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다분지 고추가 더 많이 열리는가? 실험에 들어갔습니다. 1. 다축지고추 만들기와 일반고추와의 자람 특성 비교(고추 다수확 방법, 고추 많이 열리는 방법, 다분지고추 열림비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31 ม.ค.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2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ปีที่แล้ว

    중요한 실험입니다.
    중간 발표도 부탁합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ปีที่แล้ว

      네, 지금까지 1차, 2차 수확을 하였습니다. 지금까지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 @김오열-o7d
    @김오열-o7d 2 ปีที่แล้ว +2

    선생님 늘 좋은 정보
    많이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조심 하세요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2 ปีที่แล้ว

      네,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언제나 건강하세요

  • @무문
    @무문 2 ปีที่แล้ว +2

    감사하고 응원합니다

  • @영양안가욱농장
    @영양안가욱농장 2 ปีที่แล้ว +1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많이 배우네요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2 ปีที่แล้ว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 @heaye
    @heaye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우와.. 모종포트가 엄청 거대하네요!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Bravo_60
    @Bravo_60 2 ปีที่แล้ว +3

    역시 선생님 다우십니다.전문농들은 시도할 수가 없는 비교실험을 항상 해주셔서 우리 같은 텃밭농들의 시행착오를 줄여 주시니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습니다.선생님 정도는 아니라도 저도 나름 시험을 종종 하는데 선생님 만큼 체계적이고 객관적,정밀하게는 못하니 많은 도움이 되어 늘 감사 드립니다. 얼마남지 않은 무더위에 건강 챙기시고 계속 좋은 정보 기다리겠습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2 ปีที่แล้ว

      네, 과찬이십니다. 우선 궁금증이 많은 제부터 알고 싶어서 해보고 있습니다. 아직 넘 덥네요. 더운 여름 건강 유의하시고 즐겁게 지내시기 바랍니다.

  • @0019-i8p
    @0019-i8p 2 ปีที่แล้ว +7

    다분지는 일반 고추보다 수확량이 높다는 연구 실험 결과는 많아요
    문제는 다분지가 아니라, 꽃이피면 낙화를 방지하고 착화를 많이 시키는게 중요하죠
    고추 열리는 양은
    방아다리 밑 모든 가지,순제거를 기준으로 하면
    1,곁가지 1개만 키우기
    2,곁가지 2개키우기
    3, 잎파리 3개일때 줄기 적심 >2 분지
    4,잎파리 6개일때 꽃대 적심 > 3~4분지,,여기서 그냥키우면 4분지,, 가장 약한것 1개를 배면 3분지
    여기까지가 한국에서 쓰이는 방법이에요
    또 방아다리 밑으로 곁가지를 제거하지만,, 잎파리 떡잎은 계속 남겨두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잎으로 영양분을 먹기도 하지만, 그늘이 지지않기에 광합성도 고추수확 하기전까지 제일 많이하며,
    열매를 맺지 않기에 광합성을하여 당분으로 분해하고, 당분으로 뿌리에 돌려주는게 제일 많거든요, 뿌리를 튼튼하게 하여 결과적으로는 나무를 건강하게 하는거죠
    외국에서 기르는 고추의 품종은 모르지만,,, 나라마다, 품종마다 키우는 방식도 약간 다른듯,,
    지주대 설치하는것도 있고 아닌것도 있고, 지주대 안세우고 일시수확형으로 콤바인으로 수확하거든요
    지주대 설치안하는 품종은 대부분 1m이하로 키가작아요
    유럽쪽은 방아다리 밑의 떡잎을 키우는게 많고,
    인도쪽은 적심을 계속해요, 6개잎 나왓을때 1번적심 4분지됨 > 또 4개나왓을때 2번적심 > 4분지에서 4분지됨 > 또 3번 적심 8분지에서 4분지됨 > 4번째까지는 상황 봐가면서 하구요
    문제는 곁가지를 따거나, 적심을하면 수확량이 약간 늘어나는데 안딸수록, 적심을 하면 할 수록 소요되는 퇴비량은 엄청 늘어난다는거죠
    곁가지 키우면 10~15%가량 추가영양분 > 수확량 5%
    2분지하면 15~20% 가량 추가영양분 > 수확량 15%
    3~4분지하면 40~50%가량 추가영양분 > 수확량 20%30%
    그 이상하면 100%이상의 추가퇴비+영양분이 필요하는데,,,
    문제는 낙화되거나, 착화불량이거나 하면,, 고추의 필요 영양분을 맞추기가 힘들어서 영양제 과잉투입이되버리는 것이구요,,
    한국의 고추농법이 고추크기,분지수많게하기 쪽으로 가는데 이게 잘못 이라고 생각 합니다,,,,
    물론 그쪽으로 가는것도 맞지만,, 고추수량이 적은 근본적인 원인은 낙과+착과 불량이거든요,,,근본원인은 못 잡고,,, 이상한 쪽으로만 가죠
    그래서 아무리 가지수를 많게해도,, 낙화되고, 착과 불량이면,,헛방이죠,,거기에다가 자연재해오면 답없구요
    농약은 더좋아지고, 액비는 더많이주고,,,,고추는 여전히 다닥다닥 붙어서 키우는데,,지금이 수량 더많이 나오는게 당연하죠,,
    그런데 낙화를 못잡고 착과를 못시키니까, 항상 새로운 농법으로 15%, 20% 30% 증대시켯다고 하지만,,,
    아직도 1그루당 1근 못따는 사람들 많죠,, 1근이상 따는 사람도 있구요,,,,그런데 1근이상 따는 사람들은 액비같은걸 얼청 많이주고 관리하죠,,,
    따지고보면 예나지금이나 수량은 큰차이없어요,, 고쿠 키기가 커지고, 고추두께가 두꺼워져서 고추가루 수량이 많이 나오는거죠
    1근이상 따는 사람에게 땡초로 먹는 청양고추 키워보라 하세요,, 대부분 1근이상 못딸걸요?,, 크기작고 두깨 얇으니까
    재래식 고추농법에서 밀식이 문제라는데,,, 그것 사기치는거에요,,
    주당 간경 25~30cm로 밀식재배하는사람 많고,,, 주당 50cm띄웟다해도 나무가 좀크면 손들어갈 틈없이 다닥다닥 붙여서 키우잖아요
    그런데 재래방식만 밀식이라 잘못 되엇다,,라는건 말이안되는거죠,,,
    재래방식때는 관수시설도 부족하고, 정보도 적어 대처도 잘 못하고, 그만큼 영양을 부족하게 줫다는 것이지,,,밀식이 원인이 아니에요
    고추나무 통풍은 나뭇잎과 나뭇잎 사이로, 바람이 통하는게 아니라,, 고랑과 고랑(이랑과 이랑사이의 공간)사이로 바람이 통하는걸 통풍이라고 하는데,,,
    제식간격을 넓게해야 통풍 된다고 말하면서 자기들 고추도 손이 안들어갈 정도로 따닥따닥 붙어있는데,,그게 어떻게 통풍이되요?,,,사기치는 거지
    고랑,,이랑을 넓게하면 결과적으로 고추골이 넓어져서 햇볕 잘들고, 공기 순환이 잘되니 통풍은 그냥 해결 되는거죠
    고추배배법 알리는 사람들이 대놓고 사기치는데 아무도 텃치 안하죠
    실제로 그렇잖아요
    자닮방식으로 두둑 만들고, 고랑 반들고, 제초메트 까는 사람들 90%는 두둑은 120~130cm정도로 넓고,고랑은 40cm정도로좁죠,,고추는 다닥다닥 붙어서 손이 안들어갈정도구요
    전체적인 이랑은 한 160cm되는 것이구요
    나머지 보통 사람들도 두둑80~100cm +고랑 60~100cm해서> 평균 이랑과 이랑사이는 140~160cm해놓구요,,,마찬가지로 고추는 다닥다닥 붙어있어요
    공통점은 고추나무가 빽빽하고, 전체 이랑이 넓고, 햇볕이 잘들고,, 고추나무와 고추나무 사이의 공간은 같다는거에요,,,,
    그넓은 공간으로 대류현상이 일어나서 움직이는게 바람이 통하는거죠
    그러니까 결론 내리자면
    고추 다수확은 낙화방지,착과불량을 해결해야 함,,,
    노지고추 꽃이 300~600개피고,,, 하우스고추는 600~1200개 핀다는데,,,,착과량은 30% 가량이죠?
    웃긴건 노지에서 30%를 개화된 꽃중에 최대치에 맞춰서 1근이상 따는사람 많죠,,고추 150개 이상이니까요
    그런데 하우스에서는 최저치에 맞춰서 수량이 나오구요
    여기서 차이나는건, 낙화방지+착화성공에서 차이나니까,,낙화방지, 착화성공에서 해법을 찾아야해요,,
    안그러면 다분지든 10분지든 아무 의미없슴,,곁가지가 아무리 많고, 꽃이 아무리 많이피면 뭐하나?,,,다 떨어지는뎅
    고추강의하는 천승주 교수 이야기 들어보면,,, 우리나라에 농부 몇명이 고추밭 700~800평 비닐하우스를 혼자서 하는데 매출이 7~9천 되는사람들이 있다고해요,,,
    그 사람들은 벨기에인가? 이탈리아인가에서 3개월인가? 6개월인가? 연수를 받았다고 하더라구요,,, 그 선진기법은 남에게 안 알려주구요
    그래서 그 교수님은,, 배수,고추유인,햇빛,낙화,착화를 강조많이해요,,수확량은 거기서 차이나니까,,
    생식성장할지, 영양생장 할지,,, 그때그때 빠른 판단으로 각종 영양분(비료) 공급도 강조하구요
    그런데 대부분 고추 유튜버는,, 다분지,액비,추비,고추크기,숫자만 주로이야기하죠,,,
    다분지로 수량확보+충분한 영양공급+제식간격넓게 > 이말은 놀지말고, 너에게 맞게 요점정리 잘해서,열심히 공부하면 성적 잘 나온다는 말과 같음
    수량은 어떻게 늘리냐? > 다분지로~
    액비는 얼만큼 주냐? > 다양한 종류로~충분히~
    물은 얼만큼 주냐? > 너무 습하지 않게 넉넉히~
    이게 뭔 노하우야 ㅋㅋ
    낙화방지,착화불량방지에 대해서 교육을 많이시키고,,,, 교수들은 키작은 품종을 개량해서 지주대없이 키울수있고,, 일시 다수확 가능한 품종 같은걸 꾸준히 개발해야함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2 ปีที่แล้ว

      앞으로 고추재배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 @0019-i8p
      @0019-i8p 2 ปีที่แล้ว +1

      @@손바닥농장 / 그리고 각종 액비 만들어 따로 덜어놓은걸 쓰는게 아니라, 물을 부어서 계속 쓰는것도 좀 이상함,,
      재료는 1번 넣는데,,, 쓰고나서 물을 계속 부어주죠,,,, 그러면 순도가 약해졋는데,, 재료를 넣고 물을 넣는게 아니라,,, 물만 계속 부워줌
      액비 관주 양은 또 똑같이 그렇게 쓰고 싶을때까지 써요
      이게 말이 안되는게 뭐냐면,, 소꼬리 사골국 끓여서 덜어먹고,,계속 물 부어서 뼈가 사라질대까지 먹는것과 같죠,,,
      김치찌게 끓일대 김치국 덜어서 넣고,,김치통에는 물 부어놓고, 도 덜어내서 끓이고,. 또 물부어넣음,,,그러면 유산균이 있을가요?,,,

    • @서우남-b1g
      @서우남-b1g 2 ปีที่แล้ว

    • @여니-v4v
      @여니-v4v ปีที่แล้ว

      좋은 의견.
      순도높게 잘 읽었습니다
      님의 정보공유에 감사드립니다

    • @여니-v4v
      @여니-v4v ปีที่แล้ว +1

      ​@@0019-i8p저는 액비를 사용하는데
      액비마다 성질이 다른거 같습니다.
      풀과 음식물액비는 계속 넣어주고 물을 보충해줍니다
      고추잔사와 깻묵액비.천매암액비는 쓰고 남은 찌꺼기 는 퇴비만드는것에 보충합니다
      패화석 과 골분액비는 사용하고 다시 물을 보충합니다.
      다만 그렇게 물을 보충하는것이 질이 연해질 경우를 대비해서
      전년도에 넉넉히 만들어둡니다
      100평 고추농사에 골분 40키로와 패화석 40키로로 2년을 사용하니 조금 모자랍니다.
      저의 사용방법을 공유드립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ปีที่แล้ว

    다축지 여기서 질소와 영양제 주면 결과가 어떨지요?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ปีที่แล้ว

      다축지 따로 주지 않아도 방아다리 고추보다는 절간이 더 길더군요.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ปีที่แล้ว

      햇빛보려고 위로만 크니 질소비료 주면 안됩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ปีที่แล้ว

      키가 안크고 너무 분지가 많은것만 조금 주니까 위로 조금 커서 통풍좋고 좋은결과 나오네요

  • @푸른하늘-y5r
    @푸른하늘-y5r 2 ปีที่แล้ว +3

    저도 올해 처음으로 다분지 고추 모종을 심었습니다. 분지 정리를 잘 못해 가지가 많이 부러지기도 했습니다. 다분지 고추가 일반 고추에 비해 고추가 늦게 열리기 때문에 첫물 수확은 당연히 좀 늦을 것으로 알고 심었습니다. 그렇지만 세력이 강하고 많이 열려 지금까지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동일한 조건으로 일반고추와 비교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음 영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비교영상을 올려주시면 내년 고추농사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무더운 삼복더위에 농사 지으면서 영상까지 제작하시는 것을 보면 대단히 존경스럽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기 빕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2 ปีที่แล้ว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날씨가 갈수록 더 더워집니다. 여름 건강히 보내십시오.

  • @이수길-w7g
    @이수길-w7g 2 ปีที่แล้ว

    최종결과를 알수있을가요?
    수고하셨습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2 ปีที่แล้ว

      다분지 적심하기 알맞은 모종을 선택하다보니 품종은 고려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랬더니 하우스 안에서 얼마나 무성하게 크던지 2차례 수확하고는 너무 우거져서 위를 전정을 하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 못해 영상으로는 만들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이 영상 보시고 궁금한 분들이 계실까봐 그 중간 결과까지를 커뮤니티에 올렸습니다. 다시 내년에 제대로 해야겠습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리저리 해보고 계속 관찰해봤는데
    가지수가 많고 고추가 많이 달리면 그만큼 더 밥을 먹어야 하는데
    영양소 공급이 없거나 공급해도 뿌리상태가 싱싱하지 않음 양분을 위로 보내지 못해 별로였고요.
    우선 다분지 이전에 뿌리상태가 충실해야 가지 고추 모두 충실하고 싱싱하더라고요.
    가지도 짝짝이가 안되고 모두 균일성장~
    영양 부족시 가지가 기력이 부족하여 히말머리 없이 쳐집니다.
    기력없는 사람 서있을 힘없어 자꾸 눕고 싶듯이~~
    기부족으로 새순 자빠졌을때 아미노산 엽면과 토양하니 링게르 효과로 3분뒤부터 서더라구요

  • @earlyrain
    @earlyrain ปีที่แล้ว

    결과가 궁금합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ปีที่แล้ว

      네, 작년에는 키가 너무 커지는 바람에 적심을 하게 되었고 그 후 비교는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올해는 절간이 짧은 종을 선택해서 지금 잘 크고 있습니다. 올해는 꼭 비교하여 궁금한 점을 알아볼 예정입니다.

    • @earlyrain
      @earlyrain ปีที่แล้ว

      @@손바닥농장 감사합니다. 절간의 성장을 억제하는 왜화제도 있긴 하던데.. 그것도 좀 써보고 싶네요.. 당조고추는 특히나 키가 너무 커서요.. ㅎㅎ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ปีที่แล้ว

      네, 조언 고맙습니다. 아직 왜화제 사용 해보진 않았습니다. 망설여지더군요. 좀 더 연구해보겟ㅆ습니다.

  • @최현종-z1p
    @최현종-z1p ปีที่แล้ว

    옥신 지베렐린 ᆢ 성장호르몬 연구도 해보세요
    손바닥농장사장님이해야 신뢰가갑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ปีที่แล้ว

      네, 호르몬제로는 새순 나오게 하는 BA제품, 또 사과 순 멎음에 쓰는 비비풀, 참외나 수박, 호박 수정 결실을 위한 도마도톤을 작년부터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 공표할 정도는 아닙니다. 다만 작년 수정을 위해 도마도톤 사용은 소개드렸습니다. 나머지들도 조금 더 사용해보고 소개드리려고 하고 있습니다. 칭찬 고맙습니다.

  • @qqaazqq
    @qqaazqq 2 ปีที่แล้ว

    실험정신 최곱니다.
    초보가 생각하기에는 간격을 좁혀 심는 것이 생산량이 많이 나오는 듯해요.
    2분지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고 4분지로 시작하잖아요.
    또 분지가 계속 더블로 갈라지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 지나면 한쪽만 자라고요.
    꽃은 1000개 이상 피는 것 같은데 착과가 100% 안되고 착과된 것도 노랗게 떨어지는 것이 많구요. 해서 1주에 100개 이상 따는 농부도 많지 않은것 같구요.
    50Cm로 넓게 심어서 100개 따는 것 보다 25Cm로 심어 50개 따는 것이 더 쉬울 것 같아요.
    50으로 심었는데 내년엔 좁게 심어볼까해요. 바람 불어도 쓰러지는 것도 덜 할 것 같구요.
    제일 고민은 낙과죠.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ปีที่แล้ว

    다축지가 수확이 높았나요?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ปีที่แล้ว

      이제 1차, 2차 수확하였습니다. 지금까지는 거의 큰 차이가 없습니다.

    • @한국종합꿀벌연구소
      @한국종합꿀벌연구소 ปีที่แล้ว

      @@손바닥농장 다른 사람보다 한달늦은 모종이었는데 청량 두물 땃습니다

  • @youngbaeoh7417
    @youngbaeoh7417 2 ปีที่แล้ว

    그렇게하시면 방아다리 승입니다.

  • @최종길-i8s
    @최종길-i8s 2 ปีที่แล้ว +1

    다측지 재배하시려면 일반방식보다 10일이상은 파종을 일찍해야합니다

    • @손바닥농장
      @손바닥농장  2 ปีที่แล้ว

      네, 자연적인 방아다리가 아니라 인위적인 싹이 나와야 하니 시간이 더 필요한 것은 맞습니다. 후에 세력이 더 좋아야 일반고추보다 수확이 많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