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생활스포츠지도사 필기 기출문제 [운동생리학] 풀이 해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ส.ค. 2023
  • 2023년도 출제된 스포츠지도사 문제 중
    운동생리학에 대한 문제해설강의입니다.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저작권은 국민체육진흥공단에 있습니다.
    풀이해설은 본인이 쓴 7일완성 스포츠지도사 수험서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도서주문 링크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
  • กีฬา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2

  • @hungrysport
    @hungryspor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강의 관련 질문은 네이버 카페 질문게시판(cafe.naver.com/hungrysports) 을 이용해주세요!
    - 교재 주문 링크 -
    yes24 : www.yes24.com/Product/Goods/119650769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687791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18917573

  • @user-tg3iq9hz6i
    @user-tg3iq9hz6i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leading108
    @leading10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7번문제, 양성피드백의 예에서 출혈은 잘못된 예입니다, 지혈이 맞는예입니다.

  • @user-gm8lf1py1m
    @user-gm8lf1py1m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는데 보디빌더처럼 중ㆍ고강도 근육운동을 꾸준하게 몇십년 하다보면 위성세포 고갈이 일반사람보다 더 빨라지진 않는지 궁금합니다
    위성세포도 수명이 있으니.
    위성세포가 가진 역량을 미리 다 끌어다 쓰면 위성세포수가 감소하는거 아닌지 궁금합니다

    • @hungrysport
      @hungryspor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위성세포는 근육성장과 복구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세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장기간의 중,고강도 근력운동이 노화 시에 위성세포의 수나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 것 같습니다만
      해당 내용은 사실 아직 크게 밝혀진바가 없습니다.
      관련 논문을 찾아보아도 해당 내용을 미루어 찾기가 어렵네요
      다만 [김성준, 서상훈. (2021). 노화와 운동에서 골격근 위성세포의 역할. 한국체육학회지, 60(3), 61-76,]
      "운동 형태에 상관없이 노화된 위성세포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에
      운동은 노화된 위성세포의 개선을 위한 주요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라는 점에서 미루어 알 수 있듯이
      고강도의 근력운동으로 노화 시에 일반인보다 위성세포가 감소할 것을 우려하는 것보다
      해당 운동으로 얻는 이점이 훨씬 많기 때문에 그렇게 보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 @user-gm8lf1py1m
      @user-gm8lf1py1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hungrysport @TAEssam 하나더 답변 부탁드립니다.궁금증이.ㅜㅜ
      줄기세포를 제외한 모든 체세포엔 분열 한계가 있고 그걸 헤이플릭스 한계라 합니다. 세포마다 조금씩 다른데.
      이런글을 봤는데 위성세포도 같은 50번에서 70번의 분열한계가 있나요?
      바쁘신데 정말 죄송합니다.

    • @hungrysport
      @hungrysport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위성세포도 줄기세포 중 하나이니
      따라서 계속 분열 및 증식이 가능하겠죠?
      그렇기에 근비대도 유발이 되는거구요
      다만 해당 내용은 생활스포츠지도사시험이나
      대학 수준에서 다루지 않는 다소 심화된 내용입니다.
      해당 분야에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시면
      전공자나 관련 교수님께 문의를
      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bullet382
    @bullet38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출문제 17번 문의드립니다.
    우측교재에도 있듯이 감소를보이는 호르몬에 카테콜라민이라고 기재되어있는데 보기1번 에피네프린이 답이 안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는것인지.

    • @hungrysport
      @hungrysport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7번 문제는 중강도의 운동 중 일어나는 변화인
      호르몬 반응을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교재에 있는 카테콜라민, 카테콜아민 호르몬의 설명은
      지속적인 트레이닝을 통한 신체적 변화 적응에 대한 내용입니다. 항상 반응과 적응을 구분해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 @bullet382
      @bullet38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ungrysport네

  • @user-pq5vs3no4t
    @user-pq5vs3no4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8 12 14 17

  • @nanaday-in4md
    @nanaday-in4md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4년 교재 구매했는데 24년도 개정교육영상은 언제부터 나올까요?

    • @hungrysport
      @hungryspor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교재 구매 감사드립니다!
      현재 23년 출제문제에 대한 해설 강의가 업로드 중입니다.
      24년 개정판 강의영상은 이후에 스포츠사회학부터 순차적으로 업로드 될 예정입니다.
      23년 강의보다 퀄리티있게 제작할 예정이오니 많은 관심 갖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

  • @user-ze7xm5pm9d
    @user-ze7xm5pm9d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6번 풀이중 건강체력에는 순발력이 포함이라 하셨는데 운동체력 아닌가요?

    • @hungrysport
      @hungryspor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운동체력에 속합니다!
      잘못 설명드렸습니다 죄송합니다

  • @yechanpark-fj3fu
    @yechanpark-fj3fu 16 วันที่ผ่านมา

    난이도가 어떤 정도일까요? 다 맞춤…
    물리치료사라 그런 걸 수도 있는데, 헬스트레이너에 관심있어서 한번 뵈봄니다

    • @hungrysport
      @hungrysport  3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올해 24년도 문제는 조금 더 어렵긴 하였습니다
      다만 23년도 문제를 다 맞추실 정도면 운동생리학은 그리 어렵지 않을 듯 합니다.
      스포츠지도사 시험 과목은 총 7개 중 5개 과목을 선택해서 시험을 봅니다.
      생리학 뿐 아니라 교육학, 사회학, 체육사 등등 다양하니
      다른 과목도 공부를 하셔야 합니다.
      전체적인 시험 난이도는 전공자의 경우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 @user-ro6ub6es6l
    @user-ro6ub6es6l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6:23
    11:22
    15:15
    순환계 19:17 20:58
    23:05
    23:00
    30:33

  • @TV-zj6sb
    @TV-zj6sb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이 문제 어디에 있는거에요?책에도 기출에도 못찾겠어요ㅠ

    • @hungrysport
      @hungrysport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떤 문제 말씀이신지요?

  • @user-ty2tn5cy8g
    @user-ty2tn5cy8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전공자가 생리학 괜찮을까요?

    • @hungrysport
      @hungrysport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생리학 공부하다보면 재밌습니다 ^^
      실생활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