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기업이 힘이다] 기술의 날개로 세계 하늘을 누비다, 아스트 - 71회 / YTN (Yes! Top News)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ก.พ. 2025
  • 전 세계 하늘을 가장 많이 누비고 있는 항공기의 베스트셀러 보잉 737.
    보잉 737의 꼬리날개 달린 뒷부분인 후방동체 이른바 '섹션 48'은 바로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세계 항공기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곳은 보잉과 에어버스 등 완제품을 만드는 대형 기업이지만, 뼈대와 스킨, 후방동체 같은 항공기의 핵심 부분은 우리 강소기업이 만들고 있다.
    항공기 부품 제작의 생명은 0.01㎜의 공차도 허용하지 않는 완벽한 조립!
    초정밀 기술력으로 무장한 항공기 부품 전문기업 아스트를 '강소기업이 힘이다'에서 소개한다.
    ▶ 기사 원문 : www.ytn.co.kr/_...
    ▶ 제보 안내 : goo.gl/gEvsAL, 모바일앱, 8585@ytn.co.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4

  • @raybrown5890
    @raybrown5890 6 ปีที่แล้ว +6

    멋집니다!! 훌륭합니다!!

  • @youngflower23
    @youngflower23 3 ปีที่แล้ว +1

    이때까지만 해도 기대가

  • @우스우-v6y
    @우스우-v6y 6 ปีที่แล้ว +1

    강소중소기업 아스트 최고입니다..응원합니다..

  • @호안-y3k
    @호안-y3k 6 ปีที่แล้ว +3

    우와 한국이 맡나요 정말 한국인가요 신형 737 부품을 만드내요 한공산업에 아주 문외한 국가라여겼는대 이제 인정안할래야 안할수가 없내요 아쉬운접은 초대형 오토클래이브만 있었더라면 더큰일도 할수 있었을 탠대

  • @karmaoo3865
    @karmaoo3865 7 ปีที่แล้ว +2

    항공기 부품 회사 경남 사천에 즐비하던데요
    머리카락 한가닥 굵기만한 틈 있으면 불량이라던 지인 ,.

  • @Blueberrybanana
    @Blueberrybanana 5 ปีที่แล้ว +1

    2020년까지 3400억은 못할 듯.
    보잉은 매월 B737을 42대 가량 생산하는데, 아스트는 이 중 10%에 해당하는 4대 항공기에 ‘섹션 48’을 공급한다.

  • @user12p43i2ck
    @user12p43i2ck 7 ปีที่แล้ว +4

    2:31 창피함은 친구들의 몫ㅋㅋㅋㅋㅋ

  • @jaewonchang7259
    @jaewonchang7259 5 ปีที่แล้ว +2

    업계에서는 대한항공(연구개발 쪽)이랑 KAI가 평이 안좋아서 검색해 봤더니 역시나 직원 대우 수준이 비슷하네요.
    지금 꿈나무들은 미래에 어떻게 될지 모르겠으나 현재 항공우주 업계는 명성에 비하면 진짜 몸값 똥값임.

  • @이건개발-p8n
    @이건개발-p8n 2 ปีที่แล้ว

    가즈아스트

  • @qjavl153
    @qjavl153 7 ปีที่แล้ว +3

    경남 사천은 항공기개발도시네..... 아스트 이정도면 대기업성장 할수 있겠다

    • @honshin23
      @honshin23 5 ปีที่แล้ว

      대기업 될려면 부품 수출이 아니라 자체 비행기 생산해야 됨.
      뭐든지 완성품이 단가 많이 남기는 거임.

    • @나무가지-o1t
      @나무가지-o1t 4 ปีที่แล้ว

  • @손오공-t6i
    @손오공-t6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이때는 참 괜찮은 회사였는데.... 망하기직전....ㅠㅠ

  • @youngguenji1007
    @youngguenji1007 8 ปีที่แล้ว

    고승완 팀장님 설명 중 잘못된 내용이 있네요. 수직꼬리날개에는 Rudder(방향타), 수평꼬리날개에는 Elevator(승강타)가 장착됩니다. 설명하신 플랩은 주날개에 장착되며 양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륙/착륙시 날개를 자세히 보시면 날개앞은 슬랫이 내려오고, 날개뒤는 플랩이 내려와 이/착륙시 양력을 증가시키는 장치들이 나타나 보고있으면 재미있을 겁니다.

  • @나무가지-o1t
    @나무가지-o1t 4 ปีที่แล้ว +3

    우리아빠 회사당

  • @나무가지-o1t
    @나무가지-o1t 4 ปีที่แล้ว +1

    나 저기 가봤어 오

  • @bighand9558
    @bighand9558 7 ปีที่แล้ว +1

    공기업이나 대기업이 개별부서를 분사시키는것도 좋은 정책이군요. 분사시켜 알까고 알이 큰 새가 되어세계를 누비는..

  • @hoyjhhjfh9047
    @hoyjhhjfh9047 3 ปีที่แล้ว +2

    ㅋㅋ아스트 잡플래닛..ㅋㅋㅋ심각하네 ㅠ

  • @Kanel913
    @Kanel913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패위기

  • @두건-w6n
    @두건-w6n 5 ปีที่แล้ว

    보잉 737 기체 결함이랑 관련있는건 아니겠지용?

    • @dong2.2
      @dong2.2 5 ปีที่แล้ว +2

      관련없습니다

    • @honshin23
      @honshin23 5 ปีที่แล้ว

      그건 자동항법장치 센서 이상과 관련된 문제고...

    • @쿠쿠키-g1c
      @쿠쿠키-g1c 4 ปีที่แล้ว

      그거는 그냥 보잉이 경쟁하느라 만들어둔거 안알려줘서 생긴거임 외국영상들 보면 영어로 자세히 나와있는 영상 있던데 그거보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