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최근 평양 교통 . 먹거리. 생활모습 / - Recent food life in Pyongyang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9 ก.พ. 2025
  • 북한의 수도 평양직할시는 인구 304만 명(전
    체인구의 12.4%)의 면적 1,747㎢(전체면적의
    1.4%)인 대도시로, 18구역, 2개군(음 2개, 동 284
    개, 리 75개, 노동자구 10개)으로 되어 있다
    북한은 도시에서 대중교통의 기본수단을 무궤
    도전차로 보고 있으며, 버스 교통을 일부 배합하
    여 도시교통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평양 지하철은 평양시 중심거리를 따라 동서, 남
    북 2개의 노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7개 중심구역
    을 지나고 있다. 평양 지하철은 1973년부터 1987
    년에 걸쳐 4단계로 점차로 건설, 개통되었다.
    평양지하철은 김일성이 소련과 중국을 방문을 통해 국
    방상의 목적과 평양 시내 도시교통문제 해결방안
    으로 건설 필요성이 적극적으로 검토되었다. 본격
    적인 건설은 1968년부터 당시 소련과 중국의 기
    술지원 하에 공사가 개시되었으며, 주로 북한 군
    대의 노동력이 동원되었다.
    평양을 기종점으로 하는 간선철도는 평의선, 평
    부선, 평나선, 평남선, 평덕선이 있다. 평양 역은
    주로 장거리 특급, 국제여객열차가 운행되고 있
    고, 서평양역, 보통강역, 대동강역에서 보통열차
    가 도착한다. 평양 시내의 통근 열차로는 간리-승
    호리간이 운행되고 있으나, 철도는 평양시의 역내
    주 교통수단은 아니다.
    현재, 평양의 도시교통은 만성적인 전력난과 운
    송수단의 노후화, 전시행정적인 도시계획과 교통
    시스템과의 연계성 저하로 정시성, 안전성, 쾌적
    성, 경제성을 상실하는 등 매우 심각한 중증을 앓
    고 있다. 지하철의 경우, 전력난으로 정전으로 인
    한 차량 운행중단조치가 빈발하며, 지하 100m의
    엘리베이터 운행도 정지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
    다. 또한 평양을 기종점으로 하는 고속도로의 경
    우, 군작전용차량, 외국인관광객 수송차량, 혁명
    전적지 참관 차량, 지역 간 노선버스 이외에는 차
    량 운행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평양-남포, 평
    양-개성, 평양-향산, 평양-원산 이동 차량은 고속
    도로로 대신 1급도로나 시내 도로를 이용해야 하
    는 비상식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평양이라는
    도시에서의 교통은 주민들의 생활상 편의 증진이
    라는 논리보다 국방의 논리, 소위 혁명의 수도로
    서의 정치적 논리가 우선되는 한 그 해결책을 모
    색한다는 것은 막연한 실정이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