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X 2070 장착 이후 자꾸 멈춰버리는 컴퓨터,, 원인이 뭘까요 (ーー;) ?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1K

  • @scare_crow_
    @scare_crow_  6 ปีที่แล้ว +459

    너무 감사하게도 마이크로닉스와 같이 준비한 마우스 패드가,, 나름 자그마한 성과를 이루고,,, 감사하게도 다 판매가 된거 같습니다.
    마이크로닉스 과장님 말씀에 따르면, 5시 5분~6분 경에 판매가 마감되었다고 하시더라고요..
    과장님께서 조금만 더 수량을 늘려 한번 더 제작을 해보는건 어떨까라고 의견을 주셔서, 여러분들께 한번 여쭤보고
    폐가 되지 않는다면 2차 수량을 제작해보려고 합니다. 몇개 정도 만드는게 적절할지,, 저도 마이크로닉스측도 전혀 예상을 할 수가 없어,,,
    몇개 정도 더 만들면,, 망하지 않고 다 팔릴까요.. σ( ̄、 ̄〃)

    • @대치모시깽
      @대치모시깽 6 ปีที่แล้ว +19

      살려고 들어갔는데..품절이네요..학교 끝나자 마자 바로 들어갔는데..

    • @zeroc1737
      @zeroc1737 6 ปีที่แล้ว +5

      300~400개면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두 아직 구매 못했어요 ㅜㅡㅜ

    • @민중원-u2j
      @민중원-u2j 6 ปีที่แล้ว +1

      저는 못샀으니까 사죠ㅎㅎ 500개쯤 하시면 어떨까영

    • @탄비-u4f
      @탄비-u4f 6 ปีที่แล้ว +3

      아저씨 매장판매말고도 인터넷으로도 주문하게해주세요 ㅠㅠ

    • @tim00829
      @tim00829 6 ปีที่แล้ว +8

      저 구매 했어요 4시50분부터 기다리다가 5시에 바로 들어가니까 안뜨다가 1~2분이따가 풀려서 바로 결제 했죠
      1000개 정도가 알맞아보여요 조금 남으면 가게에 배치도 하시고 이벤트도 해주세요

  • @hwanseokkim639
    @hwanseokkim639 6 ปีที่แล้ว +42

    딱 썸네일에 파워가 눈에 띄네욬ㅋㅋㅋㅋ

    • @NAVY-lk6me
      @NAVY-lk6me 4 ปีที่แล้ว

      앜 인정ㅋㅋ

    • @세웅-i7w
      @세웅-i7w 4 ปีที่แล้ว

      ㄹㅇㅋㅋ

    • @bac_kil
      @bac_kil 3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ㅋㅋ ㄹㅇ이네 ㅋㅋㅋㅅㅂ

    • @jwc8565
      @jwc8565 3 ปีที่แล้ว

      ㅇㅈ

  • @brainsface6458
    @brainsface6458 6 ปีที่แล้ว +161

    전원 문제. 듀얼레일 파워에서 메인보드 쪽에 사용하는 전력을 끌어쓰며 생긴 문제. 그래픽카드 전원 캐이블 젠더를 6핀=

    • @brainsface6458
      @brainsface6458 6 ปีที่แล้ว +13

      사용해서는 안되는 캐이블 2가지 1) 10m usb 캐이블=usb 통신거리는 4.5m 2) 4핀=6핀 젠더. 그래픽 카드 보조전원은 안쓰고 보드쪽 전기을 땡겨씀. 보호를 위해 전압강하가 일어나거나. 펑 터짐. 두가지 캐이블은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 @wpqlwpql
      @wpqlwpql 6 ปีที่แล้ว +2

      글카보조선 4핀짜리말고 6핀짜리를 쓰란건거요

    • @wormhole5893
      @wormhole5893 6 ปีที่แล้ว +1

      이 글을 올립시당

    • @hervQ
      @hervQ 6 ปีที่แล้ว

      @@brainsface6458 아하!

  • @gamjya8890
    @gamjya8890 6 ปีที่แล้ว +35

    갤럭시 그래픽카드에 rgb가 어떻게 나오나 궁금했는데 어떻게 이런영상이 딱 올라올수가...

    • @saltysugarkr396
      @saltysugarkr396 6 ปีที่แล้ว

      저렇게 나옵니다

    • @dbsxogh1
      @dbsxogh1 5 ปีที่แล้ว +2

      갤럭시 gtx 2070 : 들켜버렸넹 😝ㅋㅋ

    • @초딩퇴치법
      @초딩퇴치법 5 ปีที่แล้ว +1

      @@dbsxogh1 rtx 2070인디......

  • @작은앙마-u7i
    @작은앙마-u7i 6 ปีที่แล้ว +710

    안녕 하세요. 허수아비. 사장님
    중국산 입니다
    저파워는 정격 600w 파워가. 아닙니다. 표기용량 일뿐. 맥스 출력이. 400 와트 내외 입니다. 회사 일때문에 저파워를. 테스트 했습니다. 대기전력 부터 절연 저항 테스트 까지. 파워용량 부족 이겠죠. 게임 로딩시. 전압을. 많이 땡기죠. 시피유. 메인보드 하드에서 전압을 사용. 하겠죠. 2070 이면 정격600와트. 이상 사용 하라고 합니다. 당연히. 저파워는 전압이 부족할것으로 보여집니다. 허수아비. 사장님. 파워 용량 부족 입니다
    저파워로 1060. 6기가 까지. 테스트 해서 문제는 없었습니다. 과부하 스트레스 프로그램 까지 돌려본 결과. 문제는 없습니다. 2천 계열에서는 당연히 문제가 발생 하겠죠

    • @작은앙마-u7i
      @작은앙마-u7i 6 ปีที่แล้ว +114

      @@qq7671 감사 합니다 핸드폰으로 하다 보니 양해 바랍니다

    • @tizen8090
      @tizen8090 6 ปีที่แล้ว +73

      컴퓨터계열에서 오래 일하신분같네요

    • @user-ez3lq7cs6o
      @user-ez3lq7cs6o 6 ปีที่แล้ว +54

      스페이스바. 2번하셔서. 점생기신듯.

    • @abec1680
      @abec1680 6 ปีที่แล้ว +34

      그렇. 군. 요.

    • @러꾸거-n3z
      @러꾸거-n3z 6 ปีที่แล้ว +12

      ㅋ.ㅋ.ㅋ.ㅋ.ㅋ.ㅋ.ㅋ.ㅋ.댓.글.너.무.웃.기.네.

  • @guinness0530
    @guinness0530 6 ปีที่แล้ว +148

    파워가 별로인것 같은데.. 정격 제품이 아니라던가.. 엔비디아 드라이버 자체는 윈도7 64비트는 지원하니요
    제조사나 브랜드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브랜드도 아니고.. 안나와에 찾아보니 정격표시도 안되어있구요
    4770 컴퓨터 맞출때 산거라면 수명이라던지 효율이 감소한걸 생각해볼 수도 있고 아무튼 파워가 문제라 봅니다

    • @kekw3271
      @kekw3271 6 ปีที่แล้ว

      600w면 지금있는 제품들은 전부 커버되지않나요?

    • @아마도꿀벌
      @아마도꿀벌 6 ปีที่แล้ว +2

      @@kekw3271 천궁 600w로 실험해보시면 이해되실겁니다

    • @어쩔테레비-s6r
      @어쩔테레비-s6r 6 ปีที่แล้ว

      안나와에서? 안나올텐데

    • @guinness0530
      @guinness0530 6 ปีที่แล้ว

      @@어쩔테레비-s6r prod.danawa.com/info/?pcode=2011784&keyword=%EB%AA%A8%EC%8A%A4%ED%8A%B8%EC%95%84%EC%9D%B4%ED%8B%B0&cate=112777

    • @guinness0530
      @guinness0530 6 ปีที่แล้ว

      @@kekw3271 표기 최대출력만 봐선 안되죠
      보통 600w니 하는건 요즘은 거의다 정격출력을 기준으로 말하는거라 보면되고
      싱글레일이니 듀얼/멀티레일이니 각종 인증정보(효율등등)가 있니 없니..

  • @hanis2710
    @hanis2710 6 ปีที่แล้ว +18

    많은 분들이 파워하고 메인보드에서 가격을 줄이시려하는데 어느정도 투자는 해야된다 생각하네요

    • @pr9519
      @pr9519 6 ปีที่แล้ว +3

      파워랑 보드 싸구려는 동반자살을 하지만 좀 괜찮은건 혼자 가고 나머지는 구하지요

    • @잉잉-u2g
      @잉잉-u2g 6 ปีที่แล้ว +1

      b450,b360정도면 괜찮은 건가요?

    • @pr9519
      @pr9519 6 ปีที่แล้ว

      @@잉잉-u2g i7류를 가신다면 z470류가 낫지 않나 싶어요

    • @STEVEJOVS
      @STEVEJOVS 6 ปีที่แล้ว +1

      오버하실거 아니면 중급 B시리즈 메인보드가 적절합니다. 7시리즈급 CPU라고 해도 B시리즈 메인보드에서 충분히 성능 다 뽑을 수 있구요, 국민오버정도는 가능하기도 하구요.
      Z시리즈 메인보드는 국민오버 이상의 커스텀 오버클럭을 먹인다거나 시리얼을 많이 물리거나 하는 경우만 추천드리고, 그런게 아니라면 B시리즈로도 충분히 커버 가능하니 Z시리즈까지 가는건 과하다는 생각입니다.

    • @Elon_msuk_
      @Elon_msuk_ 3 ปีที่แล้ว

      1060에 메인보드H71을 돌릴거면 500W면 충분하나요?(전체 중고)

  • @sagarasousuke1423
    @sagarasousuke1423 6 ปีที่แล้ว

    기다렸습니다 ㅎㅎ

  • @Im_not_creator.
    @Im_not_creator. 6 ปีที่แล้ว +67

    파워 생겨먹은게 딱봐도 뻥파워 같네요 저사양이나 파워 적당히 저렴한거 써야지 고사양 고가격 시스템에는 파워 좋은거 써야합니다. 과열로 다운되거나 불날수도잇고 잘못하면 불안정한 전류로 안그래도 비싼 부품도 고장납니다

    • @xeroshanell
      @xeroshanell 6 ปีที่แล้ว +3

      @야가미코우 고급 파워 맞습니다. 참고로 전 쿨마 V1200 플레티넘 씁니다.

    • @Noble.6
      @Noble.6 6 ปีที่แล้ว

      @야가미코우 시소닉 자체는 믿을 수 있는 브랜드지만, 포커스 시리즈는 저가 버젼입니다. 내부 부품 원가 절감을 위해 상당히 부실한 구성입니다. 특히 고출력이 필요한 그래픽카드와 충돌 사례도 빈번히 보고되고 있습니다. 굳이 시소닉을 사시겠다면 FOCUS 시리즈 말고 PRIME 시리즈를 사시길 추천드립니다.
      만약 돈이 없다면 차라리 시소닉 말고 FSP hydro G 나 PTM 추천합니다. hydro GE는 비추천.

    • @ddjtntbyjfk
      @ddjtntbyjfk 6 ปีที่แล้ว +1

      @@Noble.6 아주 정확하게 잘 알고 계시네요 ㅋㅋ 시소닉 포커스는 솔직히 이름만 시소닉이지 그냥저냥이고.... 그 돈이면 님 말씀대로 플래급인 fsp ptm 라인 가는게 낫죠 ㅋㅋ 시소닉은 프라임급부터라고 봅니다.

    • @co_2260
      @co_2260 4 ปีที่แล้ว

      @@ddjtntbyjfk 그럼 차라리 안텍이나 허세어로..

    • @박승택-v6t
      @박승택-v6t 4 ปีที่แล้ว

      @@Noble.6 성지순례 왔습니다 현재 시소닉 뻥파워/대응 논란 터졌습니다

  • @Cat_butler_camping
    @Cat_butler_camping 6 ปีที่แล้ว

    이사가신다는건 알고는 있었는데간간히 고양이밥주는영상보면서 흐뭇해하다가 집가는데 저희동네에 들어오신지는 몰랐어요 깜짝놀랐네요 >< 뭔가 엄청반가웠어요 사업번창하세요

  • @asdfqqq212
    @asdfqqq212 6 ปีที่แล้ว +25

    파워가 멀티레일이여서 12볼트 출력을 적절하게 레일별로 나누어주어야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생긴문제 같습니다

  • @오민섭-y8z
    @오민섭-y8z 6 ปีที่แล้ว

    작업하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 @루안
    @루안 6 ปีที่แล้ว +23

    파워가 적어도 정격 600w이상급은 되어야할것 같습니다. 젠더를 사용했단것 자체가 실제출력 500w급 이하이거나 500w급일것 같습니다.

    • @흐드러지다-e8i
      @흐드러지다-e8i 6 ปีที่แล้ว +2

      별건 아니구요
      `이하 이거나 일것(같을것) 같습니다'
      제가 요즘 민감한 단어라서;; 이하,미만,이상,초과

    • @루안
      @루안 6 ปีที่แล้ว +1

      영수 정 불편하셨다면 죄송합니다..ㅎ 생각난대로 그대로 빠르게 쓰다보니 범위가 겹쳤네요

  • @나무그늘-w7t
    @나무그늘-w7t 6 ปีที่แล้ว

    고생이 많으시네요.
    일하고 오셔서 피곤하실텐데, 늦게까지 영상편집하고 올리시고..

  • @이승학-h8q
    @이승학-h8q 6 ปีที่แล้ว +150

    영상보기전에 파워문제가 아닐까... 아님 프로그램 충돌

    • @scare_crow_
      @scare_crow_  6 ปีที่แล้ว +11

      그러게요.. 저도 아직 정확한 원인을 사실은 모르겠어요 (//ω//)

    • @휴스턴-g5x
      @휴스턴-g5x 6 ปีที่แล้ว +2

      @@scare_crow_ 허수아비님 혹시워썬더라는게임을할려고컴을사려는데추천좀해주세요. (부품도)가장최적화 (싼거)

    • @cheon_shl
      @cheon_shl 6 ปีที่แล้ว +4

      @@휴스턴-g5x 직접

    • @휴스턴-g5x
      @휴스턴-g5x 6 ปีที่แล้ว +1

      저도부품이런거고르는거처음이여서....

    • @IWantedToBeALumberjack
      @IWantedToBeALumberjack 6 ปีที่แล้ว +2

      @@휴스턴-g5x 노트북으로도 돌아가는 갓겜입니다

  • @김보현-k3b
    @김보현-k3b 6 ปีที่แล้ว

    컴가게에서 인터넷보다 사오천원 비싸다고 말안해주는데 참 정직하십니다

  • @zzz1643
    @zzz1643 6 ปีที่แล้ว +25

    20시리즈가 전체적으로 10시리즈보다 전력 요구량이 높아요. 전문 칼럼 작성하는 커뮤니티의 벤치자료를 보니 RTX 2070 달린 벤치 시스템의 총 전력량이 그카만 gtx1080로 바꾼 벤치 시스템보다 조금 높게 나옵니다. 그렇기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해주는 파워 또는 10시리즈 때보다 한 단계 높은 파워용량을 권하는게 좋아 보이고 드라이버 호환이 안맞았을 수도 있습니다. 맞긴 컴의 OS가 윈도7인걸로 보아 드라이버 업댓도 안했을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엔비디아 20시리즈는 엔비디아 드라이버 버전 400대부터 정식 호환 지원입니다(현재 최신 416.81버전)

    • @hg_10_
      @hg_10_ 4 ปีที่แล้ว

      2020 10 4일 지금 450 번대로 바꼈네요

    • @세웅-i7w
      @세웅-i7w 4 ปีที่แล้ว

      이젠 450

  • @horror913
    @horror913 5 ปีที่แล้ว

    와 왠만해선 댓글 안다는데 저랑 같은 상황이셧던 분이라 달아봅니다 제가 i7 8700 rtx 2070 파워는 쿠거stx650 으로 돌리는데 요번에 나온 모던워페어 실행만 하면 컴터가 재부팅되서 포맷도 해보고 드라이버 업뎃도 해보고 서멀도 다시 발라보고 하다하다 안되서 파워를 안텍 hcg 1000으로 바꾸고 나니까 잘됩니다ㅋㅋㅋ파워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엇죠

  • @직구빌런-o2h
    @직구빌런-o2h 6 ปีที่แล้ว +35

    이건 이 영상과 상관없는 이야기인데 rtx2080 rtx2080ti 아키텍처 버그 및 사망설이 유튜브나 개시물이 많이 올라오고 있네요 msi, asus, gigabyte등 2차 제조사는 그나마 괜찮데요 살 때 한번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 @teamo5460
      @teamo5460 6 ปีที่แล้ว +4

      래퍼 모델에서 메모리 과열로 인한 문제가 발생중입니다 비래퍼 모델도 슬슬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는 하지만, 분해후 보이는 구조로 보았을때 비래퍼 모델은 구매하셔도 무관하다고 봅니다

    • @김윤수-v4m
      @김윤수-v4m 6 ปีที่แล้ว +2

      @@teamo5460 메모리 과열로 예상되고 있지 정확한 원인은 아닙니다

    • @teamo5460
      @teamo5460 6 ปีที่แล้ว +1

      @@김윤수-v4m 1080ti 제품과 온도측정기로 비교 측정하였을때 메모리쪽에 온도가 비교적 높게 측정된 자료와 영상이 있기에 쓴거였는데 정식 발표가 나오기 전까진 추측으로 봐야겠네요

    • @awertrer3228
      @awertrer3228 6 ปีที่แล้ว +1

      아직 정확한 증거도. 불량 개체 수량도 밝혀지지 않은 선동 기사 입니다.

    • @september0224
      @september0224 6 ปีที่แล้ว

      제 asus 뽑기운 안 좋은가봅니다 ㅠㅠ 사망했어요

  • @산세기
    @산세기 4 ปีที่แล้ว

    2070super 8개월 잘쓰다가 갑자기 저도 이증상 와서 찾아보는데 허수아비님 영상있어서 들어와봄

  • @hohoboy4016
    @hohoboy4016 6 ปีที่แล้ว +20

    컴초보들이 간과하는게 컴부품중에 파워가 상당히중요한 부품인데 싸구려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워가 안좋으면 하드도 잘고장나고 파워가 고장나면서 다른 부품 동반 사망도 많이 됩니다..
    무조건 비싼게 좋은건 아니지만 최소 뻥규격 파워만은 피하는게 좋습니다..

  • @훈시스템즈양훈
    @훈시스템즈양훈 6 ปีที่แล้ว

    서울 가신거 축하드립니다. 이제 대전엘 가도 .. 사장님을 뵐 수가 없겠군요...ㅠㅠ 언젠가 한번 뵙고 싶었는데..ㅎㅎ .. 그리고.. 영상..... 저는 파워에 1표!!! 뻥파워...ㅋㅋ

  • @고경탁-f8p
    @고경탁-f8p 6 ปีที่แล้ว +21

    제가보기에는 파워가 의심되는데......

  • @lichbilly
    @lichbilly 6 ปีที่แล้ว +1

    제생각에는 그래픽카드 설계미스도 있을 것 같네요 전원 라인을 보면 일자로 쭉 세워져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때문에 열이 분산이 안되고, 발열이 지속되서 냉납이 생겨 계속 꺼지는거일 수 도 있을 것 같네요

  • @ysr1936
    @ysr1936 6 ปีที่แล้ว +3

    RTX2070에 고질적인 문제가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표면적인 설계는 1070과 같은데, 내부 소프트웨어 문제,펌웨어 문제등으로 RTX가 냉납현상으로 하늘나라로 가는 현상이 잦다고 하네요. 특히 원인이 메모리에 냉납현상인데, 삼성메모리가 탑재된뒤 냉납이 안될거란 기대로 샀는데 같은현상이 일어나 펌웨어문제로 잠정결론지었다고하더군요.

  • @SingerChoiJin-bulleobulleo
    @SingerChoiJin-bulleobulleo 6 ปีที่แล้ว

    그거 저도 그런경우 있어서 확인하니 그래픽카드 달려있는 팬쿨러로 열을 식히지 못하니 재부팅 합니다 그래서 튜닝 랜카드 옆에 두개 밑에 두개 설치 총 4개 팬쿨러돌리니 재부팅 현상이 안일어나드라구요
    팬쿨러부터 더 달아보세요

  • @JJE
    @JJE 6 ปีที่แล้ว +4

    파워가 정격은 맞지만...
    12V는 400W 정도네요.
    5V 와 3.3V가 200W를 땜빵ㄷㄷ

  • @taehoya
    @taehoya 6 ปีที่แล้ว

    파워가 안정성에 있어서 유명한 제품은 아니구요.
    12V 전원이 싱글레일이 아닌 2레일로 나뉘어져있습니다. 12V-1, 12V-2........
    예전에 멀티레일 파워일 때도 12V 전원 한개의 레일에 그래픽카드나 하드디스크, 기타 디바이스들이 몰리면
    파워가 뻗기도 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럴 땐 12V-1에 그래픽카드, 12V-2에 나머지 장비들을 장착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건 예전에 메이커가 있는 파워에서도 일어났던 부분이라.......
    파워가 문제인 것 같다는 견해의 허수아비님의 말씀.......맞는 것 같습니다. ^^;;

  • @안빈낙도-x2z
    @안빈낙도-x2z 6 ปีที่แล้ว +30

    케이스 보니까 답답하네요. 싱글레일은 pci-e 같은 선에 붙어 있는걸 연결하는게 좋고 멀티레일은 선 다르게 해서 연결하는게 좋대요.

  • @jun4952
    @jun4952 6 ปีที่แล้ว

    저도 저런 경험이 있어서 파워 교체하니깐 해결이 되었습니다.

  • @bonobono2947
    @bonobono2947 6 ปีที่แล้ว +140

    제가 윈도우7에 207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파워문제입니다.

    • @KANATA_HALUKA_
      @KANATA_HALUKA_ 6 ปีที่แล้ว +1

      윈도우 7 뭐땜에쓰는거에요?

    • @MOZOPUM
      @MOZOPUM 6 ปีที่แล้ว +12

      @@KANATA_HALUKA_ 그냥 옛날컴터에 업글만하시거나 윈도7 위주 게임 그런거있습니다

    • @heu_aaaaaaaaaaaa
      @heu_aaaaaaaaaaaa 6 ปีที่แล้ว +2

      @@MOZOPUM 시장놀이요? 아 아님니다

    • @code_psh
      @code_psh 6 ปีที่แล้ว +1

      @Qwer ty 아재가 아니여도 알기도해요

    • @mushroom5433
      @mushroom5433 6 ปีที่แล้ว +8

      원도우10보다 원도우7이 쓰기편하던데 나만그런가..?

  • @andSD
    @andSD 6 ปีที่แล้ว

    저는 그래픽카드가 여러개잡혀서 DDU로 밀었어야하나 라고생각했는데, 파워문제였군요. 오늘도 배워갑니다

  • @Turbo-tc1st
    @Turbo-tc1st 6 ปีที่แล้ว +14

    예상이 확신이 되는데 파워부족입니다 ㅎㅎ 저 파워 표기상으론 12v대에서 다중레일로 528w(264,264) 인데... 좀 싸고 다중레일이라 약간 ㅃ파워 예상해봅니다

    • @Turbo-tc1st
      @Turbo-tc1st 6 ปีที่แล้ว +2

      4770도 저 그래픽 카드에 충분 합니다 ㅎㅎ 최신 게임이 다중 코어로 가는 추세인데 안정적이지 못해서요 ㅎㅎ 아직은 추웅분히 현역입니다. 쓰레드까지 다 쓰면 약 5.1~5.5코어 정도로 사용이 되니까요 ㅎㅎ 그리고 윈도우7용 드라이버가 있긴 한데... 다이렉트X 제한때문에 성능 다 못씁니다. 윈10 가야죠^^

    • @lernic2054
      @lernic2054 6 ปีที่แล้ว

      다중레일이면 2070에겐 좀 부족하겠네요 FSP도 요샌 다중레일 잘 안내던데..

    • @Turbo-tc1st
      @Turbo-tc1st 6 ปีที่แล้ว +1

      @@lernic2054 저두 그렇게 생각합니다 ㅎㅎ 하지만 다중레일이 안좋은건 아닙니다 ㅎㅎ 비싼 다중레일 파워 효율 좋은 파워 많습니다.
      오히려 파워가 나갔을시에 안정성이 있죠^^
      다만 가격과 질 낮은 뻥파워 들이 구린 컨덴서 두개로 다중레일을 만들면 진짜 심각하죠 ㅎㅎ
      허수아비님두 다중레일, 싱글레일 구분하셔서 그래픽카드 파워 꼽으실때 다중이면 하나씩, 싱글이면 굳이 하나씩 안뽑구 하나로 꼽아주는게 좋죠 ㅎㅎ 각각선이 나쁠건 없지만 효율에서 차이가 없구 선만 늘어나니까요 ㅎㅎ 다중레일은 하나씩 연결 중요하죠^^

    • @lernic2054
      @lernic2054 6 ปีที่แล้ว +2

      @@Turbo-tc1st 그러고보니 다중레일 꾸준히 내고 있는 데라면 델타파워도 있죠. 그쪽은 그래도 명성이 있으니 다중레일이라도 믿을만 하겠네요.

  • @시노자키아이-j9u
    @시노자키아이-j9u 6 ปีที่แล้ว

    썸네일 보자마자 파워문제인거 바로 알았네요ㅎ 똑같은 경험을 한번해봐서ㅋ

  • @dfhg8879
    @dfhg8879 6 ปีที่แล้ว +5

    윈도우7에서 RTX 충돌 일어났어요.... 호환이 잘 안되네요... 8이상 잘 되네요

  • @goodfortune7
    @goodfortune7 6 ปีที่แล้ว

    파워가 정격전압을 제대로 출력하지 못해서 멈추는 경우인 것 같네요...
    이래서 파워는 조금 이름 있는 제품을 쓰시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 @kancho9648
    @kancho9648 6 ปีที่แล้ว +3

    저부하의 경우에는 전원이 켜지고 괜찮으나
    풀로드로 자원을 사용한는 경우 부족한 파워때문에 꺼진것으로 판단됩니다.
    시스템에 사용된 제원들로 전력계산을 해봤습니다.
    1.MIT-600INN P-PFC Ver 2.3 80PLUS 인증하나 없는 중국산 파워입니다.
    파워에 표기된 12v 레일 전력은 (12*22)*2(멀티레일)=264*2=528W
    여기서 효율이 80%도 안되지만 상당히 높게잡아 80%라 가정하겠습니다.
    파워가 12V레일에서 감당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력은 528W*0.8 = 422.4W
    2.CPU I7-4770의 풀로드 소비전력 136W
    3.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2070 BLACK LABEL EX D6 8GB 최대 소비전력: 175W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2070 BLACK LABEL EXOC D6 8GB 최대 소비전력: 215W
    박스 외관상 어느쪽에 그래픽 카드에 해당하는지는 확인이 안되서 두가지 case에 대해서 같이 생각을 해봅시다
    4. 시스템에서 풀로드시 남는 전력계산
    4.1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2070 BLACK LABEL EX D6 8GB 의 경우
    422.4W - 136W- 175W = 111.4W
    4.2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2070 BLACK LABEL EXOC D6 8GB 의 경우
    422.4W - 136W - 215W = 71.4W
    5. 결론
    다년간 사용된 파워에서는 표시된 출력보다 훨씬 낮은 출력을 낼 수 밖에 없습니다.
    다른 장치에서 사용될 전력과 파워의 노후화도 생각한다면 110W(4.1의경우) 71W(4.2의경우)는 턱없이 부족한 전력이라 판단됩니다.
    (만약 1번에서 파워의 효율이 70%로 계산한다면 남는 전력이 58W or 18.6W으로 구동불가한 정도이니 파워부족이 맞다고 판단됩니다.)

    • @윤혼밥
      @윤혼밥 6 ปีที่แล้ว +2

      파워 효율 계산은 그렇게 하시는게 아닙니다. 어떤 파워가 정격600W 용량이고 80% 효율을 낸다는것은 750W를 써 600W를 출력시켜준다는 겁니다. 600*0.8해서 480W를 출력한다는게 아니라요.

    • @iamcsyt
      @iamcsyt ปีที่แล้ว

      ​​@@윤혼밥인증도 없는 중국산 파워이니 뭐가 되었든 안정적이지 못한게 맞을수도 있습니다

  • @beom590
    @beom590 6 ปีที่แล้ว

    rtx2000시리즈가 발열이 엄청나다는 영상도 있네요 발열때문인지도 의심해봐야 겠어요

  • @Shineyongs.
    @Shineyongs. 6 ปีที่แล้ว +15

    이젠 윈도우 7은 게임용으론 놔줄때가 된거 같아요..
    또 파워 부터가 정격인지 궁금하네요

  • @postgres2981
    @postgres2981 6 ปีที่แล้ว +1

    오우 댓글 지원 실환가... 일단 구독합니다... 저도 도움 줄만한 정보 있으면 도움 드리겠습니다.

  • @멜론kr
    @멜론kr 5 ปีที่แล้ว +5

    모든테스트를 거친결과.
    650w이상으로 해야합니다.

    • @a83925454
      @a83925454 4 ปีที่แล้ว

      휴 650w사기 잘했네

  • @0kiwiorange0
    @0kiwiorange0 6 ปีที่แล้ว

    경력이 많으셔서 그런지 바로 의심가는 부분이 나오네요..
    근대 요즘은 웬만해서 초보분들도 파워는 좋은거 쓰시던데..
    저건 들어보지도 못한 브랜드네요..

  • @아조씨랑친구할래
    @아조씨랑친구할래 6 ปีที่แล้ว +3

    한눈에 봐도 뻥파워네요ㅎㅎ

  • @maldanz
    @maldanz 6 ปีที่แล้ว

    비정격 파워네영... 시스템에서 고장나기전에 허수아비 사장님이 교체해줘서 다행이네요

  • @작은시아
    @작은시아 6 ปีที่แล้ว +14

    파워가 80인증도 없고 하는거 보니 뻥이 아니였을까 하는것도 있네요

    • @작은시아
      @작은시아 6 ปีที่แล้ว +5

      근데 아직도 윈도우 7이라니 최신부품으로 그러는거 아니에요 ㅠㅠ

  • @user-fl8xr3mx6o
    @user-fl8xr3mx6o 2 ปีที่แล้ว +1

    여러가지를 의심해볼수 있긴한데 경험상 파워교체면 대부분 해결되더군요.
    중저가에 인기있는 모델도 못믿습니다. 권장이 500w라 다나와상위권에 80기준에 어쩌고 하면서
    파는걸 사서 쓰다가 저런식으로 짜증나서 바로 마이크로닉스 80브론즈 700w 교체하고 지금까지 이상없이 쓰고 있네요.

  • @tetristarr3389
    @tetristarr3389 6 ปีที่แล้ว +5

    돼지목의 진주 목걸이... 손님이 컴퓨터에 잘 모르시는듯 하네요.. ㅋㅋ 저 조합에 최신 그래픽 카드라니...

    • @rebitation5582
      @rebitation5582 6 ปีที่แล้ว

      Ho Been Choi
      사실 i7 4770정도 시퓨면 시퓨는 훌륭하지만, os낙후와 램용량은 조금 아쉽네요....

    • @하여-t8m
      @하여-t8m 6 ปีที่แล้ว

      16g면 ㄱㅊ지 않나요

  • @holly5306
    @holly5306 6 ปีที่แล้ว

    가장 사람들이 놓치는 부분과 가장 소홀히 여기는 부분이 파워죠. 컴 속도와 화질을 위해서 수십만원을 쓰지만 정작 그것을 지원하는 파워에는 싼것 그리고 간당간당하게 파워가 되는것을 쓰죠.

  • @hyunsukjung6991
    @hyunsukjung6991 6 ปีที่แล้ว +3

    2070 왠만한 브랜드들 권장 파워 550W인데.....

  • @michaellee7207
    @michaellee7207 6 ปีที่แล้ว

    딱 봐도 파워 문제네요...
    조립 후 가장 문제발생이 많은 것이 파워입니다.
    좋은 파워를 사용해야 부품들의 성능과 수명을 향상 시킬 수 있죠.
    그러므로 조립시에 가장 많이 신경써야 할 부분이 파워라고 생각됩니다.
    파워 구입시에 최대용량 말고 정격용량을 확인하고 사시는게 좋을 듯...

  • @supercast1000
    @supercast1000 6 ปีที่แล้ว +8

    너무 오바할 정도로 찍어내도 그물량 구독자분들이 다 사갈겁니다

  • @nohyunpark4321
    @nohyunpark4321 6 ปีที่แล้ว

    드디어 허수아비 님도 탑 파워를 쓰기 시작 하셨다-ㅁ-현제 탑 파워를 쓰고 있어서 왠지 반갑-ㅁ-마이크로닉스 걸 애용 하시길래 저도 컴을 사용한지 좀 오래 돼었지만 진돗개 시절은 빼고 좀 나중부터 fsp,스카이 디지털 안텍 슈플 써 봤지만 한번도 파워 때문에 문제가 생긴적이 없네요 뻥 파워 아니면 파워에 문재 생기는 일은 적은듯 아무튼 컴을 한번 망가 뜨려서 한번 방문 해야하나-ㅁ-저도 왠지 가보고 싶은.;;;아무튼 번창 하세요^^

  • @gumaha3400
    @gumaha3400 6 ปีที่แล้ว +5

    현재 2070 마이크로닉스 600w으로 아주 잘 쓰고있습니다. 저 파워가 뻥파워라서 그런 것 같네요.

  • @catgrassfarm
    @catgrassfarm 6 ปีที่แล้ว

    고양이 닮은 컴터 없나요? 밥도 챙겨주고 하악질도 허고 솜방망이 도 날리는.
    야옹이 보는 재미로 구독했는데 .아쉬운대로 고양이 효과음 이나 인형이라도 .역시 무리겠죠 ? 대박 나세요 매일매일

  • @PPongPong
    @PPongPong 6 ปีที่แล้ว +10

    사타선을 돼지꼬리로 말아버리는 건 정말 안 좋아요. 일케 하시면 이게 안테나 같은 게 되버려서 각종 노이즈를 빨아먹어요. 당근 레이턴시를 증가시키니 컴에 좋을 게 없지요.

    • @choi8919
      @choi8919 6 ปีที่แล้ว +2

      안테나 중에 다이폴이라는 방식도 있어요.. 그건 빨랫줄 처럼 생겼어요.. 저 사타케이블은 이미 노이즈 차폐를 위해서 쉴드 라인이 있습니다..

    • @홍정기-f4c
      @홍정기-f4c 5 ปีที่แล้ว

      차동전송이라 노이즈에 강합니다.
      수백 Mbps로 데이터를 날리는 선인데 왠만한 노이즈엔 꿈쩍도 안합니다.
      사실 pc 내부는 노이즈원 투성이라 규격 설계시 노이즈에 대한 건 다 대비되어 있죠.

  • @batoss1
    @batoss1 6 ปีที่แล้ว

    비슷한 경험이 있어서 적어봅니다.
    보통 중고컴을 사면 본체에 내장되어있는 파워가 저런파워입니다.
    정격파워는 아니죠.
    첫 컴퓨터 구매당시 중고로 본체를 구입했었는데요.
    750ti에 손님분과같은 파워였고 6달정도 사용하다가 1060 3GB 장착후 게임동작시 꺼짐현상생기길레 파워교체를 하니 이상이 없었습니다.

  • @haewoori3413
    @haewoori3413 6 ปีที่แล้ว +75

    그래픽카드 초기불량 아니면 별 그런건 없어보이는데....

    • @duk6046
      @duk6046 6 ปีที่แล้ว +1

      아무내용없어도 추천누르는 사람들 뭐지 ㅋ

    • @정의로움-h4p
      @정의로움-h4p 6 ปีที่แล้ว +1

      아무내용도없는데 뭔공감이 이렇게 많어??

    • @scrollcho
      @scrollcho 6 ปีที่แล้ว

      실제로 이런경우 글픽카드 불량이 원인인 경우가 다수니깐..

  • @까치-e9q
    @까치-e9q 6 ปีที่แล้ว

    컴 부팅시 문제없다가 전격사용량이 올라가는행동(게임실행 등)을 하면 다운되는현상은 보통 파워 출력이 모자라서 생기는 현상....
    저도 예전에 그런적있어서 이것저것 만져보다 파워 업글하나까 해결된적이 있네요.

  • @바이한-e4n
    @바이한-e4n 6 ปีที่แล้ว +160

    2070 살 돈은 있으면서 케이스와 파워에는 지극히 인색했네. 초가집에다 울트라tv를 설치한 꼴이네. ㅉㅉㅉ

    • @선생이라는꿈
      @선생이라는꿈 6 ปีที่แล้ว +17

      초가집 ㅅㅂㅋㅋㅋㅋㅋ

    • @xmaskiller386
      @xmaskiller386 6 ปีที่แล้ว +2

      초가집ㅋㅋㅋㅋㅋ

    • @Inginging05
      @Inginging05 6 ปีที่แล้ว

      ㅋㅋㅋㅋㅋ

    • @jiseokoh4157
      @jiseokoh4157 6 ปีที่แล้ว +12

      예산이 모자랄떄는 어설프게 균형맞추는것보단 그래픽카드에 몰빵하는것도 괜찮은 방법이죠원래 600와트면 충분항텐데 영상에서 원래 있던 파워는 표기만 600이지 뻥파워라서 문제가 생긴듯

    • @tinelsen8129
      @tinelsen8129 6 ปีที่แล้ว +2

      초가집ㅆ발ㅋㅋㄱㅋㅋㅋㅋ간만에 뿜었네ㅋㄱㄱ

  • @markryu1863
    @markryu1863 6 ปีที่แล้ว

    저도 컴터를 잘 아는 편은 아니지만 . 파워는 적어도 정격을 써야 하는걸로 알고 컴터 맞출때 정격으로 파워는 넉넉하게 맞추는 편입니다. 저도 예전에 저런 경우가 있었는데. 그때 문제가 파워 였습니다. 정격이 아닌경우 쇼트가 나면 다른 컴터부품까지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다고 어디서 주워들었습니다.

  • @hapjoyo3583
    @hapjoyo3583 6 ปีที่แล้ว +3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뻥파워가 뭔지 모를 수 있죠.

  • @plasma7864
    @plasma7864 6 ปีที่แล้ว

    영상보고 많이 배움니다!!

  • @solar3195
    @solar3195 6 ปีที่แล้ว +5

    2070...부럽다

  • @sura_
    @sura_ 6 ปีที่แล้ว

    드라이버 이슈가 젤 가능성이 크죠 DDU같은 툴로 완전 삭제후 설치 하는게.. nvidia rtx나오고 드라이버 업데이트가 자주 있었으니 드라이버 버전도 확인해보시구요..

  • @MG-to1yx
    @MG-to1yx 6 ปีที่แล้ว +4

    20세대가 요즘 자꾸 이상생기고 또 잘죽는다고 하던데...

    • @Jun_10
      @Jun_10 6 ปีที่แล้ว

      그거 아녀요..

    • @Jun_10
      @Jun_10 6 ปีที่แล้ว +1

      @@dmsrl1999 아니요... 비래퍼도 죽어나고 있습니다...

    • @Jun_10
      @Jun_10 6 ปีที่แล้ว +1

      @@dmsrl1999 이번 2000번대 글카의 이슈는 블루스크린이 아니라 메모리과열로 인한 꽃 모양 그래픽깨짐 입니다. 이건 드라이버로 고칠수 없는 문제에요. 성능 하락을 시키지 않는 이상

    • @Puffmon
      @Puffmon 6 ปีที่แล้ว

      어느 한 유튜브 영상에서 열화상 카메라로 기판을 찍었더니 메모리 부위가 90도를 오가는 과열이 나타났습니다. 메모리 문제 가능성이 제일 높아요.

  • @Mint-Choco
    @Mint-Choco 6 ปีที่แล้ว

    다양한 이슈나 증상이 많겠지만
    이거는 파워 문제로 예상합니다
    파워 자체 출력도 정격 600w가 아닌걸로 알고있구요

  • @기마견
    @기마견 6 ปีที่แล้ว +3

    제가 2070에 600w쓰는데...문제 없어요...소프트웨어문제라고 감히 예상해봅니다

    • @안준보-v5o
      @안준보-v5o 6 ปีที่แล้ว

      정격 600w 싱글레일 정도면 감당하겠지만...
      저 파워는 유명하지 않은 제품인데다가 뻥파워 느낌이 좀 납니다
      게다가 메인보드쪽 레인을 끌어다 써서 그런것 같네요

    • @기마견
      @기마견 6 ปีที่แล้ว

      @@안준보-v5o 권장파워가 550w 이상이라고 적혀있는데 만약 뻥파워라면 모자랄지도 모르겠네요 600w로 충분은 하지만...넉넉한 느낌은 아니에욬

    • @안준보-v5o
      @안준보-v5o 6 ปีที่แล้ว

      @@기마견 항상 저희의 지갑은 얇죠ㅋㅋㅋㅋ 상황따라 선택해야하니까 ㅠㅠㅠㅠ

    • @remp10
      @remp10 6 ปีที่แล้ว

      뻥파워라서 그런거에요 모스트아이티 정격파워만드는곳이 아니라 뻥파워 출시하는곳이라

  • @카카-e7s
    @카카-e7s 6 ปีที่แล้ว

    뻥파워 예상 했건만..그게 맞았네요 마우스장패드는 많이 제작하셔도 충분히 팔릴거 같아요..색상도 여러가지면 더좋을거 같네요 매장판매만 하지마시고 마이크로닉스 홈페이지에서도 판매좀 해주시면 저도 사고 많은분들이 사실거 같네요~~이미쓰는 장패드가 있지만 그래도 사고싶습니다^^

  • @redrod9067
    @redrod9067 6 ปีที่แล้ว +27

    빠놀이 금지선
    ============================

  • @고빵소
    @고빵소 6 ปีที่แล้ว

    파워문제입니다.
    저또한 700w 듣보에 1070>1080ti 업글하고 1년정도 지났을무렵 게임도중 재부팅이되더군요
    650w 시x닉 골드로바꾸고 몇달됫는데 아주 쾌적합니다.

  • @네네-w6n
    @네네-w6n 6 ปีที่แล้ว +2

    하트주세욤

    • @scare_crow_
      @scare_crow_  6 ปีที่แล้ว +6

      어허,, 이사람들이.. 29살 이후로 막,, 함부로 하트 날리고 그런거 안한다니까요 ╮(︶︿︶)╭

    • @휴스턴-g5x
      @휴스턴-g5x 6 ปีที่แล้ว

      @@scare_crow_ \(°○°)/

  • @ghostblack960
    @ghostblack960 6 ปีที่แล้ว

    역시 제품이 새로나왔을때 덥석 구입하면 앙안될거 같네요..
    어느정도 보평화되고 임상실험이 끝났을 6개월이나 1년정도 지났을때 구입하는게 맞음.

  • @junjaelee278
    @junjaelee278 6 ปีที่แล้ว +4

    움~~~~
    재미쎃

  • @대영-q5v
    @대영-q5v 6 ปีที่แล้ว

    ㅋㅋ 파일구리 아재 마우스패드 주문했어요 충성충성 ^^7

  • @경매사냥꾼
    @경매사냥꾼 5 ปีที่แล้ว

    갤럭시 RTX 시리즈가 꺼지는 이슈가 좀있습니다.출시 초기에 심했었고요...갤럭시 쪽에 점검을 먼저 받아보는것도 좋았을거 같네요

  • @함정욱-s1d
    @함정욱-s1d 6 ปีที่แล้ว

    방금 쏟아지는 비와 함께 허수아비님 영상보면서 집에 들어왔습니다.
    컴퓨터를 켜보니 해상도가 엄청낮아져있고 2070 그래픽 드라이버 오류...
    이전에 컴퓨터 꺼지는 현상도 많이 겪고
    화면만 안나오고 게임 등 소리는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문제도 있었네요.
    재부팅하니 돌아오긴 했는데 흐음..
    i3 6100에 gtx950을쓸때도 이런일은 없었는데
    i7 8700k에 2070으로 올리고나선 꺼지는 현상이 있네요. 파워문제인지..
    cpu gpu온도에는 문제가 없더라고요.
    파워는 마이크로닉스 Classic II 600w인데

    • @신규만-z2d
      @신규만-z2d 6 ปีที่แล้ว

      윈도우 10으로 까시고 파워를 마이크로닉스 클래식 800w까지 올리시길 바랍니다.

    • @훠훠훠-w4c
      @훠훠훠-w4c 6 ปีที่แล้ว

      드라이버 클리너로 싹다 지우고 드라이버 다시 한번 깔아보세요.

  • @N4ME1ES2
    @N4ME1ES2 6 ปีที่แล้ว

    관계는 크게 없겠지만 팁 하나..20시리즈 드라이버가 레드스톤 3부터 지원합니다.
    레드스톤2 이하버전에서는 설치가 안됩니다

  • @바이한-e4n
    @바이한-e4n 5 ปีที่แล้ว

    꼭 나 같은 사람이구먼. 후진 시스템으로 어떻게든 끌고 가다가 돈이 생길 때마다 하나씩 장만하곤 했죠. 일단 케이스부터 3r시스템으로 바꾸었는데 저 분은 후진 케이스를 여지껏 쓰시네요. 좋은 케이스에는 기본으로 시스템쿨러가 5개 이상 들어가 있죠. 열기 배출을 해야 하는데 후진 케이스는 덮개를 열어놓고 써야 할 듯. 일단 cpu를 i5 쯤으로 쓰다가 i7로 바꾼 것 같고 램도 ddr3 8기가 하나로 쓰다가 배그를 해 보니 부족해 8기가를 하나 더 사게 되었을 테고, 중고 gtx960 정도의 그래픽카드를 쓰다 보니 자꾸 렉 걸리고튕기고 하니 큰 맘 먹고 rtx2070으로 바꾼 정황이 드러납니다. 그런데 뻥파워를 쓰시다니---. 조심성이 없으시네. 나도 rtx2070을 노리고 있는데 현재 마이크로닉스 600w 파워를 쓰는데 부족해 보여 750w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이미 앞서 경험했던 일이라 남일 같지가 않네요. ㅋㅋㅋ

  • @momo_1996
    @momo_1996 6 ปีที่แล้ว

    두가지 다하는게 좋을 듯요. 차후 보드 씨퓨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도 윈도우10도 같이 올려 주면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그래픽 드라이버 클린 삭제후 안정버젼 설치 정도요~

  • @REGATECE
    @REGATECE 6 ปีที่แล้ว

    그나저나 언제나 처럼 파워 한번 뚜둘겨 보셨어야!

  • @jethytrianon
    @jethytrianon 6 ปีที่แล้ว

    파워 문제가 커보이네요.
    듣보잡파워들이 1~300 와트 정도 표기 출력보다 안나오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싱글레일과 듀얼레일 차이가 있었고요.
    예전에 amd hd5850을 시소닉 400와트로 돌릴 때는 소음말고는 문제 없다가
    FSP 500와트로 돌렸을 때 뻗더군요.
    당시 3년된 시소닉은 싱글레일,
    신품이던 FSP는 듀얼레일이었음.

  • @Laitwave
    @Laitwave 6 ปีที่แล้ว

    파워문제로 보이네요. 오래되었지만 동일한 경험 있습니다.
    그때 저도 젠더를 써서 했었는데, 안되더라고요.
    그 뒤로 전원부 젠더는 쿨러이외에는 쓰지 않습니다.

  • @정훈김-j8l
    @정훈김-j8l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파워가 저가형파워네요.....ㅠㅠ
    표기출력만 믿고 자기 컴퓨터시스템이 기본부하가 얼마나 먹는지 모른 상태에서 2070은 무리라고 봅니다.
    제가 2070정도 쓸려면 기본부하만 700와트정도이니 넉넉하게 부하율 60%로 잡으면 1200와트 80%로 잡으면 1000와트입니다.
    제PC의 기본부하는 HDD4개 ODD1개 라이젠 5600 버미어 이렇게 씁니다. HDD개당 약10A를 먹거든요 10*4=40A입니다. ODD는 5A CPU가 TDP가 PBO먹으면 105A까지 먹습니다. 이것만해도 단순계산해도 700와트중에서도 기본12V출력이 40A이상나오는 파워를 써야합니다. 안그럼 시스템이 점점 죽지요....ㅡㅡ;
    파워를 좋은걸로 바꾸고나서 하나씩 잡는게 맞을 듯 합니다.

  • @고고율
    @고고율 6 ปีที่แล้ว

    제가 예전에 용산매장에서일할때 탑파워 고장 엄청많이나서 한달 환불량 어마어마했는대 왠만하면 저건 안쓰시는게 좋아요 저거 퍼스트××에서 파는걸텐데

  • @goodluckj153
    @goodluckj153 6 ปีที่แล้ว

    여기 고수분들이 많으신것 같아 실례를 무릅쓰고 한 가지 여쭤보겠습니다.
    제가 ZOTAC 560Ti ( 12핀 전원) 이 하나 있는데요.
    메인보드에 붙이니까 접촉불량 비프음이 나서, 빼놓았는데 남는 775 보드가 하나 있어서 거기에 붙여봤습니다.
    처음에는 동일하게 비프음이 발생하는데, 여기서 리셋을 누르면 정상 비프음 소리가 나면서 넘어갑니다.
    이상해서 전원을 끄고 다시 전원버튼으로 전원을 켜니 비프음이 나구요. 리셋을 누르면 다시 정상 비프음과 함께 화면이 넘어갑니다.
    냉납인가 싶어서 3dmark / occt / 3d게임 / 60fps 동영상등 돌려보고, 한참을 켜놓아보았는데도 다운되거나 멈추거나 하지를 않습니다.
    보드는 msi p55-cd53 / 기가바이트 775보드 / 기가바이트 g41-combo 3가지구요.
    파워는 파워렉스 600W / GREATWALL 500W /스카이디지털 파워스테이션2 450w 3가지 파워로 테스트 했습니다.
    그래픽외 OS 설치된 hdd 1개만 붙여놓았습니다.
    혹 이 증상에 대해 아시는 분 고견 좀 부탁드립니다.

    • @goodluckj153
      @goodluckj153 6 ปีที่แล้ว

      @@조현우-k2v 아니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제가 그 보드 케이스교체를 몇 번하면서 쓴 보드라 패널위치는 정확하게 알고 있습니다.
      아울러 테스트한 보드가 2개 더 있습니다. 거기서도 동일한 증상을 보이는게 제가 이해가 안가는부분 입니다. ( 참고로 누드테스트 진행 다 해봤습니다. )

    • @goodluckj153
      @goodluckj153 6 ปีที่แล้ว

      @@조현우-k2v 용산갈일 있을때 조텍에 가지고 가서 한번 문의해봐야겠네요.

  • @maria-mx7er
    @maria-mx7er 6 ปีที่แล้ว

    드라이브 안잡히면 메인보드마다 다르게 자동으로 잡히는게 있고 일일히 해줘야 하는 부분도 있고 그럼
    드라이브 안잡혀있음 쓰다가 그냥 꺼지기도함 이래서 조립이라면 합이 잘맞아야함
    합이 맞는지 안맞는지 보려면 견적볼때 회사나 모델명 물어보고 그중에 여러번 겹치는 모델이 제일 나음... 왜냐면 가격도 가격이지만써보고 제일 as불발률이나 여러면에서 합이 좋기때문 ... 메인보드가 제일 중요하다고 봄..

  • @amaing12
    @amaing12 4 ปีที่แล้ว

    파워는 왠만하면 +80 +85인증 마크 들어간 정격 씁시다. 과거에 뻥파워 이야기가 워낙 많아서....

  • @mistein_
    @mistein_ 5 ปีที่แล้ว

    제발 정전압 출력을 밀어주는 파워와 그 수준에 그래픽카드를 써주세요 영상에서도 사장님이 이야기 하시듯 OS를 교체하고 사용하실순 있겠지만 그래픽카드에 전력을 부족한 전력을
    파워가 밀어주다보면 결국 과부화가 걸려서
    파워가 뻥~터지면서 혼자 무지개다리를 건너지 않고 메인보드 시피유 그래픽카드 친구들과 함께 같이 떠날거에요

  • @namefirst3498
    @namefirst3498 6 ปีที่แล้ว

    정격파워가 맞는지 부터 알아보셔야 할듯... 듀얼이면 회로에 레일분배가 잘못돼서 과부하걸리는걸수도 있고... 등등....
    고사양 PC로 사용할거라면 듀얼보다는 싱글레일 채용한 파워넣는게 꼬일가능성이 적어요

  • @inteliani
    @inteliani 6 ปีที่แล้ว

    보통 컴퓨터가 돌다가 바로 꺼져버리면 파워문제일 가능성이 제일 크죠. 꺼지면 다행인데 퍽 하고 연기가 나면서 나가면 보드랑 램이랑 맛이 갈수 있수도 있는거~

  • @will9578
    @will9578 6 ปีที่แล้ว

    파워는 소모품이라 오래되면 3D 게임을 하다가 프리징이 걸리기도 하더군요.
    5년된 파워렉스 블랙호크로 스카이림 모드 깔고 잘 하다가 2번 연속 프리징 되길래 새 파워로 갈아주니 바로 해결 되더군요.

  • @hughwilliams2122
    @hughwilliams2122 6 ปีที่แล้ว

    에너지 넣고 즉 전력이든 연결 선이든 넣어서 출력하려는 데 그게 안 되는 거죠? 어쩜 in 은 됐는데 out 출력에 과부하거 걸려서 멈춰 버릴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모터는 도는데 같이 돌아야 할 벨트가 먹통인 게죠! 그럴 가능성이 많을 것 같다고 봅니다. 암튼 주의 해셔서 살펴 보셔야 할 듯 에너지가 들어감 그 에너지가 출력이 전기가 나와야 되는데 나오지 않음 다운 현상이 생긴답니다. =^.^=~...힘내세요! 각각의 카드들이 보드에 닿지 않아도 닿았는데도 뭔가 출력을 못해도 그런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니 주의 해서 천천히 스텝업 밟아가야 할 듯 싶네요.

  • @rayer3508
    @rayer3508 ปีที่แล้ว

    게임중 전원이 꺼지는 증상은 대부분 메인보드, 파워 문제입니다. 결국 메인보드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니 메인보드에 문제가 있어도 정상적인 전력이 공급되지 않겠죠

  • @nrkl-
    @nrkl- 6 ปีที่แล้ว

    이파워 12V 출력이 22A,22A해서 듀얼레일인데 환산해도 최대출력이 528W 네요.
    파워 효율이나 이런것도 따지면 400W 언저리로 출력이 나올텐데 2070까지 커버하기엔 무리가있겠네요...
    적어도 파워는 이름있는 회사꺼에 100W에 만원은 쓰시는게 좋습니다..

  • @김김김-f7n
    @김김김-f7n 6 ปีที่แล้ว

    멀쩡하던 컴퓨터에 부품 교체 후 프리징이 발생한다면 십중팔구는 파워 문제가 많습니다. 파워 출력도 수명이 갈수록 줄기도 하고

  • @김종민-h9r9u
    @김종민-h9r9u 6 ปีที่แล้ว

    허수아비 아저씨!! 저오늘 장패드 샀어요!

    • @scare_crow_
      @scare_crow_  6 ปีที่แล้ว +4

      아,, 감사합니다... 이거 참 송구스럽기도 하고 (⌒_⌒;)

  • @에어컨이최고야
    @에어컨이최고야 6 ปีที่แล้ว

    2070도 나름 전력요구사항이 높은제품인데 그래픽카드 전용 전원공급단자도 부족한 파워에 4핀 젠더를 이용해서 연결한다라.. 거기다 부하가 걸릴때만 전원나감. 이건 뭐 증상만봐도 99% 파워 문제라고 봐야되겠죠.

  • @최원일-j7l
    @최원일-j7l 6 ปีที่แล้ว

    Os문제는 아니고요 파워도 아닙니다. Cpu의 열이 안내려 가거나 gpu의 열이 안떨어져서 하드웨어 보호를 위해 리셋을 하는 경우 입니다.케이스 열고 본체에 선풍기를 켜보세요. 그럼 알수 있습니다. 컴퓨터가 꺼지기전에 팬이 맥스로 돌고 있으면 그 문제가 맞습니다.

  • @muwonkang6442
    @muwonkang6442 6 ปีที่แล้ว

    제가 보기엔 2중에 한 가지 일 것 같네요. 파워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4770에 메인보드면 아마 70번대 메인보드 쓸 것 같은데, 바이오스 업데이트 해야 되는 걸로 압니다. 제 컴퓨터가 I7 6770, 메인보드 기가바이트 H170 게이밍 쓰는데,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고 GTX2060으로 장착하니 잘 돌아 가더군요..

  • @RSKim-sp9fk
    @RSKim-sp9fk 6 ปีที่แล้ว +1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는 파워 교체하고 윈도우7 에서 윈도우 10 RS3 이상에서 2070 쓰는게 맞고요 RAM도 16gb이상은 달아야 배그나 피파 원활하게 돌겠죠 일단 원인은 제가 저거 겪어봤었는데 드라이버 충돌이 원인 이였어요 드라이버 하나 설치하고 재부팅 여부 물을때 재부팅 해줘야 좋은데 귀찮아서 칩셋이니 그래픽,사운드 등 한번에 다 설치해서 잡아주고 재부팅 시키니까 꼬였는지 무거운 프로그램 실행 시킬 때 마다 프리징 걸리더라고요 그래서 포맷 시키고 드라이버 하나 설치 할때 마다 재부팅 하고 하나 또 깔고 재부팅 시키고 천천히 하나하나 드라이버 잡아주니까 원활하게 돌아가더라고요 윈10 은 한번에 다깔고 재부팅 시켜도 그런거 없었는데 윈7만 한번에 깔고 재부팅 시키면 꼬여서 굳더라고요 당시 윈7에 GTX260 달던 때네요 추가로 규격이 안맞는데 저렇게 강제로 그래픽 카드 끼워 넣으면 카드에 부담되서 온도 많이 올라가서 수명에 좋지 않아요 가뜩이나 발열 심한 2070인데 말이죠 저렇게 강제로 설치하면 오픈 케이스 상태로 돌려도 카드 만저보면 엄청 뜨거워요 반면 규격 맞게 끼워 주면 만저 봤을때 미지근 해요. 영상 보니까 파워는 교체 하셨던데 기회 되면 꼭 케이스 시원 시원 하게 큰걸로 바꿔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