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이렇게 쓰면 망합니다! 시 쓸때 절대 하지 말아야 할 5가지!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ก.พ. 2025
  • 신춘문예 등단 작가이자 현대문학박사인 글쓰기 전문가가
    시를 쓸 때 피해야 할 5가지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Category
    시를 산문적으로 쓰면 안되는 이유
    운율과 함축의 중요성
    사유의 필연성
    외래어와 외국어를 잘 쓰는 방법
    동어반복을 피하는 법
    조창규 시인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석사(신경림 시의 공간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박사(조선문단의 매체적 특성 연구)
    2015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쌈)
    2015 젊은 시인 12인 선정
    강서평생학습관, 김포문화재단, 군부대 독서 코칭 등 다수의 글쓰기, 시쓰기 강사 역임
    싱글앨범 / '우리 둘만의 푸른밤', '예뻤던 지난날', '봄이 추웠으면 좋겠어', '아주 특별한 눈송이' 발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2

  • @정병문-k2o
    @정병문-k2o ปีที่แล้ว +4

    진짜 감사합니다 저는 23년10월12일부터 시를쓰기시작했거든요
    500편 썼구 매일같이새벽에4편을 시수정작업을하고있거든요
    공부를아예안하고 시쓰기시작했거든요

  • @JIHOONPARK
    @JIHOONPAR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저도 같은 국문과 전공자로서 다시 전공 학생으로 돌아간 기분을 잠시나마 느껴봅니다.

  • @첸-f9i
    @첸-f9i 2 ปีที่แล้ว +14

    궁금한게 있습니다
    2022년 수상작들 모아 놓은 시집을 봤는데 당최 이건 수필인지 소설인지 연과 행 구분없이 아예 3~4페이지를 내리 글자로 꽉꽉 채운 것들이 8~90프로 이상이더라구요
    저는 공모전을 통상 '시' 라고 불리우는 최소한의 형식에 맞춰서 준비했는데 당선작들을 보니까 제가 쓰는 그런 시는 이제 시대에 도태된 시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상 속 심사평에 100프로 1000프로 동감하지만 2019년 심사평이 저리 나왔는데도 불구하고 2022년 당선작들 대다수가 '산문시'도 아니고 아예 '산문'에 가까운데 이런 상황에 공모전 수상이 굉장히 절박한 상황이라면 저도 그냥 시대의 변화를 인정하고 이런 흐름에 맞춰가야할까요
    시를 쓰는 방식을 바꿔야할까요
    참 답답합니다

  • @haha0823kr
    @haha0823kr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느리지만 지루하지 않고
    창의적이지만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하시는.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병문-k2o
    @정병문-k2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맞습니다 한국말이멋있죠

  • @선연이-q2o
    @선연이-q2o 2 ปีที่แล้ว +9

    오늘 강의도 참 유익하고 좋은 배움이었습니다. '얄팍한 사유' 가 아닌 깊은 사유가 필요함을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 @이경희-e6g
    @이경희-e6g 2 ปีที่แล้ว +4

    선생님 박사 축하 드립니다

  • @Log283
    @Log283 ปีที่แล้ว +2

    친절해서라니 말씀도 너무 이쁘게 잘해주신다 시인님의 착한 배려심 ㅠㅠㅠ

  • @TV-gs4hk
    @TV-gs4hk 2 ปีที่แล้ว +5

    맞아요 ㅡ 💭💭🌱🌱🌸🐈‍⬛✨💭💭
    독자의 몫 ㅡ🦋외국어.외래어는 ㅡ 글세요.💭💭🐈‍⬛
    한국어로든, 외국어로든 표현될 수 있어야ㅡ
    여러 나라 독자들의 접근이 자유로워져야 ㅡ 글로벌한 폭넓은 세상에서 ㅡ
    특히 다문화 사회의 여러 인종을 생각한다면
    언어는 ㅡ 개방되어야 한다고 ㅡ 저는 개인적으로는
    💡 생각되어요 ㅡ🦋
    좋은 강연 감사드립니다 ㅡ🙂🌿

  • @이순애-q8l
    @이순애-q8l 2 ปีที่แล้ว +7

    반복해서 듣게 되는 마력. 학우 선생님들께 많이 소개하게 됩니다. 저는 2학기 지나야 석사 논문 쓰게 되는데 얼마나 부러운 지요. 박사님 축하드려요~~

  • @이강석-s3o
    @이강석-s3o 2 ปีที่แล้ว +3

    구독자는 없는데 최고의 강의네요. 산문적 표현은 인간에게 채워진 족쇄에요. 누구라도 그 족쇄를 벗어날수 없어요. 그중에도 아주 가끔 산문의 족쇄를 벗어난 시인이 있는데 끊임없이 탈출을 꿈꾸고 노력하여 이루어진 인간 승리라고 할수 있어요.

  • @ysyun5296
    @ysyun5296 2 ปีที่แล้ว +5

    친절한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 @이영희-q4e8s
    @이영희-q4e8s 2 ปีที่แล้ว +5

    정말 감사합니다
    늦게 만나게 되어서
    더욱 열심히 듣고 있어요 💕

  • @장지울-m9d
    @장지울-m9d 2 ปีที่แล้ว +4

    혼자 이면지에 습작하며 잘배우고있습니다 ~예비박사님.

  • @정병문-k2o
    @정병문-k2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설명진짜 감사드립니다

  • @이순레지나
    @이순레지나 2 ปีที่แล้ว +5

    시인님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주신
    다섯가지를 기억해봅니다.
    깊은 사유를 한다는것이 시인의
    연빌 끝은 얼마나 간절하면서도
    쉽지 않은지도 실감합니다.
    도움이 되는 말씀 감사합니다.

  • @난슬-u9m
    @난슬-u9m 2 ปีที่แล้ว +4

    유익한 시간이 되었어요.
    조용한 강의에 귀를 쫑긋 세우게 됩니다.
    감사~👍🏼

  • @송영선-y6k
    @송영선-y6k 2 ปีที่แล้ว +3

    너무 자세한 내용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 정말 감사합니다

  • @leepark5429
    @leepark5429 2 ปีที่แล้ว +4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김익진-s9p
    @김익진-s9p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쓰는 방법 강의 감사합니다

  • @김도운의칼칼한인문학
    @김도운의칼칼한인문학 ปีที่แล้ว +1

    우편으로 시집이 많이 배달됩니다. 처음에는 꼼꼼히 읽었지만 지금은 딱 2편 읽어보고 전체를 읽을 것인지 결정합니다. 대부분 읽을 가치를 못 느끼기 때문입니다.
    이 강의에서 지적한 그대로 입니다. 사유도 없고 운율도 없는 글을 시라고 쓰는 사례가 95% 이상입니다. 오늘 강의 내용에 동감합니다.

  • @sue-sy3mi
    @sue-sy3mi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시창작 수업 듣고있는 직장인입니다
    감사합니다

  • @별글-e5c
    @별글-e5c 2 ปีที่แล้ว +2

    외래어는 정말 몰랐네요. 시 쓰는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해요.

  • @서옥주
    @서옥주 ปีที่แล้ว +2

    산문글을 주로 써왔는데 시와 다른점 알아듣기 쉽게 설명을 해주셔서 많이 배우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전연화-q5w
    @전연화-q5w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뼈대 있는 말씀 감사합니다

  • @예수사랑박소정밤10시
    @예수사랑박소정밤10시 2 ปีที่แล้ว +2

    유투브도 하시는 군요 인스타에서만 뵙다가 여기서 뵈니 반갑습니다 🤗☕️👍🙏

  • @nostalgia4041
    @nostalgia4041 ปีที่แล้ว +1

    우와~~초등고학년도 이 영상을 듣고
    좋아합니다
    내용이 너무 좋습니다
    친절함,, 시 한테만큼은 짜게 굴어야 겠어요
    감사드립니다❤

  • @관음진
    @관음진 ปีที่แล้ว +2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사과나무-b6l
    @사과나무-b6l 2 ปีที่แล้ว +3

    강의 감사합니다.잘 배우고 있어요.
    늘 건강하세요

  • @byungilso2090
    @byungilso2090 2 ปีที่แล้ว +11

    시가 시인들의 전유물화되어 너무어렵다고합니다.
    대중적이되 사유가깊은 시 너무 어렵네요.

    • @전세연-n7l
      @전세연-n7l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하얀언어 읽어보셔요...

  • @이종철-j7c
    @이종철-j7c 2 ปีที่แล้ว +2

    심도있고 쉽고 구체적인 강의에 시 쓰는 법을 이제 알았습니다
    콘텐츠가 더 많았으면 좋겠다

    • @이종철-j7c
      @이종철-j7c 2 ปีที่แล้ว +1

      예 당선작이 아니어도 좋은 시 선택 해석 부탁합니다

  • @준서-y2u
    @준서-y2u ปีที่แล้ว +5

    1. 산문적으로 쓰지 않기
    ex) 잠을 잔다 -> 의인법과 같은 이미지로 바꿔야한다… 이게 어려워서 잘 못함
    즉, 내 시가 운율적으로 시적으로 쓰고있는지 확인한다
    2. 친절하게 쓰지 않아도 괜찮다
    독자들이 해석할 여지를 남겨두어야한다
    간결하게 쓰는게 포인트/함축성
    3. 사유가 깊게 들어갈수록 진실성이느껴진다 / 남들과 같은 느낌이 안되게한다
    4. 외래어와 외국어를 쓰지 않는다
    새로움과 관련해 외국어를 도입하는경우가있는데, 전혀 그렇지않다

    • @Joseon-Byuldabang
      @Joseon-Byuldabang  ปีที่แล้ว

      네 잘 요약하셨군요~
      3. 사유를 나타내는 문장인 아포리즘 문장 없이 가볍게 이미지나 진술 등으로 감동과 통찰을 보여주는 시도 있습니다. 하이쿠 같은 시들이죠. 이런 시들도 괜찮습니다.
      4. 외래어를 아주 안 쓰는 것은 아니고 꼭 필요할 때 적절하게 쓰는 것이 좋습니다. 외래어도 시어니까요. 그게 아니라 멋을 부리기 위해 외래어를 쓰는 것은 오히려 촌스러워집니다.
      파이팅🔥🔥🔥

  • @TV-il2sc
    @TV-il2sc 2 ปีที่แล้ว +2

    288번째로 좋아요 누리뜨멍 잘 공뷔행 감수다.

  • @시온-p4i
    @시온-p4i 2 ปีที่แล้ว +3

    선생님, 이번 10월 달부터 수강하게 될 사람인데요. ^^
    혹시 습작생들이 이런 시집은 아! 보는 게 좋겠다 싶으신 추천 시집들 있으시면 언제 한번 영상으로라도 한번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시집들이 솔직히 너무 많잖아요. 그렇다고 모든 시집들을 다 사볼 수는 없으니깐요. ㅠㅠ ㅋㅋ;
    해서 신춘이나 큰 문예지 등단 준비생들을 위한 시집들 몇 권 추려서 한번 추천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어제 강하게 불던 태풍이 그래도 물러나서 다행입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 @topikimtihonkaristili3773
    @topikimtihonkaristili3773 2 ปีที่แล้ว +2

    감사합니다

  • @spshappy9205
    @spshappy9205 ปีที่แล้ว +1

    잘 배웁니다*^^

  • @이상윤-u2f
    @이상윤-u2f 2 ปีที่แล้ว +6

    제가 인스타에 올린 현대시조와 하이쿠가 시적인지 아니면 산문적인지 혼란스럽고 헷갈릴 때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번 강연을 듣고 확고히 시작 기준을 잡게 되었습니다. 제가 너무 최신 성향과 유행에(시의 산문화, SNS 시 등등) 휘둘렸고 현역시인들의 서사시(특히 곽재구의 등등)를 단순히 쉬운 시로 이해한 경솔함도 있었네요... 설령 쉽게 읽히는 시라도 일러주신 지침과 원칙을 적용하여 분석하겠습니다. 사유가 깊이 베어있는지도 곱씹어 보고요 ㅋㅋ 흔들리고 방황하던 저를 강연으로 바로 세워주셔서 감사합니다.

  • @banban7372
    @banban7372 ปีที่แล้ว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요즘 SNS 에 많이 '시' 라고 올라오는 글들은 설명문 형태로 쓰이는 글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들이 그런 시(?)를 좋아하는 것 같아서 대중에게 사랑 받는 글을 쓰려면 시 다운 시를 써야 하는지, 읽기 쉽고 받아들이기 쉬운 그런 설명적 시를 써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유명한 나태주 시인의 시 '풀꽃' 도 제 기준에서는 산문 형태의 시라고 생각합니다. 시를 쓴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참 헷갈리네요..^^;

    • @banban7372
      @banban7372 ปีที่แล้ว +1

      @@Joseon-Byuldabang 답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시는 문학이라는 점을 명심하겠습니다. 저도 나태주 선생님을 존경합니다 ^^ㅎ

  • @stepstep370
    @stepstep370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시쓰는데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danieljung1584
    @danieljung1584 ปีที่แล้ว +1

    저도 시인이 되고싶습니다❤

  • @이경희-e6g
    @이경희-e6g 2 ปีที่แล้ว +2

    신춘문에 출품작. 시를. 낼때. 어덯게 철을. 해야 할가요. 가르쳐. 주세요

  • @슬람미
    @슬람미 2 ปีที่แล้ว +2

    선생님은 비대면 수업도 하시나요

  • @김정은-w7u
    @김정은-w7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돌굴러가유

  • @성악설-d6h
    @성악설-d6h ปีที่แล้ว +1

    음유시인 이신가요?

    • @성악설-d6h
      @성악설-d6h ปีที่แล้ว +1

      @@Joseon-Byuldabang 멋 있으십니다~!!

  • @정병문-k2o
    @정병문-k2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다시들어왔습니다

  • @Musicman-y7g
    @Musicman-y7g ปีที่แล้ว +2

    말이 빠른건 알아 듣기 쉽지않죠?
    반대로 말이 느린것도 집중이 안되네요.
    적절한 속도로 설명 하시면 금상첨화 일거 같습니다.
    건강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