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한국의 분재업계와 한국의 미성숙한 분재문화를 좋아하지 않지만.. 그와 별개로 지적 할건 해야할것 같아서 한 자 적습니다. 가독성을 위해 내용은 음슴체로 쓰겠습니다. 물론 한국에서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나무를 사자마자 그대로 바로 전시회에 내놓는 행위는 비난할수 있다고본다 .하지만 분재의 깊이를 모르고 국내의 분재수준만 접하다보니 이런 댓글이 달리는듯하다.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전세계 분재의 기준이자 주류인 일본의 전시회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본래 전시회에선 (한국과 달리) 나무 하나만 보고 점수를 주지 않는다. 나무뿐만 아니라 화분과 다이, 초물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와 조화를 보고 점수를 주는 것이며, 그 디스플레이와 구성은 출품자가 고민하고 만든다. 즉, 나무를 비롯하여 그 구성을 종합적으로 보고 상을주는게 본래의 전시회 체점행위이다. 즉, '누가 누가 나무를 직접 잘 만들었나 뽐내기 대회'가 아니라 '어떤 나무와 구성이 가장 잘 짜여지고 잘 표현되었나' 가 기준인 것이다. 예를들어, 소품전시회인 아풍전에는 총 7점이 올라간다. 당신의 기준대로라면 총 7점 모두 출품자가 직접 다 만들어야만 한다는 것인가? 그것도 전시회 레벨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런 기준이면 아풍전은 10년에 한번 개최해야 될것이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본인이 직접 완성한 나무를 가지고 경쟁하는 작가들을 위한 전시대회가 따로있다. 나무를 내가 직접 뚝딱뚝딱 만드는것만이 '나무를 만드는' 능력이 아니다. 모든 분재가 목공예마냥 '만든다' 하나로만 완성되지 않는다. 키우고 배양하는것이 곧 만들어지는 수종도 있다. 또한 잘 만들어진 나무를 오랜 세월 배양하고 유지하고 '완성' 하는것 그리고 필요시 개작을 하는 것..자체도 '나무를 만드는' 행위이다. 분재는 일순간의 제작행위로 완성되지 않는다. 때에 따라선 50~100년전에 제작되어 100년의 세월이 추가되어야 비로소 완성이 되는 것이 분재이다. 이럼에도 전시회는 원작가만이 나가야한다고 주장할 것인가? 당신의 논리대로하자면.. 수석 전시회도 오직 수석을 채취한 사람만 전시회에 나갈수 있다고해도 비약이 아닐것이다. 전시회는 전시된 나무와 구성에 초점을 맞춰서 그것들이 주인공이 되어 나무가 받는 상인거지, 당신이 말하는것 처럼 누가 누가 더 잘만들어서 뽐내서 사람이 받는 상이 아닌것이다. 전시회에서 출품작이 상을 받게되면 출품자를 비롯해서 그 작품을 만든 원작자 및 개작한 작가에게도 매우 큰 영광인것이다. 분재와 이를 대중에게 전시하는 문화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성숙되어 있는 일본의 전시회를 보고 더 배우고, 분재를 단순하게만 이해하여 편엽한 시각으로 보지말고 더 올바르고 더 깊게 이해하면 좋을것 같다. 다만, 이 영상의 전시회는..전시회 자체나 심사원등...여러 면모를 봤을때 사실상 개인단체가 친목 개최했다고해도 과언이 아닌 비공식 전시회나 다름이 없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감안해서 봐도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전시ㆍ영상ㆍ수준잇는ㆍ자연인공 예술 ㆍ분재ㆍ영상볼수잇어 감사합니다ᆢ
항상응원합니다ㆍ
늘건강들하시고ㆍ
화이팅하시길ᆢ
울산한국수석회장ᆢ
조재룡
관심 감사드립니다. ^^
일등 출첵❤
미쓰진님 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엊그제 대야원가서 와 와 하고 봤던 나무가 보이네요 관우님은 아직 회복도 안되셨는데 좀 쉬세요!!
열심히 회복중에 있습니다.. ㅎㅎ
이등 출췍!
안녕하세요 ^^
본인이 만든 나무만 출품해서 등수를 가려야 진정한 경쟁이지 남이 만든나무 돈으로 사서 출품하면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나요?
개인적으로 한국의 분재업계와 한국의 미성숙한 분재문화를 좋아하지 않지만..
그와 별개로 지적 할건 해야할것 같아서 한 자 적습니다.
가독성을 위해 내용은 음슴체로 쓰겠습니다.
물론 한국에서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나무를 사자마자 그대로 바로 전시회에 내놓는 행위는 비난할수 있다고본다 .하지만 분재의 깊이를 모르고 국내의 분재수준만 접하다보니 이런 댓글이 달리는듯하다.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전세계 분재의 기준이자 주류인 일본의 전시회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본래 전시회에선 (한국과 달리) 나무 하나만 보고 점수를 주지 않는다. 나무뿐만 아니라 화분과 다이, 초물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디스플레이와 조화를 보고 점수를 주는 것이며, 그 디스플레이와 구성은 출품자가 고민하고 만든다. 즉, 나무를 비롯하여 그 구성을 종합적으로 보고 상을주는게 본래의 전시회 체점행위이다.
즉, '누가 누가 나무를 직접 잘 만들었나 뽐내기 대회'가 아니라 '어떤 나무와 구성이 가장 잘 짜여지고 잘 표현되었나' 가 기준인 것이다.
예를들어, 소품전시회인 아풍전에는 총 7점이 올라간다. 당신의 기준대로라면 총 7점 모두 출품자가 직접 다 만들어야만 한다는 것인가? 그것도 전시회 레벨로?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런 기준이면 아풍전은 10년에 한번 개최해야 될것이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본인이 직접 완성한 나무를 가지고 경쟁하는 작가들을 위한 전시대회가 따로있다.
나무를 내가 직접 뚝딱뚝딱 만드는것만이 '나무를 만드는' 능력이 아니다. 모든 분재가 목공예마냥 '만든다' 하나로만 완성되지 않는다. 키우고 배양하는것이 곧 만들어지는 수종도 있다. 또한 잘 만들어진 나무를 오랜 세월 배양하고 유지하고 '완성' 하는것 그리고 필요시 개작을 하는 것..자체도 '나무를 만드는' 행위이다.
분재는 일순간의 제작행위로 완성되지 않는다. 때에 따라선 50~100년전에 제작되어 100년의 세월이 추가되어야 비로소 완성이 되는 것이 분재이다.
이럼에도 전시회는 원작가만이 나가야한다고 주장할 것인가?
당신의 논리대로하자면..
수석 전시회도 오직 수석을 채취한 사람만 전시회에 나갈수 있다고해도 비약이 아닐것이다.
전시회는 전시된 나무와 구성에 초점을 맞춰서 그것들이 주인공이 되어 나무가 받는 상인거지, 당신이 말하는것 처럼 누가 누가 더 잘만들어서 뽐내서 사람이 받는 상이 아닌것이다.
전시회에서 출품작이 상을 받게되면 출품자를 비롯해서 그 작품을 만든 원작자 및 개작한 작가에게도 매우 큰 영광인것이다.
분재와 이를 대중에게 전시하는 문화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성숙되어 있는 일본의 전시회를 보고 더 배우고, 분재를 단순하게만 이해하여 편엽한 시각으로 보지말고 더 올바르고 더 깊게 이해하면 좋을것 같다.
다만, 이 영상의 전시회는..전시회 자체나 심사원등...여러 면모를 봤을때 사실상 개인단체가 친목 개최했다고해도 과언이 아닌 비공식 전시회나 다름이 없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감안해서 봐도된다고 생각합니다.
@@트리마제-c4t글에서 경험과 깊이가 느껴집니다...
이분말씀 심하게 공감됩니다.
@@트리마제-c4t 좋은 지적,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