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ld the 20x faster Sculpman be the future of FDM 3D printers?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3 ม.ค. 2022
  • 멤버십 가입하시면 더 좋은 영상으로 보답하겠습니다.
    / @bookledge
    ◼︎ 3D 프린팅 문제해결 컨설팅 & 교육 / 비즈니스 문의 : forms.gle/8PPn4uKLKHArxNsQA
    ◼︎ Bambulab 사용자 카페 : cafe.naver.com/bambulab
    ◼︎ Bambulab 오픈채팅방 open.kakao.com/o/gI0zKzWe
    ◼︎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 네이버 카페 : cafe.naver.com/bookledge
    ◼︎ 북리지의 삼디놀이터 오픈채팅방 : open.kakao.com/o/gxEIE6bc
    참여코드 : 3d3d
    Artlist ref.
    artlist.io/bookledge-1897130
    (위 링크로 구독하시면 2개월 추가 혜택이 있습니다.)
    #3D프린터 #3D프린팅 #3D모델링 #생활3D프린팅 #3D프린트 #메이킹 #큐라 #프루사슬라이서 #뱀부스튜디오
  • แนวปฏิบัติและการใช้ชีวิต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8

  • @user-cy7hs4nq4t
    @user-cy7hs4nq4t 2 ปีที่แล้ว +2

    발상의 전환이군요! 굉장히 흥미롭게 보았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jz4bk1so1z
    @user-jz4bk1so1z 2 ปีที่แล้ว +2

    헉 북리지선생님 감사합니다 항상 영상잘보고 잘배우고있습니다!

    • @bookledge
      @bookledge  2 ปีที่แล้ว +1

      은혁님 덕분에 저도 새로운 것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uw6ii2vc6x
    @user-uw6ii2vc6x 2 ปีที่แล้ว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user-px2zn9bj3t
    @user-px2zn9bj3t 2 ปีที่แล้ว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재밌네요

  • @myolivenet
    @myolivenet 2 ปีที่แล้ว +1

    정말 아이디어가 기발 하네요 ㅋㅋㅋ 이론적으로는 가능 하지만 실제로 구현하는게 많은 시간이 들듯 하네요
    layer를 한번에 출력 ㅋㅋㅋㅋ 좋은 리뷰 감사 감사 합니다 goooood job !

  • @ED-yt9yb
    @ED-yt9yb 2 ปีที่แล้ว +2

    잠깐 미뤄놓은 사이에 이렇게 발전을 하고있구나,,, 좋은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세상엔 정말 똑똑하고 멋진 발상을 가진 사람이 많은 것 같아요.

  • @ciclostove9222
    @ciclostove9222 2 ปีที่แล้ว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sswoo27
    @sswoo27 2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인필 넣을 걱정이 없어지겠네요

  • @ds-k7878
    @ds-k787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아이디어가 좋네요. ^^ 참 사람들 머리는 진짜 대단한것 같습니다.

  • @minseokoh49
    @minseokoh49 2 ปีที่แล้ว +3

    지름이 작고 두꺼운 원형을 그릴 때 내경과 외경의 압출량 차이가 커질것 같은데 컨트롤이 되나 보네요?
    신기한 기술이군요. 360도 노즐 쿨링 시스템도 괜찮아 보입니다.

  • @sirius_25
    @sirius_25 2 ปีที่แล้ว

    가변 토출경 개념의 노즐 메커니즘이 인상적입니다. 감사합니다 👍

  • @16b7328
    @16b7328 2 ปีที่แล้ว +8

    으음...조밀한 형상이 많은 프린트물에도 대응가능한지가 궁금하네요. 연속 선형 압출되는 제품에 대한 폭이 바뀌는 기술은 여러 산업분야에서 꿈의 기술이지만 진행거리 대비 폭 변화율은 연속성이라는 특성때문에 그 한계가 있지요. (예를 들어 철판 두께를 1mm 바꾸는데 100mm의 트랜지션 구간이 필요하다던가 하는.) 직각모서리부분은 예시 로직 그림에서는 그럴듯 하나, 해당되는 출력물인 볼트 머리에서는 단면을 보여주지 않으니, 아직 퀘스천입니다. 개발자들이 붓글씨를 배워봤다면 저것 이상의 제품을 보여줬을지도 모르겠다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좋은 영상 소개해주시고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JO-yg6vq
    @JO-yg6vq 2 ปีที่แล้ว +3

    잘 봤습니다. 기업들도 고민이 많겠죠. 확실히 20배는 되야 산업 전체가 발전을 하지 싶습니다.

  • @ajw8278
    @ajw8278 2 ปีที่แล้ว

    요즘 VR에 빠져서 잠시 3D프린터에 관심을 놓았는데 흥미로운것이 또 생겼군요.ㅎㅎ.20배가아니라 10배라도 빠르면 좋겠습니다.산업용으로만 판매를한다니 아쉽긴한데 곧 유사품이 나오지않을까하는 기대도해봅니다. 항상잘보고있습니다.좋은하루되세요.

  • @berlinhammer1101
    @berlinhammer1101 2 ปีที่แล้ว

    잘 보고 갑니다

  • @kwangchul4138
    @kwangchul4138 2 ปีที่แล้ว +1

    새로운 생각 좋아요

  • @k2khan90
    @k2khan90 2 ปีที่แล้ว

    캬~~ 신세계군요 ^ 이거 대박입니다.. 국내에서도 한번 도전제작하시는 사장님들이 있으시길 기대해봅니다

  • @kkakkabot
    @kkakkabot 2 ปีที่แล้ว

    와~ 이거면 정말 다시 한번 해보고 싶네요. 일반 노즐 3d프린터 쓰다가 기다림에 빡쳐서 접었는데..

  • @user-hn7ys9th3o
    @user-hn7ys9th3o 2 ปีที่แล้ว +1

    개인이 도입하기에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겠네요.
    요새 웨어러블 사이즈로 출력중인데 파트당 하루에서 5일씩 걸리는것도 있어서 힘드네요.
    예전에 NASA에서 기존대비 60배 빠른 프린터 개발중이라는 기사를 봤는데 빠른 상용화를 기원합니다.

  • @lIIlIlII
    @lIIlIlII 2 ปีที่แล้ว +4

    노즐 관리만 쉽다면 진짜 강성확보는 넘사벽이겠네요

  • @pyg9511
    @pyg9511 2 ปีที่แล้ว

    자동차가 커브를 돌때 동력제어를 디퍼렌셜로 하는것처럼 회전각에 따라서 외부와 내부의 압출량이 달라야 할것 같은데.... 어떻게 해결을 할까요? 해결을 못하면 외각은 앏게 뽑히고 내부는 두껍게 뽑혀서 layer 간에 잘 안붙어 있지 않을까요?

  • @user-xe6dc3dn5d
    @user-xe6dc3dn5d 2 ปีที่แล้ว

    20배는 몰라도 확실히 빨라질것같은 기술이네요. 써보고 싶다~

  • @whatIsHandle792
    @whatIsHandle792 2 ปีที่แล้ว +1

    8:00 연속성이 끊어질 수 밖에 없는 부분(노즐뭉치가 뒤로 빠질 때 살짝 보이는 부분)에 대한 처리는 아직 미숙한가봐요

  • @StrangeletStar
    @StrangeletStar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년이 지나고 이 영상을 다시 보니 많은 생각이 떠오르는군요. 다양한 기술이 속도 향상의 방법으로 제안되었지만, 승자는 input shaping과 핫엔드의 최대 유량을 늘리는 것이 되었지요.
    그래도 누군가는 이 영상 속 방식으로 간편한 완제품 프린터를 출시해주면 좋겠네요.
    분명 장점이 많은 방식인데도 대세가 되지 못한 것을 보면, 너무 장치가 복잡한 것이 문제일지도 모르겠네요. 구조적으로 간결함을 유지하면서 속도를 향상시는 것과는 거리가 상당하니 말이죠...

  • @minsoochoi2668
    @minsoochoi2668 2 ปีที่แล้ว

    캄사합니다.

  • @caffentrager6449
    @caffentrager6449 2 ปีที่แล้ว

    각진부분은 정말 힘들거같고, 관리도 힘들겠지만 새로운 시도가 모여야 발전이 생기니

  • @changwonfpv5760
    @changwonfpv5760 2 ปีที่แล้ว

    대단한 기술 같습니다

  • @zeroequator
    @zeroequator 2 ปีที่แล้ว

    직각이 아닌 원형 출력물이 많은 이유는 내경과 외경의 입출량이 급격하게 변해서 14:56 처럼 옆으로 밀려나오기 때문인거 같군요

  • @kangphilpark7066
    @kangphilpark7066 2 ปีที่แล้ว

    빨리 상용화 되면 좋겠습니다.

  • @pgom1390
    @pgom1390 2 ปีที่แล้ว

    설비가 복잡할수록 잔고장과 수리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네요 아직까지는 힘들지않을까합니다

  • @---CHAOS---
    @---CHAOS--- 2 ปีที่แล้ว +1

    제작하는게 직업인 사람으로써 보면 장단점이 너무나도 극명한 장비네요.
    장점이야 속도가 단연 압권이고
    강도는 z축 즉 층간 접착력이 더 중요한데 이거는 약간 향상은 있겠네요.
    단점은
    1. 아주 급격한 단면변화가 있는 모델링은 대응이 어렵고(기어로 노즐 돌리는 속도가 한계가 있음)
    2. 노즐이 넓을 수록 거미줄이 어마무시하게 많이 생긴다는 것.
    얘네 예시가 전부 층 단면이 연결된 모델링인 것에 주의해 보세요.
    이걸로 에펠탑 같은거 출력하면 제대로 나올 리가 없죠.
    3. 플라스틱 물성치의 물리적 한계로 압출량이 늘어나면 수축이 감당이 안됩니다.
    이를테면 베드 사이즈가 500x500인 대형 프린터에서 가로세로 400mm 이상인 사각형 모양의 대형 출력물을 빠른 속도로 출력하면 아래 하단 가장자리가 전부 수축 때문에 휩니다.
    이건 속도를 늦춰서 천천히 뽑는 방법 외에는 답이 없어요.
    특히 이 프린터로 대형 ABS출력물을 뽑는건 물리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출력은 되더라도 변형 때문에 사용할 수 없어요.
    얘네들 예시가 거의 원형 위주의 모델링인 것도 단점을 숨기려는 속셈이죠.
    4. 노즐에 문제 생기면 자가수리는 어렵다. 혹은 노즐 뭉치를 따로 예비로 구매해 놓고 고장시 통채로 갈아끼워야 한다.
    5. 장비 값이 비싼건 상관 없어요. 그 정도 투자야 뭐 업자 입장에서 생산성만 늘어난다면야. 하지만 2.85mm 재료 값이 비싸고 판매처가 별로 없는건 좀...
    결론 특정 모델링을 출력할 때엔 엄청 좋다.
    반면에 단점도 많으므로 기존 방식의 프린터를 같이 구비해 놓고 사용해야한다.

    • @bookledge
      @bookledge  2 ปีที่แล้ว

      예리한 분석 잘 봤습니다. 저도 출력물들이 모두다 원형 스타일로 된것만 있어서 좀 아쉽더라구요. 각이 진 형태나 좀더 복잡한 구조에 대해서도 보여주면 좋을텐데 싶었습니다. 말씀해주신 내용보니 그 이유도 짐작해볼 수 잇었습니다. 기술의 컨셉만 가지고 프린터 하나 제작해서 구현가능성만 본 내용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발전한 여지는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구조를 가지고 에펠탑 같은걸 출력하지는 않을 것 같구요. 말씀하신대로 넓은 면적 출력의 목적이 강할 것 같습니다. path planner 시스템은 각이 확 꺽이는 곳에는 사선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구현하던데 급격한 각도 변화도 대응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재료는 앞으로 1.75에 대한 것도 대응할 거라고 이야기는 남겨놓고 있더군요. 특허때문에 문제가 있을 것 같긴한데, 출력중 실시간으로 변하지 않더라도 매 출력시마다 노즐사이즈를 바꿀 수 있는 기술이 나온다면 그정도만 되어도 상당히 좋은 활용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중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 @MrNICEBIG
    @MrNICEBIG 2 ปีที่แล้ว

    정말 머리 좋은 업체네요.

  • @ejwnd
    @ejwnd 2 ปีที่แล้ว

    엄청.. 비싸겠죠? ㅋㅋㅋㅋ 저거 노즐 한번 막힌다고 생각한다면.... 속도도 빠르고 강도도 더 좋겠고 투명한 프린트물 출력시 투명도 또한 엄청 좋아지겠네요. 중국산 저렴한 프린터 나올때까지 또 20년 기다려야하는건가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

  • @wowwowohmygod
    @wowwowohmygod 2 ปีที่แล้ว

    정말 궁금하네요 어떻게 출시될지...

  • @dwsp-dd3md
    @dwsp-dd3md 2 ปีที่แล้ว

    14:05 출력물 냉각용 팬덕트 인거 같습니다..?

  • @user-gn3qz3fv2d
    @user-gn3qz3fv2d 2 ปีที่แล้ว

    저렇게 가변적인 길이까지 가지 않더라도 I 자 모양의 노즐을 회전만 가능하게 한다면 기존 노즐보다 속도는 충분히 빨라질 것 같네요. 어떻게 보면 4축 cnc처럼 4축 프린터의 시작일지도 모르겠고요.

    • @bookledge
      @bookledge  2 ปีที่แล้ว

      저도 그 생각했어요. 노즐 회전만 더하면... 그것을 위해서 노즐 회전에 해당하는 gcode 규격이나 슬라이서가 보급되어야 할것 같아요.

    • @zeroequator
      @zeroequator 2 ปีที่แล้ว

      ㅣ자 모양의 노즐을 회전으로만 제어하면 가로와 세로의 입출량이 다르게 컨트롤 해야해서 그거 나름대로 어려운 부분이 있을거 같네요

  • @jinjan-qd9si
    @jinjan-qd9si ปีที่แล้ว

    그냥 잉크젯처럼 노즐이 배열되서 한컬럼씩 출력할 수는 없는건지 궁금하네요.

    • @bookledge
      @bookledge  ปีที่แล้ว

      그런 프린터 이미 나와 있습니다. 스트라타시스의 j850이 대표적이죠. 가격이 억이 넘어서 기업에서 제품 프로토타입 제작용으로 사용됩니다.

  • @dnflwlq12
    @dnflwlq12 2 ปีที่แล้ว

    우와...

  • @studioaiteam8415
    @studioaiteam8415 2 ปีที่แล้ว +2

    흥미로운 내용이기는 한데 3D 프린터는 개인에게 보급되기엔 안전성 문제가 걸려서 그부분의 개선이 먼저 돼야할 것 같네요. 지금은 별도에 출력실과 공조 시설을 갖추지 못한 가정에서 사용하는건 가족 모두를 위험에 노출시키는 개념이라... 좋은 내용 잘봤습니다

    • @user-lo5yc7mh9v
      @user-lo5yc7mh9v 2 ปีที่แล้ว

      요즘 측면에 필터달린제품 많이 나와요...

    • @user-lo5yc7mh9v
      @user-lo5yc7mh9v ปีที่แล้ว

      @니코틴아마이드아데닌다이뉴클레오타이드 뭐 그렇죠. 비용이 부담이라면 개인이 만들어도 될 거 같긴하네요. 요즘 저가형도 많아서 찾아보진 않았지만 50 언더로 있지 않을까요?

  • @mok2i46
    @mok2i46 2 ปีที่แล้ว

    이건진짜 대안이맞네

  • @Favmir
    @Favmir 2 ปีที่แล้ว

    구조가 복잡해져서 정확도가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힘들 것 같고, 개인이 쓰기엔 너무 비싸고(특허까지 붙어 있으니 보급형 가격으로 나올 가능성은 전무할 것 같네요) 기업이 쓰기엔 그냥 기존 방식 프린터를 여러대 구비하는 게 나을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 @EricLancer14
    @EricLancer14 2 ปีที่แล้ว

    진짜 머리들도 좋아...

  • @gustn31
    @gustn31 2 ปีที่แล้ว

    실 생활 사용에는 아직 먼 거 같아요 ㅠㅠ
    아 저의 기준에 말이죠 ~~

  • @user-ic8qu5ck3c
    @user-ic8qu5ck3c 2 ปีที่แล้ว

    앗 인트로 음악 바꼇내요 ㅎㅎㅎ

  • @user-iv7te4yu1l
    @user-iv7te4yu1l 2 ปีที่แล้ว

    기계관련 업무하는 입장에서
    노즐형태는 정말 기발한 발상인것 같습니다
    기존방식에 비해 단점도
    많지만 장점도 충분히 있는듯
    하네요
    저런발생이 계속 나온다면
    획기적인 프린터가 나오리라
    생각되네요
    늘 좋은정보 잘 보고 갑니다

  • @user-hf3id9pt3t
    @user-hf3id9pt3t 2 ปีที่แล้ว

    지금도 프린터 처음받고 밤을세가며 출력물이 더좋게하려고 abs시도하며 도전하던떄가 그립다 전저렴한 프린터사서 abs출력하면서 합니다 하다보면 노하우가생김 안착 바닥히팅 필수 외부공기차단 필수고요 우리나라도 건축에 프린터가빨리 법적으로상용화되야 하는대 그형님 잘계시나몰라? 해외는 벌써 상용화 1주일만에 잡힌체가 뚝딱 집지을떄 인건비가 반인대 관리자한명만 붙어서 출력관리만하던모습보고 놀랏죠 더욱 저런 세로운것들이 나와야합니다 그래야 기술이발전됨 아쉬움 교육부터 더활성화햇어야하는대 안철수가 되길 고대햇는대 그당시에 에휴

  • @LoTAWN
    @LoTAWN 2 ปีที่แล้ว +1

    노즐이 편광판처럼 동작하나보네요 ㄷㄷ

  • @mechatronics_m
    @mechatronics_m 2 ปีที่แล้ว

    3d프린터가 안정성과 시간, 품질만 보장된다면 많은 일자리를 대신할꺼 같네요

  • @ronniehan3900
    @ronniehan3900 2 ปีที่แล้ว

    자세한 설명은 정말 좋은데 너무 길어요
    조금 더 내용을 정리해서 해주시면 장말 좋을 것 같습니다

  • @user-cd3vk1vg3e
    @user-cd3vk1vg3e 2 ปีที่แล้ว +1

    무조건 인필이 100이 되버리니 재료 소모랑도 커지겠네요..

  • @gamma4d457
    @gamma4d457 2 ปีที่แล้ว

    blob이 생기면 난리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