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동척은 세개의 조가 공작물을 고정하기 때문에 완벽하진 않지만 거의 동심도가 나옵니다. 소재가 연마또는 마환봉이 아닌이상 일반환봉 이라면 표면이 거칠기때문에 백분의 몇 단위의 공차가 있을수 있습니다. 그렿다 해서 쓰리조척을 단동척처럼 풀고 조여가며 동심도를 맟출수 없습니다. 소재의 동심도보다 쓰리조의 오랜사용으로 조와척의 나사산의 유격으로 인하여 동심도가 잘 않나올수도 있습니다. 연동척의 경우 동심도가 잘 안나오면 척교환을 추천드림니다. 또, 한가지는 척을 고정하는 후렌지 즉 아답터의 동심도가 정확하지 않아서 안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망간 후렌지와 척 교환영상을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교육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설명하고 있는 리드는 나사 자동 피치에 대한 리드인데 실제 적용은 설명하고 있는 나사 리드표 위의 자동 이송 리드표가 적용됩니다. 증거로써 1mm, 2mm 피치가 적용되면, 파트의 외경면은 실제 나사산이 생깁니다. 초보에게는 혼선이 생길 수 있으니, 먼저 공부를 좀 더 하신 후 교육이 필요해 보입니다.
@@e-cheonmachinery6210 말씀처럼 칩브레이킹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면, 해당 인서트의 카탈로그에 기재된 FU(회전당 이송) 절입량, VC값이 반드시 언급되어야 합니다. 무수히 많은 인서트에 대해 단지 리드 1mm, 2mm의 조정으로 칩브레이킹이 발생한다고 한다면, 초심자는 그 사실을 맹신하는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칩브레이킹이 발생하는 조건은 인서트의 인선 반경 RS값을 기준으로 절입, FU는 최소 RS값 이상이 되었을 때 칩브레이킹이 발생합니다. 당연하게도 노즈 인선 옆으로 칩브레이커 형상이 연결되니까요. 카탈로그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자신의 경험을 좋은 취지로 타인에게 전파하는 것은 좋으나, 명확하지 않은 정보에 의해 초보에게 독을 옮기는 오류를 범하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큰도움이 됐습니다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고있어요!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ㅎㅎ
도움이 되셧다니 다행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넵^^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혹시 연동척 다이얼게이지로 싱잡는 영상도 올려주실수있을까요?
찾아보니까 단동척만 나와서요😂
연동척은 세개의 조가 공작물을 고정하기 때문에 완벽하진 않지만 거의 동심도가 나옵니다.
소재가 연마또는 마환봉이 아닌이상 일반환봉 이라면 표면이 거칠기때문에 백분의 몇 단위의 공차가 있을수 있습니다. 그렿다 해서 쓰리조척을 단동척처럼 풀고 조여가며 동심도를 맟출수 없습니다.
소재의 동심도보다 쓰리조의 오랜사용으로 조와척의 나사산의 유격으로 인하여 동심도가 잘 않나올수도 있습니다. 연동척의 경우 동심도가 잘 안나오면 척교환을 추천드림니다.
또, 한가지는 척을 고정하는 후렌지 즉 아답터의 동심도가 정확하지 않아서 안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망간 후렌지와 척 교환영상을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미니선반 추천해주세요.
이천 선반은 제일 작은게 어떤건가요?
@@ggjjggrs-j7t 글쎄요~~ 저는 탁상선반을 사용하지 않아서요, 10파이 이하 작은봉재도 선반콜렛척을 이용해서 6자선반에서 가공합니다.
저거 자동이송 스토퍼는 어디에 있나요? 어느 지점에까지 자동이송 걸었다가 그 지점 가면 탁 세워져서 작업자가 핸들로 돌려서 빼고 후퇴해서 이송걸면 또 그 지점까지 가서 탁 멈추는 그런거요..
아무리 찾아봐도 안 보여서요
@@nwlkasa 통일선반의 경우 출고때 베드압쪽에 달려나옵니다. 중고선반이면 작업자가 없앨을수도 있구요.
스토퍼가 없으면 이송대레버있는쪽 바닥부분보면 핀타입으로 누르면 왕복대가 꺼지는 리밋스위치 같은거 있을꺼에요. 통일선반의 경우입니다.
교육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설명하고 있는 리드는 나사 자동 피치에 대한 리드인데 실제 적용은 설명하고 있는 나사 리드표 위의 자동 이송 리드표가 적용됩니다. 증거로써 1mm, 2mm 피치가 적용되면, 파트의 외경면은 실제 나사산이 생깁니다. 초보에게는 혼선이 생길 수 있으니, 먼저 공부를 좀 더 하신 후 교육이 필요해 보입니다.
ㅋ 저는 나사리드를 설명하는것 보다는 리드의 속도를 이용해 공작물 가공시 발생할수 있는 칩의형상을 설명해드렸는데요. 범용선반 가공시 전부 나사산이 생기죠. 당연한 말씀을, , ,
@@e-cheonmachinery6210 말씀처럼 칩브레이킹의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면, 해당 인서트의 카탈로그에 기재된 FU(회전당 이송) 절입량, VC값이 반드시 언급되어야 합니다. 무수히 많은 인서트에 대해 단지 리드 1mm, 2mm의 조정으로 칩브레이킹이 발생한다고 한다면, 초심자는 그 사실을 맹신하는 오류를 범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칩브레이킹이 발생하는 조건은 인서트의 인선 반경 RS값을 기준으로 절입, FU는 최소 RS값 이상이 되었을 때 칩브레이킹이 발생합니다. 당연하게도 노즈 인선 옆으로 칩브레이커 형상이 연결되니까요. 카탈로그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자신의 경험을 좋은 취지로 타인에게 전파하는 것은 좋으나, 명확하지 않은 정보에 의해 초보에게 독을 옮기는 오류를 범하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이해를 못 하고서 교육이 올바르지 않다고 글 남기네 ㅋㅋ
돌대가리야
자동이송 속도를 말하는거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