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과, 건축공학과 / 진로가 다릅니다. 자격증부터가 다르니까요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ก.พ. 2025
  • 딸 수 있는 자격증에 따라 진로도 달라집니다. 우리나라의 자격 관리 시스템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건축학과와 건축공학과에서 따게 되는 자격증은 어떻게 다른지, 진로를 바꾸려 할 때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알아봅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0

  • @santacruzroque
    @santacruzroque 2 ปีที่แล้ว +19

    정보가 좀 부족해보여서 한 말씀드립니다.
    건축공학과가 아닌 건축학과에도 4년제와 5년제가 있습니다.
    학인증제도 절차를 통한 SPC수료가 모두 이루어지고 심사를 거쳐 승인받은 학교가 5년제 학인증을 받은 건축학과인 것이지요.
    따라서 각 대학교 건축학과에 따라 졸업 후 건축사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은 차이가 크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 @mamahil1899
    @mamahil1899 3 ปีที่แล้ว +2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승현-u9t
    @승현-u9t ปีที่แล้ว +2

    저도 서울4년제건축과 졸업하고 예비시험 합격해서 실무경력 쌓는중입니다.. 이미 시험자체는 끝나긴했지만 26년까지 4년제도 건축사 취득가능해요. 지금 학위는 공학학사인데 건축기사라던가 실내건축기사같은것도 가지고있어요. 결론은 학과랑 현업이랑 그다지 차이가 없는 것같다..

    • @motivation8505
      @motivation8505 ปีที่แล้ว

      26년까지 가능하다고요? 아니지않나요?

    • @승현-u9t
      @승현-u9t ปีที่แล้ว +2

      @@motivation8505 폐지된 시험인 예비시험 합격자는 26년 12월 31일까지 법적으로 가능합니다 선행조건은 실무경력 5년이상

  • @하승혁-x6o
    @하승혁-x6o ปีที่แล้ว +9

    이걸 보고 학과 선택을 하시려는 분들에게 한 말씀 드리자면, 결국 건축학과를 선택하던 건축 공학과를 선택하던, 학과에 의해 진로가 너무 상이하게 바뀌는 것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1, 2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결국 건축 분야의 학과를 나오면 언제든 다양한 건축 관련 진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건축 공학과를 나왔다고 건축사를 못 따는 것도 아닙니다. 인증 가능한 대학원 교육을 이수하면, 건축사 시험 응시 자격이 생기기도 하니까요. 또한 저는 건축학(5년)을 이수하고 시공 쪽으로 빠지고 싶어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현장으로 왔습니다. 또한 현재는 법률의 제정으로 편입, 전과가 비교적 자유로워졌기에 너무 어느 학과에 갈지 고민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평으로는…. 돈을 벌고 싶다면 공학과로, 꿈을 좇고 싶다면, 학과로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 @eighteen-jy2sq
      @eighteen-jy2sq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건축학과은 돈 별로 못버나요??
      저는 설계쪽 일 배워서 나중에 엄마아빠 집도 설계 같이 해서 지어드리고싶은데 돈도 잘 벌고싶어요..ㅜ 참고로 어릴때부터 뭐 만들기를 좋아해서 건축학과에서 잡 모형 만드는걸 보고 반해서 이 학과를 원하게 되었어요. 월 500도 못버나요? 그정도면 정말 만족하는데 ㅜㅜ 애초에 저렇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힘들게 보는 어려운 시험인데 왜 돈으루잘 못번다는건지 이해가 안돼요. 그리고 그렇게 힘들기만 하고 돈도 잘 못벌면 건축하과 가는 사람들은 뭔지.. 싶어요

    • @골드러시-m4z
      @골드러시-m4z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ighteen-jy2sq설계업으로 500받기 정말 쉽지 않습니다. 메이저 설계사무소 격력이 많이 쌓인 분들정도는 되야 가능합니다. 최근에는 건설경기가 너무 않좋아서 소규모 설계사무실(아뜰리에) 경우에는 2년가량 수주를 못해서 직원들 월급주기 힘든 상황입니다. 설계업이라는게 정해진 금액이 없다보니 너도나도 저렴하게 설계비를 받는 사무소로만 가고 돈은 제대로 못받습니다. 야근과 업무강도도 많고요. 최근 젊은 사람들이 설계업에 거의 없다보니 자연스럽게 몸값이 오르게되는게 기성사실이지만 그게 언제인지는 알수 없어요.. 5년제 건축학과 졸업생입니다.

    • @vividarchi
      @vividarchi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eighteen-jy2sq 요즘 일거리가 별로없어요!

  • @뮤센치
    @뮤센치 2 ปีที่แล้ว +2

    건축공학 4년제를 나와서 건축학 대학원으로 진학하고 설계사무소에서 경력을 쌓아도 건축사자격취득을 못하나요???

    • @주현우-p5k
      @주현우-p5k 2 ปีที่แล้ว

      건국대 건축대학원만 가능한 걸로 알고 있어요

    • @민원빚쟁이
      @민원빚쟁이  2 ปีที่แล้ว +1

      건축학 외의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받은 분이라면, '건축학 인증된 건축대학원'에서 4학기 이상을 이수하면 실무수련 자격이 생긴다고 합니다.(건축사법 시행령 제6조의4 참고)
      만약 대학원 진학을 고민중이시라면 건축사협회에 꼭 정식으로 문의해 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BerryBerrylovelove
      @BerryBerrylovelove 2 ปีที่แล้ว

      저는 뮤센치님의 경력으로 작년에 자격증을 취득했어요~ 예비사 따고 건축사도 따서 마무리 하였네요~

  • @diefa5367
    @diefa5367 ปีที่แล้ว +7

    건축사는 사람을 공부하는 학문이 때문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종교 예술에 대해서 두루두루 이해가 동반이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건축물에 녹아내서 대중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요~
    기술사는 전문분야에만 몰두하시면 됩니다 즉 건축사가 녹여낸 도서를 형상화하기 위해 기술을 고민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다시말해서 건축사는 하드웨어이고 기술사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 @jojimoljojlmol4113
    @jojimoljojlmol4113 ปีที่แล้ว +3

    건축시공기술사는 전망이 많이 안좋나요? 애매한가요 ㅠㅠ😢😢

    • @Wind1023
      @Wind1023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없어도 될정도

  • @hellosimonjung7853
    @hellosimonjung7853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건축시공기술사는 건축허가와 아무 관련이 없어요.

  • @김지민-j6w5u
    @김지민-j6w5u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감빵의 지름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