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호 47수 8%에서 대역전~ 가장 어려웠던 농심배 우승] 제8회 농심배 최종국 이창호 李昌鎬 vs 구리 古力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2 ก.ค. 2019
  • 1~6회까지 한국 우승을 도맡았던 이창호 9단은 7회 대회에서 요다에게 패하고 맙니다. 전성기를 지났다는 주위의 평가를 완전히 불식시킨 8회 대회 대역전 우승 하이라이트로 함께하시죠.
    제8회 #농심배 최종국 #이창호 #李昌鎬 vs #구리 #古力
  • เกม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9

  • @virtuoso740
    @virtuoso740 ปีที่แล้ว +6

    개인의 영광도 영광이지만 팀을 이루는 단체전에서 전무후무한 기여도와 더불어 팀원들의 신뢰도가 절대적이었던 이창호사범님은 감히 단 한명밖에 없다고 단언합니다

  • @user-ys2dd2qv8x
    @user-ys2dd2qv8x 5 ปีที่แล้ว +23

    감동적인 스토리네요. 우리의 영원한수문장 이창호 화이팅~~!!

  • @choheoungsoo
    @choheoungsoo 4 ปีที่แล้ว +12

    전설의 이창호! 그때 그시절 정말 기분좋았었지.

  • @peacewoodworkstory7576
    @peacewoodworkstory7576 5 ปีที่แล้ว +20

    이창호 9단... 한국 바둑계의 영원한 큰 별이네요~

    • @user-qj9yz3dn7o
      @user-qj9yz3dn7o 3 ปีที่แล้ว +1

      괜히 이창호 9단 사범이 상하이 대첩...전성기시절 중국선수들이 대진 나오면 한숨밖에 안나왔다는게 역시 명불허전입니다

    • @peacewoodworkstory7576
      @peacewoodworkstory7576 3 ปีที่แล้ว

      @@user-qj9yz3dn7o 와, 역시 그렇죠!!

    • @user-qj9yz3dn7o
      @user-qj9yz3dn7o 3 ปีที่แล้ว +1

      @@peacewoodworkstory7576 그때 상하이 대첩은... 정말 역사상 최고의 기록일겁니다ㄷㄷ

  • @dkjoy1316
    @dkjoy1316 10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이창호는 바둑신이지

  • @sungyoonkim5577
    @sungyoonkim5577 4 ปีที่แล้ว +9

    한국바둑의 시작과 끝은 이창호다

  • @sklee-te5hs
    @sklee-te5hs 4 ปีที่แล้ว +13

    이창호ㅡ이세돌ㅡ박정환ㅡ신진서... 진짜 작은 나라에서 여러 천재들 나오네요. 자부심 느낍니다.

    • @user-ce9mc1zi2d
      @user-ce9mc1zi2d ปีที่แล้ว

      작은 나라라니? 큰 나라 대한민국입니다. 중국이야말로 작은 나라입니다. 역사 내내 이민족의 지배를 받아 온 땅 덩어리는 크지만, 작은 나라이죠!

    • @sklee-te5hs
      @sklee-te5hs ปีที่แล้ว

      @@user-ce9mc1zi2d 아 네네~

  • @user-md5tk9xh5b
    @user-md5tk9xh5b 4 ปีที่แล้ว +7

    진짜 이창호 9단 때문에 엄청 행복했어요... ㅎㅎ

  • @MrLeesangmo
    @MrLeesangmo 2 ปีที่แล้ว +3

    진짜 바둑의 신....

  • @user-mi8ie4jo9i
    @user-mi8ie4jo9i 5 ปีที่แล้ว +18

    갓창호 너무 좋아

  • @user-vq8yn7ov3b
    @user-vq8yn7ov3b 3 ปีที่แล้ว +4

    끝내기의 전설을 재확인시키는 8회 우승!!

  • @greatstoneface5137
    @greatstoneface5137 5 ปีที่แล้ว +30

    창호땜시 정말 행복했었다.

    • @user-vn4ge5cv1v
      @user-vn4ge5cv1v 4 ปีที่แล้ว +1

      맞아요.
      나도 그랬어요.

  • @Gugyqatn
    @Gugyqatn 4 ปีที่แล้ว +4

    이창호!
    역시 대한민국의 영원한 국보!

  • @user-rs4qk8vl3k
    @user-rs4qk8vl3k 4 ปีที่แล้ว +3

    오늘도 감사합니다!!

  • @user-qx6fp1ob2c
    @user-qx6fp1ob2c 3 ปีที่แล้ว +2

    내 기억 속에는 신이 두사람인데요!
    조훈현 국수 그리고 이창호!!

  • @user-tf7ri6qh7p
    @user-tf7ri6qh7p 5 ปีที่แล้ว +10

    천하 제일, 일인자의 고뇌를 구구절절 느끼게 해준 고통스런 대국이 아닌가 합니다......
    이창호 명국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기보, 이창호 대 구리...ㅎㄷㄷㄷ

  • @user-qs4sm9ed8z
    @user-qs4sm9ed8z 3 ปีที่แล้ว +2

    바둑의신 이창호.

  • @jinyun2553
    @jinyun2553 5 ปีที่แล้ว +5

    이창호 굿... 성룡님도 해설 굿..👍

  • @user-vn4ge5cv1v
    @user-vn4ge5cv1v 2 ปีที่แล้ว +1

    나의 영웅. 이창호.

  • @braintank11
    @braintank11 ปีที่แล้ว +1

    결승에 이창호 한명만 남아도 우승을 확신했던 대한민국

  • @user-us9sy5bp2z
    @user-us9sy5bp2z 4 ปีที่แล้ว +6

    이창호가 벌써 레전드가 되어버렸구...

  • @user-zq4wb6jz2v
    @user-zq4wb6jz2v 2 ปีที่แล้ว +1

    이창호 9단은 농심배의 신

  • @user-pp6rb4wj1h
    @user-pp6rb4wj1h ปีที่แล้ว +1

    저대회가 이창호 가 마지막 단체전 나왔던 대회로 기억되네요

  • @user-kt4dc4dl8f
    @user-kt4dc4dl8f 5 ปีที่แล้ว +2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사범님. 혹시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농심배 이창호 vs 후야오위 해설 해주실 수 있을까요?? 옛날이라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이창호 9단이 유리했던 바둑이, 귀에서 패가 나서 위기를 맞았다가 다시 재역전하는 경기였을 겁니다. 다시 한 번 프로의 해설을 통해서 보고 싶어서요. 앞으로도 좋은 해설 부탁드리고, 건강하세요~

  • @kimttol
    @kimttol 5 ปีที่แล้ว +15

    그냥 바둑하면 이창호..

  • @sen795
    @sen795 5 ปีที่แล้ว +10

    이창호9단 초반에 이렇게 망한적이 있었나요?
    첨보는것 같은데... ㅎ ㄷ ㄷ
    이 바둑은 진짜 어떻게 따라잡았나 전체 해설봐도 잼날것 같습니다^^

  • @user-tf4em3vg8h
    @user-tf4em3vg8h 4 ปีที่แล้ว +5

    국보 이창호

  • @zlzmgl
    @zlzmgl 5 ปีที่แล้ว +4

    타이젬 2단인데 왜 끝내기가 이해가 안된다 ㅠㅠ

  • @user-qx6fp1ob2c
    @user-qx6fp1ob2c 3 ปีที่แล้ว +1

    해설~😁😁😁
    왕~굿이구먼유!!😁😁😁

  • @user-ro4vj7ex2p
    @user-ro4vj7ex2p 5 ปีที่แล้ว +10

    형님 예전보다 더없어지셨네요 ㅠㅠ
    구독 누르고 갑니다...

    • @ma2dong593
      @ma2dong593 4 ปีที่แล้ว

      슬프게 좋아요 누르심... ㅋㅋ

  • @user-hostrtno1hond
    @user-hostrtno1hond ปีที่แล้ว +2

    저 당시 이9단의 잔실수가 늘어나며 예전과 같지 않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었죠. 처음부터 어려운 모양이 되어 이9단 답지 않게 처절하게 두어졌는데 마지막에 역전할 수 있어 무척 기분이 좋았던 기억이 납니다. 벌써 세월이 많이 흘렀네요.

  • @user-pp6rb4wj1h
    @user-pp6rb4wj1h ปีที่แล้ว +1

    저대회 이후로 이세돌1위되고 이창호는 하염없이 랭킹이 수직하락함그이듬해 10권 그이듬해 20위권 세계기전도9연속 준우승함

  • @minkim9471
    @minkim9471 4 ปีที่แล้ว +2

    역전하는거 보여줄라고 일부러 빈상각 둔거 아닐까... 하고 잠깐 ㅋㅋ

  • @user-jv8zc4pg4z
    @user-jv8zc4pg4z 3 ปีที่แล้ว +10

    더 대단한건.
    당시 이창호가 성적이 확실히 하향세곡선을 그리기 시작하고 슬럼프를 겪을때마다 농심배만 되면 영혼까지 끌어올려서 '돌부처 이창호가 아닌', '인간 이창호의 모습'으로 처절하게 우승시켰다는게 더 감동적이였음. 개인전을 농심배처럼 처절하게 두었다면 우승을 더 많이 했을지도 모름.
    이창호의 전성기 끝자락을 보면 세계대회에서 준우승만 연속으로 계속함. 근데 농심배만 되면.. 마지막주자로서 모든판이 결승전인데 연속으로 계속 우승을 견인.
    한국사에 길이 남을 위인 이창호

    • @TENGU13
      @TENGU13 3 ปีที่แล้ว

      전성기 끝자락 세계대회에서 준우승만 연속으로 계속할때 우승한 상대들은 누구누구였나요??

    • @user-jv8zc4pg4z
      @user-jv8zc4pg4z 3 ปีที่แล้ว

      @@TENGU13 지금당장기억나는것은 독사 최철한과의 응씨배결승전입니다. 최철한이 이창호에게 국수타이틀을 뺏았는등 너무 강해서 양이를 제치고 1위의 이미지이던 때도 잠깐있었죠 그외에는 오래된 일이라 그 당시 계속된 준우승에 아쉬워했던 기억만 또렷하고 기전과 상대선수는 흐릿하네요
      참고로 저는 모든 프로선수를 존경하며 이름자체가 높임말입니다. 오해없으시길

    • @user-jv8zc4pg4z
      @user-jv8zc4pg4z 3 ปีที่แล้ว +1

      @@TENGU13 저도 궁금해서 간단하게 찾아보았는데 07년 후지쯔배를 시작으로 춘란배, 응씨배, lg배등등 준우승만 여섯번했네요. 세계대회기준이고 국내대회는 더 많네요.
      물론 국내대회는 이후로도 우승을 계속 여러번했습니다.
      그와중에 농심배는 진짜 전설..ㅠㅠ

  • @dugwons40
    @dugwons40 5 ปีที่แล้ว +2

    이세돌이 이창호를 넘어섰다하셨는데요? 왜? 농심배에선 이세돌 이름이 등장 안하는지요? 무엇이 문제였나요?

  • @KIMKORT
    @KIMKORT 5 ปีที่แล้ว +5

    처음 보는 초보자들을 위해 인공지능이 말해주는 세력이 그래 그런거지 하는게 무슨 소린지 이런것들 부가설명좀 자세히 해주시면 더 좋을것 같아요 ㅠㅠ

    • @okcharles7
      @okcharles7 3 ปีที่แล้ว +1

      변과 귀(모서리 부분)는 누구의 편도 아닙니다. 이기는 돌에 복종하는 박쥐와 같은 습성이 있습니다. 이는 언제나 배신할 수 있는 협력자와 같습니다.
      가장 적은 돌로 점령할 수 있는 곳은 귀, 그 다음이 변, 그 다음이 중앙입니다.
      변과 귀는 각각 네 군데 씩 있습니다. 쉽게 복종하고, 쉽게 배신하는 특성으로 인해 선점, 침투, 방어, 사활의 기술이 난무합니다. 변과 귀를 복종시키는 가장 쉬운 기술이 선점이므로, 바둑의 시작은 언제나 가장 적은 돌로 선점할 수 있는 귀에서 시작하는 것입니다.
      중앙은 귀나 변같은 협력자가 없습니다. 오로지 내 돌로 만들어 나가야 하는 곳입니다.
      세력이란 내 돌로 변과 귀를 만드는 것과 같습니다. 내 돌로 만들었기 때문에 배신하지 않는 충성스런 협력자입니다.
      내 편이 득실한 곳이니 적군이 함부로 근접했다가는 살아 돌아갈 확률이 낮아지는 것이죠. 반대로 내 입장에서는 든든 지원군이 있으니, 중앙으로 더 뻗어 나가거나 상대방이 선점한 귀나 변의 침투가 용이하고, 상대방이 중앙으로 진출하는 것도 막을 수 있죠.
      가장자리부터 4선 이내의 공간은 변과 귀의 세력권이고, 5선부터는 중앙이라 볼 수 있습니다.
      바둑판이 가로 세로 19줄이기 때문에, 중앙의 면적은 (19 - 4 - 4) * (19 - 4 -4) = 121 교차점이고,
      변과 귀의 총 면적은 19*19 - 121 = 240 교차점이 됩니다.
      만약 네 귀와 네 변을 상대방에게 모두 내어 주고 중앙을 전부 차지 하더라도 바둑은 집니다.
      그러나, 프로의 세계에서는 그럴 확률이 매우 적죠.
      귀의 면적은 4*4 = 16이고, 변의 면적은 11*4 = 44입니다.
      만약 상대방에게 세 귀와 세 변을 내어 주는 대가로 한 귀와 한 변만 차지하고, 중앙에 공을 들여 중앙을 전부 차지한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내가 차지한 면적은 121 + 14 + 44 = 181 입니다. 이 경우 상대방이 차지한 세 귀와 세 변의 면적이 180 (361 - 181)밖에 안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중앙 + 한귀 + 한변을 차지하는 쪽이 이길 확률이 높겠죠. 만약 거기에서 한귀만 더 차지한다면 아마 바둑은 뒤집기 어려울 것입니다. 귀가 아닌 변을 차지한다면 압살하는 수준이겠지요.
      이런 의미에서 세력은 귀나 변 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라서, 변이나 귀를 주고 세력을 선택하는 것에 주저하지 않는 것입니다.
      참고로, 위의 면적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절대로 저런 식으로 계산되지 않습니다.

  • @OPERATION1541
    @OPERATION1541 4 ปีที่แล้ว +2

    05:18 보통여기에서 33에 침입을 하는걸로 아는데 33으로 안가고 날일자로 걸친 이유는 뭔가요?

    • @user-pt1zj4dw4x
      @user-pt1zj4dw4x 4 ปีที่แล้ว +2

      옛날바둑이라서요..

    • @OPERATION1541
      @OPERATION1541 4 ปีที่แล้ว

      @@user-pt1zj4dw4x ? 양날개 급소가 33인건 옛날바둑이라도 알던 시기인데요...... 요즘은 묻지마33이지만 옛날엔 양날개가 나오면 33으로 일반적으로 가던거 아닌가요?

  • @user-ki7lx5pu2o
    @user-ki7lx5pu2o 3 ปีที่แล้ว +2

    은근히 이세돌사범을 디스많이하는듯

  • @pony7750
    @pony7750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구리???세계 브론즈. 똥메달 ㅎㅎ

  • @sclee5313
    @sclee5313 4 ปีที่แล้ว +2

    처음 도입부에 항상 사설이 긴 것 같아요.

    • @user-wz6un4bn7p
      @user-wz6un4bn7p 4 ปีที่แล้ว +1

      다루는 내용 자체가 길다기보다는 중언부언+군더더기가 지나치게 많아서 그렇더군요.

  • @user-cn2ym5sk5s
    @user-cn2ym5sk5s 4 ปีที่แล้ว +1

    알파고 대국에 커제가 아니라 이세돌 국수가 뽑힌게 신진서가 아닌 이유겠죠

  • @user-wr4wv1ve9l
    @user-wr4wv1ve9l 4 ปีที่แล้ว +1

    인공지능해설좀줄여주죠! 지루함다. 그냥해설로설명만해주셨으면.

  • @user-qe1oz6ui2o
    @user-qe1oz6ui2o 4 ปีที่แล้ว +2

    했던얘기 몇번하노

  • @user-gr8mr4io9c
    @user-gr8mr4io9c 2 ปีที่แล้ว +1

    과장썰 무지푸네

  • @user-qe1oz6ui2o
    @user-qe1oz6ui2o 4 ปีที่แล้ว +2

    쓸데없는 얘기가 너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