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의 세계 1부 |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한자경 교수 | 불교의 세계관과 인간관 #1| 불교를 다시 묻다

แชร์
ฝั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5

  • @user-cg7sl6uz2g
    @user-cg7sl6uz2g ปีที่แล้ว +2

    명쾌한 글과 설명으로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 주시는 훌륭한 교수님이십니다. 가까이에서 지도 받고 싶지만 그럴 수 없으니 좋은 강의 많이 올려주세요.

  • @user-dq1pw1hp9r
    @user-dq1pw1hp9r 3 ปีที่แล้ว +6

    철학 교수님이 불교 강의를 재미있게 해주시니 참 감사합니다.

  • @hang2649
    @hang2649 3 ปีที่แล้ว +6

    空의 사상을 사유하고 배우는 소중한 강의 감사드립니다.

  • @user-vp1ju9gy3q
    @user-vp1ju9gy3q 3 ปีที่แล้ว +5

    불교 강의 감사해요 ^^

  • @user-verse
    @user-verse 3 ปีที่แล้ว +5

    저절로 집중하게 되고 ,많이 배우고 갑니다~~!!

  • @user-rs6le6ks1t
    @user-rs6le6ks1t 3 ปีที่แล้ว +5

    참으로 좋은 강의 잘 듣고갑니다ㅎㅎ

  • @user-lu9nd2iz1g
    @user-lu9nd2iz1g 3 ปีที่แล้ว +4

    참으로 좋은 강의입니다. 불자들이 기다렸던 강좌입니다.

  • @user-bc6oq3zn9c
    @user-bc6oq3zn9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안녕하세요
    2023년 12월 23일 21시경
    불교방송에서 마음이 무었인가?에 관하여 강의하심을 방송중간부터 시청하였읍니다
    내용이 너무도 좋아서 다시 시청하고 싶고, 관련된 책자도 구하고 싶읍니다
    명강의입니다?

  • @user-ro1hw7cb2w
    @user-ro1hw7cb2w 3 ปีที่แล้ว +5

    공의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강좌라 기대가 됩니다

  • @user-yl1jt1mv2f
    @user-yl1jt1mv2f 3 ปีที่แล้ว +5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 @YK-bf7yp
    @YK-bf7yp 3 ปีที่แล้ว +3

    또 다르게 불교로 마음공부할 수 있어
    참 좋아요. 감사합니다

  • @irontiger8517
    @irontiger8517 3 ปีที่แล้ว +3

    훌륭한 강의를 이렇게 쉽게 들을 수 있는 세상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 @user-oy9dv7gl3g
    @user-oy9dv7gl3g ปีที่แล้ว +2

    훌륭합니다

  • @user-vm1yl1lc4k
    @user-vm1yl1lc4k 3 ปีที่แล้ว +2

    기대됩니다.^^

  • @user-bc6oq3zn9c
    @user-bc6oq3zn9c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명강의입니다!

  • @naidadad9311
    @naidadad9311 3 ปีที่แล้ว +2

    매우 감사합니다!

  • @ohalways
    @ohalways 3 ปีที่แล้ว

    한자경 교수님 오랜만에 뵙네요.
    고맙습니다^^

  • @user-yr1bn6cy4h
    @user-yr1bn6cy4h ปีที่แล้ว

    온통 생각놀음일 뿐

  • @user-ht8ff7eh2j
    @user-ht8ff7eh2j ปีที่แล้ว

    음양 오행 삼위일체로 이루어진 생명체 음양은 육체와정신 오행은 오장 오기 오감 오신 오미 등 삼위일체는 손가락 발가락 세마디씩으로 이루어짐 몸전체도 정기신 머리 가슴 다리 등 세마디. 즉. 삼위일체로 정한이치가있고 자유 의지 도리 의식과미식를 새롭게하고 정당한 조리로 조화롭게.

  • @user-qn2bz6vw7n
    @user-qn2bz6vw7n 3 ปีที่แล้ว

    형식논리만으로는 수학과 같이 Tanutology가 됩니다. 유명한 토톨로지로서는 러셀 힐버트 체계가 있죠.

  • @user-yr1bn6cy4h
    @user-yr1bn6cy4h ปีที่แล้ว

    관념놀이를 하고 있으니 실상을 모른다. 전도 몽상

  • @user-qn2bz6vw7n
    @user-qn2bz6vw7n 3 ปีที่แล้ว

    서양논리는 배중율 때문에 파르메니데스의 존재론을 전제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현식적으로만 볼 수없는 것인데요?

  • @user-kk6fb4ej1t
    @user-kk6fb4ej1t 2 ปีที่แล้ว

    공부열심히 하면 이렇게 중들도 이겨가지고 중돈도 뺏어먹어 공자믿어 공자가 이겼어

  • @user-qn2bz6vw7n
    @user-qn2bz6vw7n 3 ปีที่แล้ว

    불교를 동양의 철학식으로 설명하시므로 서양철학자들이 이해못합니다.

  • @user-sl4kk8fx8k
    @user-sl4kk8fx8k ปีที่แล้ว

    문자가 도 을 대신할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