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적으로 주 1,2회 주말을 이용해서 두세시간정도 합니다. 사실 주2회 하는날이 더 드뭅니다. 설연휴에 시간이 좀 있어서 평소보다 기타를 더 연습했습니다. 암보는 개인적인 요령으로 순간집중해서 하는거지만 자꾸 까먹는건 비슷해요 하지만 공을 들인곡은 잘 안까먹고 가요나 팝편곡은 금방 까먹어요
암보에 대한것은 기타리스트 이윤정님글에 자세하게 다뤄져있습니다. 네이버카페에 제가 글을 올려논게 있습니다. 곡을 분석하는과정에서 사실 자연스레 암보가 됩니다.운지의 형태를 이미지화하기도하고 화성을 기억하기도하고(통기타의 코드모양 이것도 이미지) 2분이하의 곡은 두세시간정도면 암보가 되는데 이것도 1차암보입니다. 반복연습하면서 다져지고요 오히려 정통클래식적 운지가 아닌 가요는 불특정 멜로디나 대위법적진행이 아니거나 그런곡들 또 바하곡이나 클레냥곡처럼 세하가 없이 계속 운지가 변하는곡들이 암보가 어렵습니다. 세하가많은곡이 암보에 유리합니다.
A great version! 👏🏼👏🏼
Thank you 😮
하루 몇 시간정도 기타를 치실까요 한 곡 암보하시는데 며칠 소요되나 궁굼하네요 잘 들었습니다^^
평균적으로 주 1,2회 주말을 이용해서 두세시간정도 합니다. 사실 주2회 하는날이 더 드뭅니다. 설연휴에 시간이 좀 있어서 평소보다 기타를 더 연습했습니다.
암보는 개인적인 요령으로 순간집중해서 하는거지만 자꾸 까먹는건 비슷해요 하지만 공을 들인곡은 잘 안까먹고 가요나 팝편곡은 금방 까먹어요
암보에 대한것은 기타리스트 이윤정님글에 자세하게 다뤄져있습니다. 네이버카페에 제가 글을 올려논게 있습니다. 곡을 분석하는과정에서 사실 자연스레 암보가 됩니다.운지의 형태를 이미지화하기도하고 화성을 기억하기도하고(통기타의 코드모양 이것도 이미지) 2분이하의 곡은 두세시간정도면 암보가 되는데 이것도 1차암보입니다. 반복연습하면서 다져지고요 오히려 정통클래식적 운지가 아닌 가요는 불특정 멜로디나 대위법적진행이 아니거나 그런곡들 또 바하곡이나 클레냥곡처럼 세하가 없이 계속 운지가 변하는곡들이 암보가 어렵습니다. 세하가많은곡이 암보에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