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업 건축 인테리어CG 일을 하고있습니다. 분야별 주사용 프로그램은 대충 이렇습니다. 1. 라이노 -> 제품 모델링 등에 주로 사용 / 제품제작 설계 및 금형 등등에 유틸성이 좋아서 많이 사용합니다. 2. 스케치업 -> 건축 인테리어 설계시 간편하게 공간감이나 디자인 확인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랜더링도 플러그인을 통해 (VRAY 같은..) 지원됩니다 말그대로 간단하게 보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고퀄리티의 작업을 원한다면 스업으로는 한계점이 나타납니다. 스케치업 파일 작업된것 수없이 받아보았지만 진짜 깔끔하게 작업하는 사람 10년동안 단 한명도 보지 못했습니다. 작업물을 타인과 공유해야하는 경우 단점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프로그램 이라고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남이 작업한 스업파일 받아서 작업할때 개 짜증납니다. 그냥 도면을 달라고... 3. 3D MAX -> 종합 툴 (건축 인테리어 게임케릭터 배경 동영상 VR 이펙트 등등 활용분야 다수 ) 습득 난이도 상 맥스는 기본적으로 랜더링 툴이라고 보심됩니다. 설계툴처럼 수치화된 모델링이 가능하긴 하지만 정확하진 않아요. 계속 확대하면 어긋남이 보입니다. 제도나 설계 조형 금형쪽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디자인 실사 랜더링 게임 건축 인테리어 에니메이션 VR 영상 CG 게임 등등 미친 활용도와 확장성을 보여줍니다. 다양한 플러그인과 랜더러 툴이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머리가 터질꺼 같이 어려울수 있긴하지만 익혀내기만 한다면 거의 만능 공구 같은 프로그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스케치업의 가장 큰 장점은 빨리 배워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라고 생각합니다. 확장성과 호환성도 좋지만 원하는 정도에 따라 적게는 3시간 길어봤자 3일 배우면 끝나는 프로그램이라 3d 프로그램 입문에 굉장히 좋다. 단점은 배움의 금방 끝나지만 정말 잘 쓰기 위해선 끝이 없는 노력을 요구한다. 입니다. 우주에서 두번째로 스케치업을 잘하는 사람으로서 말씀드립니다. ㅎㅎㅎ
20여년 맥스만 다루다가 그래스호퍼를 우연히 보고 너무 매력적으로 느껴져서 몇일전부터 라이노 끄적거리고 있습니다. 아직 명령어가 익숙치 않아서 맥스로 하루면 만드는 거 3일 내내 만들고 있네요 ㅎㅎ;;;; 맥스도 물론 모델링이 매우 편리하고 강력한 플러그인인 포레스트와 레일클론이 있기는 하지만 맥스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는 좋은 툴 같습니다.
그런데 라이노랑 스케치업은 결이 너무 다른것들이긴함 설탕과 소금의 비유는 좀 안맞고..양식이냐 한식이냐 정도의 차이라고 보면 될듯함. 툴선택의 가장 중요한점은 가고자 하는 업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툴쓰는게 좋음. 라이노가 아무리 좋고 스케치업이 아무리 좋아도 가고자 하는 업계 회사가 안쓰면 다시 배워야하는것임.. 저 둘의 문제점은 뭐하나 한다고 다른거 배우는데 수월해지기 힘들다는 점임...개인적으로는 둘다 할거라면 라이노먼저 익히고 스캐치업 하는게 좋지않나 싶음. 이유는 매도 먼저 맞는게 좋다고...그나마 직관적인 폴리곤보다 넙스를 하는게...ㅋㅋ
@@김나은-o8i 내장제들도 같이 디자인할거 아니면 라이노의 활용도는 떨어지지 않을까요? 한참전에 잠깐해봤지만 지금이라고 달라질게 없다고 생각되긴합니다만....그런데 요즘 인테리어 업체들 스케치업이 대세인가요? 전 맥스로 작업하긴 했는데 스케치업이나 맥스나 매한가지인 폴리곤기반입니다. 폴리곤기반의 업계에서 많이 하는 툴하시길 바랍니다. 근데 솔직히..맥스 하면 끝이긴 할겁니다.
▼건축 라이노 올인원 강의▼
pacer.kr/product/1008/
두개다 모두 좋은 프로그램이죠~ 채널 언급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리고
페이서에서 좋은 강의와 유튜브에서 좋은 강의로 보답하겠습니다~
두 가지 툴 비유하는 방법이 너무 재밌게 설명하셔서 건축학도분들에게 무료 강연할 때 저희도 저런식의 재미난 비유들도 구상해봐야 겠네요! 영상 항상 잘 보고 갑니다~
우선순위: 라이노 >>>>>>>>>>>>>>>>>>>>>>>>>>>>>>>>>>>>>>>>>>>>>>>>>>>>>>>>>>>> 스케치업 (라고 조심스레 추가 의견 덧붙이구 갑니다 ㅎㅎ 흥해라 디지트 티비~)
우리나라 건축사사무소에서는 거의 대부분 스케치업만 사용하는 것 같던데 아닌가요??
@@graduateplz 배우고 싶은것부터 배우면 됩니다, 두 프로그램모두 훌륭한 툴이지만
건축,공학, 3d프린팅을 하는 저로써는 라이노를 추천드리고 싶네요
저도 둘다 사용하고 있지만 어지간하면 모델링은 다 라이노로 합니다 영상에도 언급하셨지만 기본적인 건축 박스 솔리드 모델링도 라이노가 훨씬 편하고 빠르죠 면과 포인트를 이용해서 박스를 이리저리 변형시키는게 라이노는 안되는줄 아는 사람들이 많더라고요 다 되는데 말이죠
현업 건축 인테리어CG 일을 하고있습니다. 분야별 주사용 프로그램은 대충 이렇습니다.
1. 라이노 -> 제품 모델링 등에 주로 사용 / 제품제작 설계 및 금형 등등에 유틸성이 좋아서 많이 사용합니다.
2. 스케치업 -> 건축 인테리어 설계시 간편하게 공간감이나 디자인 확인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랜더링도 플러그인을 통해 (VRAY 같은..) 지원됩니다
말그대로 간단하게 보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고퀄리티의 작업을 원한다면 스업으로는 한계점이 나타납니다.
스케치업 파일 작업된것 수없이 받아보았지만
진짜 깔끔하게 작업하는 사람 10년동안 단 한명도 보지 못했습니다. 작업물을 타인과 공유해야하는 경우
단점이 극명하게 나타나는 프로그램 이라고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남이 작업한 스업파일 받아서 작업할때 개 짜증납니다.
그냥 도면을 달라고...
3. 3D MAX -> 종합 툴 (건축 인테리어 게임케릭터 배경 동영상 VR 이펙트 등등 활용분야 다수 ) 습득 난이도 상
맥스는 기본적으로 랜더링 툴이라고 보심됩니다. 설계툴처럼 수치화된 모델링이 가능하긴 하지만 정확하진 않아요. 계속 확대하면 어긋남이 보입니다. 제도나 설계 조형 금형쪽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디자인 실사 랜더링 게임 건축 인테리어 에니메이션 VR 영상 CG 게임 등등
미친 활용도와 확장성을 보여줍니다. 다양한 플러그인과 랜더러 툴이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머리가 터질꺼 같이 어려울수 있긴하지만
익혀내기만 한다면 거의 만능 공구 같은 프로그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맥스는 렌더툴 ㅋㅋㅋ 인정합니다 ㅋㅋㅋㅋㅋㅋ
블렌더는어떤가요?
스케치업의 가장 큰 장점은 빨리 배워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라고 생각합니다. 확장성과 호환성도 좋지만 원하는 정도에 따라 적게는 3시간 길어봤자 3일 배우면 끝나는 프로그램이라 3d 프로그램 입문에 굉장히 좋다. 단점은 배움의 금방 끝나지만 정말 잘 쓰기 위해선 끝이 없는 노력을 요구한다. 입니다. 우주에서 두번째로 스케치업을 잘하는 사람으로서 말씀드립니다. ㅎㅎㅎ
스케치업 독학으로도 공부가능할까요??
첫 번째는 누군가요 ㅋㅋㅋㅋ
Jot센jing 망상
@@detailvaluegiveyou7623 접니다
20여년 맥스만 다루다가 그래스호퍼를 우연히 보고 너무 매력적으로 느껴져서 몇일전부터 라이노 끄적거리고 있습니다.
아직 명령어가 익숙치 않아서 맥스로 하루면 만드는 거 3일 내내 만들고 있네요 ㅎㅎ;;;;
맥스도 물론 모델링이 매우 편리하고 강력한 플러그인인 포레스트와 레일클론이 있기는 하지만 맥스와는 또 다른 매력이 있는 좋은 툴 같습니다.
@@zinuszinus2555 제가 하는 일의 최종 결과물이 도서(보고서 등)라서 그래스 호퍼를 통한 파사드 디자인, 삽도표현을 위한 Gis 및 일러스트와의 연계성 등 충분히 매력적인 툴 같습니다.(물론 맥스로도 안되는 것은 없습니다만...)
@@zinuszinus2555 당연하죠! 맥스는 도면화하기도 어렵고 정밀한 치수를 기반으로 모델링하기 어려운데 라이노는 둘다 가능해서 맥스 유저들이 서브툴로 많이 사용합니다!
라이노랑 스케치업 진짜 말씀하신대로 둘다 훌륭한 툴인건 맞지만.. 라이노 원툴로 4년을 사니 스케치업은 좀..그렇더라고요
3D모델링,렌더링에 3D프린팅, 건축까지 배우고있지만 라이노만큼 손에 잘맞는건 없었죠
사람마다 다르겟다지만 저에게 라이노는 최고였고 앞으로도 그럴것같네요
@- Oooiuuyy. 충분하다고 생각해요
모델링 직접해보면서 하면 금방 늘어요
@- Oooiuuyy. 어우 충분히 가능하십니다, 저는 라이노를 고딩때부터 했었거든요 물론그때는 물어볼사람이 있었지만, 배우고자 하는 의지만 강하시다면 충분히 가능하십니다! 재미들리면 더더욱 좋지요!
인테리어쪽은 무조건 스케치업!!
케드 호환과 벽체 모델링이 편함
근데 스케치업 단점은 모델링이 거지같음...
예로 샤워기 수도꼭지등 모델링 다운 안하고 할경우
방식도 그렇고 루비도 그렇고
맥스나 라이노가 모델링 하기는 더 쉬움
우리한텐 3d웨어하우스가있잖아요
@@뭐그래서-j8x ㅋㅋㅋ그렇긴 하네요
원하는 디자인 없을땐 모델링 하는게 정말 스트레스...
라이노 화이팅!
정답 : 팀원들이 사용하는 툴에 맞춰서 쓴다
렌더링 프로그램들도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영상이 명쾌하고 좋아요ㅠㅠ
준비하겠습니다 ㅎ.,ㅎ
뭘써야 할지 모르시겟다면 vray, 코로나 렌더 , 쓰시면될거같아요! 둘다 훌륭한 프로그램입니다
조경설계는 라이노랑 스케치업중 뭘 사용해야하나요?
제품 3d 모델링을 하려면 어떤 툴이 가장 많이 쓰이고 우위에 있을까요?
그런데 라이노랑 스케치업은 결이 너무 다른것들이긴함 설탕과 소금의 비유는 좀 안맞고..양식이냐 한식이냐 정도의 차이라고 보면 될듯함. 툴선택의 가장 중요한점은 가고자 하는 업계에서 가장 많이 쓰는 툴쓰는게 좋음. 라이노가 아무리 좋고 스케치업이 아무리 좋아도 가고자 하는 업계 회사가 안쓰면 다시 배워야하는것임.. 저 둘의 문제점은 뭐하나 한다고 다른거 배우는데 수월해지기 힘들다는 점임...개인적으로는 둘다 할거라면 라이노먼저 익히고 스캐치업 하는게 좋지않나 싶음. 이유는 매도 먼저 맞는게 좋다고...그나마 직관적인 폴리곤보다 넙스를 하는게...ㅋㅋ
실내건축학과에서 쓰려면 스케치업이랑 라이노중 어떤걸 추천하시나요?
@@김나은-o8i 내장제들도 같이 디자인할거 아니면 라이노의 활용도는 떨어지지 않을까요? 한참전에 잠깐해봤지만 지금이라고 달라질게 없다고 생각되긴합니다만....그런데 요즘 인테리어 업체들 스케치업이 대세인가요? 전 맥스로 작업하긴 했는데 스케치업이나 맥스나 매한가지인 폴리곤기반입니다. 폴리곤기반의 업계에서 많이 하는 툴하시길 바랍니다. 근데 솔직히..맥스 하면 끝이긴 할겁니다.
@@chkang5038 답변 감사합니다~~
라이노 한표요
맥스는 지금 메리트가 없나요??
3d는 맥스가 최강이죠. 저는 맥스를 메인으로 스케치업을 보조로 쓰고 있습니다.
@@Jack-jb3tc 요즘 스케치업을 많이 쓴다고 해서요 둘다 베우고 있는 입장인게 배우면 배울수로 멕스가 더 디테일하고 좋은거 같은데 많이 안쓴다고해서 걱정이네요
잘쓰면 맥스보다 퀄리티가 잘뽀뵈는 툴은없지만 맥스기 툴자체가 너무 디테일하고 너무 세분화되있어서 잘하기가 어렵다는점;
@@뭐그래서-j8x 맞아요 지금 둘다 배우는중인데 스케치업이랑 맥스랑 난이도 하늘과 땅파이 같아요
라이노 그래픽 카드 많이 필요하나요?
노트북 내장 그래픽으로 충분할까요?
그램 살까 맥북 살까 고민중인데.. 뭐가 좋을지..
라이노는 5년전 내장글카 노트북으로도 잘돌아갑니다.
하나의 프로그램이라도 잘하면 충분하다
선생님 라이노 한글 버전도 있나요 ?
설치할때 선택가능합니다.
스케치업으로 시작하다보니 라이노는 어려워...
근데 예전에 좀 라이노 배울 때 오류가 많아 배우다 말았는데 요즘은 많이 개선이 되었나요???
라이노 오류가 조금씩 있긴 하지만, 작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진 않습니다 ㅎ.,ㅎ
응둘다~
라이노 = 제품디자인,
스케치업 = 인테리어
3D MAX = 곡면이많이 들어간 복잡한 모델링
블랜더 = 곡면이 많이 들어간 간단한 모델링
이거 ㄹㅇ입니다.
난이도는
(쉬움) 라이노 > 스케이업 > 블랜더 > 3D MAX (어려움)
상황에 맞춰 쓰면 되는데
스업으로 제품모델링 하려고는 하지 맙시다.
구독했어요 절 가르쳐주세요
라이노 vs 3dmax 라면요????
둘다 좋은 툴이죠..! 소프트웨어 가격을 생각하면 라이노가..ㅎㅎ
직업이면 라이노 취미면 스케치업
제발 한국사람이면 스케치업 씁시다
왜죠?
먼 헛소리지?
뭔 개소리지...?
뭔 쌉소리지??
삼성은 애플의 경쟁사가 아닙니다.
상성의 경쟁사는 중국 기업 샤오미, 오포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