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주택가격? 미국 연준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6 มิ.ย. 2024
  • 오늘은 ‘돈을 찍어내는 제왕,연준’의 저자 크리스토퍼 레너드와 함께
    연준의 역할이 무엇인지, 미국의 경제상황을 어떤지
    그리고 연준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얘기해봤습니다
    00:00 오프닝
    02:18 인터뷰 시작 / 지난 10년동안 집 사기 힘들었던 이유?
    07:38 왜 돈을 풀면 빈부격차가 심해질까?
    14:53 연준이 돈을 많이 찍을 수 있는 이유?
    23:25 미국 경제 좋은 거 아니었나?
    27:55 클로징
    배우는 즐거움이 있는
    본격 취미 탐구 라이프 채널!
    조승연의 탐구생활 🕵🏻‍♂️
    조승연 insta
    / totalintelli
    #연준 #경제 #부동산
    Copyright © 2024 Studio Episode - All Rights Reserved
  • แนวปฏิบัติและการใช้ชีวิต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50

  • @user-lx5ql5zh5y
    @user-lx5ql5zh5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1

    정치인이 정권을 잡으려 한다면 통화 확대와 저금리로 돈을 풀면 국민의 지지를 얻습니다. 왜냐 당장 내손에 돈이 들어오니까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런 포퓰리즘 정책은 국가부채를 늘리고 인플레이션을 확장 시키며 부자와 가난한자의 격자를 더 벌리게 만듭니다. 자본가는 더욱더 돈을 벌고 임금근로자는 더욱더 힘들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국민이 현명해 져야 합니다. 돈푸는 정치인을 경계해야 합니다.

    • @user-pi6vt7fo6u
      @user-pi6vt7fo6u 26 วันที่ผ่านมา +1

      우리나라인간들은 아직도 무식해서 모르는인간들이 많으니 찢당을 더지지했죠

  • @user-jn6yo2dv6u
    @user-jn6yo2dv6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5

    30분이 조금 안 되는 짧은 시간으로 질 높은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가공하여 공유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국 부동산이 세계 1위 수준으로 버블이 발생한 것은 미연준의 장기간 금리인하기조도 한몫 했지만 님 말씀대로 우리나라 기성세대들의 몇십년 부동산불패신화를 이끌어온 여야정치인들의 부동산부양정책이 가장 원인이었죠.
      이 영상을 보고 2017년 이후 집값폭등세를 단순히 세계적 저금리로 인한 과잉유동성 탓만 하는 존재들이 잘못된 인식을 굳힐까 그것이 답답합니다.
      대한민국 집값폭등의 근본원인은 여야가 몇십년 밀어온 후진국형 부동산부양정책때문이며 이에 저금리기조가 이어지면서 역대급으로 큰 폭등이 야기되었다는 사실을 주지하고자 합니다. 🔥

  • @dkyudkyu213
    @dkyudkyu21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8

    진짜 온세상 사람들이 이 영상을 봤으면 좋겠습니다.

    • @hohomommys
      @hohomommy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온세상이 이딴걸 왜 다 봐? 쓸데가없는데.. 다 박살라서 미국도 망하는 임계점이 어디인지는 저 작가도 모르는데.. 만약에 08년 부동산위기에 돈찍기놀이안했다면 그때 MMF미국 펀드도 다 박살랐을텐데... 경제대공황의 스타트였을지도모름..

  • @supreme4930
    @supreme493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1

    공정한 경쟁을 기반으로 시작된 자본주의가 한계가 보이는 것 같아요. 세대가 넘어 갈 수 록 출발선의 차이가 점점 벌어져요.

  • @user-ft2of8bt4x
    @user-ft2of8bt4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4

    모처럼 정말 유익한 대화였네요~~~ 크리스토퍼 레너드 작가에 대해 관심도 생겼고 관련 책도 더 찾아 보고싶어졌어요!!!!!

  • @Habibakorean
    @Habibakorea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좋은 날이 오기를 바라요~😊

  • @Iam_KE_Cho
    @Iam_KE_Ch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0

    인류가 영원할 수는 없겠지만
    이번에도 우리는 길을 찾기를 바랍니다. 제발 🙏

  • @LEEkyouho
    @LEEkyouh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2

    와.. 짧은 영상에 많은 내용을 때려박아서 조금이라도 딴생각하면 맥락을 놓치다보니 계속 돌려보느라 29분 영상 보는데 거의 1시간 걸렸네요 ㄷㄷㄷ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면 2-3시간 분량일듯...

    • @hjungku
      @hjungk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다시 봐야 할 듯 ^^

    • @user-cq1eo6fl6i
      @user-cq1eo6fl6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

      물가가 올랐다고 생각했는데 내가 가진 돈의 가치가 떨어졌던것임.
      결국 미국이 돈을 풀어내고 우리도 풀고 인플이 되어 부자만 돈을 거둬들이고 하위50%는 아무리 일해도 돈의 가치가 떨어졌기때문에 중산권 유지가 어려움.하층민50%만 생겨난꼴.

    • @user-ev1vy1lo3z
      @user-ev1vy1lo3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cq1eo6fl6i 물가가 오른다는 의미는 화폐증가로 인한 돈의 가치하락과 일백상통한다고 보셔도 될겁니다.. 물론 외적인 환경이 방해하지않는다는 전제를 깔면... 지금은 더욱 글로벌한 시대라 이 전제는 있을 수가 없지만... 참 어렵지요..

    • @soonhwajung5081
      @soonhwajung508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cq1eo6fl6i작은 가정의 경제만 봐도 지난 2년간이 변화가 큽니다
      소득이 줄은 것도 아니고
      지출이 크게 증가할 다른 요인이 발생한 것도아닌데, 통장의 잔고가 줄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돈을 더 쓰고 있다는 증거인데
      그렇다면 더 풍족하다고 느껴야 할 의식주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전과 똑같은 생활스타일을 유지할 수 없다는 불안으로 다가 옵니다
      흥미로운 것은
      주변에서 보통직장인가정인 저희가 최대의 압박을 느끼고 있고, 다른 직종의 가정은 그렇게 보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뭐가 다른 걸까요…..?

  • @uesr-a8vn3z0coj
    @uesr-a8vn3z0co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9

    돈을 풀게 된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일어난 과정도 석연치 않은 부분이 많죠.
    돈풀기로 인한 집값 상승은 결국 서민이 평생 은행의 빚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만들었죠.
    경제적으로 힘든 계층일수록 정치의 세세한 부분에 무관심하고 잘 속고 극단적인 정치인을 선호하게 되죠.

    • @user-fv7vl9ye3l
      @user-fv7vl9ye3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혹시 이미 아실지도 모르겠지만 빅쇼트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아직 보신적이 없다면 흥미로운 영화이니 한번쯤보시길 추천드려요. 현재 미국에서는 이미 많은것들이 무너져버려 사람들이 ‘세세한 부분’의 존재조차 모르는 지경에 이른게아닌게 싶을지경입니다. 미국에 살며 한국에 거주하시는 분들을 보면 지성인분들, 의식있으신 분들이 많아보여 부럽습니다.

    • @user-ev1vy1lo3z
      @user-ev1vy1lo3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마 세상사람 전체 중 98%정도는 이러한 경제문제와 문외한일거라 봅니다. 알려고 알고싶지도 그저 되는대로.. 물론 저도 수박 겉핥기식이라... ㅠㅠ 빅쇼트는 봤습니다.. ㅎㅎ

    • @user-vm9pr1sb6i
      @user-vm9pr1sb6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fv7vl9ye3l 얼핏 기억나기론, 월가 전문가도 너무 많이 파생된 모기지의 늪이 어딜지 잘모르겠다고 했던것 같아요. 지금 달러 찍는 미국의 결과가 비슷한 상황 아닐지~

  • @christmaswhite9283
    @christmaswhite928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좋은 내용들도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내용 너무 좋아요

  • @user-fz6hz3uc9x
    @user-fz6hz3uc9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8

    미국 정부부채가 이미 코로나 전보다 배 가까이 증가했고 한해 이자만 천조가 넘는다니 앞으로도 달러 찍기는 멈출 수 없고 전세계는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고통받을듯

    • @user-ih5tx2pn1z
      @user-ih5tx2pn1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대공황도달❤

    • @user-ei6qf1nr6k
      @user-ei6qf1nr6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달러찍기는 이미 멈춘지 오랜디

    • @user-ev1vy1lo3z
      @user-ev1vy1lo3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ei6qf1nr6k 위기가 닥치면 또 달러를 찍어내겠죠... 그럼 또 위기는 극복되는 것처럼 보일테고.. 무한반복... 달러가 기축통화로 되어있는 상태에서는.. 어느 나라도 제어할 수 없는 상태이니...

    • @user-mm9dj9tq6r
      @user-mm9dj9tq6r 20 วันที่ผ่านมา

      달라를 안찍었으면 코로라때 이미 대공황이였을듯 ... 걍 노답

  • @masunaga124
    @masunaga12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좋은 서적 소개 및 화두 공유해주셔서 고맙습니다

  • @biyum918
    @biyum91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경제 관련 정보를 배워서 굉장히 좋았습니다. 앞으로 경제 관련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

  • @ljs2358
    @ljs235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4

    버냉키가 일본과 같은 장기 디플레이션을 너무 두려워 한 나머지 저지른 실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미국이 겉으로 보기에는 나홀로 호황에 잘나가고 있으니까 별 말이 없지만,
    양극화된 사회가 발생시키는 구조적 불안정성이 언젠가 큰 부담으로 돌아올 거에요.
    gdp디플레이터나 cpi 지수의 계산에 자산시장의 영향도 반드시 일정 부분 포함시켜야만 합니다.

    • @stony2350
      @stony235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JasonPark-2023 원댓글의 내용을 고려해서 논의의 범위를 미국으로 제한하자면 오히려 예전보다 혁신동력과 성장을 위한 과학적 공학적 모멘텀은 훨씬 강함
      다만 예전 산업발전과는 달리 2010, 2020년대에 새로 생성된 부가가치는 큰 틀에서 플랫폼이 장악하는 승자독식의 형태에서 창출됐고 그게 국가간 산업간 기업간 개인간 양극화를 가속하는 것이 문제지만

    • @insight7095
      @insight709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stony2350 미국에서 혁신동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점에 있어서는 논란이 많죠
      19세기 중반 이후 철도-전기-도로-자동차-건설이 발달하면서 사회 인프라 전체가 성장 모멘텀을 만들던 시기
      2차 대전 이후 급격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 교육 수준 증가와 무역 확대로 인해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만들던 시기와 비교해보면
      지금은 대대적으로 인프라가 더욱 효율화해서 재구축하거나 무역이 확대되거나 교육 수준 상승으로 인한 혜택이 상승하는 영향력이 사라졌죠
      AI가 가능성은 무궁무진 하지만 전체 경제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서비스 산업을 제외한 실물 경제에서의 영향력도 아직은 미미한 편이니
      다른 관점에서 보면 본격적인 AI로 인한 생산 혁명이 일어나기 전의 과도기라서 전세계적인 경제성장이 정체에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죠

    • @user-pr7ib1xk5p
      @user-pr7ib1xk5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그 양극화된 사회가 발생시키는 구조적 불안정성 때문에 미국 자본주의가 망한다고 주장하는 미국식 자본주의 극혐하는 좌파 유럽 경제학자들이 비판하지만 현실은 ? 지난 10년간 gdp 성장률 보면 미국이 유럽 상회하고 중산층의 부 또한 미국은 계속 상승하는 반면 유럽은 하락하고 있음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큰 리스크는 성장여력이 없을때지 빈과 부의 격차가 아님 지금 미국은 자본 인재 학계 3박자가 거의 완벽에 가깝거나 결점이 없음 다만 국가 부채가 너무 많기는 하지만 그것도 기축통화라 별문제 안되고

    • @goldmedalpapa
      @goldmedalpap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2008년부터 시작됐다고 나오잖아요? 2008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을 떠올려 보세요. 저는 영화 빅쇼트 보고 영화에선 세계경제의 멸망이라고 했는데 현실에선 왜 그 영향이 적은걸까 항상 생각했는데 그걸 달러찍어서 막아낸 겁니다. 베어스턴스 같은 극소수의 부자들만 망하고 나머지 거대은행들 펀드들은 다 살아남았어요. 영화에선 분명히 JP모건이나 골드만삭스 등도 다 연관되어 있었는데 말이죠.

  • @user-kd9wv9pr6t
    @user-kd9wv9pr6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너무 멋진 영상 감사합니다. 책을 사서 읽어야겠어요 :)

  • @WD40a
    @WD40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62

    지난 제로 금리 시절에 풀린 돈은 "대출"의 형태였습니다.
    즉, 소득이 좀 되거나 자산이 좀 있는 사람들은 대출을 더 땡길 수 있었죠.
    그리고 그 대출은 버블과 함께 그들을 더 부자로 만들었습니다.
    그 와중에 대출 할 수 없는 사람들, 혹은 정보 네트워크가 없던 사람들은 가난해졌고요.

    • @Yohanjin0925
      @Yohanjin092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사람들을 가난한 상태로 만든 것은 상대적인 것이었습니다. 말 그대로, 사람들에게 직접적으로 나쁜 짓을 가해서 그들이 가난해진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것의 가치가 상승하고 새롭게 생겨난 방법들로 다른 이들을 부자로 만드는 시간 동안 그들은 가만히 있음으로 인해 그들은 가난해져버린 것이었죠...
      그리고 새롭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높은 허들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것은 선진국에서 먼저 시작되었지만, 현재 정보를 접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는 곳에서는 얼마든지 할 수 있는 것이기에, 개발도상국 같은 곳에서는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서 그들의 빈부격차를 더욱 빠르게 진행시키고 있습니다.

    • @akekskf
      @akeksk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경제를 이해하고 행동하면 부자가 되는 건 어느 시대에나 통하는 논리 아닐까요 ????

    • @WD40a
      @WD40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akekskf 그건 개인적인 관점에서는 그렇지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만약 미국이 뉴딜 정책처럼 서민에게 지원되는 공공 정책을 다시 대규모로 펼쳤다면, 이야기는 완전히 다른게 되겠지요. 요컨대 경제 정책이 가져온 결과가 이렇다는 이야깁니다.

    • @arankang
      @arank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kekskf 북한에서는 안 통함. 국가 귀속이고 은행이 존재했으나 그리스 사태때나 우리나라 한도계좌처럼 인출금액이 제한 됨.
      아르헨도 은행출금 정지 때려버린적 있으니.
      국가권력으로 모두 압수해버린 전적이 우리나라도 있었음...
      그러니 그 논리는 어디서나 통한다는 건 아니다....이말임

    • @KJ-vn7io
      @KJ-vn7i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자연스럽게 부자들 수는 재조정 받을꺼에요.
      그 부를 가진 사람들은 더 욕심을 내다가 더 크게 잃을 것이고..
      하락장에서 자연스럽게 그 수는 줄겠죠.
      그럼 자연스레 인플레도 잡히게 되겠죠.
      결국 도돌이표..ㅋㅋ

  • @mikem3133
    @mikem313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포퓰리스트는 표를 위해 국채를 찍거나 중앙은행을 압박해 시중에 유동성을 푸는 정책을 펼치면서 빈부격차를 확대시키는데, 역설적으로 가난한 사람일수록 그런 포퓰리스트를 지지하면서 본인의 상대적 빈곤을 강화시킴.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팩트.

    • @hyeonhwipark5611
      @hyeonhwipark56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바보야 그래 단순하냐 가난한 사람에게 책임을 미루는 행위가 바로 자본가들이 만든 프레임이다

    • @curryKing342
      @curryKing34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확하네요

  • @user-sm1ok5jg3b
    @user-sm1ok5jg3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눈이 번쩍이게 좋은 내용이라 깊은 감사의 마음으로 보고 들었습니다 자막의 수래는 수레로~가족단톡에 공유해야겠어요😊

  • @user-sr3qh6gz1v
    @user-sr3qh6gz1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이런 책을 많은사람들이 알수있게 소개해주시고 주요 내용을 알기쉽게 정리해 주시니 너무 감사합니다

  • @sujij7695
    @sujij769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user-kr2gh5ht1f
    @user-kr2gh5ht1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인사이트 있는 동영상 넘 감사합니다. 연준의 금리정책을 어떻게 볼것인가에대한 다른 시각이 생겼습니다.

  • @82JONG_HYEOK
    @82JONG_HYEO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수고했어요 미스터 조😊

  • @user-rd6pm9kh2m
    @user-rd6pm9kh2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와 진짜 최고의 영상이다. 태어나서 본 유튜브 영상중에. 감탄만 나온다 진짜

  • @phone2722
    @phone272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감사합니다. 역대급으로 좋은 컨텐츠였습니다. 책도 이번 주말에 시간 내서 읽어봐야겠네요.

  • @tdexter4959
    @tdexter495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I'm SO impressed. This was a truly engaging, informative presentation. More of this, please!

  • @keonk1625
    @keonk162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84

    아직도 이걸 개인탓으로 보는 세태가 넘쳐나니 앞으로도 쭉 이럴듯

    • @user-dz4ts6ye6p
      @user-dz4ts6ye6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당신이 가난한 이유는 당신이 부자에게 투표하기 때문이다"
      라는 유명한 말이 있죠.
      무지하고 가난한 2찍들 보면 혐오스럽다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2

      ​@@user-dz4ts6ye6p1찍 2찍 아무의미 없습니다.
      거대양당 정치인들 부터 상위 1%의 자산가들인데...
      누구를 위해 정치할까요?
      미국도 같은 실정입니다.
      이념타령 따위에 넘어가 그들을 위해 선거 거수기 노릇이나 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존을 위해 정치집단을 압박해야 합니다.

    • @user_525mqwfgxbkxz
      @user_525mqwfgxbkx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peaceful_world5그래 하면 알아서들 서로싸워서 정치에는 눈 돌리니 정치인과 1%에게 가장 효과적이죠.

    • @canButter
      @canButte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dz4ts6ye6p 그 당은 서민을 위한 당이라서 그런지 중산층 박살내고 사다리 걷어차서 서민 머릿수를 늘리는게 목표 아님?

    • @hahapsycho
      @hahapsych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국도 보면 좌파들 때 인플레 폭증함;;; 돈 막 찍어내서;;; 우리도 마찬가지;;;

  • @pioneer7277
    @pioneer727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유익해요. 중간중간 조승연씨가 해석해주시는것도 애해하기 좋구요.

  • @bompobop-hs1df
    @bompobop-hs1d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

    양질의컨텐츠! 정말좋은컨텐츠였습니다. 느끼고생각하게되는점이 정말 많은컨텐츠네요!

  • @EverAwareHappy
    @EverAwareHapp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말 좋은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 @haeunn6965
    @haeunn696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알찬 내용입니다 도움이 됐어요

  • @naiayu4527
    @naiayu452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영상 감사합니다. 경제는 항상 어렵다고 회피했는데 이번 기회에 책 좀 읽어보면서 고민해야겠네요.

  • @ggakdoogy
    @ggakdoog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oungsoonkim8487
    @youngsoonkim848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

  • @canwilled
    @canwille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1

    이 책이 굉장히 인상깊었던 것은 그동안 '호황'으로 불려왔던 주식 및 금융시장의 성장을 '자산 인플레이션'이란 용어로 부르며 인식의 전환을 일으킨 것 같습니다.
    자산을 기획득했던 자들은 이득을 봤지만 아직 자산을 획득하지 못했던 사람들은 혜택을 누리지 못했죠.
    그건 당연하게도 세대갈등을 일으켰고 세계적인 저출산을 불러온거 같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빈부격차도 당연하고요.
    돈이 풀리면 시간에 따라 먼저 가는 곳이 있고 나중에 가는 곳이 있고 때에 따라 거의 흐르지 않는 곳도 있는 거 같습니다.
    안타깝게도 돈이 풀리면 가장 먼저 부동산과 주식 등의 자산으로 흐르고 임금으로는 매우 적은 양만 나중에 가게 되죠.
    또 이게 미국이 인플레를 수출하는게 당연히 기축통화라서도 있지만 달러강세가 만국에 나쁘기 때문에 각 국민국가가 미국과 비슷한 통화정책 스탠스를 취할 수 밖에 없는게 문제인듯.
    미국이 돈풀면 미국에서만 돈이 늘어나는게 아니라 다른 나라도 환율하락 피하려면 돈 풀어야돼서 죄수의 딜레마처럼 모두가 돈푸는 상황이 되는듯.
    하지만 뱁새가 황새 쫓아가면 가랑이 찢어지듯이 미국은 그걸 감당이 가능한데 다른 모든 나라들은 감당이 안되니 미국만 삐걱삐걱 버티고 다른 나라들은 죄다 서서히 침몰중. 그나마도 천천히 망해가니 개구리 끓는 물 들어앉아있듯 모두가 그냥 천천히 운명을 받아들이는 느낌.
    책의 마지막이 의미심장한데 늘어난 미국의 본원통화에 이미 시장이 적응이 돼서 본원통화를 줄이는 것을 더이상 시장이 감내하지 못한다는 것. 그리고 당국자들의 인식이 삐걱댈때마다 비슷한 처방을 반복할 거라는 점.
    전 다른 무엇보다 이 책을 읽고나서 비트코인을 사게 되었습니다. ㅋㅋ
    영상의 마지막은 참 사람들이 많이들 알면 좋겠어요. 부동산 가격 상승은 로컬에서 막을 수 없는 세계적 현상인데 항상 선거때마다 이슈가 되어 국내 정치인을 욕하는 사람들을 보며 너무나 답답했어요. 근데 뭐 요원한 일일듯 ..

    • @hlee697
      @hlee69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비트코인이 아니라 금을 사야하지 않을까요

    • @user-hu4sj5zd1i
      @user-hu4sj5zd1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정부는 주택 수요 공급에 신경쓰야함
      그래서 정부는 무죄일까요?

    • @ordovices7440
      @ordovices744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전세계가 부동산 가격이 오른 건 맞지만 우리 나라가 GDP 대비 가계부채 최상위권이라는 건 특히 한국 정부가 더 잘못함 거죠
      우리 나라는 주택 매수에 돈을 대출해 줬을 뿐만 아니라 전세 대출을 통해 전세라는 임대 시장에도 거품을 키웠어요
      그래서 우리 나라의 가계대출이 그렇게 많고 소득 대비 집 값도 높은 이유랍니다
      정부 잘못이 아주 없진 않아요
      세상에 임대 시장에도 돈을 풀어서 무주택자들 더 벗겨 먹는 나라는 없어요

  • @donghunlee2719
    @donghunlee271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Extremely informative and inspiring video.

  • @youngkim2481
    @youngkim248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잼나게 읽은 책인데 작가님이 다뤄주니 더 반갑네요🎉🎉

  • @user-jv8xc8fz1k
    @user-jv8xc8fz1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좋은 영상이네요.
    훌륭하세요. 감사합니다.

    • @goeallo8950
      @goeallo895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주식투자 안할거면 모르겠지만 투자 계속할거면
      주식으로 10만원에서 40억으로 만든 [주식의정석] 이 채널의 영상들을 꼭 보셔야 할거에요 (영상들이 짧아서 보는데 무리없음)
      주식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주식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더군요
      아마 은둔고수로 추정괴는데요 광고 아니니 오해 없으시길..

  • @user-yf5eb1nd5p
    @user-yf5eb1nd5p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 @user-gy7ny6lt8y
    @user-gy7ny6lt8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4

    진짜 조승연씨같은분이 한국인 이라는게 항상 자랑스럽니다.
    항상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 @surrounded_by_light
    @surrounded_by_light 24 วันที่ผ่านมา +1

    귀한 이야기, 늘 감사합니다❤

  • @user-wh2nj6ff7h
    @user-wh2nj6ff7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정말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 @user-rh7zk1ms7s
    @user-rh7zk1ms7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감사합니다 작가님!!

  • @mkkim2133
    @mkkim213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번 소개 해 주신 책이 다른 경제 유튜버 분들도 소개 하는 영상들을 봤습니다만, 책의 저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더 깊고 피부로 다가오는 경험을 하게 되었네요. 몇몇 채널들에서 이 책 리뷰를 접해서 안 읽어도 되겠다 싶었는데 읽을 수록 더 많은 것을 깨달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제조업 일하는 저로서는 더욱 씁쓸하게 느껴지는 컨텐츠였습니다. 한 번 사서 읽어 봐야겠네요. 좋은 책 소개 감사합니다.

  • @syc137
    @syc13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조승현님 오늘도 양질의 컨텐츠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애청자에요 :)

  • @user-nz2gg5zz6h
    @user-nz2gg5zz6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 책 정말 재밌게 읽었는데 반갑네용

  • @christina4465
    @christina446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오늘 크리스토퍼 레너드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연준은 물론, 경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볼 수 있어서 또 한 번 많이 배워가는 시간이었습니다. 성실하고 열심히 하는 사람이 잘 되는 세상이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현실이
    너무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작가님과 스태프 분들 덕분에 많은 것을 알게 되어 다시 한 번 너무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 @jungmeeyoun9512
    @jungmeeyoun951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이분 책 꼭 읽어봐야겠네요. 사실 최근에 제가 고민하던 부분을 이 책이 제대로 건드린 것 같아요. 대단한 인터뷰 고맙습니다!

  • @user-es3xr2xt9j
    @user-es3xr2xt9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3

    크 이형 멋지다. 진짜 유익하네요. 저도 계속 느껴온 미국의 경제적 프리미엄(사실상 기축통화라서 가지는 경제 조폭이죠)을 단번에 설명해주는 영상이네요

  • @cats_seasons
    @cats_season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0

    오늘도 양질의 컨텐츠 감사해요, 작가님 피곤해보이세요~ 건강 챙기면서 하세요!

  • @user-zc5xu8cj4f
    @user-zc5xu8cj4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내용도 유익하고, 최근엔 영어듣기하는데도 유용한 채널!

  • @user-jm1ww1wt9u
    @user-jm1ww1wt9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와... 섭외력 무엇 ㄷㄷㄷ
    두 작가님이 대담하는데 배경에 책이 가득하니까 마음이 편안해짐

    • @user-mh1nv6tt7x
      @user-mh1nv6tt7x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내가 저자여도 170만 유튜버가 공짜로 출연해달라 해도 하겠다. 책 1000권만 팔려도 얼마임?

  • @wan0610
    @wan06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 @BLEEJazz
    @BLEEJazz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크리스토퍼 작가님의 책들을 바로 주문했습니다. 몰랐던 분이었는데 소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user-yw4sk7xq4l
    @user-yw4sk7xq4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유튜브에서 이런 질좋은 채널이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 시간날때마다 찾아봐야겠네요...

  • @TheYoungjinPaik
    @TheYoungjinPai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정말 좋은 컨텐츠였습니다. FED 의 못된 버릇, 나쁜 선례가 어떻게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 잘 설명해 주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미국의 공산품이 어떻게 독일과 일본의 제품들로 대체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금융자본과 자산가들에게 하나의 기업이 거의 조리돌림 당하면서 심각한 부의 편중이 발생하는 과정은 많은 인사이트를 주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거듭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염치 불구하고) 앞으로도 계속 좋는 컨텐츠 부탁 드릴게요.

  • @CherryPicker12
    @CherryPicker12 2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책 읽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자산 인플레이션에 대한 관점을 국채 발행으로 바꾸고, 연준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십분 공감하는 영상이었습니다.

  • @365gogo
    @365gogo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1

    이 영상의 핵심은 국채발행이고 실물화폐가 아님을 이해해야된다. 국채는 대부분 기관트레이더들이 사고팔면서 담보로 레버리지를 일으켜 다시 금융자산에 버블이 되는 구조를 설명하고있다. 그러면 결론적으로 국가는 이런 자본주의 구조에 희생되는 국민에게 더 나은 정책으로 빈부격차를 줄여줘야한다는 것이다.

    • @peaceful_world5
      @peaceful_world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자본세와 자산보유세 증세로 분의 재분배 시급.

    • @mordecailee6637
      @mordecailee6637 19 วันที่ผ่านมา +1

      ​@@peaceful_world5문제는 가난한 자들이 이걸 반대하는 아이러니...물론 언론과 부자들이 조장을 하지만

    • @tori5099
      @tori5099 18 วันที่ผ่านมา

      적당한 증세, 극빈층 우선의 차등적인 분배도 필요함. 전국민 25만원 이런건 최악의 포퓰리즘.

    • @365gogo
      @365gogo 17 วันที่ผ่านมา

      @@tori5099 극빈층우선분배는 지금도 하는걸요? 중요한건 중산층이 지금 실질소득과 소비여력 감소. 근데 이들이 경제핵심소비층. 그리고 소비는 심리라서 일시동시지급이 금액이상의 지출을 유도하는 분위기 형성유도. 극빈층 선별지금이 전체국민 소비심리/경기활성화를 유도하지 않는다는 뜻. 이해되시죠??? 현대경제는 심리전이 강합니다. 현대경제학 이론들만봐도 심리에대하 다룬게 많음. 지금 한국경제는 안될거란 심리가 너무강함. 대통령 문제도있고. 아마 대통령이 능력이 있었으면 위기에 국민들이 이렇게 심리가 무너지진 않았을겁니다.

    • @user-jg8en7gv8r
      @user-jg8en7gv8r 12 วันที่ผ่านมา

      ​@@tori5099
      아니거든!!! 장사하는 사람들에게 마중물 역활이 될거 같은데....

  • @user-ke8fu8vp3u
    @user-ke8fu8vp3u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klos3h7rh
    @klos3h7r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 영상 정말 좋았습니다.

  • @So-nx1kd
    @So-nx1k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퀄리티 정보를 알려주시는 조승연님께 감사드립니다.

  • @parkyoungdoo-hp7xh
    @parkyoungdoo-hp7x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오오 요새 이 책 원서로 읽고 있는데! 반갑네요

  • @user-ci7vt8nn7n
    @user-ci7vt8nn7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책 주문했어요. 잘 읽어 볼께요.

  • @user-ju8fj7xd4g
    @user-ju8fj7xd4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읽다가 멈춘 책인데 다시 읽어봐야겠어요~

  • @SprinterSweet-lq2tn
    @SprinterSweet-lq2t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와~매번 주제가 흥미로웠는데 이번 주제는 지난 달 제가 읽었던 책이어서 더 흥미롭고 반갑기까지 합니다.
    매번 업로드하신 영상들 빠짐없이 보고있고 주변에 추천도 많이 하고 있어요, 이런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mingue0019
    @mingue001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b사 서킷데이에서 택시같이탔습니다. 매우 유쾌하시고 매너좋으셔서 같이있을때 매우 편했습니다. 원래 알던분처럼..
    항상 건승하시고 안전드라이브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 @codewoorigil2129
    @codewoorigil212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책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zv4ph8yn7l
    @user-zv4ph8yn7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전세계 인플레이션 문제는 미국 달러의 무제한 발행과 머니 게임이 원인 이구나. 국가간 양극화도 더 심해질듯. 미국만 살판나네~

  • @peny79133
    @peny7913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great reset ❤

  • @user-em7qd9mh7e
    @user-em7qd9mh7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eunby_kr
      @eunby_k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책읽고 다시 올께요

  • @user-sq3qq5ct7u
    @user-sq3qq5ct7u 16 วันที่ผ่านมา +2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대부분 부체의끝은 전쟁이던데 무섭네요😂😂

  • @user-kz9uh7fn6v
    @user-kz9uh7fn6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영상인듯

  • @samsam01230
    @samsam01230 14 วันที่ผ่านมา

    엄청 유익하네요

  • @user-to4iw1yz3n
    @user-to4iw1yz3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영상 너무나 감사합니다.

  • @user-eh3sg1zx6y
    @user-eh3sg1zx6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평상시에 생각하던 연준의 역할과 금리 시장에 대한 메카니즘에 대해서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깊이 있기 리뷰할 수 있는 좋은 영상이 된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gw6tg5gw7v
    @user-gw6tg5gw7v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4

    경제는 생산과 서비스의 합입니다.
    개인이나 기업은 달러를 벌기 위해서 생산한 상품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연준은 손가락만 까닥하는 것으로 달러를 얻는다는 것은 금융자본주의가 얼마나 썩은지를 알 수가 있는 것입니다.
    또 중앙은행인 연준은 물가를 안정시키고 달러의 가치를 안정시키는 것이 제일 주요한 미션인데 달러를 인쇄하면서 연준이 앞장서서 물가를 올리고 달러의 가치를 깎아내리고 있습니다.
    영상에서도 나왔듯이 2008년 중반 연준이 인쇄한 달러는 9천억 달러였는데 지금은 일곱배가 늘어난 7.4조 달러입니다. 이런 적은 예전에 없었으며 이것 때문에 미국의 물가는 오를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것이 달러 인쇄의 부작용입니다. 달러를 인쇄한다고 미국의 경제가 좋아지는 것은 아니고 부채만 더 늘어나서 결국 망하게 되는 것입니다.
    달러인쇄는 기축통화국의 능력도 아니고 슈퍼파워도 아니며 막다른 골목에 갇혀서 나오는 마지막 발악입니다.
    달러는 금이 백업되지 않는 가짜 돈인데 그런 돈으로 가계의 실제 자산을 늘려준다는 것을 믿습니까?

    • @hyun15935789
      @hyun1593578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달러돈 매년얼마씩 계속거더드려 폐기해야물가높아지지않치
      그렇치않으면 돈가치는계속하락이다.그렇치않고 달러계속늘리면
      상대적으로 모든물품가격계속오르게되어있음

  • @KW-zb3sf
    @KW-zb3s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이양반 참 좋은사람이네. 말도 천천히 해주고 .

  • @user-si7ny7od1r
    @user-si7ny7od1r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좁은 시야로 알 수 없던 흐름을 이렇게 짚어주니 정말 시원하네요 감사할 따름이구요!! 역시 조승연 작가네요

  • @user-dt8hr4cb1l
    @user-dt8hr4cb1l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자본주의는 빚이라는 허상으로 쌓아올린 신기루에 지나지 않음

  • @TheFirenick
    @TheFirenick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내용 너무 좋네요

  • @user-mc7nr5pt6i
    @user-mc7nr5pt6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답이없는 문제지만 많은사람들이 관심을 가져야할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외부적인 요인이 아닌 미국의 연준이 그야말로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쓰나미급이니까요

    • @flamen3044
      @flamen304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너무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 @mqwerty6798
    @mqwerty679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번편 좋았다

  • @user-ek2xw1jy4j
    @user-ek2xw1jy4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추천을 안할수없는 유일한 영상

  • @user-oj7wq8tw5m
    @user-oj7wq8tw5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21

    비트코인이 폭등한것은 확실하게 우연이 아니였다..
    단순하게 달러의 신뢰하락이나 수요와 공급의 법칙같은게 아니라
    기존 자산들의 버블현상이 심해질수록 사회의 폐해가 있으니
    새로운 자산을 만들어서 유동성을 흡수한것이다..
    국가들의 필요에 의한 존재였던것
    앞으로도 국가들이 돈을 안찍어낼까?
    아니라고 본다

    • @Spzla
      @Spzl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앞으로 비트코인을 평생 함께 갈 자산으로서 공부해야하는 이유도 되겠군요

    • @jaylee9343
      @jaylee934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빙고

    • @Joe-rh5fy
      @Joe-rh5fy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디파이, NFT, DAO, 게임파이, 인프라 등 탈중앙화의 중요성이 부각되네요

    • @inv0019
      @inv001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그냥 온라인 24시간 하우스가 열린거지. 자산이라니. 생산활동에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재화나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살 수도 없어서 다른 통화로 교환을 해야만 하는 불편한 currency 가 세상에 무슨 필요성이 있나. 별 도움이 별로 안되는 디지털 하우스. 탈 중앙화라면서 항상 폰지 사기로 끝나는 그들만의 야수의 리그. 이런데 돈 투자하지 말고 그냥 미국 주식 인덱스 펀드 사시길.

    • @blacksmith1150
      @blacksmith115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지경인데도 아직 코인 못믿는 애들땜에 내가 산다 ㅋ

  • @jinnypark9855
    @jinnypark985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9

    이런 국제 정세 속에 개인들은 어떻게 방향을 가지고 살아가야할지 너무 막막해요

    • @maykim8916
      @maykim891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kitakaujou정답입니다. 항상 문제는 있어 왔어요. 지금을 즐기세요. 추억 많이 만들고

  • @HYUN_135
    @HYUN_13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헐 돈찍제 재밌게 읽었는데 감사합니다

  • @user-jp1ud3di3g
    @user-jp1ud3di3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이 영상은 너무 충격적이네요. 몇 번이고 돌려가며 다시 봤습니다.

  • @user-ih3mq6ek3e
    @user-ih3mq6ek3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31

    1:28 한국도 똑같죠 베이비부머 세대는 자기들은 결혼할때 단칸방에서 시작했어~ 라고 충고하지만 밀레니엄 세대인 지금 젊은이들은 현실적인 집값을 보면 그게 불가능하다는걸 깨달아버림

    • @user-qi1md4qx8j
      @user-qi1md4qx8j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PeterKimchi 케바케이죠. 양가 부모가 도움을 아예 못주는 환경이면 알아서 하라고 할 것이고 비슷한 수준으로 잘 살면 비슷하게 도와줄 수도 있고요. 문제는 어느 한 쪽은 아주 잘 사는데 다른 한 쪽이 처질 때 갈등이 심화되기 좋죠.

    • @TheKevJung
      @TheKevJu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평생 단칸방

    • @dhtmd481
      @dhtmd48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이게 맞죠... 윗세대는 열심히 살면 단칸방에서 벗어날 수 있는 희망이라도 있었지 지금은 이악물고 노력해도 단칸방 생활조차도 힘겹게 유지하는 상황인데 어떻게 애를 낳고 결혼을 할까요

    • @gangi77
      @gangi7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

      우리나라도 돈 찍어서 전 국민 25만원 줄려고 하던데...이게 포퓰리즘이지..나라 생각을 안함.

    • @user-uk6cc1pm7b
      @user-uk6cc1pm7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gangi77 왜 ㅋㅋ 윤석열도 포퓰리즘이더만 ㅋㅋ 부산에 한 병원에7천억 주기로 함 ㅋㅋ 호구지 ㅋ

  • @user-ir2wy4wd4f
    @user-ir2wy4wd4f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미국은 돈을 찍어도 재산세와 유지보수비가 비싸므로, 맨해튼의 경우 생각보다 집값 급등이 없었다. 거기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는거지. 그러나 한국은 0.1퍼센트 미만의 재산세로 3년간 3배 집값 뻥튀기를 이뤄냈지. 그리고 미국은 인플레이션에 따라 매년 소득세율 구간을 조정해준다. 그러나 한국은 그런거 없지. 20년 넘게 그대로임. 그냥 돈에 물타기 하면, 소득세 증세가 자동으로 되는거임. 거기다 미국은 부부합산과세로 더욱 감면을 해주지만, 우리는 그런거 없지 맞벌이를 장려하는거지. 결국 그 결과물은 출산률 저하로 그대로 나타남. 외벌이 가장은 일 열심히 하면 그냥 세금 내는 기계가 되고 노인들 병원비 내주고, 연금 내주고, 자산 값어치 유지만 해주는거지.

  • @-jobbob569
    @-jobbob56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

    부자가 되는 방법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말고 은행이나 정부에서 돈을 왕창빌린다
    그돈으로 여기저기 투자한다 그리고 그 사업을 대상으로 또 돈을 왕창빌린다
    이짓을 반복하면 어느새 부자가 되어있을꺼다

  • @mce146
    @mce14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균형적인 시각을 갖기 위해 벤버냉키의 21세기 통화징책도 읽어보시길 추천드려요

  • @youchankim
    @youchanki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

    개인적인 생각인데 인류가 향후 수백년안에 멸종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현 시점이 그나마 자본시장의 경쟁에 있어서 나름 공정하고 상위 자본가들을 따라 잡을 수 있는 간극이 있는 시기로 생각되고 앞으로의 미래는.. 그리 멀지 않은 수십년 안에 그 간극이 지금까지의 벌어지는 속도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벌어질거 같아서 좀 무서워요

  • @Life-eh3wn
    @Life-eh3w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제가 너무 좋아하는 작가님 요즘 얼굴이 왤케 상하셨어요
    정보감사해요!❤

  • @bms7786
    @bms778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연계하여 인공지능과 전자화폐가 어떤 역할을 하고 구조에 어떤 변화가 주어질지에 대한 부분, 국가적 연관성도 같이 생각해봐야할 부분이라고 봅니다.

  • @LeoInuiKim
    @LeoInuiKim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정말 감사하게 잘 보고있습니다! 🙏🏻 이런 양질의 컨텐츠를 유튜브라는 플랫폼을통해 언제 어디서든 편하게 볼 수 있다는거 자체가 축복입니다! 승연님의 봉사 고맙게 잘 받아먹고있습니다 ❤

  • @diomedeaalbatross1479
    @diomedeaalbatross147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고맙습니다
    정보비대칭의 캄캄한 숲에서 쏘아올린
    찬란한 조명탄 ❤

  • @cometogether9383
    @cometogether938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지난 20년간 캐나다에서 중소기업을 운영하며 미국의 통화정책과 연준에 의해 움직여졌던 캐나다의 경제적 상황들도 한눈에 보게 되네요.

  • @studiokang
    @studioka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현시대를 쉽게 이해하게 해준 인터뷰 🎉

  • @JD_theNomad
    @JD_theNoma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4

    헬리콥터 벤이 의장이었던 시절에도 돈을 너무 풀어 유동성이 폭발했던게 여전히 코비드까지 온걸지도 몰라요 ㅠㅠ

    • @peachfurfect2735
      @peachfurfect273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아 됐구요 ㅋㅋㅋ 지난 200년 동안을 기준으로 총 유동성을 100으로 보면 코비드때 40퍼 풀림

  • @jaemyeongchoi4421
    @jaemyeongchoi442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3

    다른 시각의 책으로는 벤 버냉키의 21st century monetary policy 책도 추천드립니다!! R-star가 낮아지면서 effective lower bound라는 한계로 성장을 위해 연준이 왜 현재의 형태까지 오게됐는지 이해하는데 아주 좋은 책입니다. 연준의 역사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통화정책의 변화, dual mandate의 기원, 현재 연준이 마주하고 있는 문제 및 테이블에 올라왔던 아이디어들 등 연준에 대해 아주 자세히 뜯어서 분석하는 책이라 거시경제 및 통화정책 그리고 연준에 대해 공부하고 싶으면 이 책 만한게 없습니다

    • @minchulsung5750
      @minchulsung575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빚냉키는 당연히 지가 잘했다고 썼겠죠 ㅋ

    • @alankim4989
      @alankim498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minchulsung5750맞는 말씀이시네요 답이 없거나 답이 이때는 맞는데 시간지나보니 아닌경우가 많은 현실세상에서 어디를 기준으로 보느냐에따라서 주장을 다르게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당연히 버냉키는 자신의 정책의 긍정적인 면에 집중했겠죠 .. 결론은 그렇게해서 그게 나한테 어떻게 작용했는가를 봐야 하는데 결과론적으로 시간이 지나보니 긍정적인지 물음표네요

    • @canwilled
      @canwille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두개 책이 같은 현상에 대해 많이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긴 해서 같이 읽으면 흥미롭긴 하더랍니다.
      확실히 버냉키야말로 후세에 평가가 극과 극으로 갈리는 문제적 인물로 떠오를 거 같긴 하네요 ㅋㅋ
      그 대단했던 그린스펀이 나중에 역적 취급받고 희대의 개쌍놈 취급받던 볼커가 나중에 위대한 인물로 평가받는 거 보면 뭔가 답이 보일거 같긴 합니다만 ㅋㅋ
      근데 솔직히 개인적으론 버냉키의 약간 자기 정당화하는 식의 내용보단 돈찍제의 내용이 훨씬 와닿긴 했습니다.

  • @user-lk5nv7rg4x
    @user-lk5nv7rg4x 11 วันที่ผ่านมา +1

    진짜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