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아직은 이 책을 다룬 곳이 여기밖에 없네요. 목사님이시라면 보다 깊은 식견으로 리뷰해주실거라 생각했습니다ㅎㅎㅎ 원서가 출간된 시점을 말씀하실 때 ‘아이고야 괜히 부탁드렸다.’ 싶었습니다. 학계에서 20년은 아무래도 짧지 않은 시간이니까요.ㅠㅠ 그래도 충분히 공부하며 읽을 가치가 있다고 말씀해주시니 다시 책 펼칠 힘이 나네요. 다음에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b2m-bible 근데 이 책과 관련이 없는 질문인데 죄송합니다. 모세오경과 구약성경 형성이론의 격돌과 복음주의 안에서의 논쟁이 어떤것이 있나요?? 역사비평안에서 어떤 논쟁이 있나요. 최근엔 구약 전문의 형성이 신약시대에 있었다는 설을 어디서 본것같기도해서 성서학 논쟁을 잘 몰라서요^^ 그리고 시편 형성사도 있나요?
@@강한결-e4b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를 들어 복음주의 혹은 극보수 진영에서 오경은 모세가 모두 썼다고 보거나 모세 시대에 작성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부분이 18세기부터 본격적으로 학문적인 도전을 받기 시작한 것이죠.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구약성경은 정경으로 확정되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수집 형성, 수정, 재해석, 확장, 편집 등을 거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약성경의 각 책들이 다 최종형성시기는 다르다고 할 수 있겠고요. 최종형태가 언제 완성되었느냐 라고 볼 때, (다니엘서 때문에) 주전 2세기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시편의 형성사도 물론 있습니다. 그러나 문서로서 기록된 것이 시기가 늦는다 할지라도 구전형태로는 훨씬 더 앞설 것입니다. 이처럼 본문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논하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목사님, 질문이 있는데요^^ 강독 과목은 듣지 못해서 기초만 공부를 했습니다. 구문론 책몇번 읽기도 했는데, 이제 로고스바이블, 책들 찾아가면서 사역해보는 연습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학자라기보단 목회자로서 설교에 적용하는데 방향성을 가지고 싶고 한정된 시간안에서 이것들을 하려고 하니 쉽지가 않네요 ㅎㅎ
예 목사님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로고스 바이블의 파싱(parsing) 도움을 받아서 본문의 번역을 연습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겁니다. 대신 로고스의 인터리니어 기능은 비추합니다. 인터리니어에 의지하면 실력이 늘기가 어렵더라고요. 사전은 가능하다면 HALOT을 의지하면 더 실력이 많이 향상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구문론 책은 지금 시점에서는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한정된 시간이 항상 문제죠.^^ 제 생각엔 너무 급하게 가기보다 어차피 설교를 주기적으로 하신다면, 너무 많은 욕심을 내기보다 본문을 정하고 나서 그 중에서 한 두 절 정도라도 꼭 직접 사역을 해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그러다 보면 금방 늘으실 거에요.
⬇영상목차
00:15 외관 소개 - 복음주의?
02:47 저자에 대하여
03:53 이 책의 위치
04:50 책의 특징
05:50 내용소개 - 전승사 - 역사비평
08:19 오경개론 JEDP
09:48 사무엘상하, 시편
10:48 총평 및 책의 단점
오호
사역으로 해줬으면 너무 좋았겠어요 ㅠㅠ
리뷰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아직은 이 책을 다룬 곳이 여기밖에 없네요. 목사님이시라면 보다 깊은 식견으로 리뷰해주실거라 생각했습니다ㅎㅎㅎ
원서가 출간된 시점을 말씀하실 때 ‘아이고야 괜히 부탁드렸다.’ 싶었습니다. 학계에서 20년은 아무래도 짧지 않은 시간이니까요.ㅠㅠ 그래도 충분히 공부하며 읽을 가치가 있다고 말씀해주시니 다시 책 펼칠 힘이 나네요. 다음에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예, 덕분에 저도 잘 읽었고 저에게도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종종 펴볼 것 같습니다. 충분히 좋은 책입니다.
@@b2m-bible
근데 이 책과 관련이 없는 질문인데 죄송합니다.
모세오경과 구약성경 형성이론의 격돌과 복음주의 안에서의 논쟁이 어떤것이 있나요?? 역사비평안에서
어떤 논쟁이 있나요. 최근엔 구약 전문의 형성이 신약시대에 있었다는 설을 어디서 본것같기도해서
성서학 논쟁을 잘 몰라서요^^
그리고 시편 형성사도 있나요?
@@강한결-e4b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를 들어 복음주의 혹은 극보수 진영에서 오경은 모세가 모두 썼다고 보거나 모세 시대에 작성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그 부분이 18세기부터 본격적으로 학문적인 도전을 받기 시작한 것이죠.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구약성경은 정경으로 확정되기까지 오랜 시간에 걸쳐 수집 형성, 수정, 재해석, 확장, 편집 등을 거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구약성경의 각 책들이 다 최종형성시기는 다르다고 할 수 있겠고요. 최종형태가 언제 완성되었느냐 라고 볼 때, (다니엘서 때문에) 주전 2세기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시편의 형성사도 물론 있습니다. 그러나 문서로서 기록된 것이 시기가 늦는다 할지라도 구전형태로는 훨씬 더 앞설 것입니다. 이처럼 본문의 역사적 형성과정을 논하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입니다.
@@b2m-bible 감사합니다.
@@b2m-bible 구전형태는 역사음운론의 영역으로도 갈 수 있는거군요.
목사님, 질문이 있는데요^^ 강독 과목은 듣지 못해서 기초만 공부를 했습니다. 구문론 책몇번 읽기도 했는데, 이제 로고스바이블, 책들 찾아가면서 사역해보는 연습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까요?
학자라기보단 목회자로서 설교에 적용하는데 방향성을 가지고 싶고 한정된 시간안에서 이것들을 하려고 하니 쉽지가 않네요 ㅎㅎ
예 목사님 안녕하세요.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
로고스 바이블의 파싱(parsing) 도움을 받아서 본문의 번역을 연습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겁니다. 대신 로고스의 인터리니어 기능은 비추합니다. 인터리니어에 의지하면 실력이 늘기가 어렵더라고요. 사전은 가능하다면 HALOT을 의지하면 더 실력이 많이 향상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구문론 책은 지금 시점에서는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한정된 시간이 항상 문제죠.^^
제 생각엔 너무 급하게 가기보다 어차피 설교를 주기적으로 하신다면, 너무 많은 욕심을 내기보다 본문을 정하고 나서 그 중에서 한 두 절 정도라도 꼭 직접 사역을 해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그러다 보면 금방 늘으실 거에요.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