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인증기관 현황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5 ก.พ. 2025
  •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ISO 인증기관(적합성 평가기관)에 대한 정보입니다.
    본 자료는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지원센터(KAB)에서 운영하는 ISO 인증포털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www.icin.or.kr...
    -한국인정지원센터에 등록된 기관은 총 56개 기관이며
    -현재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증기관은 약 165개입니다.
    인증기관의 선택은 기업의 몫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성입니다.
    사장님이 아시는 친구분만 조심하면 됩니다.ㅎㅎ
    기타 인증기관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은 댓글 달아주시면 빠른 시간에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

  • @도시인-t3m
    @도시인-t3m 5 ปีที่แล้ว +1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ahnbh334
      @ahnbh334  5 ปีที่แล้ว

      구독 신청에 감사드립니다~~^^

  • @noapark9889
    @noapark9889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선생님 유튜브보면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국내업체가 ISO인증을 받을때, KAB산하 인증기관이 아닌
    해외인증기관에서 ISO인증을 받아도 상관이 없는것인가요?
    제가 이번에 심사원교육을 받았는데,인증기관이 KAB에 등록된 업체가 아닌
    캐나다 인증업체여서...궁금해서 여쭙습니다.

    • @ahnbh334
      @ahnbh334  ปีที่แล้ว +1

      KAB에 등록되지 않은 인증기관도 문제 없습니다.
      그러나 해외 인증기관을 선택할때는 비용도 중요하지민 공신력을 꼭 생각하시기바랍니다.~^^

    • @noapark9889
      @noapark9889 ปีที่แล้ว +1

      @@ahnbh334 예!! 감사합니다

  • @cyruskim1401
    @cyruskim1401 4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법인 설립 준비 중으로 여러 행정절차 등을 알아보고 있슴니다.
    ISO 9001과 14001를 제조업체들은 기본적으로 받는 것 같은데, 해당 인증의 필요성이 말씀해주신 제품과 회사에 대한 신뢰도 이외에 다른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법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나 국책 등에 가산점 등이 있을까요? 재정적인 측면에서 해당 경영인증들이 필요한 직접적인 이유가 있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 @리피플-n2o
    @리피플-n2o 3 ปีที่แล้ว

    민간에서 돈벌기 위해 만든 사설인증입니다. 협박과 회유로 업체들을 가입시켜서 인증을 해주나 결국은 아무 쓸모 없는것을 알게 됩니다. 결국 업체들은 돈만 버리게 됩니다. 취준생들한테도 돈 받고 자격증처럼 주나, 국가자격이나 인증과는 전혀 무관한 사설 인증입니다.

    • @ahnbh334
      @ahnbh334  2 ปีที่แล้ว

      민간이 주도하는 인증제도가 맞습니다. 그런데 협박과 회유를 한다면 정말 잘못된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