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주택은 불에 약하고 물에 썩고 틀어져요. 전문가인저도 그렇게 배웠습니다.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5 ก.พ. 2022
  • 전문가인 저도 목조주택에 대한 오해가 있었다. 공부를 하다보니 목조의 장단점을 알고 지어보고 살아보니 전부 오해다. 이보다 더 좋은 자재가 있을까요?
    *유선 건축 상담 : 1533-2291 / 02-718-3390
    *온라인 건축 상담 : docs.google.com/forms/d/1xnYZ...
    *땅콩주택 건축 상담: pf.kakao.com/_xjXsCb
    *이현욱건축가 진행현장 유튜브(광장건축사사무소) :
    / @user-eu1nw2ui4w
    *광장건축사사무소 카페 : cafe.naver.com/duplexhome
    #땅콩주택#단독주택#건축가이현욱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27

  • @jeikim1027
    @jeikim1027 2 ปีที่แล้ว +14

    modern duplex facade의 twin house가
    그 이름도 유명한 '땅콩 주택'으로
    탄생하게 된 비화(?)가 있었네요.
    허물어버리기엔 너무 아쉬움이 많이 남는
    프로젝트 건축물이었지만
    '층간 소음 해결'과 '비용 절감'이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은, 성공적인 단독 같은 두 세대
    공동 주택 탄생의 값진 디딤돌이 되었으니
    죽도록(ㅎ) 고생한 보람과 가치는 충분히
    있지 않았을까 생각됩니다.ㅎㅎ
    다시 봐도 '땅콩 주택'은 외관부터 독보적이고
    사라진 프로젝트 주택도 아주 멋집니다. 👍

  • @user-wo7lo3ly7p
    @user-wo7lo3ly7p 2 ปีที่แล้ว +3

    건축가님 항상 잘보고 감동하고 있어요~^^♡♡♡

  • @nodeul5009
    @nodeul5009 ปีที่แล้ว +2

    목조주택이 친환경이라고 좋다고 하는 사람들이 난방은 습식난방하고 그위에
    강마루 까는 우를 범하죠. 기초야 어쩔수없다고 쳐도, 난방은 건식난방이 좋지지 않을까요? 쓰레기 시멘트 싫어서 목조 짓는데 거기다 바닥을 또 시멘트를 사용하는건 좀 생각해볼 문제라고 보네요.

  • @dancingwave3038
    @dancingwave3038 2 ปีที่แล้ว +4

    잘 보고 있습니다. 정보 감사드려요.

  • @user-zy9dw7hx3r
    @user-zy9dw7hx3r 2 ปีที่แล้ว +1

    다음 주 기대됩니다! 깜사합니다~!

  • @user-il3fn2wu4z
    @user-il3fn2wu4z ปีที่แล้ว +3

    콘크리트와 목조를 결합해서 복합구조 집을 짓는 건축을 하는게 맞을 듯 바닥 기둥 계단 천정은 콘크리트로 벽면은 목조로

  • @user-ps7kp5fh5l
    @user-ps7kp5fh5l 2 ปีที่แล้ว +7

    저희 아이들도 아토피가 심합니다. 아파트에 살면 어쩔수 없겠네요. 빨리 목조주택으로 가야겠습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환기를 엄청 자주해주세요. 가습기 필수구요

  • @user-cu5bt7qd7u
    @user-cu5bt7qd7u 2 ปีที่แล้ว +5

    와 요즘은 신도시 필지에 너무 흔히 보이는 듀플렉스하우스(땅콩주택)가 이현욱 건축가님이 한국최초로 지은줄은 몰랐네요
    전공이 아닌 목조주택의 처음은 실패했으나 절치부심하여 목조주택 시장을 10배로 키웠다니 이거 무슨 영화같네요

  • @xd400
    @xd400 ปีที่แล้ว +2

    이것도 K주택을 붙여야 하는 단독주택의 유행이 있더군요
    한국의 문제는 밀집생활이 메인이다보니 아파트를 떠나 단독의 마당도 넓고 테라스도 있는 집을 1순위로 생각하는데 막상 살아보고 고생해야 이소장님 말씀대로 따라가기때문에 시장수요가 아직까지 없는거 같습니다

  • @user-hu3gu9lp1d
    @user-hu3gu9lp1d 2 ปีที่แล้ว +2

    또 배우고 갑니다.^^

  • @user-jo4hv2vy1b
    @user-jo4hv2vy1b 2 ปีที่แล้ว +4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소장님은 설계와 시공을 함께 하시는지요?
    나중에 언제 집을 지을 생각을 하고 있어서 관심 가지고 공부삼아 보는 중입니다.
    유익한 내용 감사드립니다.

  • @brienkim8471
    @brienkim8471 ปีที่แล้ว +4

    요즘 공장제작한 경량 폼 cement 벽체를
    조립해서 단열과 비용,단단함을
    만족시키는 전원주택이 이슈가
    되더라구요. 그것도 평당 5백초반으루요.
    올초까지는 400대이더니,오른게 이정도...
    저두 목조가 의외로 좋은거다 란
    생각을 가졌는데,
    더 효율적인 제품의 형태가
    생산되버리니,
    여담인데 의외로 한국에 주택 짓는거에 진심인분들이 꽤 있으시더라구요.
    패시브협회, 수신제가,중량철구조+
    폼시멘트패널 업체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ปีที่แล้ว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hl2dus1
      @hl2dus1 ปีที่แล้ว

      OSB 썪고, 게다가 OSB 가격이 오르니, 급격히 선회하는거죠.
      목조주택 방수 하자에 스트레스 받으니

  • @zwalzwal
    @zwalzwal 2 ปีที่แล้ว +1

    목조는 층간 소음 정말 힘들죠, 외국은 고층도 짓지만 층간 소음이 많아서 힘들어들 하죠.
    층간 소음 해결이 어떻게 되는지,,,

  • @user-zv9cg4vj2y
    @user-zv9cg4vj2y 2 ปีที่แล้ว +2

    재밋는 건축이야기 흥미진진.~^^

  • @csb-pl3xh
    @csb-pl3xh ปีที่แล้ว +6

    큰 문제는 흰개미입니다. 한국엔 흔한지 모르겠지만 예전에 외국에서 나무집에 살았었는데 옆집에서 흰개미가 날아와 집 한쪽 코너를 깕아먹어 집 전체를 텐트 쳐서 처리한 추억이 있네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ปีที่แล้ว +2

      다행이 한국은 피해가 없어요.

    • @han002k
      @han002k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뉴스보니 이제는 한국도 안심못할 나라가 되어가더라구요.

  • @DIY-vj1uo
    @DIY-vj1uo 2 ปีที่แล้ว +4

    콘크리트 방사능 쓰레기 시멘트에 들어가는 성분 아셨군요 ㄷㄷㄷ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2

      네 영상준비해서 올릴게요. 불편한 진실

  • @ilgyuchoi8646
    @ilgyuchoi8646 2 ปีที่แล้ว +7

    모든 목재를 공장에서 규격화하여 반제품으로 만든 뒤, 대형트럭으로 운반해와서
    현장에서는 조립만 하는 식으로 지으면(일본 목조주택에서 많이 사용)
    한달이면 가능. 특히 화장실을 모듈을 사용하면(FRP 등) 방수에 좋고, 화장실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슴(근데 한국에 화장실 모듈이 있는지 모르겠슴).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네 맞습니다

    • @user-rs9ee9ke8q
      @user-rs9ee9ke8q 2 ปีที่แล้ว +3

      @@architect-hyunwook ILGYU CHOI님이 의견주신 목조벽체 등 반제품 자재와 현장 조립식 형태(프리팹? DIY주택? 정확한 용어를 모릅니다)의 목조주택산업이 활성화 되었으면 하는 1인입니다. 설계도 용이하고 규격화 표준화된 품질로 시공하자도 줄이고 또 공사기간, 공사비도 줄일 수 있을 것같아요. 개인적으로 내집짓기 프로젝트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 건축주, 설계자, 시공사가 함께 짓는 집이 아니라, 시공사나 공사업체에 일방적으로 끌려다니는 상황에 맞닥뜨릴까 인데요, 이 부분도 자연스럽게 해결되지 않을까 합니다. 부디 이런 목조 주택산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소장님께서 앞장서 주셨으면 하는 바램 간절합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1

      네 응원 감사합니다

    • @ilgyuchoi8646
      @ilgyuchoi8646 2 ปีที่แล้ว

      ​@@user-rs9ee9ke8q 건축과 교수 강태웅 씨(53세)가 6평짜리 작은 집 7개를 이어 붙여 2층집을 지었습니다. 이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유투브에서 EBS 컬렉션 라이프 스타일을 검색하면 나옵니다.

    • @user-rs9ee9ke8q
      @user-rs9ee9ke8q 2 ปีที่แล้ว

      @@ilgyuchoi8646 정보 주셔서 EBS 유튭채널에서 강교수님 집 구경하고 왔습니다. 저는 단순 단층 일자 구조로 작은집 두 동을 별채로 짓는 것을 구상하고 있는데, 강교수님 집처럼 모듈러 연결주택으로 시도할 만 하네요. BBC에서 스콜트랜드 척박한 하이랜드에 멋진 모듈러 연결주택을 짓는 걸 본 적이 있는데, 시공엔지니어가 가장 중정을 두는 부분이 모듈러 연결부위의 기밀성 견고성과 1밀리의 오차도 없는 수평 안착이었어요. 몇년 지나서 교수님이 이집의 실험결과도 공유해 주셨으면 좋겠네요. 또 우리나라도 모듈러주택산업이 더 활성해 돼서 경험과 기술력이 보장된 업체가 많아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 @user-bg3qi9mg2i
    @user-bg3qi9mg2i 2 ปีที่แล้ว +3

    드디어 제주 오시는군요.
    칼치조림이라도 한번 대접하고 싶습니다.
    제주건축위치 대략이나마 알수있을까요?
    땅콩보다 더더더더더더더~~~ 크게 성공하시길 빕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아 감사합니다. 애월하고 강정마을 그리고 대흘에 검토중입니다. 기회되면 한번 보여드릴게요.

    • @user-bg3qi9mg2i
      @user-bg3qi9mg2i 2 ปีที่แล้ว +1

      @@architect-hyunwook 네 저는 애월쪽에서 가깝습니다

  • @user-gv7rc6jf3c
    @user-gv7rc6jf3c ปีที่แล้ว +3

    소장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한가지 여쭤볼게 있는데요..
    중목구조와 경량목구조가 있는데 각각 장단점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음 영상에 중목구조와 경량목구조의 장단점, 만약 소장님이 선택한다면 어떤 걸로 건축할 건지도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ปีที่แล้ว +3

      저는 경량선택이요. 구조는 벽속에 숨는거라 가격이 저렴한게 좋어요 만약에 구조미를 살린다? 그럼 줄목구조가 낫겠죠

  • @zwalzwal
    @zwalzwal 2 ปีที่แล้ว +7

    콘크리트 시멘트에 일본 수입 폐기물을 갈아넣으니 아토피가 안생길 수가 없죠.
    20년 지나면 더 이상 독소가 나오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 @hannahjin4306
    @hannahjin4306 ปีที่แล้ว

    너무 가슴 아프셨겠어요 ㅠㅠ

  • @user-qq2qj3mx1w
    @user-qq2qj3mx1w ปีที่แล้ว +1

    좋아요 감사합니다

  • @user-ef8sc6rd4g
    @user-ef8sc6rd4g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저희도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어요 내년에는 오픈돼요

  • @user-hx1mv1df4h
    @user-hx1mv1df4h ปีที่แล้ว +2

    개인적으로 목조는 별로인데 목조만의 장점도 있죠 쾌적하다?
    단점은 방음에 취약하다
    제대로된 시공사가 얼마없다
    목조를 지을거같으면 팀버로가는게 맞다고 생각이 들고요 경량목구조는 못으로 지은집이기에 시간이 지나면서 나무가 변형이 오고 수만발의 못자국에 갈라짐등 구조적인 문제가 올 염려도 있다고봅니다 보완하려면 철물을 이용 할수 있을거같고요
    목조를 짓는분들께 당부드릴건 스타코마감을 할거면 레인스크린을 반드시 시공 하도록하고
    드레인랩 타이백이라고 들고와서 스타코전용 타이백이다 레인스크린 안걸어도 된다하면 됬다하고 반드시 레인스크린 시공하라고 하십쇼 하자생기는거 많이 봤습니다
    그리고 제주에 목조주택이 많은데 바람이 많이 부는곳은 지붕 슁글은 피하시고 그냥 슁글은 공짜로 줘도 쓰지말자는 생각을 해야합니다 슁글시공시 아스팔트 부스러기가 사방에 굴러다녀서 청소하다가 인생 종칩니다
    스타코나 파벽 잘못시공했다간 합판부터 다썪어들어가고 사이딩이나 징크로 하면 외단열이 안되고 제대로된 시공사만 찾는다면 문제없지만 그게 힘들죠

  • @user-ec4sm8px7n
    @user-ec4sm8px7n ปีที่แล้ว +1

    어떤 주택이던 다 장단 점이 있죠 .본인이 관리 를 잘하고 그런거에 취미가 있고 근본적으로 1-2년마다 페인트및 오일 바르고 한다면 목조 주택 좋쵸 관리 못한다면 철골 구조나 철근 콘크리트가 좋아요 요즘 강수량도 높고 워낚 우리나라 는 습기가 많은 지역 입니다 .
    건축주 들이 그많은 집들을 건축 하면서 왜 우리나라는 가장 많은 집이 철근콘크리트 집을 가장 많이 건축 하는지 생각해보세요 여러분....

  • @baikal5729
    @baikal5729 2 ปีที่แล้ว +1

    재밌네여 깜사합니다

  • @user-qv6fu6br8m
    @user-qv6fu6br8m 2 ปีที่แล้ว +6

    목조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 지어야 합니다
    요즘 전원주택단지들 대부분이 조망을 위해서 옹벽으로 2~3미터이상 단차를 두고 조성을 하는데요
    그런곳에 옹벽 가까이 목조주택을 지으면 안됩니다. 무조건 이끼와 곰팡이가 낍니다
    OSB합판 습기 굉장히 좋아 합니다

  • @user-pk4vh4ve7u
    @user-pk4vh4ve7u 2 ปีที่แล้ว +4

    안녕하세요 궁금한게있습니다
    한옥짓는 목재랑 목조주택 짓는 목재는 다른데 목조주택 짓는 목재는 태우면 그을림도 많이나고 황토방 불땔때 불쏘시개로 쓸정도로 금방타는데 이래도 괜찮은건가요 궁금합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4

      목재는 같은겁니다. 크기의 문제죠. 큰나무가 오래타겠죠. 작은 나무보다.

  • @user-vv1zc8oz8g
    @user-vv1zc8oz8g 2 ปีที่แล้ว +13

    아들이 아토피가 심해서 목조주택(30평) 지어서 15년째 아주 만족하면서 살고 있어요. 데크가 12평인데 남편이 매년 오일스텐 바르고 관리해서 아직도 튼튼합니다.

    • @ybig2795
      @ybig2795 2 ปีที่แล้ว +12

      아토피는 일본서 수입한 재생 콘크리트 때문입니다. 1970년도 아파트에서 아토피 생겼단 소리 없어요. 90년도 부터 일본서 폐 콘크리트 수입해 섞어 쓰면서 아토피가 급증한겁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와우 관리 잘 하네요. 굿

    • @user-ik9fq3hi7m
      @user-ik9fq3hi7m 2 ปีที่แล้ว +2

      @@ybig2795 맞아요..전에 시사프로에서 석탄발전소인가? 석탄 사용 후 재를 수입해와 콘크리트에 섞어 만든 시멘트를 아파트 지을때 사용한다고 하더라구요..충격이었습니다.

    • @joovali
      @joovali ปีที่แล้ว +2

      @@user-ik9fq3hi7m 현재는 합성수지등 플라스틱류에 철광석 슬러지 석탄슬러지 폐타이어
      그리고 올해 하수 오수처리물도 처리합니다
      시멘트도 문제지만 인근에 사는 우리도 냄새때문에 미칩니다 쓰레기장이 되어버린 시멘트산업입니다

  • @p-gon
    @p-gon 2 ปีที่แล้ว +3

    몇번 지어봤다면... 공감 될수 있겠지만 보통 처음 지으니깐 상상속의 집을 짓는게 아닐까요`~`ㅎㅎ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아뇨. 전문가들이 모른다고 해야 하는데 내가 잘 안다며 잘못된 정보를 남발하죠. 저도 그랬어요. ㅠㅠ

  • @user-ij4ht1wm6d
    @user-ij4ht1wm6d 2 ปีที่แล้ว +5

    목조주택이 아토피에 좋군요
    충분히 고려해야 할 사항 같습니다
    근데 조립식 목조주택은 몇 년 지나면
    사용상 불만이 많아진다는데
    그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1

      조립식이라는게 모바일. 아님 판넬라이징인가요?

  • @comocho6691
    @comocho6691 2 ปีที่แล้ว +1

    땅값이 비쌌던거 아닐까요? 저 당시 구조재나 osb 가격도 지금 보다 훨씬 싸고 외장재도 시멘트 사이딩에다가 페널라이징에 규모가 있는 동일한 설계의 집 여러 채 인데 가격이 그 정도라면 혹시 땅값? 아니면 평수가 엄청 큰집?

  • @annarim122
    @annarim122 2 ปีที่แล้ว +5

    여기 미국에 살다보니 나무로 뚝딱뚝딱 집 짓는거보고 처음에는 너무 이상하더군요...그런데 거의 다 목조주택인데 50 60년된집도 페인트 칠하면 다시 새집이 되는데요....물론 보일러교체도 하고 소소한 관리는 어느집이나 해야되겠죠?
    특별히 목조라고 해서 문제가 된적은 없어요...단열 난방도 문제없고..그게 신기했어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4

      집수리가 변경이 쉬워 100년은 기본이죠

    • @user-ec4sm8px7n
      @user-ec4sm8px7n ปีที่แล้ว

      미국 기후 랑 대한민국 기후랑 같다고 생각하세요 ? 그리고 미국은 건축 자재로 가장 흔하고 싼재료가 목조라서 그런거라 생각 합니다 석재가 흔한 그리스 에서는 대리석으로 만 만든 집도 많이 있습니다 목재가 좋타 스틸이 좋타 콘크리트가 좋타가 아닌 기후 특성 . 금액 . 시공성 . 유지보수. 등 여러가지를 감안 해서 봐야 하는게 건축이라 봅니다 기성품을 사는게 아닌
      자신에 라이프 스타일 이나 성격 등을 고려해야 단독 주택이라는걸 건축 하는거죠

    • @jpkdds
      @jpkdds 9 วันที่ผ่านมา

      @@user-ec4sm8px7n 한반도 기후도 점차 온열대기후로 바뀝니다. 열대지방에 콘크리트집 못봤습니다. 목조라서 우리나라 기후에 안맞다가 아니라 목조주택을 콘크리트 주택방식 특히 아파트식으로 지을려고 해서 모순이 생기고 문제점들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저는 이현욱건축사님의 건축철학을 믿습니다.

  • @user-qj6lg6if9m
    @user-qj6lg6if9m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썅~ 초가집이 100년가유~ 시골한옥이 200여년가유~
    시골사람들 목조주택지으라고 하면 불무서워서..
    지들은 초가에서 몇대를 살앗으면서리 슬라브 가최고인줄알지 40년되닌깐 금가서 손가락이들어가 아파트수명이35년이여~ 뭣도 모르는것들이

  • @user-zc5oi3eq2l
    @user-zc5oi3eq2l ปีที่แล้ว +1

    제주도에 거주하고있습니다만 혹시 제주도에 목조주택 건축 프로젝트가 있었다고 댓글에 봤는데 어디인지 알수있을까요?
    저도 목조주택 건축계획이 있는데 구독자로서 건축가님이 지으신 주택좀 보고싶네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ปีที่แล้ว +1

      대흘하고 애월 그리고 표선 진행중입니다. 착공은 아직이고요

  • @user-tf7kf1ys3t
    @user-tf7kf1ys3t 2 ปีที่แล้ว +2

    깜사합니다 ㅎㅎ

  • @user-xb9wk9ni1h
    @user-xb9wk9ni1h 2 ปีที่แล้ว +4

    철콘과 목조 살아보신분들은 다들 철콘을 추천하시던데 어떤걸로 지어야할지 아..헷갈리네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7

      죄송한데요. 우리나라 철콘이 문제가 많아요. 건강하게 사실려면 목조로 하세요

  • @hyunmimaustc
    @hyunmimaustc 2 ปีที่แล้ว +13

    저도 한 삼십년 한국에서 아파트에서 살다보니,
    주택에 대한 개념이 없었어요.
    캘리포니아에서 집을 2011년에 아무것도 모르고 샀는데,
    잘 지어진 집이라는 것을 살면서 알게 됐어요.
    1962년에 지어진 단층으로 60년 된 집인데, 저는 집이 아파트보다 좋아요.
    이제 오십중반이라 이층집으로 이사할 생각은 전혀 없어요. 캘리포니아는 지진도 있고 ...
    캘리포니아는 집은 목조로 짓는게 규정이라고 알고 있는데 ... 저도 나무집을 선호합니다.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도 동쪽하고 남쪽으로 햇볕이 잘 들어 난방문제도 크지 않구요.
    이 지역에 한 100가구 이하로 비슷한 5가지 설계도로 한꺼번에 개발된 곳이라
    집들이 비슷비슷 하지만, 오픈하우스할 때 구경을 하면
    햇볕이나 바람 등의 문제점이 눈에 들어 오더라구요.
    이현욱 선생님 건축수업이
    참 재미있고 유익하여 많이 공감합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5

      와우 감사합니다. 목조주택의 장점을 잘 알고 계시군요. 캘리포니아가 목조로 짓는 규정이 있군요. 우리나라도 이런게 생겼으면 해요. 국민의 건강을 위해서 아이들의 창의력 발달을 위해서요. ㅎㅎ

    • @ybig2795
      @ybig2795 2 ปีที่แล้ว +4

      미국은 그래서 토네이도에 집 많이 박살나는거 보고, 왜 벽돌집 안짓나 했네요..

  • @user-se3sn9yn9g
    @user-se3sn9yn9g ปีที่แล้ว +1

    ㅎㅎㅎ공부하세요.

  • @77kbm1
    @77kbm1 2 ปีที่แล้ว +4

    저도 집지으면 콘크리트 지으려고 했는데 이것보고 맘 바꿨어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4

      반은 맞고 반은 틀린데여. 우선 축하드립니다. 목조를 선택 짱입니다.

    • @zwalzwal
      @zwalzwal 2 ปีที่แล้ว +1

      저도 목조가 부실공사만 아니라면 좋다고 봅니다
      부실공사는 그 어떤 집도 사실 다 있을 수 있죠

  • @yeongoojeong9954
    @yeongoojeong9954 ปีที่แล้ว +1

    크크크 불나고 썩고 틀어져서 목조주택이 좋아요 한국사람 성질에 100년 이상가는 집 지어봐야 30년만 지나도 구거 허물고 다시 짓는데...폐기물로 만든 콘크리트는 싫타

  • @hl2dus1
    @hl2dus1 ปีที่แล้ว +2

    친환경 재료 = 돌, 콘크리트, 유리, 석회 등 무기질임.

  • @user-pc4eu8ex9s
    @user-pc4eu8ex9s ปีที่แล้ว +1

    미국영화보면 목조주택은불편해보여요 영화에지붕에올라가서 수리하는장면많이나와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ปีที่แล้ว +1

      모든 건축물은 지붕에 올라가서 수리합니다

  • @user-jg8dk7fc9q
    @user-jg8dk7fc9q 2 ปีที่แล้ว +8

    제주도 같이 항상 습기가 많고, 태풍이 오면 비가 수평으로 몰아쳐서 경사진 지붕밑으로 들이치는 환경에서도 목조가 견딜 수 있을까요 ? 물론 밀봉을 완벽하게 하면 수명이 오래가겠지만 시공을 그렇게 완벽하게 하지 못하면 나중에 보수하기도 힘들지 않을까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이부분은 골조랑 상관없이 모든 건축물에 직면한 과제입니다. 제주도에 집짓는게 참 어려워요. 창문에 누수도 같은 문제죠. 비가 거꾸로 벽체 타고 올라오면서 누수가 생겨요.

    • @user-mh1wj5nb8m
      @user-mh1wj5nb8m 2 ปีที่แล้ว +1

      @@architect-hyunwook 건축가님이 제주도 가옥을 공부하셔서 제주도만의 모델을 만들어 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5

      @@user-mh1wj5nb8m 준비하고 있어요. 제주도에 올해 단독주택 타운하우스 오픈합니다. 지켜봐주세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7

      그것도 전기하우스로요.

    • @user-mh1wj5nb8m
      @user-mh1wj5nb8m 2 ปีที่แล้ว +1

      @@architect-hyunwook 전기하우스라니 전혀 상상이 안되네요 ^^

  • @user-fq1jb2gg8i
    @user-fq1jb2gg8i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선생님 부실시공 진단업무도 하시는지요?

  • @super_world1004
    @super_world1004 2 ปีที่แล้ว +3

    ALC (경량기포콘크리트)도 목재처럼 습도 유지나 단열에서 기존 콘크리트보다 유리하다고 하던데 소장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소장님 의견이 궁금합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유리한건 맞습니다. 문제는 습기를 좋아해서 이게 단열재라 습기를 먹으면 쥐약입니다. 자재취급이 아주 까다로워요

    • @super_world1004
      @super_world1004 2 ปีที่แล้ว +2

      @@architect-hyunwook
      네 소장님 의견 감사합니다
      소장님이 힘들다고 하실 정도면
      시공방법 자재 보관 여러가지로 힘든점이 왠지 크게 느껴지네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1

      @@super_world1004 네

  • @user-jl1et8yv9d
    @user-jl1et8yv9d 2 ปีที่แล้ว +1

    외국은 층간, 측간 소음 문제가 없나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1

      공동주택은 소음이 있다고 간주하고 살아요.
      소음이 싫으면 단독에 살고요. 우리는 선택이 없다고 생각. 그래서 민감합니다. 법규준도 대한민국이 1등인데 이거 어려워요.

    • @marbling3
      @marbling3 2 ปีที่แล้ว +1

      샌프란에 있는 꽤 비싼 4층짜리 아파트에서 몇년 살았었는데요. 층간소음 진짜 심각합니다. 목조라 걷는 소리 집 전체로 다 울리고, 바깥에 큰 트럭 지나가면 살짝 흔들려고. 관광지에 있는 고급 아파트였습니다. (지금 신규계약하면 월 500만원짜리)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1

      @@marbling3 네 맞습니다. 층간소음 인정하는 분위기죠

  • @zero1zuck
    @zero1zuck 2 ปีที่แล้ว +2

    목조주택 개미나 벌레 들어오거나 생기는 것은 어떻게 막을 수 있나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3

      목조의 문제가 아니고 마당이 있어 벌레가 들어오죠. 다 같은 조건입니다

  • @blackdog5164
    @blackdog5164 2 ปีที่แล้ว +2

    지금사시는집 지으시면서 층간소음 잡으셨나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2

      콘크리트도 못 잡아요. 다 같은 조건입니다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1

      다만 우리아이들이 뛰니깐 문제 없어요. 그래서 세대를 위로 안하고 옆으로 한거죠

    • @blackdog5164
      @blackdog5164 2 ปีที่แล้ว +2

      @@architect-hyunwook 아파트 층간소음이 심한이유가 기둥식구조가 아니고 벽식구조라서 그렇다고 들었는데 목조주택도 중목구조로 지으면 층간소음이 덜한가요? 경량 목조주택도 기둥식으로 건축이 가능한가요?

    • @architect-hyunwook
      @architect-hyunwook  2 ปีที่แล้ว +1

      @@blackdog5164 와우 전문가시군요. 맞아요

    • @marbling3
      @marbling3 2 ปีที่แล้ว

      @@blackdog5164 맞는데, 철근이든 중목이든 기둥식으로 가면, 기둥으로 인해 공간이 조금 좁아지는 측면이 있고, 무엇보다 비용이 ㅎㅎ

  • @user-xx3lu8tq8h
    @user-xx3lu8tq8h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내장재나 나무써

  • @user-fn3fh3fe2t
    @user-fn3fh3fe2t ปีที่แล้ว +1

    님이,목구조 집 지어서 하자 안날까요?
    날수 밖에 없어요
    결로가 안생길수 밖에 없고요
    몆년 지나면 문제가 무조건 생겨요
    한국은 4계절이라 바닥에,있는 콘크리트도 갈라지는 판에 목제가 버틸까요
    난 설계 잘했다로 끝날 일이 아니라는거죠

  • @kether1
    @kether1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외관 디자인 정말 구리다.

  • @funny-game-play
    @funny-game-pla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코좀 그만 파세요. 에이 증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