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합니다. 저는 박사과정 2학기 생인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현상학적 연구를 하고있는데, 직접인용할 때 원래 글보다 조금 많이 들여쓰기를 해야 하잖아요? 그 때 어느만큼 들여서 써야하는지에 대한 규칙이 있나요? 아니면 내가 들여쓰고 싶은 만큼 들여서 쓰면 되나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항상 도움이 많이 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A라는 논문의 원저자가 있습니다. B는 A논문을 인용하여 논문을 썼습니다. C는 B논문을 보고 인용하려한다면 재인용이 맞습니다. 하지만 학위 논문에서 재인용 하지 않는게 좋다하는데 시간이 부족합니다. 질문드립니다. 이건 꼼수겠지만, C는 B의 논문을 보고 재인용을 해야하지만, 간접 인용이으로 하려고합니다. 즉 C는 A는문을 찾지 않고 B논문의 문구만 보고 A논문을 간접 인용한것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질문 드립니다. 문장은 패러프레이징또는 요약해서 간접 요약을 합니다.
재인용을 직접 또는 간접인용으로 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원문출처를 전자도서관이나 구글에서 찾아보는 겁니다(요즘 DB가 많아서 찾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찾아지지 않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거나 재인용으로 처리하는게 맞습니다. 재인용의 비중이 많아서 보기 싫다는 지도교수님의 지적이 있다면... 1.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원칙적으로 하거나 2. 일부는 빼고 일부는 직간접인용처리 하거나 이렇게 해야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재인용도 인용의 방식인데, 도대체 어느정도까지 인정해 줄것이냐? 의 문제는 굉장히 주관적이겠죠. 사실은 연구자가 자신의 문제제기를 위한 근거나 보충설명을 위한 근거 제시과정에서 필요성과 충분성을 확보하는 정도면 됩니다. 지도나 심사자도 그걸 기준으로 해야지, 그냥 꼴보기 싫다고 무조건 빼라고 하는 것도 참......꼴보기 싫어요~
네~ 그 타인이 내 번역본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는 것이 검증될 경우에만 문제삼을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면, 상당히 긴 내용인데, 번역문장이 단어, 조사 하나 틀리지 않고 똑같다거나, 아주 특색있게 번역을 한 것인데, 이것을 그대로 가져갔다거나 할 때인 것이죠. 그러나 이것도 확실할 때 얘기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선행연구를 번역해서 인용하는 것들이 모여 내 연구의 학술적 가치에 기여하는 것은 맞지만, 이것도 경우의 수를 나누어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그 번역들이 내 연구에 기여하는 부분이 상당히 크다면, 1) 후행연구자의 인용이 그 논문에 결정적 기여를 하느냐? 2) 후행연구자의 인용이 자신만의 논리와 문제제기에 보조적 기여를 하느냐? 에 따라 문제의 경중이 달라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번역들이 내 연구에 기여하는 부분이 크지 않다면, 애써 번역하는 것이 아깝긴 하겠지만. 후행연구자들의 자료조사와 번역의 수고를 내가 덜어주었다는 학술적 연구자들에 대한 기여로 생각해 주시는 것이 연구의 기본 태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nonjunmo 늘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어느 국가의 헌법을 분석하면서 각주에 그 나라 헌법을 제시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분도 그 헌법을 분석하면서 각주에서 제 논문은 언급이 없이 그 나라의 헌법을 참고했다고 명시했네요. 번역문장은 1/3쪽에 해당하는데 완전 동일합니다. 제가 볼 때 이것은 표절이지만, 뭐라고 할 수 없는 그런 입장인 것 같네요. 어쨌든 감사합니다. 전문가 의견이 궁금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소장님 강의가 제일 훌륭한듯 합니다. 주님의 축복이 함께 하시길
아이고~감사합니다요~~~~
재인용 관련해서 항상 궁금하지만 물어볼 사람이 없었는데, 이렇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올해 박사과정 입학하면서 1학기부터 논문 준비해야겠다 싶어서 도움될만한 컨텐츠 찾다가 소장님 강의를 접했어요. 정말 행운입니다. 아직은 연구계획단계이지만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지식을 나누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경상도인이라 그런지 말투도 정겹고 좋아요!!
고맙심더~~^^
교수님의 논문 강의 정말 멋있습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석사학위논문 준비하는 학생인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설명 감사합니다. 뉴스에서 가끔씩 논문 인용 문제를 제기하던데... 그게 재인용 문제였군요. 이제야 뭔 소린지 이해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인용부분을 잘 몰랐는데 이해되었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원서 참고문헌 읽고 인용하는 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명강의 잘 들었습니다
인용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는데도 쉽게 배울 곳이 없었는데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선생님, 혹시 논문 쓰실때 인용을 그때그때 넣어야 되나요? 아니면 일단 다 쓴뒤에 인용을 넣어야 되나요?
감사합니다.
저는 박사과정 2학기 생인데요?
질문이 있습니다.
현상학적 연구를 하고있는데,
직접인용할 때 원래 글보다 조금 많이 들여쓰기를 해야 하잖아요? 그 때 어느만큼 들여서 써야하는지에 대한 규칙이 있나요? 아니면 내가 들여쓰고 싶은 만큼 들여서 쓰면 되나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항상 도움이 많이 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학위논문이라면 선배논문을 참고하면 됩니다. 일반 본문에서 몇글자 정도 차이나게 들여쓰기 하는지 보고 그걸 기준으로 삼는게 좋을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재인용이랑 헷갈렸던' ; '에 대해서도 영상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홍길동, 2007; 임꺽정, 2009; 전봉준, 2012
원논문을 찾아 읽을 수 있다면 재인용을 쓰지 않고 원논문만 인용하고 참고문헌에 쓰는게 맞지 읺나요?
그렇지요~~
A라는 논문의 원저자가 있습니다. B는 A논문을 인용하여 논문을 썼습니다. C는 B논문을 보고 인용하려한다면 재인용이 맞습니다. 하지만 학위 논문에서 재인용 하지 않는게 좋다하는데 시간이 부족합니다. 질문드립니다. 이건 꼼수겠지만, C는 B의 논문을 보고 재인용을 해야하지만, 간접 인용이으로 하려고합니다. 즉 C는 A는문을 찾지 않고 B논문의 문구만 보고 A논문을 간접 인용한것으로 사용해도 되는지 질문 드립니다. 문장은 패러프레이징또는 요약해서 간접 요약을 합니다.
재인용을 직접 또는 간접인용으로 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원문출처를 전자도서관이나 구글에서 찾아보는 겁니다(요즘 DB가 많아서 찾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찾아지지 않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않거나 재인용으로 처리하는게 맞습니다.
재인용의 비중이 많아서 보기 싫다는 지도교수님의 지적이 있다면...
1.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원칙적으로 하거나
2. 일부는 빼고 일부는 직간접인용처리 하거나
이렇게 해야되지 않을까요?
그런데 재인용도 인용의 방식인데, 도대체 어느정도까지 인정해 줄것이냐? 의 문제는 굉장히 주관적이겠죠.
사실은 연구자가 자신의 문제제기를 위한 근거나 보충설명을 위한 근거 제시과정에서 필요성과 충분성을 확보하는 정도면 됩니다. 지도나 심사자도 그걸 기준으로 해야지, 그냥 꼴보기 싫다고 무조건 빼라고 하는 것도 참......꼴보기 싫어요~
@@nonjunmo 네~! 지금 시간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꼼수적 방법을 여쭤 봤습니다..;;;
그럴다면 애초에 인용을 발췌할때 논문 원저자의 주장 위주로 발췌해서 인용하는게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노준모 선생님 안녕하세요. 구독자 중 한명입니다 ^^
(James, 2003, 홍길동, 2017 재인용) 이면 재인용이기 때문에 참고문헌에는 홍길동(2017). 이것만 있어도 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확인, 답변 부탁드려도 될까요?
여쭤보고 싶은 게 있어요.
"영문을 인용할 경우 '별도 인용 '이 아닌 '단락 내 인용 '으로 처리하시오."
여기서 '단락 내 인용 '이 어떻게 하라는 건지모르겠어서요.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수고하십니다. 원논문을 애써 번역하고서 인용을 했는데 타인이 제가 번역한 것을 그대로 이용하고서 출처에 원논문만 표시하는 것이 타당합니까?
네~ 그 타인이 내 번역본을 그대로 가져다 썼다는 것이 검증될 경우에만 문제삼을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면, 상당히 긴 내용인데, 번역문장이 단어, 조사 하나 틀리지 않고 똑같다거나, 아주 특색있게 번역을 한 것인데, 이것을 그대로 가져갔다거나 할 때인 것이죠. 그러나 이것도 확실할 때 얘기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인데요...
선행연구를 번역해서 인용하는 것들이 모여 내 연구의 학술적 가치에 기여하는 것은 맞지만, 이것도 경우의 수를 나누어 생각해 볼 문제입니다. 그 번역들이 내 연구에 기여하는 부분이 상당히 크다면,
1) 후행연구자의 인용이 그 논문에 결정적 기여를 하느냐?
2) 후행연구자의 인용이 자신만의 논리와 문제제기에 보조적 기여를 하느냐?
에 따라 문제의 경중이 달라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번역들이 내 연구에 기여하는 부분이 크지 않다면, 애써 번역하는 것이 아깝긴 하겠지만. 후행연구자들의 자료조사와 번역의 수고를 내가 덜어주었다는 학술적 연구자들에 대한 기여로 생각해 주시는 것이 연구의 기본 태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nonjunmo 늘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어느 국가의 헌법을 분석하면서 각주에 그 나라 헌법을 제시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분도 그 헌법을 분석하면서 각주에서 제 논문은 언급이 없이
그 나라의 헌법을 참고했다고 명시했네요.
번역문장은 1/3쪽에 해당하는데 완전 동일합니다.
제가 볼 때 이것은 표절이지만, 뭐라고 할 수 없는 그런 입장인 것 같네요.
어쨌든 감사합니다. 전문가 의견이 궁금했습니다.
제가 원문을 찾고싶은데 내각주에 이름과 년도만 적혀있는데 원문을 어떻게 찾아야할까요??
혹시 글을 쓰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의 글을 인용할 때 출처를 밝혀야 하는데 이때 인용의 5가지 순서가 무엇인지 알려주실수 있나요?
엑스터 대학입니다.
표창원씨는 엑스터 대학에서 박사학위 받았습니다.
아~ 제가 헷갈렸군요~~
논준모연구소 늘 감사드립니다^^
핵심만 말씀하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