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공의 배치와 관련이 있겠지요 수구와 제1적구 배열이 걸어치기할때 2쿠션에 보내기어려운 배치라면 초이스하기어렵겠죠 마치 뒤돌려치기할때 수구와 제1적구가 일자냐 아니면 일자에서 공1개 엇각이냐에 따라 공략하는방법이 전혀다르듯.. 제가 강의한 걸어치기가 제1적구위치동일 수구 위치는 변화가 있을때 같은방식으로는 똑같이 칠수는 없겠죠 때로는 성공확률이 없어 포기할수도있습니다 공략 기준을 제시한 강의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합니다^
너무 칠판 이론을 길게 설명하시니까 보는 사람이 좀 지루함을 느끼네요 한 번 이론 하시고 실기 보여주시고 다시 각도에 이론 하시고 실기 하시고 하시면 보는 사람이 이해가 훨씬 빠를 듯하네요 길게 세부적으로 칠판 이론을 하시면 좋은 점 있지만 받아드리기에 조금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그냥 제 생각 입니다. 수고하세요.
먼저 댓글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방법대로 한번해보세요 어차피 제1적구가 2포인트이내에서 칠수있는 경우이잖아요 스피드를 조절안해도 치는경우에 조금 더 유리합니다 제1적구와 수구를 연결한 기울기는 스피드를 목적구 상황에 따라 스피드 조절을 해야하잖아요 한번 해보시고 안되시면 수구와 제1적구를 연결한 기울기르 해보세요
패턴님의 동영상 전체를 잘 보고 또 당구대에서 잘 적용하고 있습니다.
명확한 해설에 박수를 보냅니다.👏👏👏
오 크게 어렵지않고 좋네요. 연습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ㅎ~~신박한 이론적 제안이시네요!! 등대같은 훌륭한 기준점이될수있고 그로인해 비슷한 배치시 개인별 각자 응용도 가능할것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매우 상세하게 설명을 해주시고, 시타 영상을 보여주시어 잘 배웠습니다. 실전에 활용을 잘 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와 대박 시스템~~~~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즐당하세요 ^^
잘시청했습니다 실전에바로응용효과봤습니다
평소에는 2팁으로 두께조절로 ㅠ
늘 공식을 알아도. 꼭 실전에서는 생각없이 그냥 감으로 치는 건 왜일까요 ㅠㅠ 당뽀님 화이팅이에용~~!!!
영상 감사합니다.
연습했는데 잘 됩니다. 그동안 다른 분 레슨영상을 참고했는데 , 이 영상 성공률이 휠씬 높는거 같습니다.
문의드립니다.
3쿠션 지점이 장쿠션으로 짧게 쳐야할 경우, 당점 부탁드립니다. 마이너스 당점을 주고 연습했는데 잘 안됩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제1목적구가 단쿠션에서 떨어져있을 경우는 다음 영상에 꼭 강의 부탁드립니다
죄송하지만 강의 스케쥴상 진행하기 어렵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몇 번 반복해서 시청하니 이제 자신감이 생깁니다. 고맙습니다. 죄송하오나 1적구가 쿠션에서 떨어져 있을 (예 반포인트 또는 그 이상) 때 걸어치는 방법과 참조점을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공이 반개이상떨어지면 걸어치가 쉽지않죠 그 거리만큼 평행이동하셔야합니다 또한 떨어져있으면 밀림으로인해 전혀다른 공의 구름이생깁니다
고맙습니다 즐당하세요 ^^
감사합니다
홧팅입니다 ^^
모든 영상이 소리가 잘 들리지 않습니다. 마이크 사용을 권해드립니다.
합리적인 설명 감사합니다. 단, 수구의 기울기를 코너 기준으로 잡으셨는데, 같은 기울기라도 수구의 위치가 장쿠션에 가까울때와 멀때 1적구와의 기울기가 달라지는데 같은 당점에 같은 속도로 친다??? 하수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됩니다.
결국 공의 배치와 관련이 있겠지요 수구와 제1적구 배열이 걸어치기할때 2쿠션에 보내기어려운 배치라면 초이스하기어렵겠죠
마치 뒤돌려치기할때 수구와 제1적구가 일자냐 아니면 일자에서 공1개 엇각이냐에 따라
공략하는방법이 전혀다르듯.. 제가 강의한 걸어치기가 제1적구위치동일 수구 위치는 변화가 있을때 같은방식으로는 똑같이 칠수는 없겠죠 때로는 성공확률이 없어 포기할수도있습니다 공략 기준을 제시한 강의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되셨으면합니다^
강의가 휼륭합니다.
👏👏👏👏👏
그런데 왜 본인이 치는 반대방향으로
설명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
어렵게 강의를 하면 값어치가 있어보이나요
아하 이런수가 ...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기는 한데, 기본배치가 벗어나면 적용이 어렵습니다. 수구 출발 위치가 바뀔때는? 반두께로 치려면 겨냥포인트가 어떻게 되는지? 1적구가 쿠션에서 약간 떨어져 있을때 적용하는 방법은? 이것도 알려주세요.
기울기가 커지면 빗겨치기로 바꾸셔야합니다 그리고 반두께는무회전기준 큐중심이 제1적구 끝겨냥하신상태에서 회전준만큼 평행이동하시면됩니다 약간 떨어져있을때는 떨어진만큼 평행이동하시면되겠죠
좋은 영상 매번 잘보고 있습니다.
이번 영상은
1적구가 쿠션에 붙어 있을때 상황만 보내주셨는데..1적구가 쿠션에서 공반개~1개 정도 떨어졌을때 두께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 걸어치기는
수구의 기울기에 따른 두께 설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미러법(거울법)을 사용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그리고 1개이상이면 다른초이스를 하시는게 좋겠죠
영상 잘 보았습니다 큐선은 어디를 맞춰야할까요?
무회전이 절반두께이면 회전을 주면 회전만큼 이동하셔야합니다
@@3tv111 감사합니다
간단 명료한 레슨 감사드립니다..
반두께 10~12시 또는 10~8시 3팁의 큐션은 어디로 겨냥하는 것이 좋을지요?
공 한개이하로 떨어졌을때 적구의 중심과 레일의 끝단을 연결한 점을 무회전 12시로 겨냥한 후 11~8시로 옮기는 방법이면 괜찮을지요?
큐선이 무회전일때 제1적구 끝이면 회전준만큼 공 안쪽으로 이동해야겠지요
직접맞을것같은 느낌으로 치셔야합니다
말씀이 글로서는 이하가안됩니다ㅜ
저도 그동안 이 방법으로 쳐왔고
4쿠션 지점은 알고 있던 내용입니다.
그런데 각각 3쿠션 지점이 어떻게 되나요?
3쿠션과 4쿠션 입사각이 1 : 1 이 아니더라구요
( 2목적구가 3쿠션 지점인 단쿠션 근처에 있을때)
강의 감사합니다. 이번 동영상은 정말.. 선생님의 시원시원한 발성이 작게 들립니다. 핀마이크같은게 필요하실 것 같아요.
잘 봤습니다. 두께는 어느 정도로 쳐야하나요?
2분의1두께입니다
@@3tv111 감사합니다.
기울기를 볼때 1목적구를 보는게 아니라 코너를 행해서 재야 하나요?
넵
두께가 1/2 고정이어서
편안하네요.
이 배치들에서 두께는 모두 1/2 기준인가요?
1적구가 위에서 1포인트에 있고 수구가 좌측 2포인트에서 출발하고, 목적구가 장축 우측 3포인트에 있는 경우 "3=3" 이므로 2시당점으로 쳤습니다.
그런데 수구가 자꾸만 짧아집니다. 미들팔로우로 쳤는데. . . . 무었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방법이 없을까요?
당점이 부정확할수있습니다 본인의 2시당점보다 반회전 더 주시고공략해보세요 아님 너무 부드러워서 그럴수있으니 끝까지 스트록유지해보세요!! 그래도 안되면 스피드증가입니다
감사합니다
중대에도 비슷한가요?~~^^
넵^^
1/2 두께 치는 방법을 가르켜 주세요
어떤 기준이 1/2인지 부탁드립니다.
무회전일때 큐선이 공끝을겨냥하는 두께입니다공과쿠션을 동시에 맞춘다는 느낌으로 치시면 공과쿠션이 붙어있으면 위치상 당연히 쿠션이 먼저맞겠죠^^
두께 1/2이란 공을 바로 겨냥하는 반두께를 말씀하시는거 맞나요
장축 2포인트 단축 2포인트 합이 4이고 목적구가 4포인트 지점에 있으면 당점이 10시 또는 2시인가요?
넵 맞습니다
@@3tv111 장축1포인트에서 출발할 때와 같은 합이 크거나 작으면 당점의 변화로 해결한다는 말씀인데...확장 적용범위는 장축 몇 포인트까지 가능한가요?
위 걸어치기 2탄 만들어 주세요
스트록은 어떻게 치죠?
중간정도의 팔로우샷이면 충분합니다 스피드 3이나3.5정도가하시고요 ^^
다른건 다이해하겠는데...2코지점은 어떻게 찿는지요? 단장단 좁은각?
2쿠션은 찾기어렵습니다
2코 지점을 찾아서 칠려면 F&H시스템 적용해서 쳐야할꺼 같은데 그럴려면 1적구 두께를 달리해서 쳐야할꺼 같아요 그러면 당구가 너무 어려워 질꺼 같습니다~두께를 고정해서 회전만으로 3코 지점을 공략하기 때문에 이 방법이 쉽다고 생각해요...
영상을 보다가 얼마 안있어 놓쳤다. ㅎㅎ 실전에서 어느 놈이 저런거 저리 계산하고 있나. 게임비 내라고 욕먹는다.
3초면 끝나는데 ㅜ 저 시스템 거의다 쓰는데!!!
@@3tv111 제가 실력이 하급자라서 그런 듯하니 마음에 두지 마세요.
컴퓨터글자가설명그림을가립니다
너무 칠판 이론을 길게 설명하시니까 보는 사람이 좀 지루함을 느끼네요
한 번 이론 하시고 실기 보여주시고 다시 각도에 이론 하시고 실기 하시고 하시면 보는 사람이 이해가 훨씬 빠를 듯하네요
길게 세부적으로 칠판 이론을 하시면 좋은 점 있지만 받아드리기에 조금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그냥 제 생각 입니다. 수고하세요.
최근 강의는 칠판강의 많이 줄였습니다 칠판강의 안하니까 디테일이 떨어져서 당구 초보분들이나 극저점자분들이 어려워할 듯 합니다
@@3tv111 맞습니다~자세한 설명 좋습니다~감사합니다~꾸벅
기울기 재는 방법은 맞지 않네요
먼저 댓글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방법대로 한번해보세요
어차피 제1적구가 2포인트이내에서 칠수있는 경우이잖아요 스피드를 조절안해도 치는경우에 조금 더 유리합니다 제1적구와 수구를 연결한 기울기는 스피드를 목적구 상황에 따라 스피드 조절을 해야하잖아요 한번 해보시고 안되시면 수구와 제1적구를 연결한 기울기르 해보세요
솔직히 두께가 더 중요한거 아닌가요?
목소리 좀 키워 주세요...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