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듣고 있습니다~^^ 벌써 진도를 다 따라잡았네요ㅎ 그런데 8:12에서 코드표기는 왼손근음과 오른손근음이 함께 하행을 하니 코드명이 바뀌어야 하지 않나요?^^; 만약에 음표가 없는 코드만 있는 리드시트로 연주할 때는 라인클리셰를 모르는 사람은 저렇게 연주할 수 없을 듯 한데요. 제가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를 연주하다가 코드표기가 너무 복잡해서 분석을 하다가 라인클리셰의 진행을 스스로 깨우쳤거든요ㅎ 명칭이 라인클리셰라는 것은 오늘 강의를 듣고 알았네요.
안녕하세요, 지나가는 강의 듣고있는 1인입니당. 8:12 에서 코드명을 안바꾸는 이유는 라인 클리세란걸 더 이해하기 쉽게 보여주기 위해서 그런거 같다 추측합니다. 예를 들어 Am AmM7/G# Am7/G Am6/F# 가 Am Caug/G# C/G C-b5/F# 이런식으로 쓰는거 보단 보기도 더 깔끔하고 코드 흐름상 더 맞기두 한거 같아요. 본래 처음 코드 진행도 Am 가 두마디 그냥 이어가는것이였는데 지루하니까 라인 클리세라는 기술을 써서 바꾼거기 때문에 Am 코드 안에서 그 변화를 표현하는게 적합한거 같습니당. 물론 저도 그냥 배우는 입장이라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제 의견이에요 ^^
D/F#은 E에서 E/G# 으로 상행하는 경과적 코드입니다.(없어도 큰 상관이 없는) D/F#을 E7으로 바꾼것이 아니라, 저 위치는 그 다음 나올 A코드를 타겟으로 하는 V7(세컨더리 도미넌트)이 나올수 있기 때문에 E7을 쓸 수 있습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가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 참고해 주세요! blog.naver.com/1458music/220437093026
아하 그렇군요.근데 세컨더리 도미넌트는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저 D/F#를 없어도 된다는 말이 조금 이해가 안가서요.E/G#으로 상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코드가 D/F#이라는 경과적 코드고 이런식으로 코드를 진행하는게 경과적 진행이라는 말씀이신가요??온음이 차이 나는거 맞나요?제가 경과적 코드 진행은 처음 들어봐서 여쭤봅니다!
📌교재 온라인 구매 링크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28571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79915061
알라딘 aladin.kr/p/JMiuX
스마트스토어 smartstore.naver.com/1458music/products/4675085516
1:14 설명
2:44 들어보기
3:02 내성, 탑노트
3:28 들어보기
4:38 마이너
5:28 들어보기
6:13 자유롭게 ~
7:02 베이스의 라인 클리셰
7:23 들어보기
7:36 왼손만 변화
7:46 들어보기
8:18 주의할 점
도움이 정말 많이 되어요. 지은쌤의 차분한 목소리와 진행자분의 대화가 조화로워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꼭 완강해 주세요!!
정말 감사합니다 ㅜㅜ
저희가 감사합니다!!
15일째 잘 보고 있습니다.
완전 유용한 팁이예요~
강의 넘 감사히 잘 듣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부지런히 올릴께요^^
와우..저는 인테넷 책표지 보고 어린이용 교재인줄 알았는데.. 실제로는 전문용으로의 꿀팁이 좋은 교재군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오 매번 단조로운 코드에서 힘들었었는데 좋은 팁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3/26 금 오늘부터 조금 어려워진것같아요 ㅋㅋ 연습도 꾸준히 해야겠습니다 주말 잘보내세요!
잘 하실 수 있을겁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교재구입하고싶은데
어떻케해야하나요??
m.smartstore.naver.com/1458music/products/4972782194
요기서 하시면 됩니다. 서점에서 구입하실 수도 있습니다!
잘 듣고 있습니다~^^
벌써 진도를 다 따라잡았네요ㅎ
그런데 8:12에서 코드표기는 왼손근음과 오른손근음이 함께 하행을 하니 코드명이 바뀌어야 하지 않나요?^^;
만약에 음표가 없는 코드만 있는 리드시트로 연주할 때는 라인클리셰를 모르는 사람은 저렇게 연주할 수 없을 듯 한데요.
제가 이소라의 '바람이 분다'를 연주하다가 코드표기가 너무 복잡해서 분석을 하다가 라인클리셰의 진행을 스스로 깨우쳤거든요ㅎ
명칭이 라인클리셰라는 것은 오늘 강의를 듣고 알았네요.
안녕하세요, 지나가는 강의 듣고있는 1인입니당. 8:12 에서 코드명을 안바꾸는 이유는 라인 클리세란걸 더 이해하기 쉽게 보여주기 위해서 그런거 같다 추측합니다. 예를 들어
Am AmM7/G# Am7/G Am6/F# 가
Am Caug/G# C/G C-b5/F# 이런식으로 쓰는거 보단 보기도 더 깔끔하고 코드 흐름상 더 맞기두 한거 같아요.
본래 처음 코드 진행도 Am 가 두마디 그냥 이어가는것이였는데 지루하니까 라인 클리세라는 기술을 써서 바꾼거기 때문에 Am 코드 안에서 그 변화를 표현하는게 적합한거 같습니당.
물론 저도 그냥 배우는 입장이라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제 의견이에요 ^^
라인클리셰에서 왼손 근음까지 하행진행하면 피아노 단독으론 괜찮지만 다른 악기 (기타/베이스 등)랑 같이 합주할경우에 거슬리지는 않나요? 아니면 다른 악기도 같은 진행으로 약속하고 연주해야 하는지요
합주를 할 경우에 코드가 편곡이 된다면 반드시 다른 파트 악기들과 소통하시고 통일된 코드로 진행하셔야 합니다^^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그런데 다행이다 악보에서 9번째 마디에 D/F#을 어떻게 E7으로 바꿀 수 있나요?아니면 E6 - E7 - D/F# - E/G# 이거인가요?
D/F#은 E에서 E/G# 으로 상행하는 경과적 코드입니다.(없어도 큰 상관이 없는)
D/F#을 E7으로 바꾼것이 아니라, 저 위치는 그 다음 나올 A코드를 타겟으로 하는 V7(세컨더리 도미넌트)이 나올수 있기 때문에 E7을 쓸 수 있습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가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 참고해 주세요!
blog.naver.com/1458music/220437093026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경과적 진행도 그렇고 세컨더리 도미넌트도 둘다 일산오빠의 실용음악 기초이론2에 나오는 내용들 같은데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초이론 2권까지는 봐야겠죠?
보시면 좋지만 책을 꼭 안보더라도 관련 내용이 나올때 마다 공부하셔도 괜찮습니다. 세컨더리 도미넌트가 정말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건 잘 알아두시면 좋아요.
아하 그렇군요.근데 세컨더리 도미넌트는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저 D/F#를 없어도 된다는 말이 조금 이해가 안가서요.E/G#으로 상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코드가 D/F#이라는 경과적 코드고 이런식으로 코드를 진행하는게 경과적 진행이라는 말씀이신가요??온음이 차이 나는거 맞나요?제가 경과적 코드 진행은 처음 들어봐서 여쭤봅니다!
왼손베이스음이 상행하는 라인클리셰도 만들 수 있나요??
넵 얼마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2번 째 보니까 조금 더 잘 알겠네..용. .3 번은 봐야되겠어요. 일주일....
화이팅입니다! ^^;;
이걸 공짜로 듣네요
ㅎㅎ 피아노 강의 말고도 공짜로 들을 수 있는 강의가 또 있습니다. 다른 재생 목록도 봐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