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10년 동안 했던 공부를 10달만에 따라잡았어요” 노베에서 순식간에 전교 1등을 위협했던 친구 썰 | 연고티비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9 ก.ย. 2022
  • ▶ 연고티비 구독하기 bit.ly/yonkotv
    종이와 디아가 만났던 기억에 남는 친구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여러분 친구 중에는 이런 괴물 같은 친구들이 또 있나요?!
    ─────────────────────
    구독자분들의 좋아요와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유니브의 다른 채널들도 놀러오세요!
    ▶ 입시덕후 bit.ly/Ipsiduck
    ▶ 유니브클래스 bit.ly/Younivclass
    ✅ 연고티비는?
    "내 주위에 연고대 선배가 있다면?"
    연고대 선배들이 학생들이라면 궁금해할 공부팁/입시정보를 알려드리고 학생이라면 공감할 다양한 상황을 재미있게 보여드리는 입시예능채널 연고티비입니다🙌
    ✅ 연고티비 SNS
    - 인스타그램(@yonkotv) bit.ly/insta_yonkotv
    - 페이스북 : bit.ly/facebook_yonkotv
    - 네이버 : bit.ly/navertv_yonkotv
    ✅ 광고/협업 문의 : contact+yonkotv@youniv.video
    - 개인적인 공부, 진로 질문은 해당 메일로는 답변드리지 않습니다!

    ⓒ YOUNIV. Corp ALL RIGHTS RESERVED

    모든 영상의 저작권은 ㈜유니브에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엄격히 금지합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760

  • @1toTen
    @1toTen ปีที่แล้ว +3779

    공부할때 제일 중요한건 본인 의지라는걸 자주느낌..
    대학들어가서 전공보다 노는게 중요할땐 백날 수업 듣고 필기해도 몰랐는데
    나중에 진짜 내가 배우고 싶어서 하기시작하니까 너무 쉽게 느껴지고 잘되서 당황스러울정도였음..
    난 공부재능이란건 단순히 지능이 높은게 아니라, 공부에서 재미를 찾아낼 수 있는 능력같음..

    • @sslk99466
      @sslk99466 ปีที่แล้ว +31

      어딜가나 있네.........

    • @user-ms7xi9no3r
      @user-ms7xi9no3r ปีที่แล้ว +229

      단순히 의지가아니라.. 스트레스는 우선 뇌의 활성화를 막고 어떠한 일을 할때 뇌가 중요하다고 느끼는 기준이 재미라 중요하지않다고느끼면 흥미를 잃게되고 졸리고 흔히말하는 공부를 싫어하는애들이 공부할때 가지는 태도가 됨 좋아하는일을 할때는 뇌도 그 일이 필요하다고 느끼니 활성화되고 꾸준히 하게된거고 단순의지가 아니긴함

    • @user-kv7pj8og8g
      @user-kv7pj8og8g ปีที่แล้ว +132

      딱 뭔가 성취감 한번 느끼면 공부가 계속 되는것같음ㅋㅋㅋ

    • @user-cz9nz2ev2t
      @user-cz9nz2ev2t ปีที่แล้ว +2

      동감

    • @danielryu5903
      @danielryu5903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5

      이게 진짜 맞지 근데 여기서 사람들이 많이 착각하는게 공부에 대한 성취감때문에 하는 공부랑 내용에 대한 관심때문에 하는 공부랑 비교해보면 내용에 대한 관심때문에 하는 공부가 훨씬 효율이 좋음

  • @xxoulv_
    @xxoulv_ ปีที่แล้ว +8119

    진짜...재능있는 애들은 무섭기도한데 부럽다

    • @user-ef5sy6im7g
      @user-ef5sy6im7g ปีที่แล้ว +338

      진짜 한 분야에서 1등을 찍는 사람은 다른것도 도전하면 1등을 하는것 같아요

    • @user-yc2cv5hv7e
      @user-yc2cv5hv7e ปีที่แล้ว +456

      재능이 노력을 비참하게 할때마다 분하지만 부럽다

    • @leealex1720
      @leealex1720 ปีที่แล้ว +94

      공부를 즐기는 것처럼 큰 재능도 없죠… 하고싶은 목표를 세워서 단기간 공부를 하면 더욱더 효과도 더 좋구요. 저도 중고등학교때 꼴통소리 듣다 대학들어가서 프로그래밍 꽂혀서 게임만들라고 공부시작했는데 게임개발자는 비자문제로 못했지만 고등학교 동창들중에 취직은 제일 높은데로 됐습니다. 너무 자신감 잃지 말고 힘내세요. 인생은 마라톤이에요 ❤

    • @ppz4021
      @ppz4021 ปีที่แล้ว +52

      보통 재능있는 사람이 노력도 더 많이합니다.. ^^ 5시간 앉혀놓고 멈추지 말고 집중해보라고 하면 딱 나오죠. 하기 싫어도 해야하는 일에 장시간 집중할 수 있는 자기절제 의지가 더 중요합니다. 단순히 지능이 높아봐야 집중하고자하는 의지가 없으면 못해요. 보통 노력했는데 억울하다는 애들 공부하는 거 보면 1~2시간을 못가 딴짓하거나 30분도 제대로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6등급에서 올1등급 찍고 애들 과외하면서 느꼈던 점이에요. 교과서 영어도 제대로 해석 못하는 애도 집중하는 법 먼저 가르치면 2등급은 쉽게 찍더라구요.

    • @user-wn9qf5ff5e
      @user-wn9qf5ff5e ปีที่แล้ว +12

      진짜 공부는 재능

  • @user-yu4rw4mu2t
    @user-yu4rw4mu2t ปีที่แล้ว +5077

    예전에 과고생일때 진짜 미친 재능을 가진 얘들을 봤었죠.. 전날 벼락치기해서 1등급 찍은 친구나, 심심풀이로 독일어, 영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들을 독학하는 얘들이 있었습니다. 최상위권으로 갈수록 재능의 격차가 더욱 심해지는 것 같아요..

    • @Cate_kim
      @Cate_kim ปีที่แล้ว +455

      얘들X 애들.
      왜케 얘 애 구분을 못하는 사람이 많냐

    • @user-lh3hw8dk2t
      @user-lh3hw8dk2t ปีที่แล้ว +374

      전날 벼락치기 1등급이 아니라 너가 안볼때 공부한 거임

    • @user-dn4ym8xc5l
      @user-dn4ym8xc5l ปีที่แล้ว +342

      @@user-lh3hw8dk2t ㄴㄴ 진짜 벼락치기인경우 있음

    • @user-co3pn7iw3n
      @user-co3pn7iw3n ปีที่แล้ว +135

      @@user-lh3hw8dk2t ㄹㅇ 이미 과탐이나 수학은 1-2바퀴 돌렸을 듯

    • @stewardfir7068
      @stewardfir7068 ปีที่แล้ว +130

      @@Cate_kim ㄹㅇㅋㅋ 발음 자체가 다른데 존나 답답

  • @SuperWhaup
    @SuperWhaup ปีที่แล้ว +3233

    어느 한 분야에서 경지에 오른 사람이면 다른 분야에서도 잘 할 가능성이 큼 성취하는 과정이 비슷하기때문에 영상 속 친구는 집중력을 쏟던 분야가 게임에서 공부로 바뀐거말고는 달라진게 없는듯

    • @user-fs1wm4wk1r
      @user-fs1wm4wk1r ปีที่แล้ว +1

      게임에서 암만해도 브론즈인 애들은?

    • @Aesthetics0010
      @Aesthetics0010 ปีที่แล้ว +83

      @@user-fs1wm4wk1r 브론즈 애들특징이 무지성으로 한다는거임. 피지컬이 후달리는 뉴비인 경우도 있지만 그게 아니면 걍 생각없이 게임하는기 대다수임

    • @YACookie1024
      @YACookie1024 ปีที่แล้ว +7

      @lch 아무리 생각해도 과연 챌린저를 달 수 있을까?

    • @user-hl7bu8no4m
      @user-hl7bu8no4m ปีที่แล้ว

      @@YACookie1024 다이아까진 진짜 공부하듯이 하면 뇌로만 가능함

    • @MelodySorrow
      @MelodySorrow ปีที่แล้ว +13

      아님. 공부 잘하는거 게임 잘하는거 다른 경우도 많음. 내 남편 게임 개 못하는데 머리는 개좋음.
      반대로 게임 잘한다고 공부 잘하는 것도 아님.

  • @user-zo5mj5cg6l
    @user-zo5mj5cg6l ปีที่แล้ว +3387

    게임에서 순위권인 분들은 정확하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고 기억하고 필요한 기억을 떠올리는 처리과정이 진짜 빨라도 너무 빨라서 동시에 계산하나 싶을정도.. 이런이유때문에 멀티테스킹이 한때 유행한적있는데 오히려 그렇게하면 안되고 각 단계마다 처리속도를 빠르게 해야함

    • @user-ir5jj9ye7q
      @user-ir5jj9ye7q ปีที่แล้ว +219

      저도 fps류는 랭커도 찍어보고 거의다 최고랭크였는데 확실히 코딩 공부1년째하면서 느낀게 이해하는데있어서 막힌적이 거의 없긴함 축복인듯

    • @lovephysicsi7379
      @lovephysicsi7379 ปีที่แล้ว +146

      ㅇㅇ 웬만한 게임들은 어느정도 수준 이상으로 가면 갈 수록 머리쓰는 요소도 점점 많아지고 운동신경도 요구함

    • @user-rx9lt7ry9l
      @user-rx9lt7ry9l ปีที่แล้ว +3

      @@user-ir5jj9ye7q 지금 1년차신건가요?
      코드포스 랭크가 어느정도 되시는지

    • @ppz4021
      @ppz4021 ปีที่แล้ว +121

      제가 그랬어요. 독학으로 수능 딱 500일 남겨두고 전과목 5~6등급이었는데 반년 공부하고 1과목 빼고 다 1등급, 하나는 2등급 받고 고3 동안 오르락 내리락 계속 올려서 수능 때까지 전부 최상위 1등급 맞췄습니다. 스트레스는 많이 받았지만 스탑워치로 일 공부량 8~10시간 채울 정도만 하니까 수능 범위가 그렇게 넓지도 않고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도 않더라구요. 하기 싫고 모르는 부분을 빠르게 집중해서 배우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 @dtbb6133
      @dtbb6133 ปีที่แล้ว +18

      어떤 분야든 위에있는 사람들 특징임. 하나의 일에 10단계까지 과정이 있다면 이 10단계까지 과정이 물흐르듯이 지나감. 우리가 2×2=4라는걸 왜 그렇게나오는지 의식하지않고 계산하는거랑 똑같음. 걍 그 문제에 대한답이 머리에서 바로 그려짐.

  • @user-wf5eh2bz4n
    @user-wf5eh2bz4n ปีที่แล้ว +2456

    고등학생일때 피부로 느껴본 건데 게임 잘하는 애들은 기본적으로 머리 돌아가는게 엄청 빠른 것 같습니다. FPS같은 순수 피지컬 말고 롤같은 전략같은게 중요한 게임 잘하는 친구들이 특히 더 공부를 잘하던 기억이 있네요. 근데 그런애들 궁금해서 물어보면 대부분 다 초등학생, 중학생 때 공부로 전교권에서 놀던 친구들이였는데, 어느샌가 공부에 싫증을 느끼거나 회의감을 느끼고 게임으로 갈아탄 애들이더라고요.

    • @user-bk9rj8wl5o
      @user-bk9rj8wl5o ปีที่แล้ว +45

      난 왜 랭킹 80도 찍은 적 잇는데 왜 공부에 재능이 없을까

    • @user-zd1cg4kg8z
      @user-zd1cg4kg8z ปีที่แล้ว +90

      @@user-bk9rj8wl5o 암기를 못해서?

    • @user-we5jv8jn4w
      @user-we5jv8jn4w ปีที่แล้ว +113

      보통 그런 재능들은 한지 얼마 안돼서 최상위티어로 올라감..

    • @user-xi1mg5hz5f
      @user-xi1mg5hz5f ปีที่แล้ว +50

      @@user-bk9rj8wl5o 님은 본능적일 확률이 높아요 제 친구들 중에서는 체육 잘하는 애들이 보통 게임도 빨리빨리 배우더라고요

    • @sincere2wb
      @sincere2wb ปีที่แล้ว +75

      fps같은 순수 피지컬 좋은 게임 잘하는 사람들이 순발력이 좋아서 보통 공부 성적도 좋은 경우가 많아요. 신뢰도 높은 연구결과도 있어요.

  • @PJ-zf2im
    @PJ-zf2im ปีที่แล้ว +859

    집중력의 차이 아닐까요? 같은시간을공부해도 의지에따라 너무 공부한 수준이 차이나는거같아요.
    어떨땐 잠깐문제풀고 눈돌렸는데 몇시간이지나있는경우도있고 10분만해도 멍해지는경우가있는데 전자의상태만 유지되면 같은시간공부해도 후자보다 몇배는 더 효율적이에요.
    위기감없이 그냥 해야지 할땐 기출한권을 푸는데 한달이걸렸는데 그냥 눈돌아서 하니까 하루에 문제집하나 다풀수있더라구요

    • @user-ne8di8tu8d
      @user-ne8di8tu8d ปีที่แล้ว +94

      의지+머리입니다. 머리좋은애들은 확실히 이해? 흡수(?)하는 속도부터다름. 하긴 다 다른 사람인데 공부머리도 다른게 당연하겠지만요.

    • @user-xi1mg5hz5f
      @user-xi1mg5hz5f ปีที่แล้ว +6

      전 문제 하나 막히면 좌절이라,,ㅠ

    • @user-hn8vm2we4d
      @user-hn8vm2we4d ปีที่แล้ว +53

      근데 이것도 막 재능이다 이러고 싶은 건 아닌데 ㄹㅇ 재능이 있으면 내가 강의 4번듣고 이해하는거 걔네는 1번에 이해함.. 나는 4번 듣고 좌절하고.. 늦어지고 계속 진도 늦춰지고 복습못해서 스트레스 받으면서 뎌뎌지는데 확실히 재능있으면 공부에 속도나 흥미붙이기가 훨 수월한 거 같음

  • @user-uc1ll1ne3q
    @user-uc1ll1ne3q ปีที่แล้ว +630

    저도 재수학원에서 만난 친구 있었는데..1월달에 미분이 뭔지도모르는 친구였는데(다른과목도 쌩노베) 9월모평 때 전과목에서 3개틀리는거 보고 진짜 현타쎄게 왔었어요 ...ㅋㅋ

    • @user-tw4zs5hy5k
      @user-tw4zs5hy5k ปีที่แล้ว +171

      ㅁㅊ..하.. 더 노력하자구요 평범함을 인정하고 미친듯이 노력하자

    • @user-gh5el9si7y
      @user-gh5el9si7y ปีที่แล้ว +1

      재종기숙학원 다니셨나요

    • @Pepeloni708
      @Pepeloni708 ปีที่แล้ว +1

      그친구 어떤과녹 수능봣어요.

    • @user-th5vz6od1p
      @user-th5vz6od1p ปีที่แล้ว +17

      어떻게 수학에서 3개가 아니라 전과목에서 3개를 틀리냐 노베가 ㅋㅋ

    • @user-us5pz1og9j
      @user-us5pz1og9j ปีที่แล้ว +11

      미친..노력하면 하버드도 그냥 갈듯

  • @user-qh4zn4wy9q
    @user-qh4zn4wy9q ปีที่แล้ว +297

    처음 말해주신 썰은 그 친구의 재능도 있지만, 도와주신 분도 너무 잘 도와줘서 공부에 맛 들이실 수 있으셨던 듯.

  • @user-ms9xd5im3e
    @user-ms9xd5im3e ปีที่แล้ว +264

    사람들이 종종 저런 분들을 머리가 천재여서 재능이라고 하는데 단순히 머리가 좋아서 재능이라고 하는 것보단 남들보다 더 많은 시간 집중할 수 있다는게 재능이라고 하는게 맞는듯

    • @user-et7zo1jh7d
      @user-et7zo1jh7d ปีที่แล้ว +59

      틀렸음 재능있는 애들은 더 많은 시간이 아니라 짧은시간에 많은 걸 머리에 넣음 근데 단점 재능있는 애들은 끈기가 쫌 약함
      그리고 효율성이 떨어짐 자꾸 한가지 하다가 삼천포로 새서 다른걸 또 찝쩍대고있음

    • @enterre5721
      @enterre5721 ปีที่แล้ว +1

      우이-

    • @user-xi1mg5hz5f
      @user-xi1mg5hz5f ปีที่แล้ว +1

      @@user-et7zo1jh7d 그게 접니다,, 수학학원 3주다니고 앵간한 문제 다 풀 수 있지만 결국 학원은 1달더 안 다니고 끊음,, 애들이 나한테 수학을 물어본다,,

    • @user-tg5wy9dr6t
      @user-tg5wy9dr6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xi1mg5hz5f수학은 재능 별로 안 타요

  • @user-pk8pi2ym4l
    @user-pk8pi2ym4l ปีที่แล้ว +206

    정말 공부에 재능이 특화된 사람이 존재해요 ㅎㅎ
    사고력과 논리력 독해력이 우수한 사람들이 분명 있죠 저도 공부 열심히 했지만 수학만큼은 정말 재능의 영역이란 생각이 들만큼 노력에 비해서 차암 형편 없었던터라 절망했던 지난과거들이 떠오릅니다 ㅎㅎ
    대신 전 영어단어는 안쓰고도 잘 외워지더라구요 문법을 딱히 신경 안쓰고 공부해도 영어성적만큼은 노력에 비해 넘 잘 나왔고 탑이었어요. 결국 우리모두는 특정분야에 특화된 것이 있어요 그걸 찾아내는 시행착오가 나의흥미가 되고 전문분야를 만들어주는 것이죠.
    하나의 성장기라고 생각해도 무방해요.
    인생은 길어서 이런학습으로 인한 나의 인생테크?는 30세까지는 영향을 줍니다.
    그 이후는 의지, 인성, 운 등 정말 여러가지의 혼합체로 새롭게 다가와요.
    유년기의 추억정도로 옛날을 회상할수 있게된 나이가 된 지금 학생들에게 말해주고 싶네요.
    기펴고 살라고 ..
    다 잘하려는것보다 하나 잘하는걸 찾으면 인생 성공할수 있다고요😁😁😁😁

  • @mmingmmingne8288
    @mmingmmingne8288 ปีที่แล้ว +170

    인정하고 내가 알려주던 친구에게 물어보는게 쉽지않을텐데 것도 고등학생이... 정말 멋지고 대단하네요

  • @user-ht5zd3rv5v
    @user-ht5zd3rv5v ปีที่แล้ว +423

    이런분들은 세상에 몇 없으니 다른 세상에 산다고 생각하고 본인 할것만 집중하면 꼭 좋은 성적, 그 이상으로 나오니까 화이팅합시다! 전국 고3 화이팅!!!

    • @hfirm6872
      @hfirm6872 ปีที่แล้ว +2

      스카이 가면 널렸음

    • @user-hl7bu8no4m
      @user-hl7bu8no4m ปีที่แล้ว +15

      @@hfirm6872 ㄴㄴ 스카이는 재능 있는 애들 많지만 영상처럼은 아니고 노력 ㅈㄴ 함 재능 못지 않게

  • @user-sv7xq8yq6i
    @user-sv7xq8yq6i ปีที่แล้ว +626

    게임하는 애들 중에 머리 좋은 애들이 많더라구요.. 학교 다닐 때 저는 매일 몇 시간씩 공부해서 얻은 점수를 그 친구는 책 한번 보고 따내더라구요... 심지어 다 맞을 수 있었는데 그 친구가 물어봐서 제가 알려준 문제가 시험에 나왔었는데 제가 잘못 알려줘서 그거 틀렸었어요ㅋㅋㅋㅋㅋㅋㅋ

    • @user-bk1hl5ls3u
      @user-bk1hl5ls3u ปีที่แล้ว +188

      정확히 말하면 게임 잘하는 애들 중에 머리 좋은 애들이 많음ㅋㅋㅋ

    • @user-ym8qb1fu3n
      @user-ym8qb1fu3n ปีที่แล้ว +25

      @@user-bk1hl5ls3u 닉네임 미쳤냐곸ㅋㅋㅋㅋㅋㅋ

    • @abc123ef45
      @abc123ef45 ปีที่แล้ว +10

      그 와중에 오답도 외워버리는 클라스... 사실상 100점이네여ㅋㅋㅋㅋㅋ 어딜가나 그런친구들 잇는거 같아요

  • @user-mv9gh9vc7s
    @user-mv9gh9vc7s ปีที่แล้ว +152

    제 주변에도 그런 애가 있었어요. 학교도 일주일에 3번 나오면 많이 나오고 그것도 대부분 급식 먹기 전에 조퇴하고 수업 시간에는 잠만 자고 쉬는 시간 때 일어나서 친구들이랑 떠들고... 수행은 진짜 시작하자마자 백지 내고 엎드리고. 고등학생인데 루트를 어떤 식으로 풀어야하는지도 모르는 노베였거든요. 근데 어느날 수학 수행 바로 직전 자습시간에 좀 도와달라고 해서 진짜 완전 기본적인 것만 알려주는데 그 얘길 듣더니 아 이 소린가? 그럼 얘는 이런 식으로 하면 되겠네? 하면서 알려주지도 않은 부분을 완벽히 이해하고 풀더라고요. 그리고 그 친구는 그날 수행 만점을 받았습니다. 그때는 얜 진짜 공부 머리가 있네 싶었는데 그 이후 미술 논술 시험 보는데도 쉬는 시간 때 애들이 프린트 뽑은 거 잠깐 빌려서 훑어보고도 만점을 받더라고요. 엄청 깐깐하셔서 만점 받는 애들 몇 못 봤는데. 아 이런걸 재능이고 천재라고 하는구나 싶었고 뭔가 씁쓸하고.. 괜히 열등감도 생기고...

  • @user-vl2es3vs5k
    @user-vl2es3vs5k ปีที่แล้ว +17

    안녕하세요. 수험생이 된 예비 고3입니다. 국어 노베이스 9등급 공부 어떻게 뭐부터 시작해야하나요?
    제 상황을 먼저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고 2 2월달에 엘리트 출구 선수생활을 그만두고 10달동안 공부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정말 좋은 대학교에 가고싶고 내신은 고1때 다 망해서 앞으로의 내신은 다 버리고 수능 고득점을 노리려고 정시 준비중입니다. 고득점을 위해선 물론 모든 과목이 늦었지만 수학이 가장 급하다고 생각해서 10달동안 수학만 엄청 팠습니다 중 1 소인수분해부터요 영어 단어만 외웠습니다 그 이외에 아무것도 한게 없습니다 수학은 고 1 2학기 2차고사때 4점을 받으면서 9등급이 나왔고 2학년 2학기 2차고사는 9등급에서 3등급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2차고사가 끝날때 물론 수학만 높였지만 하면 되는구나 싶어서 학교 수업도 수학 이외에 이해가 전혀 가질 않고 새벽에 학교 끝남과 동시에부터 새벽에 공부 하고 학교에서는 자면서 생활을 10달동안 했습니다 그래서 2차고사를 본 동시에 자퇴를 결정하고 엊그제 12/2일에 자퇴를 했습니다 정말 한다면 잘 하고 누구보다 열심히 할 자신은 있습니다. 그렇지만 평생 운동만 해왔다보니 공부를 어떻게 시작해야할지가 정말 막막합니다 수학은 학원을 다니고 있고 국어랑 영어는 인강으로 하려고 하는데 (과탐은 생지 하려고 하는데 이것도 인강으로 달달 외우려고 합니다) 인강은 이번에 메가스터디 메가패스로 끊었습니다. 영어는 조정식의 시작해부터 시작하려고 하고 하고 있습니다. 그치만 국어는 정말 진짜로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감도 안오고 정말로 막막합니다 서론이 정말 많이 길어서 죄송합니다 어디다 말할곳도 없고 털어내는 마음으로 길게 써봤던거같습니다. 궁극적인 질문은 국어는 대체 뭐부터 어떻게 시작하고 공부해야하는건가요? 선배님들,전문가분들,해결책을 아시는분들 제발 저에게 도움을 주세요.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새벽에 공부하다가 정말 막막해서 이렇게 글로 적어봤습니다.

  • @seunghyeonbeaugarconlee390
    @seunghyeonbeaugarconlee390 ปีที่แล้ว +115

    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고등학생인데 이영상을 보고 매우 도움이 되었고 종이와 디아님이 말해주시는 말이 매우 도움이 됬던거같아요 노베에서 어떻게 순식간에 전교 1등을 헉 진짜 썰을 들으면서 저도 이렇게 노력하면 될까 하고 고민도되고 감사합니다 무슨 감정을 느꼈는지도 들어보니까 놀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aygoxdbye
    @saygoxdbye ปีที่แล้ว +174

    근데 진짜 노력을 저만큼하는 거 자체가 재능이다…

    • @user-xd6ms8mm3j
      @user-xd6ms8mm3j ปีที่แล้ว +19

      ㄹㅇ 애초에 공부 동기부여 받는 거, 죽을 정도로 노력하는 거, 재미 붙이는 거 싹 다 재능이라고 생각함..

    • @user-xi1mg5hz5f
      @user-xi1mg5hz5f ปีที่แล้ว

      @@user-xd6ms8mm3j ㄹㅇ 그런 사람들은 뭘 해도 잘하니까,,

  • @user-kg4fb2do8g
    @user-kg4fb2do8g ปีที่แล้ว +123

    그런 애들이 있음 공부를 전혀 안하다가 갑자기 해서 전교권드는 친구들
    공통점
    1. 공부가 아니더라도 어느 한 분야에서 탑을 찍음 (주변의식 신경 쓰지 않고 후회없이 미련없이 애매하게 하지 않고 미친듯이 한다는 소리임)
    2. 본인이 공부를 해야겠다고 의지를 가지고 느낀 사람

  • @user-sg3yc7yp8e
    @user-sg3yc7yp8e ปีที่แล้ว +41

    디아님 혹시 인스타로 질문 가능할까요?안 믿기시겠지만 전에는 아예 저도 공부를 놓아버렸는데 7 8등급에서 바로 다음 시험에 미적,확통 시험 1등한 경험이있는데 개인적으로 질문하고싶은 점이 생겼네요.

  • @leechul97
    @leechul97 ปีที่แล้ว +844

    여자분 뭔가 기자,아나운서 느낌나네.. 나중에 언론사에서 일하면 잘어울릴듯

    • @dibidibidip00
      @dibidibidip00 ปีที่แล้ว +184

      디아 언론홍보영상학부 맞아요

    • @Yooooseopqhxba
      @Yooooseopqhxba ปีที่แล้ว +170

      목소리가 진짜쥬음…

    • @soorieagles
      @soorieagles ปีที่แล้ว +132

      딕션이나 톤이 그냥 아나운서 준비하시는 듯 완전 귀에 때려박네

    • @user-zy3ny4md6k
      @user-zy3ny4md6k ปีที่แล้ว

      아나운서 루트 밟으면 될 듯

    • @suneung666
      @suneung666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미미미누 채널에 발표영상 있는데 그냥 아나운서임..

  • @user-tl6jd7ci2w
    @user-tl6jd7ci2w ปีที่แล้ว +402

    와 듣기중간에 지문 푸는거 생각도 못해봤는데....
    역시 최상위 클라스가 다르긴하네요.
    어차피 시간이 남아서 마지막 시험이라 빨리풀겠다는 생각이 없었는데....
    저정도 되면 거의 외국어 영역은 무조건 1등급 찍겠네요. ㄷㄷㄷ

    • @Ash-sk3ch
      @Ash-sk3ch ปีที่แล้ว +50

      저정도가 이상한거지 보통 특별한 사고를 요구하지 않는 문제들은 다들 풀어요

    • @user-tl6jd7ci2w
      @user-tl6jd7ci2w ปีที่แล้ว +4

      @@Ash-sk3ch 아 요세는 그러는군요. 발전했네요.
      시작전에 마지막 문제 읽는거 까지는 생각했는데
      중간중간 풀겠단 생각은 못해봄요.
      일단 리스닝이 약해서 그런거도 있고...
      그당시도 지금도 영어고자라....
      올 1등급인데 영어만 4등급 ㅠㅠ

    • @ssion30
      @ssion30 ปีที่แล้ว +111

      요즘 거의다 듣기할때 지문 풀던데

    • @ThePKKim
      @ThePKKim ปีที่แล้ว +26

      05수능 본 사람인데
      예전에도 잘하는 학생들은 듣기 때 지문 봤어요
      다만 어설프게 볼 바엔 그냥 듣기 완전히 해라라는게 당시 잘 나가던 강사의 입장이었어요

    • @Merovingian2003
      @Merovingian200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어 입니다..

  • @aspyn7284
    @aspyn7284 ปีที่แล้ว +106

    현 예비 중3인데 진짜 수학에 재능있는 얘가 있어요. 처음엔 아무리 재능이 있어도 노력을 이길 순 없다라는 마인드로 살았는데,요즘 제 모습을 봤더니 그냥 익숙해져서는 쟤는 그냥 천재야 이런 생각이 익숙해진 제 모습을 보니 저 스스로가 한심하기도 하고 마음이 어지러웠는데 이 영상 덕분에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또한 동기부여도 되었어요!하루에 문제집 한 권이라니.. 대단하신 분이였네요! 그리고 영상 감사합니다!

  • @tytubee16
    @tytubee16 ปีที่แล้ว +23

    그 친구는 진짜 머리빨인데다 질리지 않고 트라우마가 없어서 가능 했던겁니다... 그치만 그걸 가능한 사람들이 별로 없어서 그렇게 아이를 방치할수가 없어요... 그 집 부모님이 기다려주는게 대단하신거임
    근데 인터뷰하신분이 정말 자존감 높고 좋으신분 같아요

  • @-brawlmania
    @-brawlmania ปีที่แล้ว +1293

    진짜 불안해서,
    맨날 하겠다고 다짐하는데,
    항상 안하니 결과는 처참하고...
    진짜 빡공할거에요.... 시험 249일 남았는데 간절히 임하여 꼭 합격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clura3875
      @clura3875 ปีที่แล้ว +27

      허수

    • @-brawlmania
      @-brawlmania ปีที่แล้ว +5

      @@gdy4505 옛날에 한ㄱㅓ..

    • @peace9380
      @peace9380 ปีที่แล้ว +46

      초6?이 벌써 이런 채널을... ㅋㅌ
      저때는 다 노는 거 아니었나??

    • @vivava7747
      @vivava7747 ปีที่แล้ว +15

      잠시 그런 다짐을 하고 이틀갈뿐
      그다음부턴 공부도 애매하게 노는것도 애매하게 할 거야

    • @user-cu1vh4ty6g
      @user-cu1vh4ty6g ปีที่แล้ว +38

      난 58일 남았다..

  • @user-kf4gy8uh3s
    @user-kf4gy8uh3s ปีที่แล้ว +341

    ㅋㅋㅋ 저도 수학이 재밌어서 고2 중반까지 정말 다른과목 아예 안하고 수학만 배우다가 대학가겠다는 목표로 1년 반 이악물고 했더니 고2 3모 72788 에서 고3 9모 21112까지 올라왔네여 재능을 물려주신 부모님께 항상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 다들 수능 파이팅

    • @user-hg2sw4yi5d
      @user-hg2sw4yi5d ปีที่แล้ว +44

      와 저도 고3때 바짝에서 7등급에서 1.3등급까지 올렸어요 ㅋㅋ 노력하면 다 됩니다~!!

    • @user-se8qd3gl5i
      @user-se8qd3gl5i ปีที่แล้ว +2

      어떻게 하셨나요?ㅠㅠ

    • @user-xd6ms8mm3j
      @user-xd6ms8mm3j ปีที่แล้ว +77

      이런사람들은 재능인건가? 물론 당연히 노력도했겠지만... 애초에 수학 좋아하는 사람중에 머리 안 좋은사람 본적이 없긴함

    • @user-hn8vm2we4d
      @user-hn8vm2we4d ปีที่แล้ว +44

      @@user-xd6ms8mm3j 어떻게 수학을 좋아할 수가 있지ㄹㅇ 중딩땐 몰라도 고딩 올라가고나서부턴 수학이 재밌어질 수 있는 과목이 맞나 싶음 진심으로

    • @user-gx7zp8xj7m
      @user-gx7zp8xj7m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user-hn8vm2we4d 어려운걸 풀다보면 이게 풀리네? 싶은 재미가 있는듯

  • @Akina-no-hachiroku
    @Akina-no-hachiroku ปีที่แล้ว +91

    와 그래도 디아님 그 친구 분한테 충분히 질투심을 느낄만도 한데 오히려 같이 더 친해지고 전우애가 생겼다는게 더 대단하신거 같아요..!

  • @user-ic2fx3yu3s
    @user-ic2fx3yu3s ปีที่แล้ว +70

    근데 누구나 다 자기가 잘하는 분야가 있으니까 (없으면 아직 안해본거) 공부에 재능있는 친구 보고 너무 좌절하진 말았으면.. 학생 땐 그게 제일 큰 재능이겠지만 살아가면서는 또 다른 재능들도 많이 중요함 뭘 하느냐에 따라서 다름 물론 뭘 할지는 아직 모르는게 당연함 겪어봐야 알지 해본적도 없는걸 하고싶은지 말은지 어떻게 앎.. 살면서 언젠가 알게 됐을 때 그때 가서도 방향을 트는게 어렵지 않을 기반만 있으면 됨 지식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주변 사람들이랑 즐거운 추억 많이 만들고 주변에 관심 갖고 자기 일에도 애착 갖고 (재밌든 재미없든) 인생 소중히 여기면서 사는게 그냥 중요한듯.. 뭐든 가치를 부여해야 가치있는거지 처음부터 절대적으로 가치있는건 없는듯.. 부 명예 권력 좋은 차 좋은 집이 그 자체로 행복이진 않음 거기에 어떤 의미나 추억이나 가치가 들어있어야 행복이니까.. 그건 상대적인거라서 지금 당장 오늘 내 하루에서 아무런 가치도 못 찾으면 부든 명예 권력이든 뭐든 원하는거 가진들 처음엔 좋겠지만 조금 지나면 똑같음.. 옷 갈아입는다고 사람이 바뀌는건 아니잖음 입은 옷만 바뀐거지

  • @neonrain8716
    @neonrain8716 ปีที่แล้ว +76

    게임에서 전국 2위 찍었다면 절대적인 원석임~
    p.s. 하지만 보석 다듬어줄 사람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 언급되는 친구는 알려진 절대 고수로 통해 성장하는 기연을 얻었군!

  • @user-mv8ey1yl3o
    @user-mv8ey1yl3o ปีที่แล้ว +53

    요즘 시험기간이라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는데 마침 이런영상이…. 같은반에 4시간 자면서 진짜 열심히 하는애 있는데 걔보면 한편으로는 못하는게 없어서 짜증나지만 덕분에 자극받아서 더 열심히 하게되더라고요 그치만 나의 정신은 피폐해져 가고• • •

    • @Joohyunjoohyuny
      @Joohyunjoohyuny ปีที่แล้ว +11

      헤헤 시험기간에는 아무래도 많이 예민해지고 스트레스 받죠..ㅠㅠㅠ 그럴 땐 남 보지 않고 내게 집중하기!!!🤍 화이팅이에요☺️

  • @user-zh2wb4dg9g
    @user-zh2wb4dg9g ปีที่แล้ว +106

    아직 중학생이긴 하지만… 수학 하루에 한 권 풀기가 어쩌면 굉장히 간단한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게 제가 선행이 좀 많이 늦는 바람에 이제 수(상) 진도를 겨우 끝냈는데 진짜 마음 먹으면 수(상) 문제집 하루에 한 권도 풀리더라고요…
    (아 물론! 수(상)이라 영상 속에서 소개되었던 분이 푸셨던 것 보다는 훠어어얼씨이인 쉽긴 하겠지만요…ㅋㅋㅋㅋ)
    +) 근데 진짜 영상에서 소개된 분들처럼 하려면 재능도 재능이지만, 확실히 공부가 재미있어야 가능한 것 같아요. 저 같은 경우에는 선행은 늦었지만 공부에 흥미를 느끼고 있기에 공부하는 시간과 그 양을 늘려도 별 문제가 없는데 저 보다 선행이 빨라 이미 더 높은 수준을 풀고 있는 그 똑똑한 친구들도 흥미가 떨어지니 아무리 쉬운 거라도 하루만에 다 풀지는 못 하더라고요… 다들 공부 재밌게, 열심히 하시기를 바라요!!

    • @user-og6ej9up5x
      @user-og6ej9up5x ปีที่แล้ว +29

      수학 상은 고1 올라가는 겨울방학때 해도 충분해요... 절대 늦은거 아님 수학 선행은 반학기만 해도 충분함

  • @user-bj9rz2hv5s
    @user-bj9rz2hv5s ปีที่แล้ว +127

    본인 고2인데 친구중에 수학 진짜 잘하는 애 있음 내가봤을땬 걍 수학 말고도 다른 분야에서도 머리가 좋음 수학 기본 개념서 한번 공부하고 바로 고3 자이풀어도 거의 안틀리던데…. 과탐같은 시험준비는 항상 늦게 시작해서 문제도 많이 못풀고 항상 1등급 킬러 어려운 문제 몇개만 풀어보고 시험장 들어가더라고요..ㅌㅋㅋ 쉬운건 안틀릴 자신이 있어서… 시험기간인데 문제 많이 안풀어놔서 ㅈ됐다 이러고 있으면 그냥 어려운거 몇개 풀어보면 되지않아? 이러는데…자괴감 ㅋㅋㅋㅋ ㅜㅜㅜ

    • @user-fz9gt4jf8w
      @user-fz9gt4jf8w ปีที่แล้ว +21

      그 사람 이미 선행마친 사람일 가능성 꽤 높습니다....ㅎ
      물론 선행여부랑 상관없이 잘한다는건 머리가 좋긴한가보네여

    • @user-seaoflove
      @user-seaoflov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와 ㄹㅇ...고1때 수학 안 해서 5~6찍던 친구 갑자기 공부 열심히 해서 고1 수학 최종등급 1찍음ㅋㅌㅋㅋㅋㅋ

  • @user-vy1nv4pz4d
    @user-vy1nv4pz4d ปีที่แล้ว +19

    남성분이 상대방 듣고 싶어하는 얘기를 참 잘 해주는 거 같네. 머리 좋은 것도 부럽긴 한데 저런거 캐치해서 말 잘 해주는 그런 능력이 더 부럽다

  • @user-hj8bk9uv6m
    @user-hj8bk9uv6m ปีที่แล้ว +82

    공부 재능있는 사람이 착하기도 해서
    너무 다행이고 부럽네.
    뭐 어때 저 분은 저 분이니깐 잘하시는거 박수 쳐주고 우리는 우리꺼 잘하러 갑시다!

  • @zxerd
    @zxerd ปีที่แล้ว +32

    시간대비 성적이 잘나왔다는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린듯
    겉으로보기에는 쓴 시간이 훨씬 적어보여서 시간대비 점수가 높은것 처럼 보여도
    깊이 들여다보면 그만큼 유효하게 사용하고있는 시간이 남들보다 많기때문에 가능한것

  • @kanghyn25
    @kanghyn25 ปีที่แล้ว +47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문제 물어보는것도 전 정말 대단한 건라고 생각합니다

  • @user-zc9mz6kn1y
    @user-zc9mz6kn1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9

    무엇보다 친구를 인정해준 마음가짐이 너무 멋있어요:) 이런 태도를 가져야 전교 1등을 하는군요

  • @user-rl7ik9kk4n
    @user-rl7ik9kk4n ปีที่แล้ว +39

    오와... 제가 중학교 때 공부 열심히 하다가 춤 시작하고 과학중점고 진학했다가 자퇴하고 혼자 검정보시 보고 대학까지 혼자 준비해서 춤으로 갔다가 (실기라서 수능 X) 다른 꿈이 생겨서 냅다 휴학하고 독재 등원한 지 일주일째인데... 어딜 둘러봐도 노베이스에서 해낸 사례가 안 보여서 ㅜ 부모님이 믿어주신 덕분에 편하게 공부하고 있는 건데 결과가 드러나지 않으면, n년 데이터 쌓인 다른 친구들의 절대적인 수학 지식을 이겨내지 못 하면 어쩌나 걱정이 많았는데 ㅠㅠ 제대로 하고 싶어서 올해는 마음 놓고 수능 보고 내후년에 진학 예정인데 희망을 주셨네요 감사합니담... 말씀대로 저 같은 입장에서 찐으로 공부는 재미있어요 몰랐던 걸 새로 알게 되는 것도 좋구 매일매일 새벽연습하기 바빴는데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서 공부하는 규칙적인 생활도 너무 좋구요! 아마 이게 1년 넘으면 지겹겠지만 ㅎ.ㅎ 사실 수능은 안 봤어도 22학번 경험이 있지만 ㅋㅋ큐ㅠ 24학번 돼서 썰 풀러 연고티비 출연하고 싶당 춤추는 연고티비 멤버 분들은 꼬옥... 동아리 안에서 만나길 바랍니댜 (근데그전에졸업하시겟죠?🥺)

  • @user-he6hr3rb5n
    @user-he6hr3rb5n ปีที่แล้ว +42

    게임으로 전국2등을 찍었는데 집중력 장난아니겠지ㅋㅋㅋㅋㅋㅋㅋㅋ

  • @user-ib9fc2zp9q
    @user-ib9fc2zp9q ปีที่แล้ว +26

    공부 재능은 흔히 말하는 지능도 있지만 끈기가 진짜 타고나는 듯. 아무리 머리 좋아봐라 하기 귀찮고 게으르면 잔머리만 늘고 성적은 안 늘음 ㅜㅜ

  • @taiminkim8913
    @taiminkim8913 ปีที่แล้ว +12

    어릴때의 학습은 하나를 끝내려는 시도를 하기보단 이것저것 시도해보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잘 안되는거 한가지만 잡고 있기보단 여러가지 새로운 경험들을 제대로 해보고 돌아오는게 낫다고 생각합니다. 한가지로만 절대 얻지 못하는 감각들이 너무 많아요.

  • @user-cc7tx8gh6s
    @user-cc7tx8gh6s ปีที่แล้ว +12

    다시 태어나서 저런인생 살고싶다 하면 뭐든 잘하는 인생은 진짜 얼마나 재밌을까

  • @Imqueen902
    @Imqueen902 ปีที่แล้ว +344

    듣기할 때 리딩 문제를 다 푸는게 인간이 할 수있는 영역인가..?

    • @user-mt5jn1uy3q
      @user-mt5jn1uy3q ปีที่แล้ว +29

      솔까 연습하면 30번까진 가능해도 그 뒤는 집중이 안돼서 안풀리던데 정말 대단 ㅜㅜ

    • @user-jv1hy4cn9n
      @user-jv1hy4cn9n ปีที่แล้ว +2

      에반디

    • @user-bk1hl5ls3u
      @user-bk1hl5ls3u ปีที่แล้ว +32

      듣기 시간 25분 동안 독해만 해서 다 풀어도 미친건데 듣기를 하면서 ㅋㅋ

    • @2w051
      @2w051 ปีที่แล้ว +2

      한국어 시험지가 그렇게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할만하지 않나요?

    • @kck404
      @kck404 ปีที่แล้ว +1

      규격 "외" ㄷㄷ

  • @user-cm4xj5ns5d
    @user-cm4xj5ns5d ปีที่แล้ว +8

    저는 저분이 더 멋있다고 생각해요
    저것도 마음이 진짜 넓고 자존감도 있어야 가능한거라서

  • @user-lg2to4wo4l
    @user-lg2to4wo4l ปีที่แล้ว +118

    공부의지나 동기부여는 엄청나고 심지어 공부가 재밌게 느껴졌는데.. 동기부여=공부에 집중할수 있는 능력을 올려준다. 라는 착각으로 공부를 했지만,, 순 공부시간이 턱없이 부족하면서, 장기전으로 갈수록 집중력이 떨어지는 자신을보고, 공부도 재능이구나 느끼고 갑니다..

  • @user-ze1ou9qw4u
    @user-ze1ou9qw4u ปีที่แล้ว +48

    역시 공부는 즐겨야하는구나.. 나도 가끔가다 재밌다고 느낄 때가 있지만 그게 게임 만큼 재밌는 건 아니잖아…😢

  • @joecho5794
    @joecho5794 ปีที่แล้ว +155

    다들 애쓰네요. 공부잘해서 좋은대학도 가면 좋죠. 근데 아무리 서울대 나와도 사회 나오면 또 다른 세계랍니다. 마치 그 수많은 노력들이 무의미하게 느껴질만큼요. 모두 화이팅!

  • @user-ww7mc4py5u
    @user-ww7mc4py5u ปีที่แล้ว +43

    공부잘하는 사람들 보면 집중력이 대단함.

  • @user-pt5zj9qq5g
    @user-pt5zj9qq5g ปีที่แล้ว +176

    확실히 공부에 재능있는 사람이 있지만 입시는 참고 노력하면 원하는 결과가 나오는듯.

  • @TheYoosb7
    @TheYoosb7 ปีที่แล้ว +8

    공부머리 따로 있는거 맞아요. 기숙학원 같은데 가보면 24시간 1년간 같이 있어서 얼마나 공부하는지 서로 보여서 처절하게 느낌

  • @user-kg6bo9pq2r
    @user-kg6bo9pq2r ปีที่แล้ว +78

    옛날에 실력정석 공부할 때 5시간 넘게 공부해서, 겨우겨우 이해해서 연습문제 20문제 정도 다 풀어서 갔는데...
    우리반에 한 친구는 정말 40분만에 다 푸는거 보고, 진짜 힘이 빠지긴 하더라.

  • @user-xi6iq7td5n
    @user-xi6iq7td5n ปีที่แล้ว +20

    진짜 공부는 머리빨을 느낀게 노베이스인 얘가 빡공해서 의대간거 옆에서 보고 확실히 느낌 성적 오르는게 하루하루 느껴졌음

  • @user-ne7ue4oc6d
    @user-ne7ue4oc6d ปีที่แล้ว +41

    세상에 참 대단한 사람은 많다...

    • @user-nk1ib1tm1e
      @user-nk1ib1tm1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쵸 유튜브 보면서 참 많이 느껴요 나이 어려도 인생2회차 이신분들 참 많아서 깜짝. 놀라요

  • @user-qt1le5ho3s
    @user-qt1le5ho3s ปีที่แล้ว +13

    중딩땐 재능이 어느정도 성립이 되겠지만 노력으로 충분히 커버됨 근데 고딩부터는 솔직히 재능의 영역이 좀 큰듯,, 나도 공부는 재능이라고 말하고 노력 안하는 애들 싫었는데 학년이 올라갈 수록 점점 재능이라는 게 느껴짐 물론 그렇다고 노력 안 할건 아니지만 재능이 어느정도 작용하는건 맞음 진짜

  • @jenniescalett
    @jenniescalett ปีที่แล้ว +7

    화이팅.. 할 수 있다!👊🏻

  • @user-ys3hj5oy8r
    @user-ys3hj5oy8r ปีที่แล้ว +19

    근데 진짜 집중력차이인것같음ㅠㅠ
    난 adhd 땜 몇년간 집중력약먹다가 좀 나아졌다고 느껴서 의사와 상의 후에 끊었는디 얼마전에 약 한알 남아있는거 보고 혹시하고 먹어봤는데 너무...너무 다르더라ㅠㅠ
    같은 공부인데 질 자체가 다름.

    • @user-ok4uj3hp4g
      @user-ok4uj3hp4g ปีที่แล้ว +9

      adhd도 단지 뭐 호르몬이나 뇌연결이 보통사람과 아주 조금 다른 걸 텐데 삶에 끼치는 파장은 어마무시한 것 같음.... 세상 살기 참 복잡하다 ㅋㅋ

  • @jhy322002
    @jhy322002 ปีที่แล้ว +55

    나도 롤 챌이였는데 겜으로 안될거 같아서 수능 공부 시작했는데 기숙 들가서 11개월 공부하고 수능 4개틀렸는데 재능이 있게 태어나서 감사하긴 함

    • @user-rk6ez4cz4f
      @user-rk6ez4cz4f ปีที่แล้ว +10

      수능나이전에 챌 찍으면 프로게이머중에서도 상위재능 아님?

    • @user-lw7dg2bh5y
      @user-lw7dg2bh5y ปีที่แล้ว

      @@user-rk6ez4cz4f 그러게요

  • @Tlqejr
    @Tlqejr ปีที่แล้ว +13

    게임에서의 성적이 높은 프로게이머들과 게임을 잘 하는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머리가 좋은 것인데 게임은 한 번에 여러가지 정보와 상황들이 뇌에 들어오는데 그 여러가지 정보와 상황들을 다른 유저들에 비해 더 빠르게 처리하고 정리하여 그 상황에 맞는 최적의 플레이를 생각해내기 때문에 뇌에서 정보 처리과정이 엄청나게 빠르다 그래서 게임 잘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머리가 좋다.... 실제로 제 아는 지인 분 중에 프로게이머 지인 분이 계셨는데 그 프로게이머 분의 학교 성적은 항상 전교권이였다고.... 게임 연습은 게임 연습대로 하시면서....

  • @user-ct1dp9tw5v
    @user-ct1dp9tw5v ปีที่แล้ว +5

    공부 하는대로 머리에 쏙쏙 박히니 성과가 나오고 할맛이 나니 더 할 수 밖에

  • @user-yz7xd6bo7w
    @user-yz7xd6bo7w ปีที่แล้ว +7

    내 사촌동생도 고3현역때 정시로 지방의대,경희치대 갈성적나왔는데 ㅋㅋ
    근데 중학교때까지 공부1도안했었음. 학원레벨테스트에서 탈락했을정도였으니ㅋㅋ
    본인말로는 고1,2때 잠 하루에3시간밖에 안잤다는데 노력도 ㅈㄴ게하긴했지.
    근데 머리가 더 중요한거같음. 고3올라가는 겨울방학때 미적분을 처음 배웠다는데 그해에 수학가형100점찍음ㅋㅋ 누구는 몇년을해도1등급 나올까말까한 수학가형을 바로 1년만에 100점찍고 물1화1도 50,50맞음. 국어만 2나와서 지방의성적나왔는데 본인피셜 수능한달전쯤에 게으름 안피웠으면 수능만점나왔을거라는데 ㅋㅋ ㅈㄴ쩔긴하네

  • @junghyunkwon1787
    @junghyunkwon1787 ปีที่แล้ว +5

    '공부잘하는 나'가 주는 자신감이나 자존감이 먹힐 때가 좋은 때였던듯 ㅋㅋ

  • @user-mi8yl6kn6v
    @user-mi8yl6kn6v ปีที่แล้ว +25

    ㅋㅋ 수학문제때문에 연습장 엄청써가면서 고심하고있었는데 갑자기 옆에오더니 30초도 안되서 심지어 암산으로 툭 답 던지고 간 친구 기억나네

    • @user-ic2fx3yu3s
      @user-ic2fx3yu3s ปีที่แล้ว +14

      알고보니까 막 걔도 전날 풀었던 문젠데 생각하는척

  • @shoveler_kaist
    @shoveler_kaist ปีที่แล้ว +9

    이게 딱 상대적인 박탈감이 미친듯이 오는 케이스지..나도 머리가 빠가여서 뭐 하나 이해하는데 한나절이 걸리는데 똑똑한 친구는 한번 슥보고나서 이해하고 노는걸보고, 약간 자괴감 든적 많았음. 이게 내가 상황이 여유가 있으면 '똑똑한 애들도 있지뭐' 라고 하는건데 내 앞길이 막막하면 솔직히 그렇게 생각하기 쉬운일은 아님....

  • @user-jb4bp5xp1s
    @user-jb4bp5xp1s ปีที่แล้ว +6

    이번 영상 공감됨~ 울 애도 이정돈 아니지만(지금 중3) 중1까지 핑핑 놀아서(책도 안읽음) 세종대왕 업적도 모를 지경이었는데 중2시험 보기 시작하면서 그나마 벼락치기로 평균 93정도는 나왔는데 중3 1학기 시험후(2학년때보단 열심히 함) 전교3등 인거 알고(2학년땐 등수를 안알려줘서 자기 등수 몰랐음) 지금 1등한다며 열심히 하는중. 지금 공부하며 알아가는 맛에 재밌어하고 수업시간에 자기만 다아는거에 대해서도 신기해함. 근데 워낙 기본이 없어서 중1수학도 다시하고 역사 사회 기본도 다시 배우고..
    공부는 너무 놓지만 말고 적당히 하다 자기가 할때 되면 하는게 맞는듯. 어릴때 부터 빡세게 시키면 다들 나가떨어지더라고요.

    • @user-ic6od8gs8q
      @user-ic6od8gs8q ปีที่แล้ว

      ㅇㄱㄹㅇ

    • @mkp2329
      @mkp2329 ปีที่แล้ว

      울 아들 초딩 때 너무 놀다가
      중딩 때는 코로나 때메 학교 수업도 건성으로
      중 2때 생전 처음 학원 등록하고 오던 날 좋은 시절 끝났구나 눈물이 또르르 구르더니...
      노는 시간을 킵하려고 그러는 건지 공부하는 시간은 짧은데도 집중력이 끝내줌...
      투입 시간 대비 결과가 상당히 좋음.

  • @jj-yp4yi
    @jj-yp4yi ปีที่แล้ว +8

    울 조카도 공부 안 했는데
    집중력은 최고..(공부는 안 하지만..책 보는게 취미~~인문사회과학계열 박학다식, 암기력, 이해력 짱)
    지 엄마가 애가 고3방학 때~~하루에 4시간만 공부하면 나머진 자유시간이라는 조건을 걸었는데..ㅎㅎ
    스카이 바로 밑 레벨로 문과에서 젤 높은과 갔음....
    세상은 불공평함.

  • @user-gs6ej6bj6k
    @user-gs6ej6bj6k ปีที่แล้ว +4

    한 일에 꾸준히 집중할 수 있는게 가장 큰 재능인듯

  • @user-gx9bc9cx8r
    @user-gx9bc9cx8r ปีที่แล้ว +8

    이 영상의 요지는 게임 잘하는 놈이 공부잘한다는게 아니라 공부아니라 하나에 집착하고 집중하는 능력을 가진 사람은 분야를 바꿔서 공부를 해도 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 @Zamwayo
    @Zamwayo ปีที่แล้ว +38

    와 약간 닥터스스토리같음 역시 사람은 못할때 무시하면안돼;..

  • @Ganul_
    @Ganul_ ปีที่แล้ว +5

    와 듣기 끝나고 엎드리는건 진짜 무섭다,,,재능에 노력이면 진짜 아무도 못건들이는 천외천이 되는구나

  • @blacklabel4053
    @blacklabel4053 ปีที่แล้ว +18

    운동도 재능이 많은 영향을 주잖아 단지 노력으로 어느정도만 커버가능하듯 공부도 그렇지뭐 연고대는 정말 노력으로 커버 가능하잖아

  • @user-kq6gd8yo6q
    @user-kq6gd8yo6q ปีที่แล้ว +3

    옆에서 저런 애들보면 바로 현타오지...학교다닐때 수학좀 해보겠다고 방정식 예습에 본수업에 복습까지 했는데도 잘 이해 안가던걸 친한친구놈은 단번에 이해하고 그걸 나한테 설명까지해주던 기억이...그길로 수학 포기함...내가 죽도록 했던걸 남들은 저렇게 쉽게 이해하는구나 그런생각이랑 타고난 머리는 따라잡을수가 없겠구나란 좌절감...ㅠ

  • @saaha4399
    @saaha4399 ปีที่แล้ว +10

    노베이스에서 그정도 될정도면 걍 찐 천재아닌가 걍..ㅈㄴ 부럽네

  • @user-ym1zc8zn5w
    @user-ym1zc8zn5w ปีที่แล้ว +8

    만들어진 수재가 아닌 선천적인 천재들 있어요..
    그친구들 한번 겪어보면 알게됩니다.
    평범한 두뇌를 가진 친구들이 아무리 노력해도 안되는...
    그때는 그냥 인정해 주세요. 그게 마음이 편합니다.
    저는 고등학교 동창중에 그런 녀석이 있었는데 시험보는날 해당과목 시험공부를 10분전에 합니다.
    책을 펴놓고 시험범위를 확인한후 목차부분을 보면서 책내용을 연상합니다.
    잘 생각이 안나면 그부문만 펼쳐서 내용확인...
    5~6분정도 목차를 보면서 연상을 하고 나서 시험공부 다 했다고 책을 덮어요.
    결과는 당근 100점...
    근데 인생은 꼭 머리좋다고 성공하는건 아닙니다.
    머리좋은 친구들의 단점은 실패에 아주 취약합니다.
    한번도 실패한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사회에서 한번 실패하면 스스로 무너지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평범한 두뇌로 이런 천재를 이기는 방법은 실패를 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꾸준히 가면 결국 이깁니다.

  • @user-oz1zi1tr2c
    @user-oz1zi1tr2c ปีที่แล้ว +7

    집중력도 부럽고.. 체력도 부럽다..ㅋㅋㅋ 난 고등학교 올라오고 점점 잠이 많아져서 힘듦..ㅠㅠ 어떻게 2시까지 밖에서 공부하냐..

  • @leegm9264
    @leegm9264 ปีที่แล้ว +175

    진짜 과외만 있고 학원같은거없던 시절
    돈있는 경우나 과외할수있던 시절
    그당시만해도 전설처럼 아니, 실제 사례로 학교마다 선생님이 가르쳤던 제자들 얘기하시곤 했는데
    특히 남자아이들 경우가 많았슴
    실컷 놀다가 고3때 집중해서 공부해서 서울대 가는 경우
    그만큼 남자아이들이 집중도가 어마무지했슴
    지금도 여자애들 공부잘하는 경우는 대부분 꾸준하게 열심히 해서 합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남자애들은 이렇게 벼락치기로 몰빵해서 합격하는 사례가 꽤 있었슴
    걍 남자애들 유전자가 그런거같음 뭐든 살아날려면 목숨걸고하려는 태고적 유전자가 남아있는거같음
    죽기아니면 살기로 생존하려면! 그래서 남자들이 일찍죽는다고들 하지

    • @korensexygay
      @korensexygay ปีที่แล้ว +15

      호르몬의 차이죠

    • @findnewworld8865
      @findnewworld8865 ปีที่แล้ว +8

      알겠는데 일찍 죽는거랑 뭔 상관임

    • @daeqgglo
      @daeqgglo ปีที่แล้ว +47

      건 케바케 인것같은데…

  • @user-hb8es4yk3f
    @user-hb8es4yk3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교육 아예안하고 평소에도 수업시간에자는데 모고는 수학 빼고 올1 나와요 물론 문과^^
    수학은 안 하다보니 5등급정도 나오는데 국어는 어렸을때 책을 많이 읽었어서 ㄱㅡ냥 읽다보면 괜찮고 영어는 해외 한달 연수 다녀왔던거+ 중학교 영어 마스터 정도?
    사탐은 생윤같은거 사상가랑 입장 모르는데 보기에 나온 사상가 말을 읽고 내가 그사람이면 어떻게 생각할까… 하다보니 한 문제?정도 틀리더라구요 한지는 여행갈때도 지도 앱 키고 뭐가 유명하고 어떤지 찾아보며 가는 편이라 그런가 딱히 교과서 안 보고 풀어도 풀만햇는데 음 부모님 학벌 생각하면 공부가 유전이 되는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재능도 필요하고 배경지식이 되게 중요한 것 같아요. 전 평소에 궁금한게 생기면 끝까지 파서 이해하지 않으면 흥미가 떨어져서 확실히 단순 암기 처럼 하는 냐신 준비같은건 재미없어서 못 하겠더라구요. 수능 가까워지다 보니 이제 노력의 필요성을 만ㄹ이 느낍니다

  • @user-sw3tf6nz8l
    @user-sw3tf6nz8l ปีที่แล้ว +7

    ㅋㅋㅋ연대인지 고대인진 모르겠지만 후배분들 귀엽네요

  • @user-fz5bj5pe2w
    @user-fz5bj5pe2w ปีที่แล้ว +3

    영상에 소개된 사람들은 모두 한가지를 위해 다른 것을 포기할 수 있는... 그런 사람인 것 같아요

  • @user-vl6qm2lt9j
    @user-vl6qm2lt9j ปีที่แล้ว +8

    저런 학교 다니면 골치 아퍼짐... 진짜 수준이 비슷하면 상관이 없겠지만 가면 날라댕기는 애들이 허다함... 숨쉬듯 자존감 깎이며 지내는 거임

  • @user-cm3tt9kp3z
    @user-cm3tt9kp3z ปีที่แล้ว +40

    저희 학교에 딱 한명 있었음...부모님은 서울대 의대 나오셨고 의사신데 이 친구는 내신도 별로고 모의고사도 4 5 등급 받고 롤 메이플 던파 이런거 좋아하던 친구임. 3월 모의고사 였나? 6등급이라는 어마무시한 성적을 받고 같이 집가는데 나한테 '아 진짜 인생 이러고 살면 안될꺼 같아' 하면서 게임 싹 지우고 코피 터지면서 공부하는데, 그 당시 EBS 연계 때문에 EBS 문제집 전권 사서 개념서하고 문제집을 달달 외움. 어느 정도 수준이였나면, 한달 후에 ebs 문제집이 너덜거려서, 물쏟았냐? 하면서 얘기하는데 책장 펴서 '54페이지' 얘기하면 그 단원은 ~단원이고 ~종류의 문제고 ㄱ ㄴ ㄷ 보기중에 ㄱ은 뭐 때문에 정답이고 ㄴ은 뭐 때문에 틀리고~를 읊을 정도임. 당연히 개념은 풀 암기...책을 거의 사진찍은거 마냥 정확하게 외웠고 옆에 자세한 설명도 다외움. 답안지는 물론...수학은 어느정도 머리가 있었는지 바로 따라감. 수학 점수가 낮은 이유가 대충 풀다 안풀리면 자서 그런거 같음. 내신은 그래도 던졌는데, 수능 성적표 나왔을때 전교에 있는 교사들 다 놀람. 올 1등급은 아니였던걸로 기억은 하는데, 논술 전형으로 연세대 공대 갔음. 후기 들어보니까 자기도 자기가 이렇게 암기력이 좋은 줄 몰랐다고 얘기하는데 좀...부러웠음. 대학 들어가서 놀다가 학고 좀 맞고 군대 다녀와서 엄마 아빠 처럼 의대 가고싶다고 재수 해서 의대 간건 들었는데 어디로 갔는지는 모름...
    학원 같은것도 다녔는데, 그 선생님들이 과목별로 관리해주고 하는 학원이였다고했는데 학원비는 모르겠음.

  • @user-iz5yt2bt3h
    @user-iz5yt2bt3h ปีที่แล้ว +6

    전 외고 나오고 미국의 명문대에서 박사 까지 땄습니다만 고딩 때 공부 잘하는 거 그거 뭐 그냥 젊은 시절 키가 유난히 커지는 사람과 별로 안 크고 멈추는 사람이 있는 것과 비슷한 것임. 별거 없음.... 외고나 대학 때 잘했던 친구들 오랜만에 만나면 그냥 뭐 다 그냥 평균보다 조금 더 잘나가는 사람에 불과.... 다 거기서 거기요. 좀 잘나간다고 행복하란 법도 없고. 행복한 길을 택하세요.

  • @user-tr8nf9tl9g
    @user-tr8nf9tl9g ปีที่แล้ว +10

    저는 문학 너무 좋아하고 고2때 관동별곡이 길던데 뭔가 얘를 이기고 싶고(?) 그냥 외우고 싶어서 계속 문학책을 체육시간이나 쉬는 시간마다 틈틈히 봤어요. 그 때의 저 진짜 대단했죠. 그래서 고2 첫 기말고사요? 잘 봤죠! 국어 60점대에서 80점대로 올렸습니다ㅋㅋㅋㄱ 진짜 뭔가 지금도 관동별곡하면 제가 꼭 이긴 문제들...이런 생각이 듭니닼ㅋㅋㅋ ㅋ 저한테 관동별곡은 그 당시 시험을 잘 치게해준 제 친구죠

  • @Otter_Hyuk
    @Otter_Hyuk ปีที่แล้ว +6

    공부는 재능으로 하는게 아니고 엉덩이싸움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엉덩이싸움도 재능인것같음

  • @Qqqqyuha
    @Qqqqyuha ปีที่แล้ว +10

    와 이거 인정하는 부분 중 하나가
    나도 중2까지 다 던지고 살았는데
    어머니도 딱히 신경을 안쓰셨음 .. 다른애들은 초등때부터 열심히 공부해서 공부라는 성취감을 잘 모르는애들이 많아보였는데
    내가 중3 1학기때 꿈이 생기고 공부를 시작함
    어머니에게 부탁해서 공부학원도 등록하고
    내가 점점할수록 점수가 오르고 C가 A가 되면서 엄청난 희열을 느끼게 됨 ....
    ( 하지만 공부방법도 모르고 그냥 막 시작한거라서 성적이 확 오르진 않음 )
    맨날 수업때 잤는데 학년 오르고 안자고 엄청 열심히 듣는거 선생님들이 다 알아보니까
    어떤것이 너를 이렇게 작용하게 만들었냐고
    신기하다고 말할 정도였음 지금도 열심히 하는중임 항상 공부가 재밌음 ^^^^ 예전에 60점 맞아도 나 잘했어 ~~ 이였는데
    지금은 90점 이하 맞으면 너무 아쉽고
    눈물이 나오는 단계.... ㅋㅋㅋㅋ
    약간 애들과 다른 역작용인듯
    초 부터 중2까지 던진이유를 tmi로
    말하자면 어머니가 운동을 시키셨는데
    코치하고 애들한테 따돌림 당하거나
    대회출전을 잘 안시켜주고
    수업도 안해줘서 결국 그만두게 됨 .
    그 이후로 내 충격을 어디 전할곳도 없고 모든것을 잃은 느낌이라서 게임만 ㅈㄴ돌림
    나름... 감정적으로 힘들었음

  • @user-jb7gm7lv4h
    @user-jb7gm7lv4h ปีที่แล้ว +6

    그 사람은 그냥 머리가 좋은거임. 재능

  • @user-wo4bp2eo3e
    @user-wo4bp2eo3e ปีที่แล้ว +4

    약간 분위기를 술자리느낌?으로 하면 더 좋았었겠당 학창시절 썰 푸는 느낌으루다가 ㅎㅎ

  • @user-zh9xn6xh2x
    @user-zh9xn6xh2x ปีที่แล้ว +8

    이거 보는데 왜 눈물이 나지

  • @jonghokim9256
    @jonghokim9256 ปีที่แล้ว +11

    저도 고2때까지 운동선수하다가 공부해야겠다고 결심하고 전국 190등으로 대학갔는데요~다들 머리빨 아니냐고 하는데 절대 머리빨 아닙니다. 진짜 공부하다가 엠블란스 실려간적 있을정도로 노력했는데 머리빨이라고 하는 말 들으면 내 노력이 평가절하되는거 같아서 속상하더라고요~ 누구나 절실함을 가지고 열심히 하면 잘 할 수 있다고 전 생각합니다.

    • @user-uu9df8vr7g
      @user-uu9df8vr7g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머리빨 맞고 평가절하 아님

  • @user-wg3kk6eb5r
    @user-wg3kk6eb5r ปีที่แล้ว +13

    게으른 사람은 노력하는 사람을 못이기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못 이긴다

  • @dd-ql4tm
    @dd-ql4tm ปีที่แล้ว +14

    영어 6~7등급 나오다가 시험 이틀전에 영어 잘하는 친구가 푸는 문제집 궁금해서 물어봤는데 넌 노베라 어려울거다.하며 안알려주길래 몰래 문제집이름보고 2일만에 다 풀어서 3등급 받았음. 기출문제긴 했는데.. 개념+기출심화 바로 하려니까 힘들었음.. 근데 하고나서 느낀건데 머리좋은 애들이었다면 뭐 더 높은등급도 받앗겠지만, 3등급 받으니까 공부할땐 독기가 중요하구나.. 싶었음

  • @user-goldeneunga
    @user-goldeneunga ปีที่แล้ว +46

    집중력이 아마 게임 오래해서 최상일 듯 저번에 이런 케이스 봤었는데 그분도 중학교 때 프로게이머 지망했었다고 함ㄷㄷ 나도 중딩 때 게임할 걸

    • @user-lm1cj5mx4m
      @user-lm1cj5mx4m ปีที่แล้ว +35

      게임을 오래해서 집중력이 좋은게 아니라 집중력이 좋아서 게임을 하는거다....

  • @hoyaoh
    @hoyaoh ปีที่แล้ว +10

    무언가에 끝까지 최선을 다해 노력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무엇을 해도 최선을 다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죠.

  • @newcochanel
    @newcochanel ปีที่แล้ว +1

    듣기하다가 리딩동시에 한다니 대단ㅎ 정신없던데ㅋ
    나도 오래전이지만 02수능에 영어 1개틀렸지만 그정도는 무리던데ㅎ

  • @user-yo5kn3eq5w
    @user-yo5kn3eq5w ปีที่แล้ว +17

    재능도 물론 있겠지만 사람은 절실함이 있으면 가능한거죠 단지 그 절실함을 느낄정도로 노력을 대부분 안해서 그렇고 머리가 좋은 사람들이 있는건 맞습니다 공부도 요령인거죠 그냥 앉아있는 시간이 길다고한들 그 자리에 머물러 있는 사람도 많고 어느 일이든 공부든 요령이 있다고봅니다 그 요령을 얼마나 자기것으로 만드는지가 재능이라고 보고요

    • @user-xd6ms8mm3j
      @user-xd6ms8mm3j ปีที่แล้ว

      절실함을 갖는것도 재능 아닐까요 절실해지고싶다고 절실해지는게 아니잖아요..

    • @user-yo5kn3eq5w
      @user-yo5kn3eq5w ปีที่แล้ว

      @@user-xd6ms8mm3j 절실함은 재능이 아니죠 상황이 그렇게 만드는게 대부분 집구석에 빨간딱지 붙고 부모 돌아가시면 그때서야 깨달겠지요 이때까지 본인이 편하게 살았다는걸 세상은 돈이 전부가 아니라는데 틀린말은 아니죠 단지 돈이 90프로 영향력 나머지가 돈으로 해결 안돼는것들

  • @user-bb3tb8oi8s
    @user-bb3tb8oi8s ปีที่แล้ว +9

    일단 빈칸이 리스닝 끝나고 시작이라는 대화내용에서도 박탈감을 느낍니다😂

  • @cgkim9895
    @cgkim9895 ปีที่แล้ว +2

    사실 공부나 게임이나 기본기는 비슷합니다. 게임 잘 하는 친구는 공부도 어떻게 하면 잘 하게 되는지 알아요.

  • @user-lj7qv4je1j
    @user-lj7qv4je1j ปีที่แล้ว +2

    내 친구 중에도 진짜 재능 미친 애 있는데 국어도 문제집 풀거나 학원 다닌 적 없는데 국어는 계속 1 나오고 비문학은 진짜 어려워도 1개 틀림.. 수학도 전국형 자사고 문제 쉽게 풀고..

  • @user-ol5bw7yj1z
    @user-ol5bw7yj1z ปีที่แล้ว +64

    갑자기 왜 이 영상이 알고리즘에 떴는지 모르겠지만.. 초등학교 때부터 열심히 공부한 애들도 꾸준히 하면 당연히 잘갑니다. 저는 중3 때 부랴부랴 일반고 가겠다고 공부하고 일반고 가서도 안하다가 고1 여름방학 때 시작했는데그때 제일 친한 친구는 초딩때부터 열심히 했고 맨날 전교권 들었습니다. 제 공부도 엄청 많이 도와줬고, 제가 학원 다니는 거 별로 안 좋아해서 수학 영어 필수적인 것만 다녔는데 과학 국어 등 다 가르쳐주고 했습니다. 그 친구 지금 스카이 의대 갔고, 저는 지방 의대 왔습니다. 영상에 여자분도 결국 연세대 (고려대인가요? 처음봐서 잘 모르겠습니당 댓으로 알려주세용) 합격하셨잖아요..물론 저도 엄마가 수학쌤 아빠가 의사셔서 재능이 없다고 볼 수 없지만 괜히 열등감 가지지 마세요. 더 오래한 사람이 더 잘 살아남는 법이에요.

    • @user-gs3qm5px1o
      @user-gs3qm5px1o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1 여름방학때부터 공부 시작하셔서 지방의대 대단하시네요..!!! 저는 고1 내신 완전 망쳐서 그냥 정시로 대학가는게 더 빠를것 같아요..😂😂

  • @user-rj3kg7qo4v
    @user-rj3kg7qo4v ปีที่แล้ว +7

    노력이 재능이지 뭐 멋있다

    • @user-et3pe8hv3f
      @user-et3pe8hv3f ปีที่แล้ว +1

      노력이 재능인거랑 기본 베이스가 재능인거랑은 큰 차이가 있음

  • @estp2151
    @estp2151 ปีที่แล้ว +4

    이거 자극 지대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