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친구들이 스마트 농법으로 농사 짓는 모습을 다큐멘터리에서 자주 봅니다. 처음엔 말리던 부모님이 대견해하고, 본인들의 만족도도 높더군요. 더해서 농사를 짓건, 다른 일을 하건 그 지역에서 생활 하는데 문화적인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환경이 갖춰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식량안보 무척 중요한데요...
맞습니다. 제가 요즘 가장 눈여겨보는 미래산업이 이것입니다. 자금의 여유가 된다면 시작해조고 싶죠. 한국야채들을 이곳 유럽현지에서 말이죠. 한국음식=건강식이라고 알려져 있는 판에 재료까지 전부 현지조달한 진짜 한국야채라면 경쟁력 있지 샆어요. 여러 쌈채소들, 딸기, 봄동, 겨자잎, 돌산갓….
사람도, 짐승도, 식물도… 땅을 밟아야 삽니다. 생산과 판매의 관계로 보자면 혁신적일테지만, 생명의 본질은 흙과 햇빛, 바람을 탄 것들의 순환이어야 건강한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 믿습니다. 러다이트적이라 할 수도 있겠으나 물질의 발달과 생명의 순환은 근본이 다르지 않습니까. 짧은 소견이지만 찬성하고 싶지 않네요.
미래산업이네요❤️
우와우 샘 좋은영상 감사해요 와우!!!
황교익 선생님 오늘 구독 했습니다 꾸벅~~~
😘😁
잘봤습니다
와-, 놀랍습니다.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영세 농민들도 힘들지 않고 소외 받지 않도록 관심 부탁드립니다
멋지고 든든하네요~~
우와~~규모가 어마어마하네요. 농민과 소비자가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나라가 되었음 좋겠어요.
와~~굉장히 깔끔하고 정말좋으네여~최곱니다~👍
우와~ 정말 좋네요~ 하도 걱정이 많은 타입이라서 식량난 걱정에 농사를 지어야 하나 고민도 해보는데...
스마트팜에 관심이 있어서 주식도 보유하고 있는데
실제로 화면으로 보니 놀랍습니다.
미래의 먹거리 산업이 안보인 시대가 올 것도 같습니다.
청년들 많은 관심 가지면 좋겠어요.
이런 멋진델 데려다주셔서 감사해요
자연의 빛 그대로 농작물을 기르는 날이 사라질까 두렵습니다.
태양 아래 밭에서 나는 냄새를 그리워하면 어쩌죠!!?
규모가 굉장하네요~!!
근데,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자라는 어릴적 먹었던 농산물이 참 귀하구나하는 생각을 동시에 했습니다.
점점 귀해지겠죠?
그래서 '지역 농협 로컬푸드매장'을 애용합니다.
와...우리 먹거리에대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관점을 보여주시는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정말 미래는 먹거리의 전쟁이 올텐데 생산산,소비자 모두 안정적으로 먹거리에 스트레스 받지않고 살게되길 바래봅니다.
꽃농장인줄알았는데 스마트팜이엿군요
지나가다 봣엇거든요 멋지네요~
오오. 자세히는 몰랐었는데. 이런거군요.
서울 시내에 마천루 대신 저런 공장 하나 심어놓으면 환경에도 좋고 서울 시민들도 다 먹여살릴 수도 있겠네요. 잘 봤습니다. 선생님. :)
너무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처음 봤는데요 신기하네요! ^^
재정정책과 재분배를 통해 산업구조를 개편해서 기반 산업들이 고루 성장 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미 미래에 와있는 듯한 풍경이네요. 고맙게 잘 봤습니다~! ^^
역시 우리나라에 있었네요.
뇌세포가 급활성화 됩니다.
오늘 많이 놀라고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와.. 시설이 어마어마 하네요 ~~
오잉 이 시간에?ㅎㅎ 교익쌤 뉴공에서 매
일보고싶네요 그래도 전보다 시간확보 많이돼서 좋아요 ㅋㅋㅋ
젊은 친구들이 스마트 농법으로 농사 짓는 모습을 다큐멘터리에서 자주 봅니다. 처음엔 말리던 부모님이 대견해하고, 본인들의 만족도도 높더군요. 더해서 농사를 짓건, 다른 일을 하건 그 지역에서 생활 하는데 문화적인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는 환경이 갖춰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식량안보 무척 중요한데요...
초기자본이 엄청나게 들텐데, 미래를 먼저보시고 시작하셨네요.
많은것이 처음이라 힘드실텐데, 잘 자리잡고 대박나셔서 농사를 기피하는 젊은이들의 바람직한 모델이 되주시고 나아가서는 대한민국 국민 건강에 더 좋은 농산물을 지어주시기 바랍니다.
정말 1차 산업 농업은 시스템의 혁신이 필요한데 ㅜㅜ 그걸 할 사람이 없다는 말이 와닿네요..ㅜㅜ 누군가 확 잡고 해주면 좋으련만.. 다음 정부에 기대해 봅니다.
스마트팜 말로만 들어 봤지 이렇게 영상으로 보는 건 처음이네요. 놀랍네요.
맞습니다. 제가 요즘 가장 눈여겨보는 미래산업이 이것입니다. 자금의 여유가 된다면 시작해조고 싶죠. 한국야채들을 이곳 유럽현지에서 말이죠. 한국음식=건강식이라고 알려져 있는 판에 재료까지 전부 현지조달한 진짜 한국야채라면 경쟁력 있지 샆어요. 여러 쌈채소들, 딸기, 봄동, 겨자잎, 돌산갓….
우리의 미래를 위해 달려가 주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저런시설비용이 문제죠
태양빛도 받아서 자라니 영양 걱정은 없네요.
실제 농사현장으로 들어가니 규모가
우와~어마어마하네요!
요즘 기대는 것이 있다는..고맙소, 뭐든 먹어야 살지..
스마트 팜은 맛도 조절이 되는지 궁금하네요 비료나 온도조절에 따라서 달라질법도 하구요
만약에 병으로 갑자기 죽지 않는다면 10년후엔 서울 직장을 후배들에게 넘겨주고 고향으로 돌아갈 생각인데... 아마도 스마트팜을 하지 않을까 싶네요. 영상 잘 봤습니다.
와 우리나라에도 이런 곳이 있는 줄 처음 알았습니다 외국 같아요. 농업도 말 그대로 스마트 선진화 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세상이 미쳐 돌아가는구나... 절망스러울 때가 많은 요즘, 앞날을 위해 부지런히 지치지 않고 살아가시는 분들을 보면 마음이 놓이고 희망이 생깁니다. 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황교익 선생님 짱입니다요.
경제방송서 본 개념인데, 생각보다 시스템이 아주 잘 갖춰진 산업처럼 보이네요. 규모도 상당하구요. 덕분에 생생한 현장 잘봤습니다~
먼 미래에는 정말 달에서도 화성에서도 살아갈 수 있겠네요. ㅎㅎ
여기가 어디인가요...?
꼭 가고 싶네요.
곧 귀농 할 사람입니다.
인구 급감 시대+지방 소멸 시대
농축산이 전부 스마트공장화가 되지 않으면 분명히 수입에 의존하게 되고
식량이 무기가 되는 미래가 코앞이 될 지도요..
스마트농장이 대규모로 육성 시켜나가야 한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새로운걸 알았네요. 이걸보면서 각 시마다 이런 농장을 만들면 그 시의 농산물은 그 시가 담당하고 유통과정도 줄이면서 가격도 농민,소비자가 납득할수 있는 적정선이 될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김어준 공장장은 아무리 꼬셔도 안 갈라꼬 하는 곳이네~
진짜 요즘 토마토가 너무 맛이 없어요.. ㅠㅠ
익기전에 따서 그런거였군요.. ㅜㅜ
사람도, 짐승도, 식물도… 땅을 밟아야 삽니다.
생산과 판매의 관계로 보자면 혁신적일테지만, 생명의 본질은 흙과 햇빛, 바람을 탄 것들의 순환이어야 건강한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 믿습니다.
러다이트적이라 할 수도 있겠으나 물질의 발달과 생명의 순환은 근본이 다르지 않습니까.
짧은 소견이지만 찬성하고 싶지 않네요.
3평짜리 가정용 자급자족 스마트 팜이 출연하기를....한국의 시골은 이미 공동묘지화 되었다... 저런 대단지 식물 공장도 필요하디만....
스마트농장의 초기시설 비용을 염두에 두면 과연 몇 %의 농부가 농사를 지을 수 있을까요?
지금도 시설 농가는 몇 억, 몇 십억대의 빚에서 벗어나질 못하는데,,
결국 농업도 거대 자본이 아니면 짜투리 텃밭일 뿐이지요.
스마트 팜은 노지 생산 대비 10배에서 100배 정도의 에너지가 더 필요하다고 합니다.
청년들이 미래 먹거리 생산도 멋진 직업이 될 수 있음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황쌤도 견학간거자나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