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증 LED를 다음과 같은 조건이면 장착이 가능합니다. 1. 하향등만 인증이 가능하며, 프로젝션 타입 전조등이여야 하고 (하향/상향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즉 바이펑션 헤드램프도 가능은 합니다만 장착 가능한 제품이 제한됩니다) 2. 1번에 사용되는 전구가 H7, 9005(HB3) 타입이며 (즉 순정 HID나 LED 차량은 당연히 안됩니다) 3. 인증 LED로 교체 후에 순정 더스트캡이 잘 닫힌다 즉 순정 더스트캡을 그대로 사용해서 빔 패턴에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저 3가지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본인의 차량에 장착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방법은 제조사에서 주는 조견표를 보면 됩니다. 그 조견표에 본인의 차량이 있다면 그 제품은 장착이 가능한 것이고, 없다면 보통 공간 부족등의 이유로 3번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써놓지 않은 것입니다. 보통 조견표를 자세히 주는곳은 브라비오, 필립스, 현대 모비스입니다. 그리고 인증 LED의 경우 오토레벨링 (자동광축조절장치) 이 없는 차종에 장착되기 때문에 최대 밝기는 2000lm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할로겐의 경우 대략적인 루멘은 1300~1500lm 사이입니다. 사실 할로겐이 절대 어둡고 안 좋은 전구는 아닙니다. 빗길 에서의 시야확보가 유리하고 안개가 꼈을때 투과율이 좋습니다. 다만 빔 패턴을 보면 밝은 곳만 빛이 밝은 현상이 나타나죠 즉 음영이 지는 부분이 생깁니다.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전구의 한계라고 보시면 되구요 인증 LED의 경우 할로겐의 단점을 보완해 빔 패턴 모든 곳에 할로겐의 가장 밝은 곳 만큼 밝기를 내주어 시야 확보에 유리하게 하는겁니다. 거기에 명암한계선 (컷오프 라인) 근처에서 더 밝은 빛을 뿜게 해 실질적인 가시거리를 늘려주는 거구요 보통 가시성이 가장 좋은 색온도는 4000~5000k 정도이며 6000k를 넘어가면 조금씩 가시성이 떨어집니다.
맞습니다. 2023년 10월 19일 국토교통부 개정안 승인 후 동년 동월 31일에 튜닝인증제도가 개선 되며 H1, H4, H7, H19, 9005, 9012 제품들로 타입이 변경되고 (H11 삭제) 프로젝션 타입은 형식 인증과 차종별 인증 둘 다 가능하지만 클리어타입(리플렉터)는 차종별로 인증이 되다 보니 같은 타입이라도 누구차는 되고 안되고가 나뉘어서 꼭 확인할 필요가 있게 되었네요
사람들이 잘 모르고 LED LED 하는데 밝은게 마냥 좋은게 아닙니다. 헤드라이트가 너무 밝으면 되려 주변시야가 더 안보입니다. (사람의 동공은 앞이밝으면 동공이 좁아지고 밝은 앞은 잘 보이나 좌우 어두운 주변시야은 좁아진 동공으로 인해 더 안보임) 그래서 색온도가 낮은 노란색 헤드라이트 불빛이 시인성이 굉장히 좋은것이며 노란색 계열이 빛의 파장도 길기때문에 비올때 빛이 산란되지 않아서 시인성이 좋고 눈이올때 빛이 덜 반사되서 눈부시지 않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가장 크게 착각하는게 흰색불빛이 피로가 덜할거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않습니다. 흰색보다 전구색상이 눈의 피로도가 적습니다. 휴식할수있는 침실에 할로겐색상의 등을 설치한 이유가 이것임. 잘 아는 사람들은 LED도 약간 미색계열의 노란색계열을 일부러 찾아서 씁니다.
뭐 강병휘 레이서는 이공계쪽 지식도 출중해서 미리 예상했을거라 생각하지만 빛이 파동이다 보니 세기(펄스)차이가 없다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색상 차이는 결국 진동수/파장에 따라 장단점이 나뉜다고 봐야겠죠(회절/직진성). 서론이 길었는데 깔맞춤한다고 안개등까지 흰색으로 바꾸시는 분들은 안개등의 기능을 좀 더 저하시키는거죠. 국산 led제품들 퀄리티는 오래전부터 상당한것 같아요. 10여년 전 유학시절 운행하던 차량에 당시 가장 고급라인이던 노랑색 LED 안개등 구매했는데 메이드 인 코리아 더라고요 ㅎㅎ 브랜드가 Nokya 였던걸로 기억..
led 헤드램프 넘 비싸... 싼것들은 죄다 리뷰들이 어둡다고하고. 아니면 할로겐등에서 걍 색깔만 달라보인다고 할 정도.. 진짜 법을 개정해야한다. 테스트 통과하려는 기준에 맞추다보니 시인성도 구려가지고 잇으나마나 사실상 감성의 영역으로 ㅋㅋ 지금 나와잇는 상품들도 거리가 어디까지 보이는지 표기도 안 한 제품들도 많다.
제품은 괜찮게 나왔네요. 현재 시판중인 LED 인증 헤드램프들의 문제점이 색온도가 높은 편이라서, 할로겐 보다 시인성이 많이 떨어진다는 부분이었는데... 그 부분도 어느정도 절충을 잘 한 거 같고. 밝기도 인증 최대치인 2000루멘에 가능한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만든 거 같네요. 이게 생각보다 중요한데,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LED는 같은 광량의 할로겐보다 시인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떄문에 최대한 밝은게 좋습니다. 더 깊이 들어가면 인증 LED의 핫스팟등의 문제들도 있는 걸로 아는데 이건 너무 깊이 들어가는 거고...암튼 한번 써보고 싶긴 하네요 ㅎ
그냥 처음부터 라이트는 옵션넣고 뽑는게.... 국토부인증 led 한두푼 하는것도 아니구요 ㅋㅋ 바이평션 타입은 제품도 제한 적이라 가격도 비싸구 ㅋㅋ 구형 차에서 H7 하향등만 프로젝션이면 뭐 기분적으로나 튜닝 느낌에 기분은 낼수 있으나 인증 제품들은 워낙 약해서.... 드라마틱하게 할로겐보다 환하고 좋다 라는건좀.... ㅋㅋ 특정 상황일때는 할로겐보다 밝아 보인다 라는 느낌을 가질수 있음. 개인적으로 이런 영상을 찍을때는 합법 불법에 대한 간략한 내용도 설명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밖에 클리어 타입에 할로겐 인증 led 끼어 다니는 사람들도 많은거 같습니다. 다 불법임..... 자동차검사때 다시 할로겐 바꾸고 검사 받고 다시 led 불법 끼는 사람들도 너무 많아서... 하루에도 꼭 한두번씩 구형 차인데 led 눈뽕 종종 쪼입니다. 신고 하려고 하면 꽤나 까다롭게 신고 받더라구요. 요즘 신차들이 전부 led 라이트로 나와서 그렇지만 할로겐도 이뻐요~~! 굳이 돈쓰지 마시길 바래요. 시인성은 할로겐이 더 좋습니다~~! 비올때 특히 심해요~~!!
아반떼AD 프로젝션 벌브 차량인데, 작년쯤 자가인증 LED라는게 나와서 장착해서 1년 써봤는데요. 가격대가 10만원대 형성되어 있는데 가격대비 나쁘지 않습니다. 사실은 훼사원님 영상보고 DRL 간지 때문에 순정 HID 작업하고 싶었지만 금액이 너무 비싸더군요... 심미적으로도 보기 좋고, 야간운행 잦아서 본전 뽑은느낌이고 돈 하나도 안아깝네요.
예전에 yf2.0 탔을때 새x제품 led라이트 껴보고 너무 가격대비 실망해서 제xxx제품 끼고 만족하다 필립스 제품 껴보고 더 만족하고 차 폐차 하고 yf 하이브리드 모델 사서 브라비오인가 브라보 인가 제품껴보고 또실망하고 차 팔고 또 yf2.4 HID 장착된 모델사서 지금 밝기에 만족 하고 다니지만 한번 써보고 싶네요 저도 레이서 님처럼 밤에 운전을 더 많이해서 라이트에 진심인 편이긴 합니다 . 제가 느낀 led의 단점은 빛이 보여지는건 분명 밝은거 같은데 막상 내가 비추고 타는 상황에선 노면이 잘안보이거나 우천시에 진짜 심각할정도로 안보이기도 했지만 이 단점들이 보완된거같아서 장착해보고싶네요 라이트 어셈블리 자체를 분해 해서 연구좀 해보고싶었지만 똥손이라 못했지만요 ...ㅋㅋㅋ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한 규정은 지금도 있습니다. 자동차 제작기준인 안전기준에서는 어린이보호차와 동일하게 전면, 운전석 좌/우를 70%로 정하고 있고 운행차를 단속하는 근거법령인 도로교통법에서는 전면 70%, 운전석 좌/우는 40%로 정하고 있어요. 하지만 어린이보호차를 제외하고는 자동차 검사항목에도 없고 경찰들은 단속을 손 놓고 있죠.
순정 보다는 밝을 수는 없는건 맞습니다 보통 순정은 2000루멘을 훌쩍 넘기는 밝기고 튜닝 LED 제품은 밝기가 법으로 2000루멘이상한선으로 정해져있기 때문에 더 밝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상한선 근접치인 1900루멘 이상인 제품으로 교체하면 할로겐 대비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와 가시성은 됩니다. 제 뇌피셜이지만 순정의 80~90%정도는 되는거 같습니다
영상에서 가장 중요한것 17:00 전구를 원레장착된것에서 다른 방식으로 변경시 구조변경 신고를 해야 합법임 자동차회사나 대기업전구회사에서 판매한다고 합법이 아님 모비스것도 동봉스티커 자동차등록증에 붙여야함 그리고...7:00 빛이 가운데에 집중되고 주변빛이 약한것은 할로겐과 LED의 특성보다는 빛이 백색이냐 노란색이냐의 차이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노란색은 가운데가 선명하고 밖으로 갈수로 흐릿하며 경계선이 흐릿하고, 백색은 광원 전체가 선명하게 밝고 경계선이 뚜렷하더라구요 너무 선명하고 깨끗하면 그 외의 것들은 더 어둡고 더러워지는 세상사 같은느낌??
많은 분들이 댓글로 물어보셔서 안내해드립니다! 영상에 소개된 "현대모비스 튜닝 LED 헤드라이트"는 아래 링크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pcarmall.com/product/list.html?cate_no=4121
헤드램프는 인증 받은 제품이라도 개인이 장착하면 안되고 꼭 업체에서 장착해야 된다는 말이 있던데 이말의 진위 여부도 좀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ro-food 그건 아닙니다 자가교체하고 자신이 홈페이지가서 인증만 하면 됩니다
@@Bro-food 전조등 정비사 2등급 부터 가능하며 이동 도중에 전조등이 안 들어오는 상황이 발생하면 개인이 정비가 가능하고 그 외에는 정비소에서 만 가능합니다
이거 구매해도 현대as센타에서는 라이트 보증 안해준도고 합니다
출고시 전구라이트 아니면 무조건 안된다고 합니다
현대모비스도 다른 회사건도요
영상 보면 강병휘님이 모비스 정품이면 괜차아요 했는데 수정 부탁드려요
모닝은 오토레벨링 옵션 없어서 교체하면 불법인데...😊
인증문제만 해결해줄 수 있어도 메리트는 충분하네요.
17:00 장착 가능 차종
인증 제품 많아용.
브라비오 좋아요
레토나도되나요
인증안된 차량으로 바꿀수없어서 한숨만 나옴
화이트말고 웜화이트정도로 LED 전조등 나오면 참 좋으련만,,
led차들이 뒤에만 오면 눈뽕 심한 이유가 이거였구나 하이빔 켠줄 알았음 ㅋㅋㅋㅋ
뽀대는 덜 나도 흐리거나 비오는날엔 할로겐이 좋더라구요
색온도 높으면 주광색이라 밝아 보이는데 안에서 보면 시인성이 별로임
할로겐도 수명은 짧지만 순정보다 더 밝은 할로겐도 있고 자기 선택이지만 개인적으론
5000k 이하 전조등을 추천합니다
인증 LED를 다음과 같은 조건이면 장착이 가능합니다.
1. 하향등만 인증이 가능하며, 프로젝션 타입 전조등이여야 하고 (하향/상향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즉 바이펑션 헤드램프도 가능은 합니다만 장착 가능한 제품이 제한됩니다)
2. 1번에 사용되는 전구가 H7, 9005(HB3) 타입이며 (즉 순정 HID나 LED 차량은 당연히 안됩니다)
3. 인증 LED로 교체 후에 순정 더스트캡이 잘 닫힌다 즉 순정 더스트캡을 그대로 사용해서 빔 패턴에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저 3가지를 만족하는 조건에서, 본인의 차량에 장착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방법은 제조사에서 주는 조견표를 보면 됩니다.
그 조견표에 본인의 차량이 있다면 그 제품은 장착이 가능한 것이고, 없다면 보통 공간 부족등의 이유로 3번 조건이 충족되지 않아 써놓지 않은 것입니다.
보통 조견표를 자세히 주는곳은 브라비오, 필립스, 현대 모비스입니다.
그리고 인증 LED의 경우 오토레벨링 (자동광축조절장치) 이 없는 차종에 장착되기 때문에 최대 밝기는 2000lm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할로겐의 경우 대략적인 루멘은 1300~1500lm 사이입니다.
사실 할로겐이 절대 어둡고 안 좋은 전구는 아닙니다. 빗길 에서의 시야확보가 유리하고 안개가 꼈을때 투과율이 좋습니다. 다만 빔 패턴을 보면 밝은 곳만 빛이 밝은 현상이 나타나죠 즉 음영이 지는 부분이 생깁니다.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전구의 한계라고 보시면 되구요
인증 LED의 경우 할로겐의 단점을 보완해 빔 패턴 모든 곳에 할로겐의 가장 밝은 곳 만큼 밝기를 내주어 시야 확보에 유리하게 하는겁니다. 거기에 명암한계선 (컷오프 라인) 근처에서 더 밝은 빛을 뿜게 해 실질적인 가시거리를 늘려주는 거구요
보통 가시성이 가장 좋은 색온도는 4000~5000k 정도이며 6000k를 넘어가면 조금씩 가시성이 떨어집니다.
ㄹㅇ 전문가다....
혹시 2012 베라크루즈 vxl도 합법인가요? 순정이 hid긴해요
@@crazyman-sm7wr 현재까지 튜닝인증 LED는 일부 할로겐 차량에 한해서만 합법입니다. HID는 아직까지 LED로 합법적인 교체가 불가능합니다
얼마전 클리어타입도 합법화됬습니다
맞습니다. 2023년 10월 19일 국토교통부 개정안 승인 후 동년 동월 31일에 튜닝인증제도가 개선 되며 H1, H4, H7, H19, 9005, 9012 제품들로 타입이 변경되고 (H11 삭제) 프로젝션 타입은 형식 인증과 차종별 인증 둘 다 가능하지만 클리어타입(리플렉터)는 차종별로 인증이 되다 보니 같은 타입이라도 누구차는 되고 안되고가 나뉘어서 꼭 확인할 필요가 있게 되었네요
이거 비오는날 밤에 순정보다 안보이던데
순정나쁘지않는데~ㅎㅎ 자기만족이쥬 내부에보라렘프는 넘이쁘다
가격이 비싸도래도 밝기가 많이 높아지고 하얀빛이 이뻐요.
돈써도 불만 없을만한 튜닝이에요.
튜닝으로는 저렴한 편에 속하는..
색 온도가 높으면 비올때 안개 최악 입니다..
그래서 안개등 정도는 노란색을 추천 합니다.
안개 끼고 비 올 때가 많을까요 맑은 날이 많을까요? 색 온도 높은게 비올때 최악이라면 색온도 낮으면 비 안올때 최악입니다 ㅋㅋㅋ
@@성이름-m7q8m 그럼 보험은? 365일에 사고는 몇번 날까요.. 모든 준비는 베스트를 위한 준비가 아닌 웨스트를 위한 준비 입니다.
싸우지말자 그냥 각자 알아서 하자고
@@성이름-m7q8m 노란빛깔이 눈비올 때 인식이 더 잘 되니 헤드램프말고 안개등정도는 할로겐을 추천한다는 얘기를 이렇게 꼬아서 들을 수가 있음?ㅋㅋㅋ진짜 심각하네
안개등이 앞을 본다기보단 안개속에서 남들에게 내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도 크니 노란색으로 남기자는건데..
링클 따라 구매해 오늘 공임나라에서 교체 했습니당~^^ 너무 밝고 너무 만족 합니다😊 LED에 한이 맺힌사람이라 망설임 없이 실행에 옮겼어요 감사합니다~^^
슈퍼카, 레이스카 리뷰&정보도 좋지만, 이런 현실적이고 꼭 알아야하는 부분까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인성이 안좋으면 선팅농도를 바꾸세요 프라이버시같은 헛소리하지말고 앞유리 선팅농도40정도만 해도 할로겐해도 잘보입니다 선팅짙게하고 헤드램프바꿔봣자임..
노란색이 더 안전한데 ㅋㅋㅋ 띨빵하노
비오면 장님됩니다 순정이 최고
Led도 노란색 등들이 좀 있었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도 ㅋㅋ
흰색 등은 비오는 밤에 장님이 되어버리니
LED등이 야간 우천시 시안성이 떡락하는지는 몰랐네요 ㅠㅠ
진짜 이렇게 설명잘해주는 채널이 있을까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넘 좋아요~~~
엇 넘 ㅜㄱ마사합니다 내 캐스퍼 당장 교체해야겠네요!!
안개등이나 다른 전구류들도 인등파츠가 빨리 나왔으면 좋겠어요.
비오는날은 할로겐이짱
인스퍼레이션 타서 지금은 필요 없지만..
할로겐차 오래 타봐서 저 기분 잘 알죠 ㅎㅎ
아반떼 모던인데 저거로 바꾸면 확실히 효과 있나요..?
순정 Led헤드램프 전체 바꾸자니 비용이 너무 해서요...
사람들이 잘 모르고 LED LED 하는데 밝은게 마냥 좋은게 아닙니다.
헤드라이트가 너무 밝으면 되려 주변시야가 더 안보입니다. (사람의 동공은 앞이밝으면 동공이 좁아지고 밝은 앞은 잘 보이나 좌우 어두운 주변시야은 좁아진 동공으로 인해 더 안보임)
그래서 색온도가 낮은 노란색 헤드라이트 불빛이 시인성이 굉장히 좋은것이며
노란색 계열이 빛의 파장도 길기때문에 비올때 빛이 산란되지 않아서 시인성이 좋고 눈이올때 빛이 덜 반사되서 눈부시지 않습니다.
또한 사람들이 가장 크게 착각하는게 흰색불빛이 피로가 덜할거라고 생각하는데 그렇지않습니다.
흰색보다 전구색상이 눈의 피로도가 적습니다. 휴식할수있는 침실에 할로겐색상의 등을 설치한 이유가 이것임.
잘 아는 사람들은 LED도 약간 미색계열의 노란색계열을 일부러 찾아서 씁니다.
k5 2017년식 차량에 장착 가능 한가요??
처음부터 led로 나오면 좋겠구만
전구 차 타다가 led 차로 바꾸니
시야가 너무 좋아서..
똥차에,.. led바꾸면 좋겠다... 싶었는데 ㅎ
그렌져hg 노란색 불빛인데 흰불빛으로 바꾸고싶은데 어떻게할까요?
수명 짧고 가격이 수십배입니다. 참고하세요. 그래도 바꾸는게 좋으시면 바꾸시면 됩니다 ^^
열배출안돼서 금방 고장남
합법제품또한 개인이 하면 불법.... 정비소에서 달면 합법.....
뭐 강병휘 레이서는 이공계쪽 지식도 출중해서 미리 예상했을거라 생각하지만 빛이 파동이다 보니 세기(펄스)차이가 없다면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색상 차이는 결국 진동수/파장에 따라 장단점이 나뉜다고 봐야겠죠(회절/직진성). 서론이 길었는데 깔맞춤한다고 안개등까지 흰색으로 바꾸시는 분들은 안개등의 기능을 좀 더 저하시키는거죠. 국산 led제품들 퀄리티는 오래전부터 상당한것 같아요. 10여년 전 유학시절 운행하던 차량에 당시 가장 고급라인이던 노랑색 LED 안개등 구매했는데 메이드 인 코리아 더라고요 ㅎㅎ 브랜드가 Nokya 였던걸로 기억..
맞는 말씀입니다 ㅎㅎ 다만 안개등은 이미 그냥 비쥬얼만 담당한 지 오래돼서ㅎㅎ
안개등의 효용성에 대해서 논의도 많았고 요즘 전조등의 효용성에 비해 떨어져서 요즘 차에서는 많이 빠지기도 하구요.
요즘 광원 기술로는 가능할텐데… 안개등이 6000캘빈과 3000캘빈 두 가지 색상으로 전환 가능하게 되면 좋겠어요. 백색의 DRL과 노란 턴시그널도 같은 광원으로 함께 쓰기도 하는데 말이죠.
캬 저도 미국 유학시절 노랑 안개등 하고싶어서 Nokya 벌브 썼었죠. 금방 타더라고요
@@StationB 단가가 문제 아닐까요?
6000k가 중간값이 되려면 백색등 색온도가 9000k로 높아야 할텐데 단독으로 쓰기 애매하니 활용성도 손해를 감수해야 해서요
부차적인거지만 6000k 연색성이 나빠질 수도 있을 것 같네요
@@bibibicc ㅎㅎ호ㅗㅗㅗ
사실 요즘야간에는 도로에 차도많이다니고 가로등도 거의설치되어있어 시안성 보다는
육안상 마음에들어서 많이들 하는거 같습니다
한국인여러분 앞이 잘 안보이면 광량 올릴게 아니라 불법틴팅을 떼세요 제발
인증 LED가 전부 국산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브라비오 중국산 입니다,,, 사제 LED와 인증 LED 의 밝기 차이도 상당히 차이나고 인증은 말그대로 인증을 통과하려고 만들다보니 시인성이나 밝기가 그리 좋지 못한 부분들이 있더라구요
뭐 비안올때늨 비슷비슷한데 비오는날 시인성이 많이 갈리던데
무전기 대답 두번반복 거북하네 천천히 말하면되지 😊
3:43 옛날에 스쿠터에 저 전구 꼈었던 ㅋㅋㅋ
2000루멘에 6500k 보다는 1500루멘에 5000k가 훨씬 잘 보이고 특히나 초저녁같이 완전히 어둠이 아닌 시기엔 더 확실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한마디로 출퇴근 시간엔 할로겐전구가 훨씬 잘 보입니다.
브라비오 꺼 사면 됨....
어디서 장착할수 있습니까? 알려주셔요.ㅜㅜㅜ
필립스가 써보니 조으요
베라크루즈도 합법인가요,
실사용 결론 :
인증 LED. 돈값한다.
순정대비 30%는 밝고 멀리 보인다. 그냥 해라.
경차에 led? 경차는 어두운데 안감?
고민은 나중에 후회만 더 부른다.
서브차량에 쓰고 있습니다 아주 좋습니다. 편리하고요
와우.....여기 촬영장소가 제가 사는 동네네요^^ 영상 너무 반갑네요! 저도 할로겐에서 인증led로 교환 했는데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시간이 좀 된 영상인데 요즘 인기 많은 브라비오 와 이 제품 시인성 비교는 어떨까요.. 브라비오도 비오면 아예 안보인다고 해서 돈낭비 아닐까 싶기도 하고
밤눈이 약간 어두운편인데
어우 차바꾸고 프로젝션타입 led헤드램프로 바뀌니 정말 편안해지긴 하더군요.
썬팅을 밝게 하는게 더 도움 됩니다.
주간주행이 많은분들은 전면선팅 좀더 진하게 할수밖에 없지요 한가지만 생각하고 얘기하지는 맙시다
전면 틴팅 35로 해버리면
아무의미 없음.....
더뉴스파크 차량에도 장착이 가능한가요?? 현대&기아 차량만 장착이 가능한가요?? GM 경차에도 장착 여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꿔도 불법에 안 걸리나요 검사할때..?
인증받는LED라서 검사통과해요ㅎ
밤에 전조등 잘켜고 다닙시다
노란게 멀리가요~
나는 개인적으로 새하얀빛이랑 누르스름한빛이랑 섞여있는게 더 예쁘다고 생각함
프로젝션타입이 아닌차량들은 웁니다ㅠ
싼타페 HID인데 할로겐 대신 LED장착하고 종합검사는 통과 했어요..
@@jhoonw90 검사원이 에바네요 원래는 통과 못합니다.
@@김팀장-o 공단에서 안받고 공업사에서 받아서 그런가봐요^^;;
무조건 밝다고 좋은건 아닙니다. 차량에 맞는 밝기를 선택해야 수명이 오래가요. 기아의 k5 같은 경우는 아무리 밝은 전구를 끼워도 반사판 수명이 짧아 흐리게 보입니다..
아반떼AD LPI 모델에 달아보려고합니다. 감사합니다
LED옵션으로 차량출고했다가 보증수리기간끝나서 고장난다면? 엄청난비용이오요된다
뭐랄까 규격인증 받은 제품들이 다양하지가 않은게 문제
14만원 주고 ?
요즘에 왜 이렇게 눈이 부신가 했더니 led 튜닝해서 그런거였구만 led 전조등 하면 오토레벨링 필수로 달수 있도록좀 해라 눈이 부시다 반대편에서는
안전을 생각하면 LED. 야간 주행 많으신분 강추
순정 led 달려잇는데 좀 흐리거나 비올때 등 날씨 좀 안좋으면 그냥 안 키고댕기는 수준이라 좀 별로긴하드라구요
니로 sg2 는 없네여 ㅠㅠ
내용에 대해 다소 잘못 안내되는 부분이 있네요.
등록증의 스티커는 부수적인 부분이고, 튜닝부품인증센터에 장착등록을 반드시 해야합니다.
그래서 공임나라에 가서 장착해주는거 일반개인배송안하고
빗길에서는 노란전구가 좋더라구요... LED로 바꾸고 너무 안보여서 다른걸로 바꿔야할지 고민입니다
빗길은 다른전구도 안보입니다
@@Zeedwolf 전구차만 20년 넘게 타보니까 비교해보면 LED보다는 보이더라고요
@@Zeedwolf할로겐의 장점이 악천후에 유리 한게 아니었어요..?
할로겐, HID, LED 모두 사용해봤지만
솔직히 말해 할로겐 램프가 젤 잘보입니다.
특히 비오는 날엔 HID, LED는 라이트 켠 건지 끈 건지 조차 구별못할 정도로 안보여요
매우 동의 합니다.
순정led 적용차량 특히, 그랜저ig같은 다이내믹밴딩 라이트 적용된 차량은 악천후시에도 할로겐, HID광원 보다 시인성이 좋습니다ㅎㅎ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 이야기네요...지금 제조사들의 최상위급 엘이디는 그냥 할로겐하고 우천시에도 넘사벽급 입니다..
꼼꼼한 리뷰~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led 헤드램프 넘 비싸... 싼것들은 죄다 리뷰들이 어둡다고하고. 아니면 할로겐등에서 걍 색깔만 달라보인다고 할 정도..
진짜 법을 개정해야한다. 테스트 통과하려는 기준에 맞추다보니 시인성도 구려가지고 잇으나마나 사실상 감성의 영역으로 ㅋㅋ
지금 나와잇는 상품들도 거리가 어디까지 보이는지 표기도 안 한 제품들도 많다.
딜러틴팅 뜯어내고 전면 70프로 두르면 해결
제품은 괜찮게 나왔네요.
현재 시판중인 LED 인증 헤드램프들의 문제점이 색온도가 높은 편이라서, 할로겐 보다 시인성이 많이 떨어진다는 부분이었는데...
그 부분도 어느정도 절충을 잘 한 거 같고.
밝기도 인증 최대치인 2000루멘에 가능한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만든 거 같네요.
이게 생각보다 중요한데,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LED는 같은 광량의 할로겐보다 시인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기 떄문에 최대한 밝은게 좋습니다.
더 깊이 들어가면 인증 LED의 핫스팟등의 문제들도 있는 걸로 아는데 이건 너무 깊이 들어가는 거고...암튼 한번 써보고 싶긴 하네요 ㅎ
개인적으로 힌색 미등에 노랑램프가더 이쁜거 같던데
그냥 처음부터 라이트는 옵션넣고 뽑는게.... 국토부인증 led 한두푼 하는것도 아니구요 ㅋㅋ 바이평션 타입은 제품도 제한 적이라 가격도 비싸구 ㅋㅋ 구형 차에서 H7 하향등만 프로젝션이면 뭐 기분적으로나 튜닝 느낌에 기분은 낼수 있으나 인증 제품들은 워낙 약해서.... 드라마틱하게 할로겐보다 환하고 좋다 라는건좀.... ㅋㅋ 특정 상황일때는 할로겐보다 밝아 보인다 라는 느낌을 가질수 있음. 개인적으로 이런 영상을 찍을때는 합법 불법에 대한 간략한 내용도 설명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밖에 클리어 타입에 할로겐 인증 led 끼어 다니는 사람들도 많은거 같습니다. 다 불법임..... 자동차검사때 다시 할로겐 바꾸고 검사 받고 다시 led 불법 끼는 사람들도 너무 많아서... 하루에도 꼭 한두번씩 구형 차인데 led 눈뽕 종종 쪼입니다. 신고 하려고 하면 꽤나 까다롭게 신고 받더라구요. 요즘 신차들이 전부 led 라이트로 나와서 그렇지만 할로겐도 이뻐요~~! 굳이 돈쓰지 마시길 바래요. 시인성은 할로겐이 더 좋습니다~~! 비올때 특히 심해요~~!!
자동차 등록증에 붙이기만 하는게 아니라...
장착사진을 찍어서
자동차튜닝부품인증센터 사이트에 들어가서내가 구매한 제품을 등록해야한다.
좀 정확한 정보 전달이 필요하겠네요. 제품안에 다 설명이 있을텐데 내용물 확인 하셨나요?
등화류는 안전옵션인데 이걸 패키지로 묶어 파는건 좀 아닌거 같아요...
바이크도 인증 헤드램프 팔았으면 좋겠네요 ㅠ
도로위 4대빌런
1.딸배&딸배급 라이더
2.대형 화물차 (일명 빅딸배)
3.택시
4.버스
1순위 빌런들이 LED장착하고 도로에서 발광하면 뇌절올듯 ㅠ
딸배들 ㅈ같은게 신호대기하면 맨앞으로 집결하는데 하나같이 눈뽕오져서 맞은편에서 절로 욕나옴
예전에 투싼tl 첫차라 싸게 산다고 led헤드램프 안 넣다가 저런 사제 led달았었는데 훨씬 좋은 건 사실입니다. 그래도 차 살 때, 무리해서라도 꼭 순정 LED램프 넣은 차를 사시기 바랍니다. 꼭이요.
led로 바꾸는건 좋은데...인증제품 말고 싸다고 중국산 기준치를 초과한 밝은거 쓰는 놈들은 다 잡아야됨..
무슨 상향등도 아니고 일반 상태에서도 눈뽕이 되냐..
아반떼AD 프로젝션 벌브 차량인데, 작년쯤 자가인증 LED라는게 나와서 장착해서 1년 써봤는데요. 가격대가 10만원대 형성되어 있는데 가격대비 나쁘지 않습니다. 사실은 훼사원님 영상보고 DRL 간지 때문에 순정 HID 작업하고 싶었지만 금액이 너무 비싸더군요... 심미적으로도 보기 좋고, 야간운행 잦아서 본전 뽑은느낌이고 돈 하나도 안아깝네요.
@@rain22-22 보이는건 사실 비슷비슷한데요. 하얀불이 나오니까 옛날차 느낌이 안나서 좋네요 ㅎ
그랜저 HG 할로겐 안개등을 LED안개등으로 바꾸고 검사 받으러가니 불법이라고 할로겐으로 바꾸고와서 검사받으라는데 합법으로 바꾸는 방법 없나요? 신형들은 모두 LED 안개등이든데......
15년식 범퍼와 그릴로 바꾸시면 됩니다... 안개등은 인증 안나더라고요
일반몰에서 고작 17만에 판매 중인데
차 만들 때 달아서 팔지.. 너무하다 진짜. 차 값은 엄청 올려대면서 ㅠㅠ
후진등 LED는 언제 공식제품으로 출시해줄려나 4천짜리차에 벌브 후진등 너무 싫다
싱글소켓 타입 엘이디 후진등은 튜닝인증 제품 나왔습니다. T15규격은 아직 법규도 없어서 인증을 못 받고 있다고 하네요
튜끝순
광고아닌 광고지만 아이템은 신선한 충격입니다. 헤드램프 시인성 확인 ㅎㅎㅎ
전면 선팅이 시인성 저하없다고 많이들 하시는데 이런 부분도 해주시면 안전 운전문화 캠페인 도움이 되겠습니다.
예전에 yf2.0 탔을때 새x제품 led라이트 껴보고 너무 가격대비 실망해서 제xxx제품 끼고 만족하다 필립스 제품 껴보고 더 만족하고 차 폐차 하고 yf 하이브리드 모델 사서 브라비오인가 브라보 인가 제품껴보고 또실망하고 차 팔고 또 yf2.4 HID 장착된 모델사서 지금 밝기에 만족 하고 다니지만 한번 써보고 싶네요 저도 레이서 님처럼 밤에 운전을 더 많이해서 라이트에 진심인 편이긴 합니다 . 제가 느낀 led의 단점은 빛이 보여지는건 분명 밝은거 같은데 막상 내가 비추고 타는 상황에선 노면이 잘안보이거나 우천시에 진짜 심각할정도로 안보이기도 했지만 이 단점들이 보완된거같아서 장착해보고싶네요 라이트 어셈블리 자체를 분해 해서 연구좀 해보고싶었지만 똥손이라 못했지만요 ...ㅋㅋㅋ
음 .브라비오 시인성 갑인데요 비인증 제품이면 몰라도 다른 인증 제품에 시인성이 떨어지진 않은것 같던데
가장 안타까운게, 틴팅 앞유리 어둡게하고 헤드라이트 광량 UP을 한다던지, 아니면 LED 라이트 끼운다던지. 진짜 웃김....ㅎ
대한민국도 무분별한 썬팅 자제해야함...어린이집 차량보다 조금 더 어두운정도만 허용해줘야함..
가시광선 투과율에 대한 규정은 지금도 있습니다.
자동차 제작기준인 안전기준에서는 어린이보호차와 동일하게 전면, 운전석 좌/우를 70%로 정하고 있고
운행차를 단속하는 근거법령인 도로교통법에서는 전면 70%, 운전석 좌/우는 40%로 정하고 있어요.
하지만 어린이보호차를 제외하고는 자동차 검사항목에도 없고 경찰들은 단속을 손 놓고 있죠.
ㄹㅇ임
앞유리 틴팅만 안하거나 옅게해도 신세계가 펼쳐지죠 ㅋㅋ 할로겐도 부족하긴 커녕 넘쳐날 정도로 ㅋㅋ 진짜 엄청 어둡게 해두는거 보면 어찌 저리 다니나 싶어요 ㅋㅋ
자동차전조등 교체는 개인이 할수없을뿐더러 심지어 3급에서도 못하는거는 다들 알고 계시죠~?
램프 전체를 바꾸는건 불법이지만
벌브교체는 개인이 가능해요
@@MorruTheRat
오호 좋은정보감사합니다.
법령보면 전조등이라 표기되어있어서 오해있었네요~
순정led 보단 밝을수 없고
(할로겐과 광속이 동일or낮아야 인증 승인해줌)
할로겐과 동일한 밝기의 하얀빛을 원한다면 추천!
단, 색온도에 의한 할로겐대비 손해보는 부분은 있습니다.
순정 보다는 밝을 수는 없는건 맞습니다 보통 순정은 2000루멘을 훌쩍 넘기는 밝기고 튜닝 LED 제품은 밝기가 법으로 2000루멘이상한선으로 정해져있기 때문에 더 밝을 수는 없습니다 다만 상한선 근접치인 1900루멘 이상인 제품으로 교체하면 할로겐 대비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와 가시성은 됩니다. 제 뇌피셜이지만 순정의 80~90%정도는 되는거 같습니다
음 전제가...할로겐과 LED 법적 허용 밝기는 같은거죠?
순정 옵션의 LED 헤드램프의 경우 LED 고장시 어셈블리 전체를 교체해야 되서 비용증가도 감안해야 될텐데 할로겐 처럼 교체형으로 만들면 비용이 크지 않을거같아 장점이 있어보이네요
현대 모비스 인증 LED 벌브라면 차라리 자체 튜닝파츠로 옵션처럼 제공해서 출고 전 장착 후 출고 받으면 베스트일텐데 그 점은 좀 아쉽네용
그럼...공정이 하나를 더 추가되서 비용이 엄청 많이 듭니다.
한 두대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왜 큰돈들여서 순정을 하는지는 모양만 봐도 알수 있음.
하... 스마트는 프로젝션이 아니라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프로젝션으로 교환 하는거도 돈인데...
안에 탈 땐 led가 잘 보여서 좋긴한데 막상 야간에 걸어다닐 땐 led 차량들 지나갈 때마다 눈뽕 너무 심하죠....
걸어다닐때보다 운전할 때 맞은편 차가 저러면 더 짜증나죠
그건 좀 오해를 하고 계신거 같은데요. 눈이 부시다면 그건 광원이 뭐냐의 문제가 아니라 배광 패턴의 각도 문제입니다. LED가 아닌 다른 광원도 각도 틀어지면 다 눈부시게 느껴집니다.
제 말은 똑같이 눈 부신데 할로겐보다 더 눈이 부신다는 얘기였슴다....
할로겐 아니고 할로젠인데...
교체하는 과정도 영상에 담아주셨으면 더 좋았을것같네요
교체영상도보여주세요 !!
영상에서도 차이나는 눈뽕의 차이...
여주이포에서 촬영하셨네요~
모비스에서 나온다면 다음 페리때는 전구만 LED로 출고되겠군요.
공식에서 튜닝 LED를 팔다니...좋은데?
영상에서 가장 중요한것
17:00 전구를 원레장착된것에서 다른 방식으로 변경시 구조변경 신고를 해야 합법임
자동차회사나 대기업전구회사에서 판매한다고 합법이 아님
모비스것도 동봉스티커 자동차등록증에 붙여야함
그리고...7:00 빛이 가운데에 집중되고 주변빛이 약한것은 할로겐과 LED의 특성보다는 빛이 백색이냐 노란색이냐의 차이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노란색은 가운데가 선명하고 밖으로 갈수로 흐릿하며 경계선이 흐릿하고, 백색은 광원 전체가 선명하게 밝고 경계선이 뚜렷하더라구요
너무 선명하고 깨끗하면 그 외의 것들은 더 어둡고 더러워지는 세상사 같은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