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이론 38강 (p174~179) 과도현상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5

  • @dasan_song
    @dasan_song  ปีที่แล้ว

    ▼ 교재 구매링크 ▼
    ◎ 전기기사 필기
    - pc링크 : www.e-dasan.net/shop-list.php?cat=13&cate=4
    - 모바일링크 : www.e-dasan.net/m/item_list.php?cat=13&cate=2
    ◎ 전기산업기사 필기
    - pc링크 : www.e-dasan.net/shop-list.php?cat=13&cate=7
    - 모바일링크 : www.e-dasan.net/m/item_list.php?cat=13&cate=3

  • @김꼰도이
    @김꼰도이 ปีที่แล้ว +4

    R, L, C 설명 01:00
    ★R-L 직렬 스위치 on 09:45 정리 19:15
    R-L 직렬 스위치 off 19:35 정리 27:15
    시정수 개념 27:50
    R-C 직렬 스위치 on 31:20
    R-C 직렬 스위치 off 42:05
    R-L-C 직렬(과제동, 임계제동, 부족제동) 49:25
    L-C 직렬 55:40
    오늘 내용은 좀 어렵네요 ㅠㅠ 힘내보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려요!

    • @dasan_song
      @dasan_song  ปีที่แล้ว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노력하시는 모습이 정말 멋지십니다!! ㅎㅎ
      함께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꼰도이님 최고!

  • @소병학-h9i
    @소병학-h9i ปีที่แล้ว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dasan_song
      @dasan_song  ปีที่แล้ว

      함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 @달팽이-x8y
    @달팽이-x8y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번 장은 좀 살만하네요
    수고하셨습니다~

    • @dasan_song
      @dasan_song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움드릴 수 있어서 기쁩니다!! ㅎㅎ

  • @주머니-p5g
    @주머니-p5g 2 ปีที่แล้ว +9

    웬만한 인강 강사보다 나으신 거 같아요
    다른 강의에선 무작정 외우라고 하는데 이거는 이해를 제대로 시켜주네요
    감사합니다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1

      주머니님 안녕하세요! ㅎㅎ
      많이 부족함에도 이렇게 좋게 봐주시니 정말 감사드립니다!
      하시는 공부에 도움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주머니님 응원합니다 ㅎㅎ

  • @user-dr3bs6gm4v
    @user-dr3bs6gm4v 2 ปีที่แล้ว +2

    선생님
    26:33 에서 스위치 OFF시 전류를 미분하면
    L에 걸리는 전압은 (-E/L)e^(-Rt/L) 이 아닌가요 ?
    계수 분모에 L이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1

      ㅇ_ㅇ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미분을 하는 과정에서 L값이 약분되어 사라집니다! ㅎㅎ

    • @user-dr3bs6gm4v
      @user-dr3bs6gm4v 2 ปีที่แล้ว

      아 ;; Ldi/dt 이죠 ;;; ㅋㅋ;;
      감사합니다 ;;;

  • @pikachu_Gisa
    @pikachu_Gisa ปีที่แล้ว +2

    갓건웅

    • @dasan_song
      @dasan_song  ปีที่แล้ว

      피카츄님 프로필이 너무 귀엽습니다 ㅎㅎ

  • @rockybalboa7037
    @rockybalboa7037 2 ปีที่แล้ว +3

    너무 재밌게 잘들었습니다 스승님!!
    처음 전기를 접했을때 막연하게 궁금했던 부분, '전류가 팍! 하고 튀듯이 바로 흐르는가?' 에 대한 명쾌한 해답이!!!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런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크... 스승이라뇨!! 그저 공부하시는 데 아주 약간의 도움을 드릴 뿐이죠! ㅠㅠ
      함께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뾱뽁이-k3w
    @뾱뽁이-k3w ปีที่แล้ว

    선생님 R-C직렬에서 스위치 Off 시 회로에서 왜 C 위쪽이 +고 아래쪽이 -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ㅜㅜ 43:00

    • @바보상자-d1o
      @바보상자-d1o ปีที่แล้ว

      공급전압 E와 충전된 커패시터 C의 극성이 반대로 되어서 전류의 방향이 바뀌게 되었고
      그래서 -가 붙은거같네요

  • @Sooharangstudy
    @Sooharangstudy ปีที่แล้ว

    24:56 기전력 제거시, 교재에는 Ldi/dt + R i(t) = 0 이라고 돼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라플라스로 구했을 때, LsI(s) + RI(s) = 0 이 나와서, 기전력 제거시, i(t) 를 구할 수 없을 뿐더러, E 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근데 왜 기전력 제거시, i(t) 는 선생님께서 설명하신 것과 같은건가요?

  • @viva99kim
    @viva99kim 2 ปีที่แล้ว +2

    RC직열에서 스위치 off 시, Vc값은 음의 부호가 붙지 않나요?
    E와는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요.
    문의를 드립니다.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1

      Minwoo님 안녕하세요!
      전원이 제거되어 새로운 전원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로 나타낸 것입니다.
      물론 전위의 형성이 음의 부호로 붙을 수 있습니다. 어떤 기준에 대한 부호가 아닌 Vc값 자체의 전위를 나타낸 것입니다! ㅎㅎ

    • @viva99kim
      @viva99kim 2 ปีที่แล้ว +1

      @@dasan_song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김건우-b6w6u
    @김건우-b6w6u 2 ปีที่แล้ว +2

    오늘 과도현상으로 자연수의 0제곱은 1이라는걸 알았어요 ㅜ.ㅜ
    이걸 모르고 전기공부를 하고 있었다니 ㅜㅜ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건우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도움이 되어서 정말 다행입니다! ㅠㅠㅠㅠㅠ

  • @CHARI-t2j
    @CHARI-t2j 2 ปีที่แล้ว +5

    라플라스 이해해보겠다고 객기부리다 멘탈나간채로 과도현상 넘어오니 수월하네요.. 이게 회로이론이지 ㅠ 항상 양질의 강의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푸으망망님 안녕하세요!
      과도현상 이해하시면 은근히 재미가 있습니다! ㅎㅎ
      많이 힘드시더라도 조금만 더 힘내셨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 @쫌내버려둬
    @쫌내버려둬 2 ปีที่แล้ว +2

    제어공학은 이재현 원장님이나 최종인 원장님꺼 들어야 하나요? 그리고 회로이론 범위에서 딱 10문제만 나오나요?나머지 제어공학에서 10문제 인가요? 이 많은 범위에서 열문제면 넘한데
    이번에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만 과락 안 맞고 65점 맞았으면 필기 합격해서 이 고생 안하는데 아쉽네요
    제어공학도 좀 해주시면 안 되나요?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Seung-jin Chun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기사시험에서 회로이론 10문제 제어공학 10문제가 출제 됩니다. 회로이론이 넓은 범위에서 10문제이긴 하지만 이는 곧 다른 과목을 하실 때 확장되는 내용이므로 잘 다져놓으시면 좋습니다!
      추후 기회가 된다면 제어공학도 영상 제작해 보겠습니다! 현재로써는 이재현 원장님 최종인 원장님의 제어공학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인
    @대한민국인 2 ปีที่แล้ว +2

    선생님 갑자기 기억이 안나서요..
    무한대 대입할때 e^-1/rc x t 할때 전체 분의 1이 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아 그리고 공부순서가 회로이론 하고 전력 하면 될까욥!?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수박님 안녕하세요! ㅎㅎ
      제곱형태가 음수로 되어있습니다. 음수라고 하는 것은 결국 분수를 의미한다는 거예요! 그래서 전체분에 1이 되는 것입니다!
      회로이론 - 전기자기학 - 전기기기 - 전력공학 - 전기설비 순서가 좋습니다! ㅎㅎ
      아래 링크에서 공부 순서와 공부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뤄놓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th-cam.com/video/GUSklO0rC_4/w-d-xo.html

    • @대한민국인
      @대한민국인 2 ปีที่แล้ว +1

      @@dasan_song 아 감사합니다!

  • @김한주-b3i
    @김한주-b3i 2 ปีที่แล้ว +3

    R-C직렬 스위치 off 에서 Vc(t)값이 전류가 - r/c 인데 E대신에 -E가 들어가야 하는거 아닌가요?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한주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캐패시터는 전원의 전위와 같아질 때까지 전류를 흐르게 하다가 같아지는 순간 전류를 흐르지 못하게 합니다. 즉 개방상태이죠. 이때의 C의 전압은 E가 걸리게 되는 것입니다. 공급전압과 같아지는 순간이니까요!
      예를들어 10=10이라고 해서 우측에 10을 (-)로 보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user-dr3bs6gm4v
    @user-dr3bs6gm4v 2 ปีที่แล้ว +1

    선생님 이번 12장에서 다루는 RL, RC On-Off 시의 전류라는게
    L에 흐르는 전류와 C에 흐르는 전류를 의미하는 건가요 ?
    뒷장에 문제 풀다보면 전류를 L, C에 흐르는 전류로 취급해서요

    • @dasan_song
      @dasan_song  ปีที่แล้ว

      ㅇ_ㅇ님 안녕하세요! ㅎㅎ
      여러 소자가 합쳐져 있는 회로 자체의 전류를 해석하는 것입니다!

  • @정경채-k2j
    @정경채-k2j 2 ปีที่แล้ว +3

    정말 감사드립니다.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경채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ㅎㅎ
      함께해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거스히딩크-u7d
    @거스히딩크-u7d ปีที่แล้ว +1

    선생님 10:7 에서 e는 어떤 의미인가요?

    • @dasan_song
      @dasan_song  ปีที่แล้ว +1

      히딩크님 안녕하세요!
      e는 자연상수로써 2.71xxxxx인 무리수 입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파이(3.1415xxxx)와 같은 무리수라고 보시면 됩니다!

  • @kingkong1787
    @kingkong1787 3 ปีที่แล้ว +3

    이번 장이 젤 어려운거 같아요 ㅜ

    • @dasan_song
      @dasan_song  3 ปีที่แล้ว

      kingkong님 안녕하세요! 공부하시느라 고생 많으십니다ㅠㅠ 계속 반복하시다 보면 분명 자연스레 이해가 되실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 @마르키시오-r8t
    @마르키시오-r8t 2 ปีที่แล้ว +2

    건웅이형 19번에 마이너스 에이인데 왜 플러스로 안바까요?20번은 플러스로 ㅂ,깟는데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제가 질문을 이해 못했습니다..! 다시한번 질문해 주시면 답변 드릴게요 마르키시오님!

  • @user-vz2zv8re8k
    @user-vz2zv8re8k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선생님 R-L 직렬 그래프에서 과도상태를 L이 단락이 되기 위한 전 단계이고 정상상태가 단락이 된 상태로 보면 되는건가요 ?

  • @피자-h5v
    @피자-h5v 2 ปีที่แล้ว +2

    선생님 과도현상은 왜 직렬만 다루나요? 병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인가요?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1

      피자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병렬 과도현상도 존재합니다. 다만, 기사범위에서 간혹 나오긴 하지만, 비중이 크지 않아서 이론서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

    • @피자-h5v
      @피자-h5v 2 ปีที่แล้ว +1

      @@dasan_song 아 네넴ㅎㅎ 답변 감사합니당ㅎㅎ 궁금증이 해결됐어여!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1

      @@피자-h5v 응원합니다!! ㅎㅎ

  • @grozaaaa686
    @grozaaaa686 2 ปีที่แล้ว +3

    38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오늘 하루도 응원합니다!

  • @whitecloud6935
    @whitecloud6935 2 ปีที่แล้ว +2

    41:00 에서 E를 묶어서 E(1-e)라고 하셨는데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혹시 알려주실수 있나요 ? E*e를 먼저하고 E를 빼는게 맞지않나요 E를 1로 만들어 묶고 밖으로 빼버리면 부호가 바뀌지않나요?

    • @dasan_song
      @dasan_song  2 ปีที่แล้ว

      Cloud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ㅎㅎ
      E-Ee에서 E로 묶은 것입니다. 때문에 E(1-e)가 되는 것입니다.
      혹시 제가 잘못 답변을 드린 것이라면 다시한번 질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whitecloud6935
      @whitecloud6935 2 ปีที่แล้ว +1

      @@dasan_song 아닙니다. 알려주신대로 알고 가면 되죠

  • @kylianmbappe1420
    @kylianmbappe1420 3 ปีที่แล้ว +2

    교재에는 Vr 도있던데 이건 안봐도되는건가요?

    • @dasan_song
      @dasan_song  3 ปีที่แล้ว

      Mbappe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일단 영상에서 설명드린 것 위주로 봐주시고, Vr에 대한 것도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간혹 시험에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