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제 효능 비교 실험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8 พ.ย. 2021
  • 제작 울산청소년과학탐구연구회
    지원 한국과학창의재단
    강사 김태영, 정정심 선생님
    밥을 먹었을 때와 고기를 먹었을 때 먹어야 하는 소화제의 종류가 다르다?
    소화제 효능 비교 실험을 통해 언제 어떤 소화제를 먹는 것이 더 효과적 인지 과학적으로 검증해봅니다.
    이 프로그램은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으로 수행된 성과물로서 우리나라 과학기술발전과 사회적 가치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6

  • @user-jd1ij5nx1j
    @user-jd1ij5nx1j ปีที่แล้ว +1

    소화제 색이 영상과 같이 투명색, 갈색?처럼 변해야하나요? 색이 변한것만으로는 분해했다고 볼수 없나요? 그리고 중간에 36도 물에 넣으신거는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셨는지 궁금합니다!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소화제 색은 어떤 소화제를 사용했는지에 따라 색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색이 변했다는 것은 소화 효소가 작용했다는 것이므로 분해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6도 물에 넣고 시간은 약 5분 정도 걸린 것 같습니다. 질문 감사합니다^^

  • @z1n1z1n1d1o
    @z1n1z1n1d1o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두분이서 실험을 재밌고 유익하게 잘 설명해주셨네요 감사해요~~^^

  • @user-ry9qs6mb4x
    @user-ry9qs6mb4x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는데요 실험할때 2% 달걀 흰자 희석액 대신 5% 알부민 용액을 사용해도 괜찮을까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2% 달걀 흰자 희석액을 사용한 이유는 실생활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이기 때문입니다. 5% 알부민 용액을 사용해도 상관없을 것 같습니다. 만약 실험 결과가 잘 나오지 않는다면 댓글 부탁드려요^^

  • @user-nh1cb2ck6s
    @user-nh1cb2ck6s ปีที่แล้ว

    훼스탈 플러스를 사용했더니 1% 녹말용액 + 포비돈 부분은 연해졌지만 달걀흰자 희석액 + 뷰렛용액 부분은 증류수를 넣은 대조군보다 더 진해졌습니다. 영상 속 소화제 B도 그런 것 같은데 왜 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 @user-zv2cl6mw5e
    @user-zv2cl6mw5e ปีที่แล้ว

    성분을 조사해보니까
    베아제에 리파아제라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있고
    훼스탈에는 없던데 그럼 훼스탈은 단백질 분해를 못하나요?

  • @y6535
    @y6535 ปีที่แล้ว

    소화제 실험 할 때 PH는 안 맞춰도 되나요? 탄단지로 실험 했는데 탄수화물 빼고 결과가 안 나와셔요 ㅠㅠㅠ 그게 산성도 때문인지 뭐 때문인지 모르겠어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pH는 따로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pH를 고려한다면 어떤 물질로 pH를 맞출 것인지, 그에 따른 변인 통제는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을 좀 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질문에 영상에서 제시한 내용과 어느 정도로 일치시켜 실험했는지 나와있지 않아 정확한 답변은 어려워 보입니다.
      우선 지방의 경우에는 별도로 실험을 않았구요. 단백질에 대한 결과가 잘 나오지 않았다면 단백질의 재료로 무엇을 사용했는지, 시료가 상하지는 않았는지, 시료의 농도는 적당했는지 등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단백질의 재료를 영상과 동일하게 신선한 달걀로 2% 희석하여 실험을 했다면, 소화제를 조금 더 첨가해주거나, 온도를 조금 더 높여 반응 속도를 높여주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보면 될 것 같습니다.

  • @user-ew5bb2nc4w
    @user-ew5bb2nc4w ปีที่แล้ว +5

    실험을 직접 해보니 문제점이 있는듯합니다. 소화제 수용액의 색상으로 인해 청남색과 보라색이 옅어졌다고 볼수도 있는것 같습니다. 대조군에는 투명한 증류수를 넣기 때문에 비교가 안됩니다. 소화제 용액이 모두 흰색이라면 증류수에 흰색 물감이라도 좀 타서 넣어야하는건 아닐까요?

    • @user-ew5bb2nc4w
      @user-ew5bb2nc4w ปีที่แล้ว

      아니면 대조군에 끓인 소화제를 넣어 볼까요?

  • @user-lz2us9tx3w
    @user-lz2us9tx3w ปีที่แล้ว +3

    학교에서 과학실험보고서 쓸 때 참고해도 될까요? 그리고 훼스탈 골드 써도 상관없나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1

      골드로 실험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약의 껍질 색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최대한 제거해주는 것입니다^^

    • @user-lz2us9tx3w
      @user-lz2us9tx3w ปีที่แล้ว

      @@smilelove21 감사합니다!!

  • @user-nl5tl1yq3e
    @user-nl5tl1yq3e 2 ปีที่แล้ว +9

    영상 너무 잘 보았습니다! 직접 실험을 해보려고 하는데 혹시 소화제A,B 제품이 어떤건지 알수 있을까요??

    • @smilelove21
      @smilelove21 2 ปีที่แล้ว +1

      흰색은 '훼스탈', 녹색은 '베아제'를 사용하였습니다. '베아제'는 녹색과 주황색이 있는데 아마 나온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주황색보다는 녹색이 색 변화가 미미하게나마 뚜렷한거 같아서 녹색을 사용하였는데, 시중에 주황색밖에 없다면 그걸 사용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user-lr3bs4yy3m
    @user-lr3bs4yy3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왜 각각의 수용액이 떨어뜨리는 방울 수가 다르나요? 같은 방울 수를 떨어뜨리면 안되는 건가요?

  • @user-jj1nk6yl9x
    @user-jj1nk6yl9x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녹말 용액과 5%달걀흰자 용액을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두 용액이 없다면 대체할 수 있는 용액이 있나요?

    • @k-sta
      @k-sta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녹말 용액은 감자 전분을 물에 풀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1%이므로 물 100g당 전분 1g정도를 섞어서 사용하세요.
      달걀 흰자 용액도 마찬가지로 물 약 100g에 달걀 흰자 약 5g를 넣어서 섞어주세요. 농도를 엄밀하게 맞출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 @user-mg2qy4se9s
    @user-mg2qy4se9s 2 ปีที่แล้ว

    (밑의 분 처럼) 저 역시 소화제 제품이 어떤것인지 알고싶습니다. 이번주 바로 실험해야하는데....ㅠㅠ

    • @smilelove21
      @smilelove21 2 ปีที่แล้ว

      흰색은 '훼스탈', 녹색은 '베아제'를 사용하였습니다. '베아제'는 녹색과 주황색이 있는데 아마 나온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주황색보다는 녹색이 색 변화가 미미하게나마 뚜렷한거 같아서 녹색을 사용하였는데, 시중에 주황색밖에 없다면 그걸 사용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user-eu4jk5pu8s
    @user-eu4jk5pu8s ปีที่แล้ว +2

    안녕하세요, 흰색은 '훼스탈 플러스정'=> 탄수화물 , 녹색은 '베아제정' => 단백질이라고 하셔는데요,
    두 소화제 성분을 보면 3대 영양소 모두 소화되는 성분이 있는데
    실험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나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맞습니다. 예리한 지적이네요^^ 2가지 소화제 모두 3대 영양소를 모두 소화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그 성분은 조금씩 다릅니다. 그 차이를 이용해 진행한 실험이구요. 이 실험만으로 특정 영양소를 더 잘 소화시킨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소화제라고 하여 다 같지는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실험이라고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질문 감사합니다^^

  • @user-uo8dg9hz4s
    @user-uo8dg9hz4s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흰자 희석액은 어떻게 만드시는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ㅠ

  • @user-gb3fp8zw4o
    @user-gb3fp8zw4o ปีที่แล้ว

    학교에서 과학탐구실험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실험영상을 참고해도 될까요?

  • @Tteokbokki_lover
    @Tteokbokki_lover ปีที่แล้ว

    수단3을 0.5%와 1% 중 어떤 걸로 사용해서 실험해야되나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수단3 용액의 경우 실험 결과 색깔 변화가 뚜렷하지 않아 본 실험에서는 녹말과 단백질 소화에 대해서만 실험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mel_thing
    @mel_thing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학교 동아리 심화탐구 발표에서 해당 실험을 진행해보려고 하는데 참고해도 될까요?

  • @user-rw1lq7dr6o
    @user-rw1lq7dr6o 2 ปีที่แล้ว +2

    혹시 36.5 물은 온도를 어떻게 만드신건가요?

    • @smilelove21
      @smilelove21 2 ปีที่แล้ว +1

      먼저 커피 포트, 비커, 적외선 온도계를 준비합니다. 비커에 적당량의 물을 담고, 커피 포트로 끓인 물을 조금씩 부으면서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하면 됩니다. 온도가 정확히 36.5도일 필요는 없고, 대략 30~40도 정도로 맞추어주시면 됩니다.

  • @user-lv5if5ei2f
    @user-lv5if5ei2f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교육용으로 봤는데 너무 좋네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도움이 되었다니 감사합니다^^

    • @j_3614
      @j_3614 ปีที่แล้ว

      @@smilelove21 소화제 a가 베아제인가요ㅠ?????????????

    • @smilelove21
      @smilelove2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_3614 맞습니다^^

  • @user-ku3gc9ns1z
    @user-ku3gc9ns1z ปีที่แล้ว

    2% 달걀 흰자 희석액 만드는 법을 알려주실 수 있나요??

  • @user-xg4wg3hm6k
    @user-xg4wg3hm6k ปีที่แล้ว +1

    두 종류의 소화제 선택한 이유가 뭐에요?

  • @user-cx7sk5kz8k
    @user-cx7sk5kz8k ปีที่แล้ว +8

    진로가 화학전문가로 의약품실험도 관심있게 시청하는데 소화제 효능비교라 제목부터 꼭 보고싶은 영상이었어요. 소화제는 평소 자주 복용하는 약이라 더 도움이 되었고 실험도 크게 어렵지 않아 할 수 있을것같아요.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k-sta
      @k-sta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_^

  • @cyejon
    @cyejon ปีที่แล้ว +3

    두 소화제 색깔이 비슷해도 상관없나요?ㅠㅠ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소화제 색깔이 비슷하다는 의미가 어떤걸까요? 변인 통제를 위해서 최대한 비슷한 색깔이면 오히려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op9wh4jx6v
    @user-op9wh4jx6v ปีที่แล้ว +4

    안녕하세요? 현재 고등학교에서 근무중인 교사입니다.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 혹시 수업에 영상을 활용해도 괜찮을까요? 출처도 반드시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 @user-lv5if5ei2f
      @user-lv5if5ei2f ปีที่แล้ว

      선생님 안녕하세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사용해주시면 영상을 제작한 보람이 클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yr7kb8eh4l
    @user-yr7kb8eh4l ปีที่แล้ว +1

    학교에서 과학 수행평가 보고서 작성에 출처를 밝히고 영상 속 실험과정을 캡쳐해서 써도 괜찮을까요?

    • @smilelove21
      @smilelove21 ปีที่แล้ว

      그렇게 하세요^^

  • @cmm612
    @cmm612 2 ปีที่แล้ว +2

    소화제 a, b 제품 정말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milelove21
      @smilelove21 2 ปีที่แล้ว +1

      흰색은 '훼스탈', 녹색은 '베아제'를 사용하였습니다. '베아제'는 녹색과 주황색이 있는데 아마 나온 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 같습니다. 주황색보다는 녹색이 색 변화가 미미하게나마 뚜렷한거 같아서 녹색을 사용하였는데, 시중에 주황색밖에 없다면 그걸 사용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dongbeenlee7103
      @dongbeenlee7103 ปีที่แล้ว +1

      선생님 안녕하새요? 질문이 있는제 2%달걀흰자 대신 흰자 그대로를 사용하면 안될까요? 왜 희석액을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user-qq9gg7rl7f
    @user-qq9gg7rl7f 22 วันที่ผ่านมา

    11:32

  • @user-kkadangmuu
    @user-kkadangmuu ปีที่แล้ว

    우왕 유익해요!! 고등학교 실험으로 할게용 히히

  • @user-vx5qz8ep3j
    @user-vx5qz8ep3j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여기서 대조군과 실험군은 무엇인가요?.ㅜㅠㅠ 아무나 알려주세요

  • @MsJUNGSIM
    @MsJUNGSIM 2 ปีที่แล้ว

    훼스탈 흰색과 베아제 초록색 입니다~~

  • @user-nb3eh2xw1w
    @user-nb3eh2xw1w ปีที่แล้ว +2

    야해요

    • @DID1106
      @DID1106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