 때문에 저도 개인적으로 리뷰하면서 매우 아쉬웠던 부분입니다. 보통 ADAT과 SPDIF 둘 다 호환되게 만드는게 요즘 트렌드거든요. 방송 기능이 꽤 괜찮게 있기는 하지만 ADAT 같은 경우는 보통 외장 8채널 프리앰프를 확장할 때 주로 쓰기 때문에 그런 용도로만 넣어놓은게 아닌가 싶습니다.
흐으흠잘밨습니다.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