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사법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6 พ.ย. 2016
  • 설명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8

  • @elee9056
    @elee9056 ปีที่แล้ว +2

    활을 눈 위로 드는건 등근육을 쓰기 위해서라 알고 있습니다.
    팔을 앞으로 먼저 내고 당길 경우 옆구리 근육 (작은 근육)을 더 쓰게 됩니다.
    머리위로 넘기면서 당길때 (아침 기지게 펴듯) 턱걸이 풀업 하듯이 등근육(큰 근육)을 쓰기 편해집니다.
    그리고 이미 뻗은 팔(줌팔)을 사용하며 활을 당길때 결국 당기는 손만 쓰게 됩니다.
    머리로 올리면서 당길땐 자연스럽게 줌팔을 뻗는 버릇이 생깁니다.
    그렇게 운동 에너지를 분배하는 밀고 당기기를 가르치는겁니다.

  • @user-er4ds9ri6b
    @user-er4ds9ri6b 7 ปีที่แล้ว

    대단합니다!

  • @user-fy4md5qu2r
    @user-fy4md5qu2r 3 วันที่ผ่านมา

    {(활량도반活良道伴=정심정기正心正己+심중철행心中哲行+궁술궁도弓術弓道+쾌활발휘快活
    發揮+교궁지애交弓之愛)} !!!!!🏹

  • @bobdoodle6527
    @bobdoodle6527 5 ปีที่แล้ว +2

    How can I buy these bows, and how much, and shipping charges, and include how to take care of it.

    • @ianchan8859
      @ianchan8859 ปีที่แล้ว

      They're around a thousand bux. No warranty tho.

  • @k76parashop
    @k76parashop 5 ปีที่แล้ว +1

    저렇게 활을 예술적으로 내시는 분이 누군가 했더니 역시나...예삿분이 아니셨군요

  • @user-lb9ti5zq9x
    @user-lb9ti5zq9x 2 ปีที่แล้ว

    몽골도 한국처럼 엄지손가락으로 활을쏘죠

  • @bobdoodle6527
    @bobdoodle6527 5 ปีที่แล้ว +2

    English translation please.

    • @k76parashop
      @k76parashop 5 ปีที่แล้ว +1

      it is very difficult that bow storage, and hanging bowline and shooting arrows. you must learn handling and shooting arrows korean composite horn bow in korea kookgung bow club.

  • @niyazidincer67
    @niyazidincer67 4 ปีที่แล้ว

    Très bonne

  • @user-xf2vn3ek5q
    @user-xf2vn3ek5q ปีที่แล้ว

    일단 참 이쁘다

  • @user-ef1rz1vc2c
    @user-ef1rz1vc2c ปีที่แล้ว

    와 너무 멋지다

  • @mohammedkarim1211
    @mohammedkarim1211 4 ปีที่แล้ว

    توضيح اكتر

  • @user-cc7wh7gh4b
    @user-cc7wh7gh4b 4 ปีที่แล้ว

    보면 볼수록 안타깝네요~

  • @sanyaroo
    @sanyaroo 6 ปีที่แล้ว

    당신이 이 나라의 진정한 애국자이십니다.

  • @junhyeongsuh
    @junhyeongsuh ปีที่แล้ว

    保射法

  • @user-cc7wh7gh4b
    @user-cc7wh7gh4b 4 ปีที่แล้ว +2

    무형문화인 치고는 아쉬운 점이 많네요~
    각 지역별로 사법이 틀리지만, 옛날 방법들 아닌가요~?
    각궁을 그리 가르치니, 각궁이 힘들다,어렵다,까다롭다 하죠! 대중화를 위해선 발전된 방법을 가르쳐야죠.
    안타깝네요 ~

    • @user-yb6up8fo3i
      @user-yb6up8fo3i 2 ปีที่แล้ว +5

      각궁이 원래 어렵고 까다롭습니다. 옛날 활이니 되도록이면 옛 사법으로 쏘는게 맞구요. 대중화를 위하여 개량궁으로 쉽게 쏘는 사법도 병행하고 있으니 같이 생각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전통은 전통대로 지키고 현대화는 현대화 대로 같이 병행해야지요. 아쉬움 보다는 지키는 것에 대한 감사가 먼저라는 생각을 합니다.

  • @user-uc7pd4qp3n
    @user-uc7pd4qp3n 7 ปีที่แล้ว +2

    아~하~..... 이분이 누구신지요...? 보궁을 약한곳에 채워서 식혀셔야지, 활 넘어 가겠습니다......??? 정확한 정보가 아니면 후사들에게 오히려 민폐가 될수 있을텐데......흠....

    • @vismayhyungwankim3341
      @vismayhyungwankim3341 6 ปีที่แล้ว +1

      김경원사범님은 모르시군요. 거..참..

    • @k76parashop
      @k76parashop 5 ปีที่แล้ว +2

      저 학무형 사법은 보통 내공으로는 저렇게 자연스럽게 안나옵니다. 활 얹기도 보통 사람들보다는 수천번은 더 앉어 보신 분 같은데 섣부른 지적 아닐까요? 저는 가서 한 수 배우고 싶네요.

  • @std3786
    @std3786 5 ปีที่แล้ว +1

    제발 것멋들어서 후학들 눈 귀 막지 마라ᆢ
    철학도 없는 사람이 이것이 한국의 현실ᆢ
    마치 절간의 단청에 패인트로 단청입히는 꼴ᆢ

    • @landpeach-uu5de
      @landpeach-uu5de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판을 할때에는 정확히 무엇이 문제인지 콕 찝어서 해야지 그건 뭔가요? 겉멋이라니 ㅋㅋㅋ

    • @std3786
      @std378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landpeach-uu5deㅎ 수준을 높히시길ᆢ아니 습기에 민감한 활을 스덴샷시 문만들어 보관하는 인간이 무슨 장인 ㅎ 그리고 저인간이 무슨 궁사냐ᆢ머리 두건바라ㆍ
      이 무지님아ㆍ
      사람 보는 눈좀 익혀요ㆍ
      스덴창문으로 국궁보관 ㅎ
      개가 웃다ㆍ이것이 팩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