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스페셜 - 한글은 집현전에서 만들지 않았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6 ต.ค. 2019
  • ■ 우리가 알고 있던 한글창제의 두 주역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그러나 집현전 학자들의 한글창제 참여기록은 어디에도 없으며 오히려 한글을 반대했던 기록들이 남아있을 뿐이다.
    세종의 한글만들기 프로젝트에 무리는 없었는지 다른 협력자가 존재할 가능성은 없었는지 살펴본다.
    역사스페셜 42회 한글은 집현전에서 만들지 않았다 (1999.10.9. 방송)
    history.kbs.co.kr/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8K

  • @user-fd3fb9he4l
    @user-fd3fb9he4l 4 ปีที่แล้ว +165

    한글이 없는 세상은 정말 끔찍하다 그 어려운 한문을 죄다 익히려면 대체 몇년을 공부해야 한단말인가 배우기 쉽고 과학적이고
    이렇게 좋은 글자를 만들어주신 세종대왕께 감사 드립니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1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7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9

      @@hiroono1 그렇다면 현재 한국이 쓰고 있는 훌륭한 글을 자기네가 쓰지 왜 현재 부실한 히라가라 가나의 글을 일본이 쓰고 있을 것인가,, 말도 안 된다,, 잘 못 해석해 왜곡하지 마시오,, 어데가서 망신 당하기 쉽상이니 그런 말이나 글 절대 쓰지마시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user-hy9my4hj3i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인,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은 "注意、請願、交通、博士、倫理、想像、文明、芸術、古典、講義、医学、衛生、封建、作用、典型的、抽象、哲学、会社、部長、社長"이다. 한국인은 일본인에게 감사하십시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1

      @@user-hy9my4hj3i 미군에 의한 조선인 취급방법 매뉴얼
      1. 한국인에게는 강하게 밀어. 저항하는 경우는 큰 소리로 명령하라.
      2. 명령을 듣지 않는 경우는 몸으로 풀어라.
      3. 같은 것을 반복하면 개처럼 몇 번이라도 똑같이 꾸짖어. 이쪽이 위라고 말하는 것을 몸으로 풀어라.
      4. 이유는 듣지 마. 어차피 큰 일은 말하지 않았다.
      5. 신체로 풀린 경우, 뿌리에 가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나중에 신변에는 조심해 행동하라. 그러나, 철저히 풀 수 있을 때까지, 손을 빼지 말라.
      6. 상대를 3세아라고 생각해, 신용하거나 의지에는 하지 말아라. 중요한 일은 맡기지 마라.
      구소련에 의한 조선인의 취급방법 매뉴얼
      1, 두통의 씨가 될 뿐이기 때문에 관련이 없다.
      2, 수단을 가리지 않는 키치 가이 세트이기 때문에 관련되지 않습니다.
      3, 참여하면 여기가 아픈 눈에 빠지기 때문에 관련되지 않습니다.
      4, 참여하면 보드카를 마시고 잊자.
      중국인이 조언하는 조선인의 취급방법
      ・바보에 동정하지 말라.
      ・일본인은 조선인에 대해서 너무 친절합니다. 그것은 일본을 위해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조선인을 위해서도 좋지 않습니다.
      ・조선인은 「상냥하다」와 「약하다」의 구별을 할 수 없습니다. 또, 「강하다」와 「나쁜」과 「정의」의 구별도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조선인과 사귀는 것은 매우 어색합니다.
      ・중국인도 조선인과는 관계되고 싶지 않습니다. 그러나 참아 사귀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입니다.
      ・조선인은 「대등」이라고 하는 개념을 모릅니다. 조선인 사회는 개인끼리, 어느 쪽이 우위인 입장에 있는가? 그것이 가장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개인주의의 중국인으로부터 봐도, 이상한 민족입니다. 이런 사회에서 사는 조선인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자애의 정신은 전무합니다.
      ・따라서, 일본인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평등감」이나 「대등」이라고 하는 기분이나 태도는, 조선인은 패자의 태도로 보여 버립니다.
      ・중국인은 조선인의 경박한 정신성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일본인은 조선인을 별로 이해하고 있지 않습니다.
      ・일본인은 조선인을 「괜찮은 인간」이라고 생각해 대응하고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중국인으로부터 일본인에게 충고합니다. “조선인은 개라고 생각하고 사귀십시오” 그것이 조선인을 위한 것입니다. 사과해서는 안됩니다.
      ・비논리적인 변명을 말하면 100배 제재를 하십시오.
      ・감사의 마음은, 왕이 평민에게 포상을 주는 듯이 접해 주세요.
      ・정론이나 도리는 의미가 없습니다. 강제와 명령으로 달리십시오.
      ・배신에 대해, 온정은 절대로 안 됩니다.
      ・실행할 수 없는 무리한 명령을 내고, 할 수 없는 일을 계속 책임지십시오.

  • @hwijunhuh1834
    @hwijunhuh1834 3 ปีที่แล้ว +130

    이럴수가 있을까? 참 우리가 누리면서도 믿을 수 없을 정도이니...
    너무너무너무 대단합니다~~~

    • @user-tz8ph5dj1b
      @user-tz8ph5dj1b ปีที่แล้ว

      정말정말정말입니다
      정말은 긍정적인 걸 강조하고 너무는 부정적인 걸 강조하는 말입니다.
      정말 예쁘다
      너무 못생겼다
      정말 행복해
      너무 불행하군
      이런 식입니다.

  • @Julia-eg1gt
    @Julia-eg1gt 4 ปีที่แล้ว +68

    세종대왕님, 백성을 굽어 살피시어 이토록 널리 복되게 하셨나이다
    고맙습니다
    이 나라를 잘 지키고
    고운 한글도 잘 지키겠습니다

    • @user-pq9bj1lp4u
      @user-pq9bj1lp4u 3 ปีที่แล้ว +3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로 역사왜곡하는 소위 자칭 학자들에게 경고!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어가 고대 한자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고대인도문명과 우리 동이족의 고대한자문명은 서로 교류가 있었다. 음양이론은 고대 인도어에도 그대로 적용되었고 고대한자 발음의 체계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산스크리트어보다 고대 한자에 실렸던 발음의 체계를 더 정교하게 다듬었다. 예를 들면 성곽 곽의 발음에 음양이론을 적용하면 권이란 한자어가 나온다. 성곽 곽에서 내려다 본다는 볼 관에 관리할 관과 그가 가지고 있는 권한 권으로 곽>관>권으로 음양이 적용되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라는 말장난은 더이상 하지 말아다오.
      중국이 사용하던 중국말과 우리한자의 고유발음이 달라서 고대한자로 서로 통하지 않으니 발음기호에 해당되는 영어의 소리글자에 해당되는 한글이라는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창제하였다는 말이다. 나랏의 말씀인 우리말의 발음과 중국의 한자의 발음이 달라서 서로 통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훈민정음이 풀이된다. 훈민정음에서 중국어와는 다른 한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려는 목적이었다. 고대한자의 발음의 체계에는 성조라는 것이 없었다.
      고대한자를 창제한 원리와 한글을 창제한 원리가 동일하다. 한자라는 글에 소리를 실었던 발음의 체계가 우리말인 토착어의 발음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 것이다. 이두나 향찰과 같은 우리 일상어인 말을 기록하기 위해 한자를 발음기호로 사용한 것이다. 고대한자 속에 이미 발음기호인 ㄱㄴㄷㄹ ㅁㅄㅇㅈㅊㅋㅌㅍ이 들어있다. 나라 국이나 나라를 다스리는 군이란 한자 속에 이미 ㄱ이 들어 있다.
      사성이란 성조를 실으려면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만 한다. 학생이란 고대한자 발음을 중국어로 발음하려면 성조를 실어야 하고 슈에 스응으로 학이란 일음절을 이중모음인 슈에로 생이란 한음절도 이중모음으로 스응으로 된다는 말이다. 성조를 글에다가 인위적으로 실었다는 말이다. 중국어는 한자라는 글에서 만든 인조어이다.
      선천적 내재론이란 인류가 공장에서 출하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처럼 태어날 때부터 언어수행능력장치를 갖고 태어난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바벨탑 이전의 인류공통된 언어를 만들 수가 있는 언어수행능력으로 예를 들면 파파 빠빠 마마와 같이 기본적인 음소가 표기하는 의미는 공통된 것이 많이 나타난다. 아브라 카타 아브라 세사미와 같은 주문을 보면 아브라함에서 아브라의 의미가 스페인어에서도 열려라라는 뜻이 된다. 새로운 민족과 씨족의 시조는 새로운 세대를 여는 상자 함으로 한자의 발음으로 연관된다. 후천적으로 서로 관련된 것이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살았던 아시아에서 살았던 인간의 언어 수행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이다. 빨주노초파남보라는 무지개의 색은 빨간 색은 빠르고 급한 색이며 동시에 의미를 나타내는 음소가 된다. 먹을 것을 준다는 마마에서 맘마가 음식이 된다. 스페인어로서 마시다의 뜻인 또마르와 먹다의 뜻인 꼬메르에서 메르는 메가 우리말의 쌀밥을 말하며 영어의 메뉴에서 메는 먹을 것을 누는 numero에서 nu로 순서대로 나열하다라는 온누리에서 누리에서 누리다에서 나열한 먹을 것을 말한다.
      중국어는 한자에 성조를 실어서 인위적으로 만든 인조어!
      사성이란 성조를 실었다는 Ultracorrection이 요구되었다는 사실이 바로 글을 말로 바꾸어 사용했다는 증거이고 말이 글보다 먼저라는 것입니다.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도 밖에서 하는 대화를 엿듣고 태중의 학습을 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답니다. 언어의 경제성 원리란 한음절에 지나친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일상 회화에서 성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중국인들이 큰소리로 남에게 피해를 주면서 성조를 실어서 말을 해야만 한다는 불편한 진실이 바로 중국말은 인조어!
      우리 동이족이 사용했던 우리의 토착어는 자연스럽게 발생된 일상 언어인 우리말이었고 우리 고대한자는 역사적인 사실을 기록하기 위한 우리 조상인 동이족이 창제한 글이었다.

  • @gmoc33
    @gmoc33 3 ปีที่แล้ว +122

    이렇게 명백한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을 집현전 학자 운운하는 것은 안된다.
    우리 교과서부터 빨리 바로 잡아야 한다. 한글은 우리의 자랑이요, 크나큰 은혜다.
    영원히 세종을 기리며 한글을 사랑한다.

    • @user-yp5lj4qm6l
      @user-yp5lj4qm6l 3 ปีที่แล้ว +15

      부제학 최만리와 집현전의 관리들은 오히려 반대를 했는데 지금의 수구꼴통 세력과 비슷하네요~역사는 반복된다

    •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2 ปีที่แล้ว +3

      @@user-yp5lj4qm6l 무식하기는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swl5046
      @swl5046 2 ปีที่แล้ว +3

      @@hiroono1 신대문자는 일본이 한글보고서 왜곡한거야.. 일본 학자 들조차 인정안해서.. 이젠 아예 없어졌어.

  • @user-zk7kb3sh4c
    @user-zk7kb3sh4c 4 ปีที่แล้ว +112

    세종대왕은 천재이고 멋쟁이다 집현전에서 만들었든 아니든 필사적으로 만들어진 한글 정말 만국 공통어를 표현할수있는 최고의문자다 자랑스럽다 멋있다

  • @kwon0220
    @kwon0220 3 ปีที่แล้ว +436

    수천년 역사동안 백성을 위해서 글을 만드는 왕이 어디있나 너무나 존경스럽다.

    • @haaa28gd82hdud
      @haaa28gd82hdud 2 ปีที่แล้ว +7

      헛소리 신고했습니다 (위에 헛소리 대댓단 사람한테 하는 말)

    • @user-tx2no8nj4c
      @user-tx2no8nj4c 2 ปีที่แล้ว

      @@user-kd9zz2yp6f 그냥 가설임.

    • @user-tx2no8nj4c
      @user-tx2no8nj4c 2 ปีที่แล้ว +4

      @@user-kd9zz2yp6f 근거가 미약한 가설.
      그 많던 가림토 문자는 어디로 갔을까요?

    • @user-lj3jb3yz9k
      @user-lj3jb3yz9k 2 ปีที่แล้ว +1

      양반 지금 말하면 쓰레기....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4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NEO-hx8no
    @NEO-hx8no 3 ปีที่แล้ว +49

    꿀잼 다큐 역사스폐셜ㅎㅎ 요즘에 티비로 유튜브를 통해 역사스폐셜 다시 보기중입니다. 초딩 때 진짜 역사 좋아해서 이 프로 정말 많이 봤는데ㅎㅎ 아 추억 돋는다~ 세종대왕님은 천재에 애민정신까지 갖춘 성군ㅠㅠ

  • @user-eq4mu2si7v
    @user-eq4mu2si7v 4 ปีที่แล้ว +162

    하늘이 내려준 울민족의 최고의 선물입니다 후손대대 감사합니다

    • @ILikeMyYT123
      @ILikeMyYT123 2 ปีที่แล้ว

      넌 어떤 근거로 그런 댓글을 달았냐? 괙관적인 증거를 대라.

    • @user-xt4ue5er1i
      @user-xt4ue5er1i 2 ปีที่แล้ว

      @@ILikeMyYT123 세상에 오직 하나박에없는 한글을 창제하셨고 그한글덕분에 세상에서 유레가없는 문맹자 0의 대한민국을
      맹그셨잔소!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user-hy9my4hj3i 현대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이다. 한국인은 말을 가르쳐 준 일본에 감사하라.

  • @hanstour
    @hanstour 2 ปีที่แล้ว +13

    너무 잘 만든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 @AA-bf9vk
    @AA-bf9vk 3 ปีที่แล้ว +98

    뭐시 중헌지 미래까지 꿰뚫어 보셨을 세종대왕. 양반들의 꼰대를 깨고 밀고 나가신 세종대왕의 집념. 단순 천재로는 설명안되는 성군.
    오늘날 한국인들이 큰 자부심가지고 살아갈 수 있는 너무나 거대한 존재이시다.

    • @user-tt7qp2gb4g
      @user-tt7qp2gb4g 2 ปีที่แล้ว +1

      하하하
      재밌게 쓰셨네요.
      뭣이 중헌지 ~ 🤭

    • @jmg7371
      @jmg7371 2 ปีที่แล้ว +2

      왕이여서 다행이였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한국에서 가장 평가받고 있는 조선왕인 세종의 재위 당시는 공녀가 가장 많았던 시기였다. 공녀는 조선이 중국으로 보낸 성노예이다. 한반도에서 미녀를 선별해 공녀로 했다. 공녀는 중국인에게 강간당했고 늙은 뒤 조선으로 되돌아갔다. 공녀는 미녀였지만, 결혼도 아이를 낳을 수도 없었다. 조선에는 추녀만이 남았다. 그래서 현대 한국인은 모두 미용 성형이 필요한 것이다.
      서울시 서대문구 영은문이 반도의 조공잔혹사를 상징하고 있다.
      일청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해 조선을 유사 이래 처음으로 독립시켰기 때문에 대한제국은 영은문을 깨고 독립문을 세운 것이다.

  • @user-vy4bb6qr9e
    @user-vy4bb6qr9e 4 ปีที่แล้ว +148

    역사적으로 세계 어떤왕도 국민을 아끼고아껴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무언가를 하려한 왕이 몇이나 존재할까.. 내가알기론 세종대왕님밖에없음 ..그애민의 민족성이 후손까지 이어져 한국인의 인성은 탑이다 생각함

    • @tomaevan1607
      @tomaevan1607 3 ปีที่แล้ว +3

      우욱 시발 국뽕 발언보소 ㅋㅋㅋㅋㅋㅋ
      세종만 애민했지 대부분 기득권들은 백성 개만도 못한 취급했는데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사기범죄 세계 1위 한국인의 인성이 탑이제 암 그라제잉

    • @user-gu6iq5sx8j
      @user-gu6iq5sx8j 3 ปีที่แล้ว +1

      세종 정조 노무현 (그러나 노무현은 멍청한 군주였다)

    • @icyvo3593
      @icyvo3593 3 ปีที่แล้ว +1

      @@tomaevan1607 ㅋ

    • @ggoupddanlee6452
      @ggoupddanlee6452 3 ปีที่แล้ว

      @@user-gu6iq5sx8j ㅜ ,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1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uh3iu1md3e
    @user-uh3iu1md3e 4 ปีที่แล้ว +34

    참으로 고난의 세월의 시대속을 사시다가신 왕중의왕이신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2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user-tt7qp2gb4g
    @user-tt7qp2gb4g 2 ปีที่แล้ว +61

    고맙습니다
    세종대왕님 !!
    갖은자는 누리는게
    당연한 시절인데,
    세종께서는
    다른 가진자 들의
    반대를 무릎쓰시고
    낮은 백성들을 위해..
    한글을 만들어 주신
    성군... 이십니다.

    • @donxch5761
      @donxch5761 2 ปีที่แล้ว +2

      가진 자

    • @user-fc5pg7os2o
      @user-fc5pg7os2o 2 ปีที่แล้ว

      갖은자.....

    • @user-uz8th1zq3n
      @user-uz8th1zq3n 2 ปีที่แล้ว +2

      가진자가 맞고 갖은은 갖은 고생을 했다. 할때 쓰이는 말로 전혀 다른 뜻의 언어 입니다.

    • @user-wv3op7cy4q
      @user-wv3op7cy4q ปีที่แล้ว +1

      교과서엔 집현전 학자들과 세종대왕께서 만드셨다는데 ..지능이 아주 높고 정희공주가 도움주고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글창제 하셨다고 한 위대한 대왕이었다고 합니다.

    • @user-iw5ys7zt6w
      @user-iw5ys7zt6w ปีที่แล้ว

      세종대왕님에 대한 감사한 마음이 보이는 댓글이네요.
      밑에는 '가진자'라고 쓰신 걸 보니 위에 적으신 '갖은자'는 단순 오타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반대를 무릅쓰다'에서 '무릅쓰다'라는 표현은 '힘들고 어려운 일을 참고 견디다.'라는 뜻으로 ㅂ받침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저도 가끔 알면서도 헷갈리는 표현이에요. 감사합니다.

  • @user-em6su3qz8w
    @user-em6su3qz8w ปีที่แล้ว +25

    세종대왕께 너무나 고맙고도 고마운 마음 그득합니다~!!!

  • @user-ko4nu6tx4i
    @user-ko4nu6tx4i 3 ปีที่แล้ว +47

    대박..학교에서 집현전학자들이랑 공동창제라고 배웠던 것 같은데.. 세종대왕님 혼자..
    ㄹㅇ로 한국인이라는게 자랑스럽슴다..

  • @user-dk7fv5cb9j
    @user-dk7fv5cb9j 3 ปีที่แล้ว +103

    한글이 세계 언어 올림픽 휩쓸었고 전세계 언어학자들이 세계 최고 문자라 했습니다. 세종대왕 만세 ㅠ사랑합니다.당신의 후손이란게 자랑스럽습니다.

    • @Young-kf1jw
      @Young-kf1jw 3 ปีที่แล้ว +4

      남편이 17대 손이니 늘 감사드립니다.

    • @user-sv7tx7go4o
      @user-sv7tx7go4o 2 ปีที่แล้ว +1

      한글창제는 세종대왕 즉위이전에 이미 만들어진 것 임 ㅡ범어ㆍ서역에 능통한 스님이신ㅡ 신미대사ㅡ속명ㆍ 김수성ㅡㆍ나중 혜각존자로 추존된 ㅡ충북 음성출신스님 ㅡ김 수성ㅡㆍ 역사증거물로 고증되기도ᆢ충북 법주사큰스님이 써낸책 ㅡ천강에비친달 ㅡ소상 히 나옴 ㅡ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2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zz5nv3ib2c
      @user-zz5nv3ib2c 2 ปีที่แล้ว +2

      @@user-sv7tx7go4o 말같잖은 소리

    • @eternal1440
      @eternal1440 2 ปีที่แล้ว

      @@user-sv7tx7go4o 이미 만들어졌다기 보다 기존에 있었던 문자를 몇개의 음운을 제하고 보편화될 수 있도록 정비했다고 표현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 @msaquarius0415
    @msaquarius0415 4 ปีที่แล้ว +19

    정말정말 감사해요 한문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너무 끔찍해요~~~

  • @user-it5cd3gc6j
    @user-it5cd3gc6j 4 ปีที่แล้ว +233

    세종대왕은 한글뿐아니라...아시다시피 천문, 음악, 과학기술등 정말 시대를 앞서간 사람입니다..천재로는 설명이 안되는 분임...노예출신 장영실을 쓴것만 해도 그당시엔 정말 파격임..

    • @user-pq9bj1lp4u
      @user-pq9bj1lp4u 3 ปีที่แล้ว +8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로 역사왜곡하는 소위 자칭 학자들에게 경고!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어가 고대 한자에 그대로 수록되었다. 고대인도문명과 우리 동이족의 고대한자문명은 서로 교류가 있었다. 음양이론은 고대 인도어에도 그대로 적용되었고 고대한자 발음의 체계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산스크리트어보다 고대 한자에 실렸던 발음의 체계를 더 정교하게 다듬었다. 예를 들면 성곽 곽의 발음에 음양이론을 적용하면 권이란 한자어가 나온다. 성곽 곽에서 내려다 본다는 볼 관에 관리할 관과 그가 가지고 있는 권한 권으로 곽>관>권으로 음양이 적용되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라는 말장난은 더이상 하지 말아다오.
      중국이 사용하던 중국말과 우리한자의 고유발음이 달라서 고대한자로 서로 통하지 않으니 발음기호에 해당되는 영어의 소리글자에 해당되는 한글이라는 자음과 모음의 체계를 창제하였다는 말이다. 나랏의 말씀인 우리말의 발음과 중국의 한자의 발음이 달라서 서로 통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훈민정음이 풀이된다. 훈민정음에서 중국어와는 다른 한자의 발음을 정확하게 표기하려는 목적이었다. 고대한자의 발음의 체계에는 성조라는 것이 없었다.
      고대한자를 창제한 원리와 한글을 창제한 원리가 동일하다. 한자라는 글에 소리를 실었던 발음의 체계가 우리말인 토착어의 발음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 것이다. 이두나 향찰과 같은 우리 일상어인 말을 기록하기 위해 한자를 발음기호로 사용한 것이다. 고대한자 속에 이미 발음기호인 ㄱㄴㄷㄹ ㅁㅄㅇㅈㅊㅋㅌㅍ이 들어있다. 나라 국이나 나라를 다스리는 군이란 한자 속에 이미 ㄱ이 들어 있다.
      사성이란 성조를 실으려면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만 한다. 학생이란 고대한자 발음을 중국어로 발음하려면 성조를 실어야 하고 슈에 스응으로 학이란 일음절을 이중모음인 슈에로 생이란 한음절도 이중모음으로 스응으로 된다는 말이다. 성조를 글에다가 인위적으로 실었다는 말이다. 중국어는 한자라는 글에서 만든 인조어이다.
      선천적 내재론이란 인류가 공장에서 출하된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처럼 태어날 때부터 언어수행능력장치를 갖고 태어난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바벨탑 이전의 인류공통된 언어를 만들 수가 있는 언어수행능력으로 예를 들면 파파 빠빠 마마와 같이 기본적인 음소가 표기하는 의미는 공통된 것이 많이 나타난다. 아브라 카타 아브라 세사미와 같은 주문을 보면 아브라함에서 아브라의 의미가 스페인어에서도 열려라라는 뜻이 된다. 새로운 민족과 씨족의 시조는 새로운 세대를 여는 상자 함으로 한자의 발음으로 연관된다. 후천적으로 서로 관련된 것이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살았던 아시아에서 살았던 인간의 언어 수행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이다. 빨주노초파남보라는 무지개의 색은 빨간 색은 빠르고 급한 색이며 동시에 의미를 나타내는 음소가 된다. 먹을 것을 준다는 마마에서 맘마가 음식이 된다. 스페인어로서 마시다의 뜻인 또마르와 먹다의 뜻인 꼬메르에서 메르는 메가 우리말의 쌀밥을 말하며 영어의 메뉴에서 메는 먹을 것을 누는 numero에서 nu로 순서대로 나열하다라는 온누리에서 누리에서 누리다에서 나열한 먹을 것을 말한다.
      중국어는 한자에 성조를 실어서 인위적으로 만든 인조어!
      사성이란 성조를 실었다는 Ultracorrection이 요구되었다는 사실이 바로 글을 말로 바꾸어 사용했다는 증거이고 말이 글보다 먼저라는 것입니다. 아기가 엄마 뱃속에서도 밖에서 하는 대화를 엿듣고 태중의 학습을 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답니다. 언어의 경제성 원리란 한음절에 지나친 부하를 가중시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일상 회화에서 성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중국인들이 큰소리로 남에게 피해를 주면서 성조를 실어서 말을 해야만 한다는 불편한 진실이 바로 중국말은 인조어!
      우리 동이족이 사용했던 우리의 토착어는 자연스럽게 발생된 일상 언어인 우리말이었고 우리 고대한자는 역사적인 사실을 기록하기 위한 우리 조상인 동이족이 창제한 글이었다.

    • @grabfuturefocus4381
      @grabfuturefocus4381 2 ปีที่แล้ว +3

      @@user-pq9bj1lp4u 동의 합니다
      유교와 중화사상에 찌든 국사학자 한글 학자들의 극대 포잠이지요

    • @grabfuturefocus4381
      @grabfuturefocus4381 2 ปีที่แล้ว +1

      노예가 아니라노비이며 그당시
      국인들의 80%가 노비 였습니다 그리고 중국을 섬기는 효성이 지극하여 중국 황제가 칭찬까지 했답니다
      중화사상에 찌든 x자식이지요

    • @ZGIGEE1just63
      @ZGIGEE1just63 2 ปีที่แล้ว +1

      장영실이아이디어의 계기였고, 세종대왕이 만약 혼자직접 만들었다면 세종대왕은 우울증을 걸렸을것, 장영실은 기록을 배제당하고 하지않았을까요?제 개인적인생각입니다. 영화 천문보고 그런생각들었다.

    • @ju301
      @ju301 2 ปีที่แล้ว +7

      우리나라를 위해 하늘에서 보내신분임이 틀림없음

  • @JConestar
    @JConestar 2 ปีที่แล้ว +28

    세종대왕, 얼마나 힘들고 오랜 연구였을까..하지만 굳건한 믿음과 확신이 있었기에 우리 고유의 한글창조를 성공했다. 너무 훌륭한 왕이며 백성들의 눈을깨우쳐 가르침과 지식을 널리 알리고싶어한 세종대왕의뜻이 너무 현대사회에서도 높이살수있는 뜻이며 거대한뜻이었다.

    • @hongseokseo1662
      @hongseokseo1662 ปีที่แล้ว

      '다루가치' 시절에
      영감받았겠구나
      '다루가치'는 몽골놈인디
      몽골놈은 문자문명 만드는
      종족이 아닌디
      우째 그리 어렵사리
      표절행위를 했을까 !

  • @user-dh27219
    @user-dh27219 2 ปีที่แล้ว +35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국민이쓸 문자를 왕이 직접 만든 역사는 한글이 유일합니다. 방송내용중 언어의 사치 한글이란 표현이 새롭군요

  • @skarmddn
    @skarmddn 3 ปีที่แล้ว +40

    세종대왕님의 부단한 노력으로 만들어진 한글로 우리 대한민국은 전세계 최고의 나라가 될 것입니다..~ !!

  • @chinzhang2821
    @chinzhang2821 4 ปีที่แล้ว +85

    위대하신 세종대왕님의 은혜를 어떻게 하오리까 ?영원히 평안을 누리소서

  • @JConestar
    @JConestar 2 ปีที่แล้ว +3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우리의 한글 너무 아름답고 대한민국이 세종대왕이 너 무 자랑스럽습니다 ~~~♡♡♡

  • @user-ud8dj5ct8e
    @user-ud8dj5ct8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정말 놀라고 놀랄 과학적인 한글!
    세종대왕님, 감사,감격합니다❤❤❤🎉❤❤❤

  • @user-it5cd3gc6j
    @user-it5cd3gc6j 4 ปีที่แล้ว +239

    한마디로 시대를 앞서간 파격적인 사고에...엄청난 학자에...천재가 한명 있었는데..엄청나게 운좋게도 그가 왕이었으니...조선에이은 대한민국의 가장큰 복임...

    • @tv.2745
      @tv.2745 4 ปีที่แล้ว +1

      세종 이가 나약햐고 백성을 노예로만든자란디.
      한글도중국식발음때문이라?맹글엇다?
      왜 요즘서 그런말이 나왔을까.

    • @user-bw5xe6vw8m
      @user-bw5xe6vw8m 4 ปีที่แล้ว +3

      구라치지마라. 뭔놈의 사신 발음을 위해 만들어. 장난하냐

    • @mayq32
      @mayq32 4 ปีที่แล้ว +13

      air 무식이 하늘을 찌르는구나. 그 입 닥쳐라!
      니가 지금 글을 쓸수 있음도 말도 안되는 소리를 말할수 있음도 세종대왕의 은공이니라.
      너같은 무지한 이들의 무식을 혁파하기 위해 그분이 애쓰셨느니라. 닥치고 감사해라.

    • @jins8686
      @jins8686 4 ปีที่แล้ว +3

      @@air5210 야이 조선족시키야 먼 멍멍이같은 짜장소릴내고 있어

    • @Killing_Field
      @Killing_Field 4 ปีที่แล้ว +2

      @@air5210 차라리 에일리언이 전해줬다 그랬으면 납득이라도 가지 ㅋㅋ

  • @jongsoochung1155
    @jongsoochung1155 4 ปีที่แล้ว +200

    한글 창제를 반대했던 것도 그들의 특권의식 때문일 것이다. 당시 한문을 읽고 쓰고 한 자는 글자를 모르는 대다수 국민들에게는 대단한 사람으로 취급되었을 것이고, 그들은 그 특권을 잃고 싶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 @jaehyunpark3870
      @jaehyunpark3870 4 ปีที่แล้ว +14

      JongSoo Chung
      거기다가 사대주의 도 강한 시대였으니...

    • @nolboo_korea
      @nolboo_korea 4 ปีที่แล้ว +4

      신하들이 처음에는 찬성했는데
      뭔 특권때문에 반대를 해요

    • @user-iu9ds4eh6n
      @user-iu9ds4eh6n 2 ปีที่แล้ว

      왕조시대에 왕이 혼자 만들었다고 믿는 또라들 역사학자란다 서문하나도 제대로 해석못하는 머저리들 세종이 지하에서 통곡하겟다 세종실록이 가짜라는것도 구별못하는가 사관이 몇이나 24시간 기록하는데 언문청이라는별도관청의기록이 왜없나 이상을 못느끼나

  • @user-ik6fk3yg6l
    @user-ik6fk3yg6l 4 ปีที่แล้ว +71

    백성을 사랑하는 희대의 천재가 있었다. 그런데... 하필 그가 왕이었다.
    우리민족의 기가 막힌 행운이었다. 왕이 만들지 않았다면 어찌 그게 세상에 남았겠나?
    상상력이 동원되어야하는 문자창제의 특성상 한 사람의 머리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의 특성이 그러하다. 토론해서 될 일이 아니다.
    1443년 12월 30일자 조선왕조실록에 "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만들었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집현전 학자들은 세종대왕이 던져 준 훈민정음을 실제로 적용해 본 일을 했을 뿐이다.
    그럼 어떻게 집현전 학자들이 만들었다는 이설이 생겼을까?
    성현의 용재총화가 그 주범이다. 세종대왕께서 언문청을 설치하여 신숙주, 성삼문 등에게
    명하여 한글을 만들게 하였다. 라는 구절에서 비롯됐다.
    언문청은 1443년에 설치됐다. 세종은 1442년에 세자에게 대리청정을 시켰다.
    신숙주는 한글창제 시기인 1443년에 세종의 명을 받아 일본을 방문하고 있었다.
    나중에 해동제국기를 썼다. 1445년에 언문청에서 용비어천가, 월인청강지곡 등을
    신숙주 성삼문이 편찬한 것을 보고 성재가 그렇게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으로 신숙주가 요동에 가서 중국 음운학자 황찬을 여러번 만난 것을 그 정황증거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이것은 중국의 홍무정운의 내용을 조선의 한자표준음에 적용할 준비를
    한 것이다. 즉 동국정운이 나온 정황설명에 불과하다.
    중국은 수도를 북경으로 옮겼다. 수도가 남경에 있을 때 지은 홍무정운과 북경의 현실음이
    맞지 않았다. 한자는 중국 글자다. 중국 글자를 현실 중국음에 최대한 가깝게 기록하기
    위해 노력하였을 것이다.따라서 동국정운에 있는 한자음이 중국발음이라고 하면서 한글이
    한자 표준음을 정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어리석은 백성들을 위해 만들었다고 밝혔다.
    중국 한자음의 표준을 정하기 위해서 만들었다면 그 이유를 훈민정음 서문에도 당당하게
    밝혔을 것이다. 안그래도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하는 일부 신하들을 설득할 좋은 명분을
    왜 밝히지 않았겠는가? 동국정운의 한자음을 적은 것은 부수적인 효과일 뿐이다.
    한문을 자유자재로 쓸 줄 아는 사대부들이 어리석은 백성은 아니다.

    • @oscargim5867
      @oscargim5867 3 ปีที่แล้ว

      하필??

    • @grabfuturefocus4381
      @grabfuturefocus4381 2 ปีที่แล้ว +1

      개뿔 지랄 세종은 중화사상에 찌든자

    • @grabfuturefocus4381
      @grabfuturefocus4381 2 ปีที่แล้ว +1

      @@HipposDayan 왕조실록 기반한 역사적 사실입니다
      까는게 아닙니다

  • @user-dq6kq5bg7w
    @user-dq6kq5bg7w 4 ปีที่แล้ว +133

    괜히 대왕이 붙는게 아니다 세종대왕 만세~!!

    • @user-bg5cj9pp9c
      @user-bg5cj9pp9c 2 ปีที่แล้ว +2

      사실 연산군 광해군 빼고 모든 조선의 왕은 대왕이 붙습니다

  • @thtcothtco
    @thtcothtco 4 ปีที่แล้ว +78

    세종대왕님 당신이 창제한 한글이 최고입니다. 위대한 세종

  • @cleango3824
    @cleango3824 4 ปีที่แล้ว +328

    세종은 전세계 올타임 넘버원 언어학자이자 한 나라의 절대권력자로서 민본주의를 실천한 몇 안 되는 인물중 하나이다

    • @user-pz1ee1yj4q
      @user-pz1ee1yj4q 3 ปีที่แล้ว +6

      그 아비가 정적들을 다 쓸어버렸기 때문이지 ㅋ

    • @user-hc7zz4rq3k
      @user-hc7zz4rq3k 3 ปีที่แล้ว +6

      노비종모법 세종

    • @Phenomenon9710
      @Phenomenon9710 3 ปีที่แล้ว +14

      @@user-hc7zz4rq3k ㅋㅋㅋ 노비종모법 밖에 안보는 사람이네. 공과를 적절하게 가려 판단할줄도알아야지 ㅋㅋ

    • @user-hc7zz4rq3k
      @user-hc7zz4rq3k 3 ปีที่แล้ว +2

      @@Phenomenon9710
      한글밖에 안보는 사람이네
      ㅎㅎ

    • @Phenomenon9710
      @Phenomenon9710 3 ปีที่แล้ว +12

      @@user-hc7zz4rq3k ㅎㅎ지금은 노비는 없지만 한글은 500년이 지나도록 살아있는데 한글만 보이는게 정상입니다 ㅎㅎ

  • @syl6494
    @syl6494 3 ปีที่แล้ว +64

    우리나라에 세종대왕님이 계셨다는것이 진정으로 축복받은 나라라 생각하게 됩니다.

    • @hiroono1
      @hiroono1 ปีที่แล้ว

      세종은 조선사상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헌상한 왕이다.

  • @TheBuenoWorldSoundSource
    @TheBuenoWorldSoundSource 2 ปีที่แล้ว +8

    훈민정음 창조가 참 과학적이네요. 대단한 글입니다.^^

  • @user-ys8hn5kv4d
    @user-ys8hn5kv4d 4 ปีที่แล้ว +25

    사람(백성)을 사랑하고, 앎에의 열망과 그에 따른 꿈을 펼치시려던 세종, 얼마나 외로우셨을까... 또 얼마나 많은 밤들을 뒤척이며 잠을 설치셨을꼬.

  • @user-tz5ze8nn6o
    @user-tz5ze8nn6o 4 ปีที่แล้ว +24

    정말 감사합니다.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user-jx7fp4hi7f
    @user-jx7fp4hi7f 3 ปีที่แล้ว +79

    국민 생각하는거는 세종대왕님 뿐이였구나 ㅜㅜ 진짜 존경합니다

    • @user-gx7rt2pm1j
      @user-gx7rt2pm1j 3 ปีที่แล้ว

      1

    • @faintcorona1726
      @faintcorona1726 2 ปีที่แล้ว +5

      노비종모법을 시행해 양인과의 결혼을 시행하고 중기에 이르러 인구의 반을 노비로 만들어버린 왕이기도 함

    • @khansteve9363
      @khansteve9363 2 ปีที่แล้ว +3

      세종은 부민고소법 통과시켜서 폐단을 만든 주범입니다.
      게다 양녕대군이 폐위되게 술수 부려놓고 진양대군은 수양으로 바꿔서 ㅋㅋ 수양버들 처럼 살아라 라고 한건데 지가 형 조져서 왕됐는데 아들이 형조지지 말라는 수준 ㄹㅇ.. 실제로 세종이 수양은 태종을 닮았다 했지만 태종은 수양이 세종을 닮았다고 말한다 전한다.

    • @huntersis1655
      @huntersis1655 2 ปีที่แล้ว +1

      @@faintcorona1726 그당시 이미 절반이 노비였고
      고려가 망한 이유중 하나가 지나치게 노비가 양산되었음
      노비종모법은 그당시 현실을 반영한 법일뿐 법자체가 잘못된것은 아님

    • @huntersis1655
      @huntersis1655 2 ปีที่แล้ว +1

      @@khansteve9363 그당시 처음으로 중앙집권 체제를 시행한건데 사실상
      어느정도 강력한 법집행이 필요했고
      그게 아니었으면 지방통제가 어려운것은 분명한 사실
      문제는 나중에 중앙집권체제가 완성된 뒤에도 유지된것은 조선의 대표적인 폐단이된것은 분명

  • @user-mh3rg5lr7d
    @user-mh3rg5lr7d 3 ปีที่แล้ว +44

    세종대왕님 너무도 훌륭한 성군이십니다.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글입니다.
    정말로 감사합니다.

    • @user-dn2oh6zc4s
      @user-dn2oh6zc4s 2 ปีที่แล้ว +2

      강원원 박사가 밝힌 훈민정음 발표 되기 8년전 신미대사가 가림토 문자 38자 옛글을 참고해서 만들었다고 하셨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dn2oh6zc4s
      @user-dn2oh6zc4s 2 ปีที่แล้ว +1

      @@hiroono1 가림토문자 38자 정음 문자에서 훈민정음 28가 나왔고.일본 신대문자도 가림토 문자에서 나왔다고 해요.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1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user-hy9my4hj3i 현대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이다. 한국인은 말을 가르쳐 준 일본에 감사하라.

  • @user-qh2xj5fx7q
    @user-qh2xj5fx7q 4 ปีที่แล้ว +51

    다행히 역사상 초 천재가 세종대왕 였으니 다행히 우리가 요래 글를쓰고 배우고 그러지 한문저걸배워야 했다면 어후ㅡㅡ 머리 뽀게질듯

  • @yongoh6133
    @yongoh6133 4 ปีที่แล้ว +134

    세종대왕 같은 초 천재의 눈에 비친 그당시 조선의 모습이 얼마나 참담했을까 사대부의 반대로 이루지 못한 업적이 얼마나 많을지 알수있는 영상 이었습니다 부디 다시 환생하여 대한민국의 부흥을 이끌어 주시길

    • @io2998
      @io2998 3 ปีที่แล้ว +8

      세종대왕이 전형적 사대부이자 중국의 제후인데

    • @user-rz5ny3ce8q
      @user-rz5ny3ce8q 3 ปีที่แล้ว

      11,

    • @equalizer6557
      @equalizer6557 3 ปีที่แล้ว +2

      장영실박사의 작품 아니였을까?! 늘~그생각해본다

    •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2 ปีที่แล้ว +4

      세종대왕이 누구보다 중국을 좋아하는 사대부 였는데..?

    • @user-tt7qp2gb4g
      @user-tt7qp2gb4g 2 ปีที่แล้ว

      믿습니다 님의 그말.
      고맙습니다

  • @user-sh3tr3kq7j
    @user-sh3tr3kq7j 3 ปีที่แล้ว +37

    백성들을 사랑하여 과학적으로 연구를
    거듭한끝에 탄생시킨 가장 빛나는 위대한 업적이며 ,세계에서도
    찿아보기 힘든 가장 훌륭한 대왕이라
    생각한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qg7vk1pd7d
      @user-qg7vk1pd7d 2 ปีที่แล้ว

      @@hiroono1 신대문자는 개구라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user-qg7vk1pd7d 신대문자에 처음 언급한 문헌은 가마쿠라 시대의 신도가의 칸베 겸방의 「釈日本紀」(1301년 이전 성립)이다. 즉, 신대문자는 한글보다 적어도 100년 이상 일찍부터 존재했다. 신대문자는 쓰시마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모두 표음 문자이며 모음과 자음으로 분해된다. 한글이 신대문자의 영향을 받은 것은 분명하다.

  • @thihuongvi381
    @thihuongvi381 4 ปีที่แล้ว +44

    정말 잘 봤습니다. 한국어를 배웠는데 이런 역사에 대해서 몰랐습니다. 지금 우리 쓰고 있는 한글을 만들려고 얼머나 고생하셨을까요.... 정말 감사합니다.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2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y.purple8619
    @y.purple8619 3 ปีที่แล้ว +24

    진짜 일어 키보드 누르려면 짜증나서
    아예 영어 키보드로 누른다 그게 되려 편함
    우리 한글은 헤매지 않고 단번에 되는데...
    위대하고 위대하신 세종대왕님께
    늘 감사하며 살고 있어요

  • @jamesdin4191
    @jamesdin4191 4 ปีที่แล้ว +22

    아 이 영상 겁나 찾았는데 ㅎㅎ 감사합니다.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1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johnslvation8940
    @johnslvation8940 2 ปีที่แล้ว +3

    대단힌 중요한 정보 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en2wi2de2i
    @user-en2wi2de2i 3 ปีที่แล้ว +36

    세종대왕이 단독으로 만든 걸로 판명 정말 위대한 왕이다

  • @jemankim2666
    @jemankim2666 4 ปีที่แล้ว +75

    우리 한글이 존재 하지 않고 뙤놈 글인 한문을 지금까지
    사용해 왔다면 그렇치 않아도
    지들의 속국 이라고 주장하는
    뙤놈들을 생각하면 끔찍한 일이 아닐수없다 세종대왕 정말 위대한 군주일뿐 아니라
    우리민족의 꺼지지 않을 태양
    이십니다

    • @user-dv4yy5hr6x
      @user-dv4yy5hr6x 4 ปีที่แล้ว +8

      한자도 우리 동이족이 만든 글자입니다 중국글자는 없습니다

    • @movingstonelee7323
      @movingstonelee7323 4 ปีที่แล้ว +6

      한자라는 것도 원래
      배달겨레가 먼저 쓰던 거다.
      진왕 이정이 파묻어 죽인 학자들이 전부 동이족 선비들이었다.
      그후 한나라 글자라고 주장

    • @tomaevan1607
      @tomaevan1607 3 ปีที่แล้ว

      @@user-dv4yy5hr6x 환빠 꺼져

  • @user-dv4yy5hr6x
    @user-dv4yy5hr6x 4 ปีที่แล้ว +85

    최만리 같은 학자는 극력 반대했다 최만리는 이렇게 말했다 이렇게 쉬운 글자를 배워서 출세를 한다면 누가 못 하겠나 라고 말했다 글자가 어려우면 문화가 뒤떨어 진다는 것을 몰랐던 것이다

    • @user-zz5nv3ib2c
      @user-zz5nv3ib2c 2 ปีที่แล้ว +12

      특권의식에 쩔었던 고위관리자 라서 그런거 아닐런지요

    • @user-ko6kk4js4w
      @user-ko6kk4js4w 2 ปีที่แล้ว +2

      훈민정음 이 만들어 지기 까지의 전과정
      을 세종대왕 이라는 드라마를 만들어 그
      위대함을 세계만방에 알리는것도 필요하다.

  • @ysc4472
    @ysc4472 3 ปีที่แล้ว +34

    세종대왕은 천재이고 멋쟁이다 집현전에서 만들었든 아니든 필사적으로 만들어진 한글 정말 만국 공통어를 표현할수있는 최고의문자다 자랑스럽고 멋집니다.

  • @user-hi1nc9to2k
    @user-hi1nc9to2k 4 ปีที่แล้ว +22

    세종대왕이 천재학자요 음악가라 소리를 누구보다도 잘알고 있었다 그리하여 소리음 한글이창조 될수있었다

    • @user-sv7tx7go4o
      @user-sv7tx7go4o 2 ปีที่แล้ว +1

      한글은범어ㆍ서역ㆍ산스크리트에 능통하신 스님이신 신미대사께서 창제하신것 ㅡ충북음성출신 ㅡ속명 김수성 ㅡ나중 혜각존자로 추존ㅡ법주사에주석하신 큰스님이펴낸 ㅡ천강에비친달 ㅡ에 소상히나타람

  • @user-wn1ph1bu3f
    @user-wn1ph1bu3f 4 ปีที่แล้ว +39

    논리로 죠져 버렸어..세종대왕의 국민이라는게 자랑스럽다.

  • @bwslovely
    @bwslovely 2 ปีที่แล้ว +15

    세종대왕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user-ik6fm8zc5j
    @user-ik6fm8zc5j 2 ปีที่แล้ว +2

    세계에서 제일아름다운 말을 요리조리 이리저리 자유대로 말을할수 있게해주신 대왕님께 감사의 절을 올립니다 말의 사치를 누리고 살수있는 우리 후손은 민주주의 나라에서 영원히 삶이 존손되리라

  • @mayq32
    @mayq32 4 ปีที่แล้ว +99

    그 시절의 노블리스오블리제.
    알고보면 동서양 통틀어 최고수준임.
    어떤 왕이 애민정신으로
    본인 몸 망가지며
    신하라는 기득 세력과 싸우며
    백성을 위했는지!
    동서고금 통합하여 최고의 왕이다.

    • @donghokim6976
      @donghokim6976 4 ปีที่แล้ว +7

      나랏말싸미란 영화를 보면서 한글의 소중함과 세종대왕님에 대한 존경심이 더 깊어졌네요. 기득권들만의 지식 독점이 아닌 백성들이 함께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어준 세종대왕님. 정말 대단하고 존경스럽습니다.

    • @tomaevan1607
      @tomaevan1607 3 ปีที่แล้ว +1

      최고는 오바고 개인적으로는 강희제 원탑 봅니다.

    • @mayq32
      @mayq32 3 ปีที่แล้ว +5

      문종호 최고임. 개인적인 생각은 다른데 가서 하세요. 본인 국적이 무엇인지 꼭 여기서 티 안내도됨.

    • @makoo8889
      @makoo8889 3 ปีที่แล้ว +3

      @@mayq32
      세종컨텐츠에 강희제를 탑이라고 쓰는걸 보니 유학생 우마오당 같은데...
      그래도 국적과 좋아하는 위인이 같아야 한다는 국수주의는 안되요~
      아마 문종호 저 친구는 강희제가 신라의 후손이라는걸 밝혀서 좋아하는 걸껄요?
      강희제 손자 건륭제가 책으로도 썼어요. 울 할베가 이렇다고 하시더라하고~
      중국 정식 인정 정사서 [만주원류고] 참조~

    • @mayq32
      @mayq32 3 ปีที่แล้ว

      @@makoo8889 궂이....지식을 내세워 남을 국수주의자로 모는 자세가 바람직한지? 남의 의견과 생각에 맞네 안맞네 지적하는 바는 바람직한지?궂이 세종대왕과 한글에 대한 주제에 대한 내 생각에 강희재에 대한 본인의 생각이 맞다며 이야기하는자의 무례함은? 중국이든 만주든 그런 컨텐츠가서 의견을 제시하시던지. 궂이 아는 바를 티 안네도 될듯한데. 그런걸 over라 말하던데.

  • @kimjeonghuun8665
    @kimjeonghuun8665 4 ปีที่แล้ว +18

    오랜만에 다시 보니 잊고 있던 게 새록새록... 감사합니다.

    • @user-et2nd9ek6l
      @user-et2nd9ek6l 3 ปีที่แล้ว +2

      1930년 친일 주시경 졸개들에 엉털이 주장,책대로 말혀라 앵벌이 들아.

  • @jrychoi
    @jrychoi 2 ปีที่แล้ว +9

    모르는 부분을 깨닳게 해 주는 귀중한 영상입니다. 감동입니다.

  • @user-nj4cn8qm3y
    @user-nj4cn8qm3y ปีที่แล้ว +9

    아,설,순.치,후음의 자음과 천지인 모음 체계
    훈민정음은 정말 최고의 발명품이다.

    • @user-gn7qi6xd9x
      @user-gn7qi6xd9x ปีที่แล้ว

      th-cam.com/video/giqYx7rdbyg/w-d-xo.html
      언론 말글살이 독립 선언식 여는 말.

  • @libertyyoulove
    @libertyyoulove 2 ปีที่แล้ว +8

    전세계 어느 나라 왕이 자기나라 백성을 위해 글자를 만들었을까요
    세종대왕님덕분에 지금도 이렇게 댓글을 남길수가 있다는게 감사한
    일입니다!.

    • @user-zz5nv3ib2c
      @user-zz5nv3ib2c 2 ปีที่แล้ว +2

      한문을 지금도 썼다면 무식자가 국민에 반이 넘었을듯

    • @seoyun6298
      @seoyun62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zz5nv3ib2c 어우 한문 끔찍

  • @user-oh1mv6nt3j
    @user-oh1mv6nt3j 3 ปีที่แล้ว +20

    위대한 세종대왕님 애민의 마음으로 한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grabfuturefocus4381
      @grabfuturefocus4381 2 ปีที่แล้ว +3

      애민이 아니고 양반사대부 에국한된 애민이지요
      당신의 조상일수도 있는 노비들에게는 아주 가혹했답니다
      그리고 노비는 인구의 80가 노비였고 일제시대 에나 없어 졌답니다
      동족을 노비로 삼아 부린 나라는 전세계에서 조선이 유일 하답니다
      얼마나 가혹햤으면 임진왜란 때
      노비들이 일본군 길잡이가 되었겠습니까?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1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user-zh1to4gc6z
    @user-zh1to4gc6z 3 ปีที่แล้ว +28

    이젠 세종대왕님이 한글창제했다고 배우고 있답니다
    저는 공동으로 했다고 배웠거든요

    • @user-tt7qp2gb4g
      @user-tt7qp2gb4g 2 ปีที่แล้ว +2

      아~
      지금은 그렇게
      가르치고.. 배우고
      있군요 다행입니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1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1

      @@user-fn1ew6hd2j 한국인은 망상 속에서 살아 있기 때문에 사실은 무의미하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 적인, 철학, 회사, 부장, 사장
      일본어로
      注意、請願、交通、博士、倫理、想像、文明、芸術、古典、講義、医学、衛生、封建、作用、典型、抽象、哲学、会社、部長、社長
      이다.

  • @cky7888
    @cky7888 2 ปีที่แล้ว +11

    글자배포를 반대해서 속이 상해 눈물을 흘렸다. 참으로 그 시대에 혼자서 앞날을 위해 너무도 외로운 싸움을 하셧다는 느낌이 드네요.

  • @ericlee4007
    @ericlee4007 2 ปีที่แล้ว +57

    우리가 그냥 사용하는 말이 "문자학적 사치"라고 평가 받는다니 정말 자랑스럽네요. The Great King Sejong!!!

    • @hiroono1
      @hiroono1 ปีที่แล้ว

      한글의 바탕이 된 것은 몽골의 파스파 문자와 일본의 신대 문자이다. 세종이 한글을 만들었지만 저속한 문자로 사용되지 않았다. 조선인이 글을 읽을 수 없는 일을 일본이 우려하고 한글의 미비를 수정하고 일본어를 한글로 번역해 조선인에게 가르쳤다. 학교도 40에서 1000으로 늘었다. 서울대를 만든 것도 일본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이 만들었다. 그러니 현재도 한국어 어휘의 70% 이상이 일본어 기원인 것이다.
      주의, 역사,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해야 한다.

    • @classic378
      @classic378 ปีที่แล้ว

      언어랑 문자는 구분해야지

    • @hiroono1
      @hiroono1 ปีที่แล้ว

      @@classic378 언어와 문자와 어휘도 구별할 필요가 있다.
      조선 언어의 문법은 일본어와 거의 같다. 한글을 정리해 조선에 퍼뜨린 것은 일본이다. 그리고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유래이다.
      사실상 한국어는 일본어 방언이라고 할 수 있다.

    • @user-ky3wo9cs6e
      @user-ky3wo9cs6e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iroono1 댕댕이소리 처하누? 일본어 자체가 고대 한국어에서 왔는데

    • @hiroono1
      @hiroono1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ky3wo9cs6e 그것은 한국인에 의한 날조이다. 삼국시대 이전의 조선어에 대해서는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원을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인은 왜 무엇이든 날조하는 것인가? 대답하십시오.

  • @firesword5199
    @firesword5199 4 ปีที่แล้ว +33

    누구든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본다.
    왕의 능력과 의지가 없었다면,
    이런 큰 사업은 절대 불가능했을 것.

  • @neamokyung
    @neamokyung 4 ปีที่แล้ว +183

    한글이 얼마나 뛰어난 문자인가를 직접 체험하고 싶다면 한글키보드의 편리성을봐라!

    • @user-ze6ie7vv4n
      @user-ze6ie7vv4n 4 ปีที่แล้ว +22

      넵.공감

    • @user-xl2ms6ru4d
      @user-xl2ms6ru4d 3 ปีที่แล้ว +22

      스마트폰 문자가 세계어느나라보다 편리함

    • @icyvo3593
      @icyvo3593 3 ปีที่แล้ว +7

      진짜롴ㅋㅋㅋㅋㅋ

    • @user-nx5vd8mn6k
      @user-nx5vd8mn6k 2 ปีที่แล้ว +1

      우리나라문자니까 편하지

    •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tjobfthvsylbvssun6rdhustyg256 2 ปีที่แล้ว +2

      한글 키보드가 영문 로마자 키보드보다 된소리 때문에 쉬프트 많이 써야 돼서 불편함. 그리고 오히려 중국어 키보드가 훨씬 편함 휴대폰에서는 더 그렇고 그건 님이 한글 밖에 안 써보셔서 그런 거

  • @user-fe6mc3sc4q
    @user-fe6mc3sc4q 3 ปีที่แล้ว +18

    만약 세종대왕이 임금이 아니고 그냥 집현전 학자였다면 한글은 탄생하지 않았을거다~

  • @xx-pf2ig
    @xx-pf2ig 3 ปีที่แล้ว +4

    좋네요! 브라보 ! 퍼팩트! 완벽해요 멋져요!

  • @Superboard_Power
    @Superboard_Power 2 ปีที่แล้ว +41

    아무리 집현전 학자들이 똑똑해도 아무런 지식없이 세종대왕께서 혼자 만드신 번역 및 혜례를 지시 받아서 만들었다는게 한글이 익히는데 얼마나 쉬운지 알게되는 좋은 사례네요 ㅎㅎㅎ 어떤 언어를 문자로 음이라도 달려면 한글 제외하고는 몇년은 필요할텐데 말이지요

  • @user-prayforwwwww
    @user-prayforwwwww 3 ปีที่แล้ว +40

    세종대왕은 진짜 한반도에 내려준 하늘의 선물이다....
    세종대왕 없었으면, 한글 없었으면 아 생각만해도 개오싹;;

  • @nurse12320
    @nurse12320 ปีที่แล้ว +1

    역사공부 참 잘했습니다 👍

  • @rany6514
    @rany6514 3 ปีที่แล้ว +46

    세종대왕께서 혼자서 한글을 만드셨다는 증거가 이리 많았는데...
    나는 왜 집현전 학자들과 세종 대왕께서 함께 만들었다고 배웠는지 ...
    지금의 아이들에게는 역사교육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 모르겠다!
    제대로 되고 있길 바란다!
    최근에 이번 한글날 (2020.10.09) 미국의 작가가 킹세종이라는 책을 출간 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후에 영화도 만들어질거란다! 다른 나라 사람들도 인정한 세종대왕님!

    • @hardtack_710
      @hardtack_710 2 ปีที่แล้ว

      조 메노스키이죠 킹 세종 더 그레이트!

  • @user-yy2no6ir9v
    @user-yy2no6ir9v 4 ปีที่แล้ว +59

    세종은 이른 천재임이 분명해 보이네요

  • @user-hw7fv5dt5k
    @user-hw7fv5dt5k 3 ปีที่แล้ว +16

    감사합니다 덕분에 한글을 할수있게 돼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존경합니다 세종대왕님^^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1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donggeunihm1636
    @donggeunihm1636 3 ปีที่แล้ว +62

    원래 천재적인 인물들은 자기의 뜻을
    주변에서 잘 이해하지 못하면 홀로
    진행 하려는 의지가 공통적으로 있는
    것 같다.

    • @user-xi5eo9kl6g
      @user-xi5eo9kl6g 3 ปีที่แล้ว +4

      한글은백성을위해만들었고배우기쉽고세계모든언어를기록할수있는문자이다

    • @grabfuturefocus4381
      @grabfuturefocus4381 2 ปีที่แล้ว +2

      @@user-xi5eo9kl6g 배우기 쉬운거 맞음 백성의 범위는 어디까지?
      그당시 인구의 5% 양반사대부 15% 벼슬안한
      양 민
      80% 노비(그대와 나의 조상은 노비 였답니다)
      그리고 세종은 한번 노비는 영원한 노비로 만들었고
      그 자손들도 노비로 만들어 물건처럼 사고팔게 만듬
      애인사상에 노비는 포함 않됨

  • @user-youngjae930
    @user-youngjae930 3 ปีที่แล้ว +12

    진짜 다시 보지만..... 28:51 자신의 잘못이라고 자책..... 역시 마음씨까지 고우셔~ ㅠㅠ 역시 갓종!!!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ld8dm8yr5n
      @user-ld8dm8yr5n ปีที่แล้ว

      히로노야 쓸데없는 소리 고만해라

  • @celsius200do
    @celsius200do 2 ปีที่แล้ว +14

    몇백년간 써온 한문을 버리고 어찌 한글을 만들 생각을.. 다른 소인배들은 못한것이지.. 정말 위대하신분.. 한반도 수호신의 선물.

  • @user-rw9sn3yh6h
    @user-rw9sn3yh6h 3 ปีที่แล้ว +9

    세종대왕보다 위대한왕은
    세상천지 어디에도 없습니다

  • @user-lj8zk7mm1g
    @user-lj8zk7mm1g 2 ปีที่แล้ว

    들어도 또들어도 재미있는 우리역사

  • @user-vd4ct2hh3t
    @user-vd4ct2hh3t 3 ปีที่แล้ว +20

    세계 글자대회 한글 1위입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

    • @user-hy9my4hj3i
      @user-hy9my4hj3i 2 ปีที่แล้ว +1

      "감사,,결혼 ,,야채,,가마니,,양파,, 양배추,, 양상추(양이란 왜적이 바다를 건너 가지고 왔다하여 양을 씀) 등등은 왜적들이 쓰는 한자어로 우리말 "고맙,,혼인,, 채소(남새,푸성귀)멱서리(콩멱서리 팥멱서리,쌀멱서리) 둥근파,,둔근배추,,둥근상추,,으로 써주셔야 왜적들의 비웃음을 그치게 합니다

  • @user-le5jr7kh9p
    @user-le5jr7kh9p 4 ปีที่แล้ว +93

    집현학자들이 알았으면 우리 한글은 없다.

  • @user-rf9wd7mz1z
    @user-rf9wd7mz1z 2 ปีที่แล้ว +20

    우리나라가 이렇게 선진국가가 될 수 있었던 이유가 세종대왕의 한글때문이지

  • @garion3344
    @garion3344 2 ปีที่แล้ว +5

    신미대사에게 많은 도움을 받았고 특히
    한글창제에 가장 공이 큰 사람은 큰아들
    문종이 세종을 닮아 천재형인간 실록과 기록을 보면 그의 아들 대군들과 공주가
    창제에 엄청난 공헌을 했다고 나와 있다.

  • @user-yu4sd9bu3r
    @user-yu4sd9bu3r 4 ปีที่แล้ว +2

    👏👏👏 대단하시네요

  • @user-ej9bw5kk5p
    @user-ej9bw5kk5p 3 ปีที่แล้ว +25

    세종은 당대의 최고의 학자였죠

  • @hyeonjingwak1501
    @hyeonjingwak1501 3 ปีที่แล้ว +38

    진짜 대단하신왕이죠 혼자 만드신 저걸 할수있는 것도 세자 문종이 국정을 돌봐서 가능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일본의 신대문자는 한글의 근원의 유력한 후보이다. 신대 문자는 일본 전국의 고대 유적에 쓰여져 있으며, 일본에 한자가 전해지기 전에 각 지방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문자이다. 최초로 학문으로서 연구된 것은 13세기이며, 한글보다 1세기 이상 이른다.
      신대문자는 일본 전체에서 통일되어 사용된 문자는 아니지만, 그 형태나 표음문자인 점 등, 보기만 해도 한글과의 공통성은 많다.
      세종은 한글을 만들었지만 "국내의 이해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관계하는 것이므로 단지 (중국 황제의)령에 따른다"고 말하면서 가장 많은 성노예를 중국에 기여했다.
      현재 한국어 어휘의 70%는 일본어 기원이다. 일본이 조선을 병합했을 때 조선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문맹이었다. 조선은 한글을 저급 언어로 버리고 있었다. 일본은 앞선 문명의 개념을 한글로 번역해 조선 시민들에게 가르친 것이다. 최초의 한글 사전도 일본인이 편찬했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드립니다.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등 모두 일본어이다.

    • @user-vb2ub2tu2b
      @user-vb2ub2tu2b 2 ปีที่แล้ว +3

      @@hiroono1 말도 안되는 소리를 이리 당당히~~~ 기가 찹니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user-vb2ub2tu2b 주의, 청원, 교통, 박사, 윤리, 상상, 문명, 예술, 고전, 강의, 의학, 위생, 봉건, 작용, 전형적, 추상, 철학, 회사, 부장, 사장 = 注意、請願、交通、博士、倫理、想像、文明、芸術、古典、講義、医学、衛生、封建、作用、典型的、抽象、哲学、会社、部長、社長

    • @user-cf5cw9fq5f
      @user-cf5cw9fq5f 2 ปีที่แล้ว +3

      @@hiroono1
      일본인임?
      그게 한국한자지 일어요?당신네 단어들이 어디서 나간건지 아는지 모르겠네.
      어리석다

    • @hiroono1
      @hiroono1 2 ปีที่แล้ว

      @@user-cf5cw9fq5f 후반이 한글이고 전반이 그 원이 된 일본어이다.
      일본어로는 한자에 의미가 있지만 한글을 읽는 것만으로는 의미를 모른다. 일본어가 원래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대한국어 어휘의 70%가 일본어 유래이다. 한국에는 원래 회사도 법원도 도서관도 문화도 의학도 없었다. 그래서 말도 없었다. 모두 일본인이 가르친 것이다. 한국인은 일본에 감사하라.

  • @user-wu5fe4wc5d
    @user-wu5fe4wc5d 3 ปีที่แล้ว +38

    I am so proud of King Sejong ,the 4th King in the Choseon Dynasty in my country , Korea .

  • @user-xp4bg3zo8d
    @user-xp4bg3zo8d ปีที่แล้ว +3

    세종대왕은 세계적 진정한 최고의 발명가요
    최고의 애국자이시다
    세종대왕이 계셔
    오늘의
    세계적 위상의
    대한민국이 있는것이다.

  • @subbuilder3563
    @subbuilder3563 4 ปีที่แล้ว +123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 @yijung4561
      @yijung4561 4 ปีที่แล้ว +7

      만약 세종대왕이 안 계셨다면 우린 아직도 "까마눈의무식꾼"으로 살아왔을것이다
      어찌되었건 우린 세계인이 부러워하는 "으뜸글"을 가지게된 연유는 "세종대왕" 님이시다
      물론 집현전 학자들이 함께했다는것 감사해야겠지요
      지금와서 한글에 "택글"을거는 인간들은 무슨의도로 이러는걸가
      방송에서 이러는 이유는 무엇일가 제발 입다물고 대왕님께 감사하는 마음이나 갖도록하라

    • @sunfull_
      @sunfull_ 4 ปีที่แล้ว +2

      *아직도 세종 빨고 있네*
      자세히 보기

    • @user-yq3sb9ud2m
      @user-yq3sb9ud2m 4 ปีที่แล้ว +1

      좃선의 그수많은과오의역사가 셰종하나로 다씻어버린다 그만큼그는 우리역사의존재감이있다

    • @user-le3xw6nd7j
      @user-le3xw6nd7j 4 ปีที่แล้ว +2

      @@sunfull_ 한글 쓰지 말아주세요^^

    • @user-pz1ee1yj4q
      @user-pz1ee1yj4q 3 ปีที่แล้ว +1

      @@sunfull_ ㅎ

  • @user-nt2sm1dr4d
    @user-nt2sm1dr4d 2 ปีที่แล้ว +19

    집현전 7학사인 정인지, 신숙주, 성삼문등 학사들이 훈민정음 해설서인 혜례본을 썼다. 정인지는 서문을 썼다.

  • @user-uu9ir9rd6t
    @user-uu9ir9rd6t 4 ปีที่แล้ว +91

    인류가 만든 가장 진화된 문자 한글!

    • @grabfuturefocus4381
      @grabfuturefocus4381 2 ปีที่แล้ว +3

      서양에서는 앏파벳
      짱께들은 한자
      각자 자신의 문자를 자랑 합니다 꿈에서 깨세요

    • @sejungkim3055
      @sejungkim3055 2 ปีที่แล้ว +2

      우리 발음에는 한글
      중국어에는 한자
      일본어에는 가나
      이란은 이란글자
      서양은 알파벳
      인도는 인도문자
      각각의 발음 체계에 맞는 독특한 문자체계가 있다.
      그런데 한글은 소리글자라서
      한자로 치면 발음기호의 역할.
      안그래?

    • @user-Freesoul
      @user-Freesoul 2 ปีที่แล้ว +1

      @@sejungkim3055 안그래 어

    • @sejungkim3055
      @sejungkim3055 2 ปีที่แล้ว

      @@user-Freesoul
      동국정운은 무엇인가.

    • @user-Freesoul
      @user-Freesoul 2 ปีที่แล้ว

      동국정운이 그당시 지방마다 제각기 다른 발음들의 표준을 정한 책인데 한글이랑 뭔상관이야 띨빡아

  • @ssrrcrcttysuesue
    @ssrrcrcttysuesu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언어교육전공자로서 진짜 발음기관 따라 이모든소리를 글자로 만들었다는거 너무천재적이라 울컥울컥함ㅠㅠ 시대배경과 신하들 땜 얼마나 스트레스받으셨을까ㅠㅠ 문자학적 사치란 말도 가슴이 벅차오름

    • @sklee7071
      @sklee7071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당시 조선왕조 실록을 보면 훈민정음 창제후 반포를 하기전에 최만리와 얘기중에 보면 너희들이 운서를 아느냐라는 말이 나오는 데 그 운서라는 게 "성음청 하도"일 가능 성이 높음.
      "사성 칠음 청탁 에 대한 물건너온 이론" 정도로 해석 가능함. 사성은 (소리의 높낮이와 장단을 나타내는 방법), 칠음이 아,설,순,치,후,반설,반치음, 청탁은 청음 탁음이라는 구분에 대한 것으로 볼수 있음. 칠음은 초성 즉 자음에 대한 내용임. 위치에 따라 자음이 어디서 나는 소리를 설명한 것인데 한자의 초성음으로 설명하고 있음. 君字 初發聲音 牙音(군짜 초발성음 아음) 이런 식으로.
      이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로 발성기관을 관찰하여 아음인데 혀모양을 관찰해 ㄱ으로 만들어 낸 것이 세종이죠. 세종의 업적은 여기서 자음 만들어 낸 것도 위대한 업적이지만 중성인 모음을 만들어 낸 것이 위대한 발명임. 모음에 대한 이론은 "성음청 하도"에 없는 이론인데.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으로 합자해서 만든 것도 위대한 것임. 자음을 만들어 낸 기초 이론은 '성음청 하도'를 기반으로 만들어 졌을 지언정 그 관찰을 바탕으로 소리가 어디서 어떤 발음이 난다는 것은 기록했지만 그 소리를 그소리가 나는 발성기관을 본떠서 글자를 만들 생각은 아무도 못했는 데 세종은 그 모양을 보고 자음을 만들어 냈을 뿐 아니라 모음까지 만들어 냈다는 것은 다른 여러가지 표음 문자에 대해서도 통달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그리고 가획으로 같은 계열 자음을 나타낸 것도 천재적인 발상이죠. 훈민정음 해례를 읽어보면 훈민정음을 만드는 방식을 설명해 놓은 다음 쉽게 외울 수 있도록, 7언절구로 만들어진 "결"을 만들어 소위 "태정태세문단세" 처럼 빨리 외우는(공부하는 방법을 덧붙여 놓은 것도 재미난 것임. 결은 외우는 비결을 뜻하는 것이겠죠.

  • @user-jh8fc1zm6g
    @user-jh8fc1zm6g 4 ปีที่แล้ว +16

    진짜 천재

  • @bjpaulbros
    @bjpaulbros 3 ปีที่แล้ว

    상노무자식 꼴.목소리 듣보니 울화가 치밀어 참을 수 없네요

  • @user-iu6gz4gm2g
    @user-iu6gz4gm2g 4 ปีที่แล้ว +19

    그레이트 킹 세종...오로지 국민들을 위해서 만든 문자가 바로 한글...오히려 집현전 학자들은 한글 반포에 반대한 인간들임.

  • @user-lx1xr3qg5e
    @user-lx1xr3qg5e 4 ปีที่แล้ว +7

    한글을 그냥 뚝딱 만들었다고 생각하니, 집현전 학자가 만들었다, 공주가 만들었다 , 중이 만들었다고 하는데, 할글이 얼마나 음운학적 체계를 가지고 있는지 가르치지 않으니 이런소리가 나와요. 위대한 음운학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 만드었는데, 당시 최고의 음운학자는 세종대왕 이었어요.

  • @user-wx6ut6em3w
    @user-wx6ut6em3w 3 ปีที่แล้ว +3

    감사합니다..,.

  • @ppaseung
    @ppaseung ปีที่แล้ว +3

    어리석은 백성이 어떻게 하면 쉽게 글자를 배울수 있을까를 생각하며, 쉽게 배울수 있는 글을 만들기 위해 고심한 끝에 세계 최고의 디지털 문자를 만든 세종!!! 진짜 감사합니다~!!! 한글이야 말로, 정말로 위대한 유산이다!!!!

  • @hyeobf
    @hyeobf 2 ปีที่แล้ว +3

    우리민족 최고의, 최대의 천재이십니다. 어떻게 글을 만들 생각을...
    ^^

  • @youngranbaek1752
    @youngranbaek1752 4 ปีที่แล้ว +16

    말많은 한국사람 심리, 명색이 높고도 고결하신 집현전 학자들이, 양반네들이,
    세종의 그 거룩한 뜻(미천한 백성이 글을 읽는다는것)에 용납할수 없었을듯함.

  • @user-hc6xk6of4r
    @user-hc6xk6of4r ปีที่แล้ว +3

    ♥언어학자 세종의 배후에는 산스크리트어 등에 능통한 신미대사가 있었거늘

  • @healingdog364
    @healingdog364 4 ปีที่แล้ว +11

    This is great.
    English subtitle please.
    I see so many comments criticizing the aristocratic scholars who opposed to the king for being a chinese Confucianism loyalist or for just being an upper class a$$ and such.
    Not so different from generally pro-American, Americanized culture found in Korea now.
    I imagine that’s how things were with China then.
    China, once the center of civilized world...
    America, the light house of the modern world ?
    Makes one wonder...

  • @user-sr7yx9ln2c
    @user-sr7yx9ln2c ปีที่แล้ว +1

    곧 한글날이라 일부러 찾아봤어요 ㅠ
    한글없는세상 너무 끔찍ㅠ
    전쟁통속에 해례본을 찾고 문화제를 지키기위해 힘써주신 간송 전형필님도 감사합니다 ㅠㅠ

  • @user-mb3wh8ig7x
    @user-mb3wh8ig7x 4 ปีที่แล้ว +22

    하늘이 내려주신 성군 세종대왕님 덕분에 이렇게 쉽게 스마트폰으로 댓글을 남기네요~ㅠㅠ
    성은이 망극합니다

    • @user-tv6th5kk1q
      @user-tv6th5kk1q 4 ปีที่แล้ว +2

      저도 망극하옵니다~ 꾸벅

    • @user-oh1mv6nt3j
      @user-oh1mv6nt3j 3 ปีที่แล้ว +1

      저도요 꾸벅

    • @oraetlabora1604
      @oraetlabora1604 3 ปีที่แล้ว

      천재 언어학자 세종황제님 감사합니다.
      , 학자들~~창제 당시 예전 사문자 살려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