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최곱니다!! 시공 초간단!! 바닥 뜨끈뜨끈!!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6 ต.ค. 2022
  • ▶ 영상 속 업체 구매상담 정보
    ☎ 1666-1201 / 043-534-2932 (KOS 온돌이)
    ▶ [캠핑제국] 어플 바로 다운받기
    - 안드로이드 폰 (구글플레이)
    url.kr/nrwtmx
    - 아이폰 (앱스토어)
    url.kr/tfz4r5
    ▶ 원하는 제품, 바로 찾고 주문하기
    www.zaekook.com
    ▶유튜브촬영.비지니스 문의
    info@zaekook.com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21

  • @user-qy8yj1rr1g
    @user-qy8yj1rr1g ปีที่แล้ว +112

    좋은 기술입니다. (다만 진공청소기로 바닥의 흙먼지, 건축재 가루, 금속조각, 나사못 등의 쓰레기를 깨끗이 제거한 후 시공하면 좋겠네요. 폐에 나쁜 미세먼지와 건축재 가루는 바닥재로 덮어도 그 위를 걷거나 뛸 때마다 바닥재 틈 사이로 폴폴 올라 올 수 있고, 굴러다니는 금속조각과 나사못은 배관에 구멍을 낼 수도 있을 듯... )

    • @user-by3id2ex1u
      @user-by3id2ex1u ปีที่แล้ว +27

      영상으로 찍는데도 저렇게 한다는 것은 수십년간 쌓여진 습관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안타깝지만 대부분의 기술자들이 저런식으로
      눈에 안보이는 부분에는 신경쓰지 않겠죠.

    • @mm-nj8yj
      @mm-nj8yj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user-by3id2ex1u본인 집은 겁나 깨끗히 할걸요

    • @viksariviksari3742
      @viksariviksari3742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user-tm6ii8yv3e
    @user-tm6ii8yv3e ปีที่แล้ว +6

    온돌은 사랑입니다^^~

  • @ssss-ou4bn
    @ssss-ou4bn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7

    우와...이런 상품이 있을줄이야...우리아파트 넘 오래되서 바닥 공사하기 힘들어서 고민이였는데 이게 딱이네요..!! 가격도 저럼하고 감사합니다!!!

  • @user-mt8qn7bf8z
    @user-mt8qn7bf8z ปีที่แล้ว +5

    안주 멋집니다.⭐⭐⭐⭐⭐

  • @user-jp3ht5mu6s
    @user-jp3ht5mu6s ปีที่แล้ว +9

    진짜 공부가 되는것 같습니다.....약간 학생들 기술과목에 보여줘야 될거같은 느낌?

  • @annie-vl8wh
    @annie-vl8wh ปีที่แล้ว +32

    이거 이렇게 하면 안되는데... 6-7군데 정도 잘못되거나 문제점들이 보입니다.
    1외벽에서 파이프 이격이 하프 간격을 넘어서면 안됩니다 200.230.250 이 표준화가 된이유가 있습니다(논문참고,가장큰 문제점)
    2싱크대.붙박이가 들어오기 전에 하셔야 합니다 나중에 리모델링하면 한쪽벽 혹은 주방가운데가 냉골이 만들어집니다
    3xl파이프 이면 20미리 아닌가요?현재 가장 얇은건 15미리 pb.pert 인데 12미리? 처음 듣습니다
    4성능이 검증되지 않은것이 아니라 이미 모든 대기업들은 pb시공이 기본입니다 대기업이 바보들은 아닐것 입니다 펌프의 성능은 굵기가 아니라 파이프 길이에 따라 차이납니다
    5공급과 환수에 분배기 위치또한 맞추어야 합니다 막찔러 넣은신것이 아니길 바랍니다
    6화장실은 난방이 빠지는것일까요? 요즘 화장실 난방 기본인데 아쉽네요
    7사다리모양에서 달팽이 모양으로 바뀐이유가 다릅니다 달팽이 모양으로 바꾼 이유는 장점이 더많습니다 또한 xl파이프 또한 사다리 모양 시공이 가능합니다
    8몇가지 더있었는데 생략

  • @user-sq7bd7jr4x
    @user-sq7bd7jr4x ปีที่แล้ว +1

    캠핑제국 감사 합니다

  • @tv-zg7ls
    @tv-zg7ls ปีที่แล้ว

    대단하십니다.기름한도라무써요 연구개발 감사해요

  • @speedabs
    @speedabs ปีที่แล้ว +17

    저렴하고 간편하게 설치 할 수 있어 좋네요 ~~~

    • @user-ym1vs9cx3o
      @user-ym1vs9cx3o ปีที่แล้ว +7

      비싼데

    • @user-hf3ej6iu8f
      @user-hf3ej6iu8f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렴하지는 않을듯합니다
      시공이 간편할듯요

  • @sscissoring
    @sscissoring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장인어르신 사업 번창하시길 바랍니다

  • @seongwoolee9325
    @seongwoolee9325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캠핑제국 2억뷰 성공했네
    초심 잊지말고
    좋은영상부탁드립니다❤❤❤

  • @user-de8mt7nq9x
    @user-de8mt7nq9x ปีที่แล้ว +3

    좋은 정보입니다

  • @Dog-Pig
    @Dog-Pig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건식난방의 단점을 잘 잡은 제품이네요.

  • @bibibicc
    @bibibicc ปีที่แล้ว +16

    캠핑제국이지만 사실 농막제국임 ㅋㅋㅋㅋ 농막이랑 타이니/모듈러 하우스 정보들 너무 좋음

  • @user-co2gh7xv2s
    @user-co2gh7xv2s ปีที่แล้ว +2

    역시 댓글을 봐야해 숨은 고수들의 조언 감사하옵니다.

  • @user-kb3oi3tk1l
    @user-kb3oi3tk1l ปีที่แล้ว +6

    대단하네요^^

  • @hozl4476
    @hozl4476 ปีที่แล้ว +18

    엑셀이 오랜 시간이 지나면 굽쳐지는부분의 바깥부분이 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엑셀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죠. 이를 대비하려면 굴곡을 많이 주지않는 방향으로 시공해야합니다. 즉, 바깥에서부터 원을 그리면서 중앙을 향해 배관하다가 중앙에서 반대방향으로 이미 배치한 배관 사이로 배관하면 엑셀의 급격한 굴곡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배관을 길게하면 길게할수록 열 보존력이 높아집니다. 비열이 가장 높은물질인 물의 열용량을 이용하는 난방이므로 가능하면 물의 체류량을 많이할수록 난방에는 유리합니다. 즉, 배관을 길게할수록 유리하다는 말입니다.
    이같이 배관을 촘촘하게하면 알루미늄판은 의미가 없어집니다. 이를 참고해서 난방공사에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 @user-go8bw8bd3h
      @user-go8bw8bd3h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틀린말은 아니지만 그런방식이 영상에 나왔던 달팽이 모양인데 가장자리부터 데워지고 정작 사람있는 가운데 부분은 느리게 데워질수도 있다는 뜻이니 성질급한 한국인한테는 빨리데워지는게 장점인 이방식이 더 효율적이라 생각됨 알루미늄도 효과적인데 빠르게 데우는데

    • @user-mj9nw8tr7k
      @user-mj9nw8tr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배관길이가 길면 길수록 유리하다는 말은 문제가 있는듯합니다.
      첫째, 입출구 온도차가 많이 날거구요
      둘째, 배관 마찰손실로 인해서 온수 순환량이 적게 됩니다.
      그래서 비교적 짧게 시공된 방은 따뜻하고 길게 시공된 방은 추울 수 있습니다.
      물론 ZONE 별로 온도조절밸브 설치하면 상당히 보완될 수있지만요.

  • @shm7059
    @shm7059 ปีที่แล้ว +22

    나무가 단열재로 쓰이진 않지만 열을 많이 차단합니다. 그래서 바닥이 나무라면 보일러 열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해서 이상적인 재료는 아니네요..못으로 고정하고 단단하게 마무리해야해서 어쩔수없이 쓰는듯 하네요

    • @shm7059
      @shm7059 ปีที่แล้ว +4

      냄비받침으로 나무판 써보면 열 차단 효과 좋은걸 볼 수 있는데 같은 원리죠

    • @user-on4wc9mz7c
      @user-on4wc9mz7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그리고,열관류율에 대한 설명 중에
      목재와 시멘트의 열관류율이 비슷하다고
      거짓말을 거침없이 발표하다니,,,
      참 어이없는 의견을 공표하셨네요,
      정정하시기 바랍니다~~^^

    • @user-ph2sg6lg6c
      @user-ph2sg6lg6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강마루를 써보면 열차단은 별로 신경 안써도 될듯. 두께가 20cm정도되면 단열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통나무주택 단열효과 처럼.

    • @hgl2938
      @hgl2938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5

      @@user-ph2sg6lg6c 강마루 아래 알루미늄과 단열재 사이 사이에 수많은 틈이 있어서 실내 온도변화가 클 경우 자연히 물기가 생길거고
      한 1년 2년도 가기전에 수많은 곰팡이 피고 아래 내부 적으로는 썩어들어갈 것임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항상 건조시켜 주어서 마른 상태를 유지해야 되는데
      그게 유지될려면 애초에 따뜻한 상태가 영속적으로 지속되어야 하는데 그럼 1년 365일 춥든 덥든 여름 겨울 항상 보일러 켜두어야 하든지 해야 됨
      온도변화가 생기면 무조건 물기가 생기기 때문에 몰탈로 공구리 치는 이유가 여기에 있음 공구리는 모든 빈틈을 메우기 때문에 거기다 굳으면 돌이라 열전도 좋고

    • @user-mj9nw8tr7k
      @user-mj9nw8tr7k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즘 아파트나 단독주택 바닥재는 마루바닥이나 강화마루 등 나무재질을 주로 사용합니다.

  • @myoungaekwon8130
    @myoungaekwon8130 ปีที่แล้ว +1

    난방이 정말 잘되고 시공동 쉽겠네요 강마루를 친환경으로 하신다니 안심이네요

  • @twobyfourcokr
    @twobyfourcokr ปีที่แล้ว +2

    저 위에 합판 말고 몰탈 미장하면 최고일듯^^

  • @user-yc4rn7ow5t
    @user-yc4rn7ow5t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목재합판 마감은 아니지요.
    한지 창호지 목재입니다. 0.1미리 종이도 단열이 되는데 70미리 목재라면 그건 단열재이지요. 목재 단열성 매우 좋습니다.
    이방식은 문제가 있습니다. 마감재 대체하십시오.
    그리고 엑셀배관을 12미리 하셨는데 15미리로 하십시오. 15미리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12보다 15는 내용량이 거의 두배입니다.
    주택 아파트에 시공하는 경우
    현재 바닥에 덧씌우기를 한다면 실내 모든 문을 교체해야 합니다. 로라가 있는 발코니 거실, 주방 3연동문 등 미닫이문은 전부 새로해야 합니다.
    현관중문 방문 화장실문은 여닫이무턱문이 되겠지만 전체적으로 천장과 문틀 문 높이가 5센치쯤 낮아집니다. 붙박이장은 아예 새로해야하고 싱크대벽장 키큰장 높이 고려해야 하고 일부 선 장농도 문제가 됩니다.
    결론은 주택 아파트 바닥수리는 안됩니다. 굳이 할려면 집 몽땅 비우고 현재 바닥을5센치 이상 파야 합니다. 5센치면 이 패널이 단열을 감당하겠지만 어쨌든 기존 바닥단열재 다 날라갑니다.
    기존 기포보다 단열효과는 나아 보입니다. 또한 층간소음 발생도 좀 덜해질 같습니다.
    수리 리모델링은 아주 어렵고
    신축이나 컨테이너는 권장할만 합니다. 다만 마감재는 합판대신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대체하십시오. 합판시공을 한다면 나는 내집에 이거 안합니다.
    나는 건축감리입니다. 이 시공에서 합판마감 허락 안합니다.

  • @user-hf1hw7ig5l
    @user-hf1hw7ig5l ปีที่แล้ว +4

    일반 세멘트 속 배관 보일러와 비교한 비용이 궁금하네요

  • @user-ie6ef4ge1d
    @user-ie6ef4ge1d ปีที่แล้ว +9

    20:15 열전도율이 가장 좋은 금속은 금이 아닙니다. 은 구리 금 알루미늄 순입니다.

  • @wankim859
    @wankim859 ปีที่แล้ว +6

    절대적이란 없다.단 일반못은 역시 시간이 문제고요 그보다 조금더 나은것은 나사못이 조금 더 견고 하다라고 말할수 있겠네요.

  • @tr326able
    @tr326able ปีที่แล้ว +1

    실용적입니다

  • @potteryparadise381
    @potteryparadise381 ปีที่แล้ว +16

    마음에 듭니다, 미국에서도 구입할 수있으면 참 좋겠습니다.

    • @user-xc3ku5dm8c
      @user-xc3ku5dm8c ปีที่แล้ว

      호야 온돌 ㅡ 님께서 혼자도 시공가능

  • @user-xw6bk4en9e
    @user-xw6bk4en9e ปีที่แล้ว +11

    습식이 번거럽지만 축열효과가 있어 건식에 훨씬유리하죠. 건식보일러꺼면 금새식습니다

    • @user-zs9wm8hs3d
      @user-zs9wm8hs3d ปีที่แล้ว +1

      단열이 잘 된 집일 경우 습식은 보일러가 꺼져도 실내온도가 계속 상승하는 부작용이 있지 않을까요?

  • @ddoongnyang2
    @ddoongnyang2 ปีที่แล้ว +12

    뭐 조금 무거운거 떨구면 터지지않나요?

  • @user-ve1bd5qx1x
    @user-ve1bd5qx1x ปีที่แล้ว +6

    열전도율은 은 , 동, 금 순위로 좋습니다.

    • @user-nx5ky9wk4o
      @user-nx5ky9wk4o ปีที่แล้ว

      정확하게 말씀하셨네요!
      열전도율(㎉/℃)은 은>동>금 순위가 맞죠.

  • @bookjhm
    @bookjhm ปีที่แล้ว +1

    재건축할집은 임시용으론 괜찮을듯

  • @vxdf62
    @vxdf62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기존 방바닥에 배관을 다시 설치 하면 방바닥이 높아질때 방의 문은 어떻게 맞추시는지요??

  • @swj6789
    @swj678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건식 난방이 이곳이 좋겠네요. 다른 곳도 건식난방을 하는데, 플라스틱 냄새가 난다고 하는데, 이곳은 그런 염려를 할 필요가 없을 것 같네요.

  • @user-ir7ee1ov9t
    @user-ir7ee1ov9t ปีที่แล้ว +9

    건식방식 수십가지 나왔지만 엑셀파이프 깔고 공구리치는 습식보다 나은 방식은 아직없습니다
    견고성 바닥온기보온성 습식이 최고입니다

  • @user-uw8em2qs3q
    @user-uw8em2qs3q ปีที่แล้ว +6

    잘보았습니다
    이유튜브를 시청할 정도의 사람들은 걱정없어요
    2천만원 겨울철 연탄 불우이웃돕기 40집에 하세요

  • @YEONG_87
    @YEONG_87 ปีที่แล้ว

    총 잘못박으면 다시 액셀깔아야할듯 ㅋㅋ 타카총 천천히쏘세요. 실수하면 난감...

  • @haesookjang8935
    @haesookjang8935 ปีที่แล้ว

    보일러는 꼭 있어야되겠군요.
    전기판넬시공비와 가격차이는 얼마나될까요?
    장단점은요?

  • @user-qj4wt3sv4p
    @user-qj4wt3sv4p ปีที่แล้ว +4

    컨테이너에도 가능할까요?
    보일러 설치도 문제가 있을듯 합니다

  • @user-gy6zx5bv2n
    @user-gy6zx5bv2n ปีที่แล้ว

    재시공할때 이걸로 다시깔면되겠내요 구지
    다시다까고하는 시공비면 이게더좋내요

  • @ttbcnews7860
    @ttbcnews7860 ปีที่แล้ว +16

    목재의 경우 습도에 약점을 가지고 있고 강마루던 어떤식의 목재의 경우라도 물이 접촉되는 부분에 곰팡이로인해 썩는 경우가 발생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 습도가 높은 편에 속하고 결로 등으로 인해 설치된 합판이나 마감재 마루가 썩는 문제가 발생 하지는 않는지? 인조목이라면 모를까 시중에 시공재로 사용되는 합판이나 마루는 욕실앞이나 주방쪽에서 물로인해 검게 변하면서 부분적으로 썩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장판 마감의 경우 습기가 더 많이 차는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 부분에서 현재까지 문제가 발생 한적은 없는지 궁굼하내요.

  • @haesookjang8935
    @haesookjang8935 ปีที่แล้ว +2

    대단히 좋은 아이디어이군요.
    오래된집 방바닥위에 설치한다면
    두께가 얼마나되나요? 즉 방바닥높이가 얼마나 더 올라가게되는지요?

  • @user-en2zq2ov5v
    @user-en2zq2ov5v ปีที่แล้ว +2

    합판 포름알데이드 냄새 올라옵니다.

  • @user-or2ub1kx9u
    @user-or2ub1kx9u ปีที่แล้ว +16

    보일러끄면 바닥 온도 유지시간은요? 건식난방의 최고단점은 꿀렁거림및 바닥온도(실내온도아님)유지시간인데 궁금합니다

  • @juh0987
    @juh0987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3

    일반 아파트에도 시공이 가능한건가요?

  • @user-er9eh2yo8r
    @user-er9eh2yo8r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바닥을 쓰다보면 신축성 때문에 못이 바닥 위로 으로 올라올꺼 같은데요 좀더 보완을 해야 할듯합니다.

  • @user-lz8di5we7e
    @user-lz8di5we7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가정용 전기누진세는 괜찮을까요?

  • @user-mz3gh5ot9h
    @user-mz3gh5ot9h ปีที่แล้ว +1

    돌이 아니라 에너지열손실이 문제지만, 방 하나정도? 임대주택에는 괜찮을 듯.

  • @kyoungbae
    @kyoungbae ปีที่แล้ว +6

    아이고~ 대표님~ ㅎㅎ
    시공 전.후의 바닥 높이 차이는 얼마인지요??

  • @Sabal80
    @Sabal80 ปีที่แล้ว +8

    마루시공 후 하자 보수와 냉장고같은 무거운것에 바닥 변형이 궁금하네요.

    • @geenajo6343
      @geenajo6343 ปีที่แล้ว +2

      맞아요,
      돌침대 냉장고 장농 등등...눌림현상 있을수 있겠는데요,

    • @user-xg7oz5xc5n
      @user-xg7oz5xc5n ปีที่แล้ว +1

      변형은 무조건 생긴다고 봐야죠.

  • @geenajo6343
    @geenajo6343 ปีที่แล้ว +3

    전기보일러인가요?
    가스보일러인가요?

  • @user-qh4rn1qv8v
    @user-qh4rn1qv8v ปีที่แล้ว +1

    35여전에 전기 보일러 설치해서 사용한 기억이
    나네요.

  • @user-sz2jj9es5s
    @user-sz2jj9es5s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꿀렁구림은 방바닥이 고르지 못하니 생기는데 이 문제를 해결해야 설치를 할수있겠다.잠잘때 소리나면 많이 불편할듯

  • @user-lf7zl7ze3z
    @user-lf7zl7ze3z ปีที่แล้ว +4

    아이구,,대표님 괜히 30년동안 콘크리트 미장을 왜 하겠습니까

  • @user-gd5ok5hw7p
    @user-gd5ok5hw7p ปีที่แล้ว +3

    베니다 판 대신 알미늄 판 깔면 최고일듯합니다

  • @darkmonspusan
    @darkmonspusan ปีที่แล้ว +1

    건식과 습식은 에너지 총량은 같지만 축열만 차이 나는거 같습니다. 똑같은 가스로 물 덥히는 총에너지는 같지만 필요할때 금방 데우고 금방 식히는건 건식이 유리하지만 온도 관리는 습식이 유리해 보이네요. 벽의 열차단이 100%라면 건식이든 습식이든 방안의 열에너지 총량은 같아서 효율은 동일하다 생각됩니다.

    • @user-on4wc9mz7c
      @user-on4wc9mz7c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열역학 중 에너지 보존의 법칙을 훌륭하게 설명하셨군요~~^^

  • @user-xr6sl4df2f
    @user-xr6sl4df2f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합판깔면 발암물질 올라오지 않을까요?

  • @2jinu558
    @2jinu558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석의 단차는 어떻게 하나요?

  • @jhb498
    @jhb4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합판보다crc보드가 낫지않을까?

  • @zartman7512
    @zartman7512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차라리 목재 말고 비용을 더 들여서 두꺼운 금속판 같은것으로 마감하고 장판깔면 좋을듯 하네요. 제가 고객이라면 그런 옵션 있으면 고를것 같습니다.

  • @user-es3vk5js9x
    @user-es3vk5js9x ปีที่แล้ว +3

    호스는 가늘다 굵다로
    히팅패널은 얇다, 두껍다로 말해야지...
    호스를 얇다고 하면 듣는 사람들이 혼동해요.

  • @jaehokim8113
    @jaehokim8113 ปีที่แล้ว

    미국에서 시공이 가능 할까요? 애틀란타 입니다.

  • @dwk9653
    @dwk9653 ปีที่แล้ว +3

    30평 시공비용 ?

  • @user-gf8uf8ij8i
    @user-gf8uf8ij8i ปีที่แล้ว +15

    시공하는 내용은 잘 봤는데요 궁금한게 일반 다른 보일러 사용내용과 가격 비교에 관하여는 다른 설명이 없네요 소비자가 바꿀시에 난방비용도 중요할듯싶네요

    • @jindodogtan
      @jindodogtan ปีที่แล้ว +1

      바닥 단열 했다고 가정시 난방비용의 차이는 크게 없을 것 같네요. 다만 습식에 비해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하니 설치하는 것 같네요

  • @user-ye8no6od2t
    @user-ye8no6od2t ปีที่แล้ว +1

    습식보다 사용비용이 더비싸다고하던데요

  • @seonkyukim5935
    @seonkyukim593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 @user-qx8rz4mt6z
    @user-qx8rz4mt6z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물로 하면 가스비는절약 돼겐넻요

  • @user-ld3oz5ib3c
    @user-ld3oz5ib3c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수도온수배관누수시
    보수할수있나요

  • @user-de2fx9xx8f
    @user-de2fx9xx8f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도시까스💢설치되 있는건💤그냥 놔두고 설치하나요.?

  • @time0529
    @time052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맨위에 자세한 설명 고정 부탁드려요.
    설치방법, 평단가, 어떤곳에 설치가는한지 , 연락처 etc....

  • @user-ub1nd7ky5l
    @user-ub1nd7ky5l ปีที่แล้ว +6

    비용이 습식보다 비싼듯합니다..

  • @shanghyuncalligraphy
    @shanghyuncalligraphy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요금은 어느정도일까요

  • @user-dl1lc4mp6z
    @user-dl1lc4mp6z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엑셀파이프 합판 습기도 문제고 노출된 파이프가 내수성 이 있을지 ..

  • @user-my1er4kq2c
    @user-my1er4kq2c ปีที่แล้ว +16

    돌아나오게 설치를 안하면 온수 인입구와 출구간에 온도차이가 날텐데요...

    • @user-pr8qc7gk8u
      @user-pr8qc7gk8u ปีที่แล้ว

      영상에서 돌아나오는데요?

    • @happydish1975
      @happydish1975 ปีที่แล้ว

      돌아나오는 순환방식이네요 ㅎㅎㅎㅎ 잘보고 댓글 다셔요

    • @jhb498
      @jhb4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그런식으로 돌아나오는 방법이 아니라 한칸 걸러서 돌아나오는 방식을 말하는것 같네요.

  • @sekoland
    @sekoland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골드폼+알루미늄판+탄소발열판+장판

  • @user-ct5fu5fr6j
    @user-ct5fu5fr6j ปีที่แล้ว +2

    두루두루 눈팅한 경험을 말합니다
    *시공법
    1.바닥청소
    2.바닥 보온재 깐다 (고밀도압착보온재)
    3.알미늄판 깐다 (호스부착형)
    4.황토판 깐다 (황토압착건조)
    5.황토바닥지 깐다 (친환경)
    *보일러
    1.귀뚜라미 전기보일러
    (내구성및 신뢰도확보)
    *호스규격
    1.15m을 사용한다
    *장점
    1.시공간단
    2.시간절약
    3.비용은 글쎄요
    (상기대로 시공하면 습식이나 비슷)
    *단점
    1.부엌,화장실 온수는 ??
    (건식은 방전용이어서 기타온수는?)
    *용도
    1.농막,농가주택(헌집) 개보수때로 한정
    *의견
    1.습식과 건식의 장단점이 존재하기에
    선정의 어려움이 있고
    2.건식공사시 꿀렁거림,내려않는것 등
    감안한다면 습식 공사비용에 근접하여
    3.건식 자재비용 가격인하가 많이 되어야
    가성비있음

  • @user-bq7jp3lq5e
    @user-bq7jp3lq5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원주모둘러주택어디.있는거지요건식나방학원은없나요

  • @user-db5bf1rz8v
    @user-db5bf1rz8v ปีที่แล้ว +6

    냉장고 올리면 다 주저 앉을듯.

  • @jy8875
    @jy8875 ปีที่แล้ว

    액샐에. 콘크리트. 타설이
    완벽. 하답니다

  • @user-kt8yg5iu2n
    @user-kt8yg5iu2n ปีที่แล้ว +1

    전기세만이안나오나요....

  • @8hoony8
    @8hoony8 ปีที่แล้ว +1

    합판 위에 강화마루 깔다가 온수파이프 빵꾸나면? ㅋㅋㅋ

    • @user-ml3jd2vb4q
      @user-ml3jd2vb4q ปีที่แล้ว

      사람들이 님처럼 멍청하게 작업하지는 않을듯...

  • @user-sr9lh1sh3g
    @user-sr9lh1sh3g ปีที่แล้ว +2

    일반인이 저걸사서 시공한다는거 자체가 무리 인듯 합니다..배관연결 그리고 마감등등

  • @user-nh5rt6wm8v
    @user-nh5rt6wm8v ปีที่แล้ว +2

    주소 알려주시면 방문 구경가겠습니다 저희도 하고싶어요 ^^

  • @user-hm8ib6wv4l
    @user-hm8ib6wv4l ปีที่แล้ว +3

    ㅎㅎㅎㅎ 저것시공후 1년안에후회할것임

  • @user-nx5nl3mf7b
    @user-nx5nl3mf7b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제가 있으니 사람들이 안쓴것이겠죠

  • @user-ji4kq5yi5i
    @user-ji4kq5yi5i ปีที่แล้ว +1

    정작 온수온도와 전기,유류비용으로 20평기준 한달 비용 등이 궁금한데...

  • @uplodeman
    @uplodeman ปีที่แล้ว +2

    건식온수난방은 쓰고싶은 사람은 쓰세요. 전 안씁니다. 장점이 분명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말해줘봐야 하실분은 하시겠죠.

  • @user-fd1eh2bj8s
    @user-fd1eh2bj8s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비용 은 어떻게 되나요

  • @jhb498
    @jhb4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타카도 못과똑같이 오래사용하다 바닥주변이가라앉으면 타카핀이 위로 튀어올라올텐데

  • @user-bk3qg3vy2o
    @user-bk3qg3vy2o ปีที่แล้ว +1

    선생님의 이 건식 보일러를 시공하려면 평당 비용은 얼마가 들어 가는지요?

    • @user-jk2op3hm7z
      @user-jk2op3hm7z ปีที่แล้ว +2

      평당 20 ..한 열번은 얘기한거 같은데요..

    •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 ปีที่แล้ว

      평당20만원이라네요.

  • @user-qqqwwweeerrrdddfff
    @user-qqqwwweeerrrdddfff ปีที่แล้ว +12

    바닥 내구성은 괜찮나요?? 무거운 냉장고나 침대같은거 견딜수있나요?

    • @bibibicc
      @bibibicc ปีที่แล้ว +5

      저도 솔직히 이게 제일 궁금 ㅋㅋㅋ 꿀렁거림은 잡을 수 있지만, 무거운거 오래 놔두면 좀 패일 것 같은 느낌.

    • @user-jv2bw1ue1k
      @user-jv2bw1ue1k ปีที่แล้ว +1

      @@bibibicc 7mm합판이 생각 외로 강합니다.

    • @bibibicc
      @bibibicc ปีที่แล้ว +1

      @@user-jv2bw1ue1k 네 튼튼한건 알고있습니다. 근데 그게 통짜가 아니라 여러개 조각조각 까는 느낌이라, 오래두면 자국나듯이 가라앉을까봐요. 방통도 그게 제일 중요해서 양생 민감하게 시키다보니 궁금허긴 합니다.

    • @user-vz9xe3fu3u
      @user-vz9xe3fu3u ปีที่แล้ว

      공구리가짱임. 소리 진동 균열

  • @user-ji4ls3xz2s
    @user-ji4ls3xz2s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좋은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만 몇가지 개선점도 보이네요.
    너무 "건식"이란 방식에 몰입되어 계신건 아닌지. .
    폼도 시간이 지나면 눌리키죠.
    그럼 유격이 생기고 꿀렁거리겠죠.
    또 강마루를 고정하느라 박는 피스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할듯 하고요.
    나무재질은 열전도율이 낮은 자재인데 강마루에 장판이나 마루를 시공하면 열전도율이 극히 떨어질듯 하네요.
    차라리 엑셀 위를 시멘트 몰탈로 시공하면 피스를 통한 열손실도 줄이고 나무보다는 열전도율이 많이 올라가겠죠.
    또 한번 달궈진 바닥이 열도 오래 보존하고요.
    그리고 자재값이 평당135.000원인데 시공비 포함 20만원이면 인건비로 평당 65.000원이라는 소린데 영상에 나온집 작업평수가 20평은 되어 보이는데 시공비만 130만원이란 소리네요.
    20평 정도는 2사람이 하루 정도면 시공할듯한데 인건비가 130이면 좀. .
    개인적 생각입니다.

  • @kummanbok
    @kummanbok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흠 습식대비 뭐가 더 좋은지 잘모르겠네

  • @user-so3wc8tr8o
    @user-so3wc8tr8o ปีที่แล้ว +1

    일반 침대 메트리스 위에도 설치하여 사용을 가능한가요?

    • @shm7059
      @shm7059 ปีที่แล้ว +1

      침대위는 장판 안들어간 온수카페트 쓰시면 되는데요...저도 그렇게 쓰고있고...

    • @user-so3wc8tr8o
      @user-so3wc8tr8o ปีที่แล้ว +1

      @@shm7059 지금 탄소섬유메트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는데요 제가 원래 딱딱한 바닥이 좋고 이번 제품은 열효율이 탄소메트보다는 더 좋은것 같아서 그래요 일반 침대 메트리스 위에다가 설치를 해도 문제가 없다면 당분간만 그렇게 사용하다가 나중에 프레임을 만들든 사든 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좀더 확장을 해서요...그래서 우선 일반 침대 메트리스 위에다가 설치를 해서 사용을 해도 문제가 없는것인지 궁금해서 문의를 드렸습니다 ^^

    • @shm7059
      @shm7059 ปีที่แล้ว +1

      @@user-so3wc8tr8o 온수매트용 소형 보일러와 온수매트의 배관을 가지고 본문 영상처럼 시공하는 제품이 있어요. 돌침대 등 딱딱한 바닥의 작은 면적에 시공하는건데요,
      이런 형식이든 본문 영상 제품이든 침대매트처럼 움직이는 바닥에는 시공하면 안됩니다

    • @jhb498
      @jhb4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방식을 침대에 설치해도되냐는 질문은 뭐지?

  • @user-uc8zd7fv6p
    @user-uc8zd7fv6p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무거운 냉장고 자리가 점점 내려앉음 등등 내려앉음

  • @jongyoonoh6721
    @jongyoonoh6721 ปีที่แล้ว +6

    죄송하지만 모든 목재는 숨구멍이 있지요. 단지 단단한 나무는 숨구멍이 작거나 숫자가 적은 것이겠지요.
    단풍나무는 숨구멍이 아주 작아서 스테인을 거의 안 먹지만 나왕(마호가니)은 숨구멍이 많고 커서 스테인을 잘 먹지요. (여기서는 닦아내는 스테인)

    • @leejanghyun
      @leejanghyun ปีที่แล้ว +1

      그렇다고 하더라도 단열재만큼 열 전도율이 낮지는 않아요.
      제 생각에 저기서 없다는 말은 단열 할만큼 공기층을 가지지 못한다는 말이겠지요.

  • @user-oi2un3fu9p
    @user-oi2un3fu9p ปีที่แล้ว +1

    콘크리트보다 10배나 좋은 단열재가 합판이고요... 합판보다 4배나 좋은 단열재가 스티로폼입니다.. 열관류율이 찾아보세요........다른회사에서 단단함과 꿀렁거림최소화, 최상의 열전도성 을 확보하고저 상판을 연구하고 만들어 내는데는 이유가 있습니다...합판을 상판으로는 아닌거 같습니다..

    • @user-hm7px7ns5e
      @user-hm7px7ns5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열료비가궁금하네요 까스로하는건지 전기로하는건지요

  • @user-yw8ns2ww2u
    @user-yw8ns2ww2u ปีที่แล้ว

    문재는 기존주택의 문과방턱이 얼마안되는데 저걸깔면 높아저 문이 안열릴가능성이 있는데 그문재는 어떻게해결하나요.

    • @soksong4726
      @soksong472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은 밑부분 자릅니다

    • @sunyj4119
      @sunyj411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문을 자른다...방법은 그것외는 없는데, 가뜩이나 낮은 천장의 아파트가 더 답답해지것네요..
      최소 50mm이상은 올라올거 같은데... 신축 할때 반영하는 방법이 최선인듯....

  • @user-ld3ts3qz6f
    @user-ld3ts3qz6f ปีที่แล้ว

    시공하고 싶어요
    3×6 콘테이너 이구요
    겨울에 보일러 물 냉각되는거 해결은 어찌하나요?
    겨울에는 어쩌다 한벅씩가는데요

    • @soksong4726
      @soksong472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전기온돌이 훨 좋아요 작은 평수는

    • @user-zu8wp2vk5e
      @user-zu8wp2vk5e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겨울에 어쩌다 한번씩 가시면 동파 됩니다 그냥 전기온돌 하세요

  • @user-xe4gi8xs9v
    @user-xe4gi8xs9v ปีที่แล้ว +7

    바닥이 높아지면 문이 걸리는 데 어떻게 하는 지요?

    • @soficeo
      @soficeo ปีที่แล้ว +2

      높이만큼 문은 잘라냅니다. 이거 뿐아니라 다른곳도 그리 시공한다고 봤습니다. 문턱 있는 집은 문턱 부시고 시멘처리하고 잘라내더라구요

    • @jindodogtan
      @jindodogtan ปีที่แล้ว +1

      일반 방통보다 얇은 거 같아요

  • @jindodogtan
    @jindodogtan ปีที่แล้ว +7

    가온파에서 나온 건식 방식이 좀 더 나아보이네요

    • @user-d4g6a5s
      @user-d4g6a5s ปีที่แล้ว +1

      도긴개긴 같습니다 알루미늄 두께도다르고

  • @cordisdie6210
    @cordisdie6210 ปีที่แล้ว +3

    이거는 좀 깔기 그런데요? 피스로 저리 박아버리면 나중에 빼낼려고하면 엄청나게 힘들겠네요. 차라리 전에 올렸던 호야온돌인가 그게 훨 나아보이는데

    • @happydish1975
      @happydish1975 ปีที่แล้ว +3

      반영구적으로쓰려고 박는건데 뺄걱정하시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억까 아닙니까 ㅎㅎ
      그럼 몰탈로 작업하는데는 함마드릴로 바닥 까야되는데 뇌는 어디에 두고 아니시는겁니까? ㅋㅋㅋㅋㅋㅋㅋㅋ

    • @jhb498
      @jhb49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테크에 피스나 못박아도 나중에 튀어올라오는데 바닥이 압축보온재인데 오래사용하다보면 타카핀 올라오겠네요.

    • @soksong4726
      @soksong472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요즘 조립식 마루 사용하면 못이 필요없음

    • @cordisdie6210
      @cordisdie621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oksong4726 긍게 그게 호야온돌 아니냐 도돌이표 찍니?

    • @soksong4726
      @soksong4726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ordisdie6210 미국 사는 내가 그걸 어찌 아냐 이놈아 내가 필림사서 내집에 직점 깐 경험을 적은거다 이 무식한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