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세 몬테소리에서 주의할 점과 풍부한 상상력의 기반에 대해 [AMI 정이비 교수님 2편]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81

  • @jlolly681
    @jlolly681 4 ปีที่แล้ว +19

    14개월 아기가 장난감에 흥미가 없어서 고민이였는데 교수님 말씀 들으니 제가 얼마나 멍청한 엄마였는지 .. 또 아기가 왜그렇게 밥솥 젓가락 청소기 온수매트본체를 그렇게도 좋아하고 장난감보다 훨씬 긴시간 흥미를 가지고 만지는지 무릎을 탁 치며 깨닫고 갑니다..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것들을 끊임없이 탐색하고자 하는 아이의 본능이였네요. 맨날 어떤 장난감 살까 인터넷쇼핑만 했는데 반성하고 아이에게 좀더 다양한 실제경험을 할 수있도록 해야겠네요^^ 로운맘님 감사합니다

    • @박주일-m2d
      @박주일-m2d 4 ปีที่แล้ว

      저희아기 돌인데 장난감 관심없어요ㅋㅋ제가 부엌에서 요리하믄 앉아서 보여달라 다리붙잡고 밥솥주걱 꺼내고 씽크대 냄비꺼내고ㅋㅋ 굳히 무슨장난감 뭐살지 고민도안해서 책을 많이 사주게되요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1

      네 맞아요. 그래서 로운맘이 10개월 이후에는 장난감을 사지 않는 이유가 이것이기도 해요. 실생활에서 이미 다 몬테소리를 할 수 있으니까요. 다만 로운맘은 교구활동에 욕심 내는 맘이다 보니 교구를 풀로 들였는데요 사실 교구 또한 폴세트를 살 필요는 없어요 0-3세에는 특히요. 어차피 집에서 엄마가 풀세트 교구 다 활용도 못하니까요. 그냥 교구도 한두개 만 사서 실생활에 있는 재료로 아기 발달에 맞게 다양하게 교구활동을 해주시면 되고요, 로운맘 처럼 난 꼭 교구를 원한다 해서 풀세트로 들이셨다면 홈스쿨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히 교구를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추천드려요

  • @sooeau
    @sooeau 4 ปีที่แล้ว +9

    너무 재미있어요. 결국 다양한 경험 - 많은 것을 보여주고 만지게 해주고 느끼게 해주는 것 - 이 0-3세때는 중요하다고 저 스스로 정리하게 되네요.

    • @darielkenneth2571
      @darielkenneth2571 3 ปีที่แล้ว

      I know Im asking the wrong place but does anybody know a way to get back into an Instagram account..?
      I was stupid lost my account password. I love any assistance you can offer me.

  • @서현진티비
    @서현진티비 4 ปีที่แล้ว +4

    정이비 교수님 영상 몰아보며 공부중! 너무 좋아요 감사해요 로운맘❤️

  • @jinsil0130
    @jinsil0130 4 ปีที่แล้ว +6

    정말 몬테소리하면 마냥 어려워보였는데 교수님께서 이해하기쉽게 얘기해주셔서 로운맘님 말하신거처럼 뭔가 육아가 편안한 느낌이에요!!ㅋㅋㅋ너무 어렵고 거창하게 받아들였어서 벽이 커보였었는데 ㅜㅜㅎㅎ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여!!ㅎㅎㅎ

  • @김해숙-z1o
    @김해숙-z1o 3 ปีที่แล้ว +1

    저도 로운이엄마네요^^
    로운이가 애기아빠가돼서
    손주를 봐주고있어요
    삼십오년전에 로운이를 몬테소리에보냈던게
    기억이나네요
    그때 유아원원장님이 너무너무 열성적이셨는데
    저런말씀을 부모를 모아놓고 마니해주셨어요
    할머니로 육아를하다보니 더
    몬테소리의 중요성을
    깨닫게되네요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3 ปีที่แล้ว

      어머나 로운이가 아빠가 되었다는 말씀 너무 신기해요! 35년전 몬테소리! 와 너무 대단하세요. 요즘 시대에는 더더욱 몬테소리 교육의 정신이 중요해지는 때인갓 같습니다^^

  • @viva_olivia
    @viva_olivia 4 ปีที่แล้ว +4

    몬테소리 교구 말고 교육철학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됐어요. 대학교때 배웠는데도 ㅋㅋㅋ 역시..육아하면서 보니 다르네요

  • @준우맘-w6p
    @준우맘-w6p 4 ปีที่แล้ว +2

    영상이 결론을 모른채 나누어 올라오니 혼돈이 오는것 같아요,
    이런 고민할수있도록 해주셔서 감사드리고 이번영상도 순삭이네요^^;
    다음영상 얼른 뜨기를 바랍니다♡♡♡

  • @김술-t8z
    @김술-t8z 3 ปีที่แล้ว +1

    이제라도 이영상을 보게 되어서 너무 다행이란 생각이 들어요 잘배우고갑니다^^

  • @jaeheekim3393
    @jaeheekim3393 4 ปีที่แล้ว +5

    헉 요즘 유행하는 동물증명사진을 벽에 붙여놨는데 영상보면서 헉 했어요 애들이 얼굴만 있고 다리가 없는 동물을 보고 있었겠구나 하면서 ㅜ 얼른떼버렸습니다!!!!!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1

      앗 너무 귀여운 맘님^^ 생각하고 생각에 맞게 실천하는 육아! 응원합니다

  • @리니-z7u
    @리니-z7u 4 ปีที่แล้ว +6

    로운맘님과 같은 개월수로 진입한 아이라 많은 정보 도움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김주성-m7b
      @김주성-m7b 3 ปีที่แล้ว

      간단명료 잘 이해하고 갑니다

  • @beautyum7480
    @beautyum7480 4 ปีที่แล้ว +2

    다음 영상이 벌써 기다려져요♡
    아기키우면서 스스로도 흔들릴때가 많은데...내가 진짜 잘하고있는걸까?
    아이의 중요한 시기를 내가 그냥 흘려보내는건 아닐까?하는것들
    로운맘님의 영상으로 그런 순간들에 다시 한번 마음을 정리합니다^^
    교수님의 말씀, 어디가서 제가 이런 귀한 조언을 얻을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피드리
    @해피드리 4 ปีที่แล้ว +2

    진짜 유리컵과 거울을 주고 조마조마 했었는데....깨지지 않는 것을 줘야하는거였네요 ^^;; 몬테소리식 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꾸준히 실천 해왔었는데 남편이 꼭 이렇게 해야하냐고해서 그럴 때마다 설득해야했는데~ 교수님께 확인 받는 것 같아서 기뻐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Yunju81
    @Yunju81 4 ปีที่แล้ว +11

    몬테소리 교육에서 미디어는 어떤식으로 이용하는지 궁금해요. 아이들에게 만화영화 라던지 동요비디오라던지는 어떻게 이용하여 보여주는지 로운맘이 좀 알려주시면 안될까요? 2세전까지는 미디어를 보여주지 말라고 하는데 그 후에는 어떠한 미디어를 보여주며 교육해야 하는지. 만화를 보여주는지 실제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는지 등등요. 몬테소리교육에서는 그런걸 어떻게 하는지 궁금해요

  • @Aaprils25
    @Aaprils25 ปีที่แล้ว

    동물원과 동물 체험장이 '진짜'인 건지에 대해서도 고민해보면 좋을 때인 것 같아요.
    정말 가까이서 보기 어렵고 볼 수 있는 동물의 수가 제한적일지라도 돌고래를 보러 제주 바다에 간다거나 동물들을 보러 생태원에 가는 등의 방법도 좋을 것 같아요.

  • @suyeonjang3157
    @suyeonjang3157 4 ปีที่แล้ว +2

    정말 하나하나 주옥같은 말씀이예요~

  • @youngkos3520
    @youngkos3520 4 ปีที่แล้ว +2

    좋은정보 얻고갑니다. 특히 교구에 대한 교수님의 생각 완전히 동감해요. 저도먼저 진짜 과일 야채로 시작해서 책과 토이를 함께하며 접하게하는데, 역시 진짜만큼 풍부한 정보를 전달하진 않지요. 몬테소리 스타일 교구도 함께하는데요, 교구는 그냥 정보만 주는것보다는 생각을 하게해주는 퍼즐 중심으로 , consequences를 통해 좀더 깊게 탐구할수 있는게 좋으것 같아요. 다음 영상 넘 기대되네요.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주옥같은 댓글입니다^^

    • @youngkos3520
      @youngkos3520 4 ปีที่แล้ว

      @@rounmom_yougatamgu 쑥스. .. :)
      저의 육아여행을 함께 해주는 로운맘 영상들 항상 잘 보고 있어요. 항상 건승하세요.

  • @파닭파닭-g9h
    @파닭파닭-g9h 4 ปีที่แล้ว +6

    우리 애기 0세에서 곧 1세가 돼요~ 한국 나이 2살이긴하지만 ㅋㅋ 시간 참 빠르네요. 제대로 해준게 없는거 같아서 슬퍼요 ㅠㅜ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1

      로운맘도 마찬가지에요. 공부하고 보면 놓친 것 투성...못해준 것 투성...그저 엄마는 최선을 다하며 사랑을 주고 있으니 그걸로 퉁치자라는 베이스로 육아하고 있습니다^^

  • @dajeongko8410
    @dajeongko8410 3 ปีที่แล้ว +2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쏘유-r7j
    @쏘유-r7j 2 ปีที่แล้ว +1

    이번영상 너무 좋은거 같아요!

  • @clairelee902
    @clairelee902 4 ปีที่แล้ว +3

    정교수님의 홈투어 (영상에 보이는 장소) 영상은 혹시 없을까요. 너무 매력적이네요..몬테소리를 준비하는 엄마로서요..

  • @송영진-j1t
    @송영진-j1t 2 ปีที่แล้ว

    너무나 좋은 영상이에요 고맙습니다

  • @neopop7
    @neopop7 4 ปีที่แล้ว +1

    교수님 말씀 직접 들을 수 있어서 몬테소리 정신에 대해 더 잘 알게되었어요. 좋은 영상과 만들어주신 로운맘팀과 말씀으로 참여해주신 교수님께 모두 감사드립니다.!!

  • @임은진-y5n
    @임은진-y5n 4 ปีที่แล้ว +7

    유아교육과를 전공했고 현재는 3살,1살 두 아이를 키우고있어요. 대학생때 몬테소리 유치원으로 실습 나가서 봤을때는 아.. 아이들이 너무 정적인것같고 자유로운 분위기가 없네..아이들은 자유롭게 뛰노는게 최곤데.. 이런 아이들이 창의적인 아이들로 자라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에 몬테소리는 절대 보내지말아야지 했었는데 지금 3살 아들을 키워보며(과하게 에너지가 넘치는 아이) 뭔가 스스로 통제할수있는 아이, 자율적인 아이로 키우고싶다는 생각을 하게되며 다시 몬테소리에 관심을 갖게되었지만.. 교육철학은 저와 부합하나 뭔가 교구를 너무 강조하는 부분에서 몬테소리는 창의적인 아이와는 거리가 먼 교육일까? 라는 고민이 되어지더라구요.. 근데 몬테소리의 교육철학에서 약간 상업적으로 변질되어진 부분들이 있었던거군요ㅠ
    요즘에 너무 아이들 교육적인 부분을 고민하다보니 몬테소리, 발도르프, 책육아, 우뇌교육, 상상력,창의력 넘치는 아이로 키우는법 등 머리가 과부하가 걸려있었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ㅠㅠ
    몬테소리 교육은 하고싶으나 다른 분들처럼 교구값이 부담스럽고 과연 이 교구들을 통해서만 내 아이가 그 철학에 부합한 아이가 될 수 있을까 생각되어져 집에서 일상생활 영역 위주로 스스로 할 수 있게 간단한 교구,환경을 만들어주고 교구는 몬테소리 교구와 비슷한것들을 간단히 배치해주었는데 앞으로 여기에 플러스로 실제적인 경험들을 많이 시켜줘야 하겠네요~~ 돈주고 들어야하는 비싼 강의를 이렇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ㅠㅠ 구독하구 꼭꼭 챙겨볼게요💕

  • @freesoul2652
    @freesoul2652 4 ปีที่แล้ว

    정말 좋은 강의네요. ! 감사합니다. 다음편 기대되네요 ^^

  • @박영희-v7j
    @박영희-v7j 3 ปีที่แล้ว

    오늘 정말 마니 배우고 갑니다~ 열시미 하나하나 실천해 봐야겠어요~ㅎㅎ

  • @ggumi2020
    @ggumi2020 4 ปีที่แล้ว +1

    오늘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퍼스트제인
    @퍼스트제인 4 ปีที่แล้ว +9

    전편에서도 그랬지만 이번편이 마지막일거라 생각하고 다 본 후 질문을 올리려했는데 거듭 강조되는 부분인것 같아 궁금해서 올립니다.
    몬테소리는 평화,화합,안정된 환경을 통해서 아이가 자기주도적이고 정상화되는 과정임 더 나아가 사회의 공익과 이타적인 삶을 추구 조화로운삶 인듯 한데
    환경조성의 예로 다른 형제의 모습을 모방하며 경험하고 서로 도우며 배워가며, 부모의 필요에 도움을 주는것에대한 성취감.
    또한 교구사용을 혼자서만 몰입하는것을 토대로 이기적이게 될수있는 단점등에서 궁금한것이 요즘 시대는 사실 둘 낳기도 많이 어렵고 힘들잖아요? 더욱이 코로나로 경제적인 부분의 힘듦속에 살아가는 가정이라면 더욱이 자식 한명만 낳자로 가게되는데 0-3세를 거쳐갈때 외동아들, 딸들은 가정에서 이타적인 삶을 배우기가 쉽지가 않을까요? 물론 부모의 모습을 모방하며 배우기도 한다지만 같은 또래들끼리 겪어가는 생각 감정 체험등은 기관을 통해서만이 현재로써는 가능해보이는데
    이런 시국속에서 기관에 보낼수없고 부모가 자식에게 주는 사랑은 무한대이기 때문에 어떤사실에 대해 객관적일수없는 경우가 많잖아욥~ 내용이 길어졌는데 다시 정리하자면
    Q.외동으로 살아가는 아이들에 경우 0-3세까지 기관에 도움 없이 몬테소리를 가정에서 실천했을때 몬테소리 여사의 교육 철학대로 자라나며 키워질수 있는지가 궁금하네요
    오히려 외동들에 가정에서 몬테소리 교육이 너무 독립적이고 자립적인 부분만을 강화시켜서 궁극적인 목표인 이타적이고 조화로우며 남과의 협력 협동이 잘안될수있지않을까 염려가되서요

    • @퍼스트제인
      @퍼스트제인 4 ปีที่แล้ว

      아 그리고 로운맘님의 영상 항상 잘보고 공구도 하는 구독자입니다^^ 애청자에요~
      자녀교육에 관심이 많은만큼 노심초사 하는 부분도 많아서 드린 질문입니다~
      부모가 자식에게 좋은 모델링이 되길 바라는 맘이 커서요~

    • @나니링-f9i
      @나니링-f9i 4 ปีที่แล้ว +3

      저도 이분 의견이 동감해요.. 어느순간 한 부분에 치우치시는듯 해요~ 전 이로운 위크도 참여하고 도움 많이 받지만 유튜브는 많은 사람이 보잖아요~ 어느순간 몬테소리로 좀 치닫는 느낌이네요. 프뢰벨도 들였는데 아기가 안보기도 하고....... 부모입장에서 큰돈 나가는건 리뷰 조심 하셨으면 하시길 바라요.....

    • @껌딱지엄마
      @껌딱지엄마 4 ปีที่แล้ว

      @@나니링-f9i 전 개인적으로 책은 프뢰벨이 더 나은 것 같아요. 몬테소리는 교구 위주이기 때문에 책은 프뢰벨 교구류는 몬테소리!
      베싸tv 보면 몬테소리 교구 저렴한 걸로 추천해줘요. 참고하셔요~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1

      인스타에 댓글 남겨주신 분이시군요^^ 네 아직 교수님 영상이 두편 더 남아있어요. 그리고 교수님의 말씀이 충분히 끝난 후 교수님이 말씀하신 내용을 몬테소리 교육의 철학을 사랑하는 엄마의 입장에서 정리해 드리려 해요. 질문에 대한 답은 절대 결론만 먼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에 이렇게 답변을 대신하는 점 양해 부탁드려요

    • @퍼스트제인
      @퍼스트제인 4 ปีที่แล้ว

      @@rounmom_yougatamgu 신중한 답변감사합니다~^^ 육아는 흑백논리처럼 이것 아님 저것이 될수없고 아이들마다 케바케인경우가 많다는것을 알고있어요~ 이번도움주신 영상으로 앞으로 교육에 방향을 좀 잡을수있으면 좋겠어요 고맙습니다

  • @ellakim5466
    @ellakim5466 4 ปีที่แล้ว

    진짜 주옥같은 말씀이고...질문의 수준 엄지척!!! 이런 귀한 영상 어디에도 없어요- 수시로 돌려볼거에요!!!

  • @라라-j2j1o
    @라라-j2j1o 4 ปีที่แล้ว

    오늘 정말 정말 귀한 말씀을 들을 수 있는 영상이었습니다. 드디어 몬테소리 교육의 가치와 목적을 분명하고 제대로 인식하게 된 거 같아요. 다음 영상도 너무 보고싶어서 어떻게 견디나 싶습니다...

  • @iuulllill965
    @iuulllill965 4 ปีที่แล้ว +1

    오늘 영상 특히 더 좋네요!! 추천해주신 몬테소리 책에 나온 이야기들을 이렇게 구체적으로 보고 들으니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다음 영상도 기대되요!!!

  • @sunnymommy797
    @sunnymommy797 4 ปีที่แล้ว +6

    교수님이 언급하신..몬테소리 교육이 일부 한국에서 (고가)영재교육의 툴로 상업화 되어있는 것에 대한 로운맘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제가 같은 고민을 하는 중이라서요. 그래도 고가의 그 교구들이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영재교육의 상업화에 내가 휘둘리는 것은 아닌지)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4

      네 저도 교수님의 말씀에 매우 동감합니다. 한국만큼 몬테소리를 상술적으로 혹은 영재교육의 하나로 활용하는 나라가 있을까 싶기도 해요. 그래서 교수님의 인터뷰를 준비했어요. 로운맘은 이미 모든 교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인데 몬테소리가 상술로 이용되고 있는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메세지에 힘이 없을거라 생각했기 때문이에요. 그렇지만 엄마아빠 분들에게 한국에서 몬테소리 교육이 잘못 인식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 알리고 진짜 몬테소리 교육의 철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리고 싶었어요.
      상술에 속기 싫어 교구를 구매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여전히 몬테소리를 하면 아이가 공부를 잘하게 될 거라는 생각에서 자유롭지 못한 분위기고요.

    • @rosemarryy7733
      @rosemarryy7733 4 ปีที่แล้ว

      아~~저는 아이가 초고학년이되어서야
      저가 코칭공부를 하면서 상통되는부분이 많아
      몬테소리자격증공부를 하고있어요
      많은 미디어와 손에쥐어진 기계로
      우리의근육감각과 일상생활의중요성을 더욱깨닫게 되는 요즘입니다~~
      긴호흡으로 교구를 하나하나 체험하면서
      그동안 들어서 알았던 얇팍한지식이아닌
      정말 몬테소리여사의 환경의중요성 변화시키지않은 정확한교구와 아이스스로집중할수있게 돕는 교수법으로 많이배우고 있고 지금제아이나 제가족에게도 더없이 그가치가 발현되는것을 봅니다♡

  • @shiunlee1696
    @shiunlee1696 3 ปีที่แล้ว +1

    다음 3편은 언제쯤 나올까요? 혹시 제가 못찾는건 아닐까 걱정되서 댓글답니다!

  • @김미정-d7m
    @김미정-d7m 4 ปีที่แล้ว +5

    너무나 유익한 인터뷰인데, 한가지 궁금한것이 유리컵이란 잘못 다루면 깨질수도 있다는걸 (현실. . 그러니까 유리의 본래성질이요. )알려주기 위해서 실제 유리컵을 사용하는건데. . . 깨지지않는 유리컵을 주는것은 플라스틱컵을 주는것과 무엇이 다른건가요? ? 이 부분이 이해가 안됐어요. 😅

    • @ejjo9104
      @ejjo9104 4 ปีที่แล้ว

      저도 이 부분이 궁금하더라구요~로운맘님 답변 부탁드려요 ~^^

    • @borakim3229
      @borakim3229 4 ปีที่แล้ว +3

      영상에서. 아이의 수준에 맞춰... 라고 말씀하시잖아요?? 유리컵도 강화유리에서부터 얇은것도 있잖습니까. 가족이같이 쓰는 것ㅡ유리컵을 안전한것부터 제공하다 아이가 커갈수록 점점 나아지겠죠. 언젠간 와인잔도 줄수있겠죠. 유리컵 뿐아니라 우리가 쓰는 식기는 조심히다뤄야하는것이 많잖아요. 아이가 유리컵으로 식탁을 내려칠때 그냥두지않잖아요? 계속 가르치죠.
      제아이도 저와 똑같은 컵ㅡ강화유리로된 컵으로 마셔요.가족이쓰는 같은 코렐식기로 밥먹습니다.14개월인데 이제는 물을 흘리지않고 잘 들고 내려놓아요. 식기로는 장난을 못치게합니다. 이런환경을통해서 식기는 조심히 다뤄야한다는걸 점점 배우는거죠. 유리가 깨지면 위험하다는것은 사실로.지식으로 알고있어야지 실제경험할필요는없겠죠? 진짜칼을 제공하지 않는다라는 선생님의 말씀처럼요. 아이가 다룰수있는 나이가되면 언젠가 제공해야지요. 자연스럽게 올겁니다. 다만 그전에 무언가를 자르는행위ㅡ음식을하려면 재료를 잘라야하는 실제적행위ㅡ는 막으면안된다. 그러니 버터자른칼을 제공해 가족이 먹을 바나나를 잘라보게하자ㅡ
      라는 뜻아닐까요.
      저도 님의 질문을 보고 곰곰 생각해봤습니다.

    • @ejjo9104
      @ejjo9104 4 ปีที่แล้ว

      @@borakim3229 어떤 유리컵 사용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 @borakim3229
      @borakim3229 4 ปีที่แล้ว +1

      @@ejjo9104 link.coupang.com/re/CSHARESDP?lptag=CFM82572166&pageKey=2004834552&itemId=3411188965&vendorItemId=71397783289
      커피마시는 잔이요ㅎㅎ. 약간 무게감있는데. 저는오히려좋았어요. 가족이 함께 같은 컵을 쓰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12개월부터 썼습니다. 화이팅

    • @ejjo9104
      @ejjo9104 4 ปีที่แล้ว

      @@borakim3229 네 정보 감사해요~

  • @반짝반짝-d5n
    @반짝반짝-d5n 4 ปีที่แล้ว +3

    오매불망 기다렸는데 보자마자 담편이 벌써 또 궁금합니다. 너무너무 유익한 영상이네요. 감사드려요👍❤️몬테소리 교육에 매력을 느끼고 돌전에 교구도 들이고 나름 환경을 제공해주고자 노력은 했었는데 이 영상보고 나니 정작 중요한 일상생활 영역에서는 환경을 제공해주지 못한거 같아서.. 저 역시 교구로 대리만족을 하고 있는건 아닌지 되돌아보게 됩니다.
    로운맘님이 영사님께 했던 질문 저도 너무 궁금한부분이었고 하나 질문을 드리고 싶은게 저희 13개월 아들은 식사하기 옷입기 등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하는것에 대해 거부감? 이 있는것 마냥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의지가 보이지 않아 어쩔수 없이 많은 부분을 제가 다 해주게 되는데 이런 저희 아이한테는 어떻게 다가가서 스스로 할수 있겍끔 도와줘야하는지 로운맘님 조언을 구해보고 싶습니당🙏❤️

    • @rosemarryy7733
      @rosemarryy7733 4 ปีที่แล้ว +1

      제가 조금 도움말씀을 드리자면 아직13개월이잖아요 조금씩 관심갖게될거예요
      몬테소리 일상영역에 옷입기 양말신기 물건옮기기(손전체 손가락 국자 숟가락)
      물따르기 자연물(과일씨앗,조개,작은돌)등 일상을 교구화시켜 나무쟁반에 셋팅하여 연습해보도록하고있어요 하는방법들을 아이에게 제시해줘보세요 운동화끈처럼 처음에는 안되겠지만 아이들은 계속반복연습해볼거예요

    • @반짝반짝-d5n
      @반짝반짝-d5n 4 ปีที่แล้ว

      @@rosemarryy7733 아~ 넘 감사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실천해봐야겠어요^^

  • @YoonKyeongChoi
    @YoonKyeongChoi 4 ปีที่แล้ว +1

    교수님 책에 관한 리뷰도 듣고싶어요 ㅎ

  • @annason1061
    @annason1061 4 ปีที่แล้ว +2

    너무 많은 정보를 얻고 갑니다 ㅠㅠㅠ

  • @ejjo9104
    @ejjo9104 4 ปีที่แล้ว +2

    좋은 영상 감사해요. 영상 중에 교구에 혼자 집중하는 아이가 이기적으로 클 수 있다는 내용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그럼 교구를 어떻게 가지고 놀아야 이타적인 아이로 클 수 있을까요?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1

      오늘 저녁과 마지막편 영상까지 보시면 조금 더 이해가 쉬울 것 같은데요...교구에 혼자 집중하는 것 자체로 나쁜 것은 아니에요. 몬테소리 교육에서 교구는 원래 공동체(어린이집 등)에 구비되어 있을 때 혼합연령의 많은 다양한 아이들이 주어진 몬테소리 활동시간 (2-3시간) 동안 활용하며 스스로 집중하도록 해요. 교구가 제한적으로 있기 때문에 다른 친구가 사용하면 나는 기다렸다가 해야하기도 하고 다른 것을 선택하여 하기도 하죠. 그리고 기다리는 동안 언니오빠 형아 동생이 활동하는 것을 보며 배우기도 하고요. 하지만 한국처럼 이렇게 풀세트의 교구를 각 가정에 다 들여놓고 교구활동을 하는 것은 사실 앞서 이야기 드린 그런 교구활동과는 차이가 있을거에요. 오로지 내 아이만을 위한 너무나도 품질 좋은 교구가 항상 우리아이를 기다리고 있고 아이는 이것을 당연시 여기고 나 혼자 교구를 하고 만족하는 과정을 거칠수밖에 없으니...이런 과정에서 이기적으로 클 수 있다는 이야기로 이해하시면 되어요

    • @ejjo9104
      @ejjo9104 4 ปีที่แล้ว

      @@rounmom_yougatamgu 아 그렇군요 교구에 집중하는게 나쁜 건 아니네요. 다음 영상 기대할게요~^^

  • @조이조이-q9w
    @조이조이-q9w 4 ปีที่แล้ว +1

    너무 유익한 영상 감사해요~
    5개월된 남자아기에게 점퍼를 태워줄까 말까 고민중인데요~ 로운맘님은 아이들 점퍼 태우셨는지 문득 궁금해집니다. 그리고 몬테소리 철학에서 점퍼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요..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1

      점퍼는 몬테소리 철학보다는 안전 문제 등과 더 연관이 될 것 같아요. 저는 아기가 걷을 때까지 오히려 대근육 소근육 운동발달을 위한 활동에 더 집중했어요. 점퍼는 아기의 발달에 따라 5-15분 이상 오래 태우게 될때 척추에 무리를 줄 수 있다고 하기 때문에 잠시 아기를 안전하게 혼자 둥어야 하는때 등에서 주로 사용했어요 로운맘은

  • @하이팅-v8v
    @하이팅-v8v 4 ปีที่แล้ว +1

    오 ㅋㅋㅋㅋㅋㅋㅋ 거의 끝나갈 쯤에 인간극장예고편인줄 알았어요 ㅋㅋㅋㅋㅋ
    너무 궁금해서 귀쫑긋하고 있는데
    갑자기 끝나버렸...ㅠㅠ 업로드 기다리겠습니다!
    요즘 몬테소리 교구도 알아보고.. 아이방 환경은 어떻게 구성해주면 좋을까?
    고민을 하고 있는데 다시 한번 정리해주는
    귀한 영상인것같아서 감사합니다ㅜ.ㅜ

  • @dear2707
    @dear2707 4 ปีที่แล้ว +7

    저희 아기가 16개월인데...책속의 귤 오렌지만 보면 쫓아와서 주방에 귤을 달라고 해요 그래서 그걸 그렇게 찢고 뜯고 맛보고 터트리고;; 하도 자주해서 오늘 못 하게 했는데...그냥 하게 둬야겠네요 ;;; 포도를 보면 블루베리 달라고 주방으로 쫓아와요....아이의 가능성을 차단하지 말아야겠네요...ㄷㄷㄷ 귤로 난장을쳐서;; 껍질까고 제대로 못까잖아요 아시죠 물 줄줄 ㅠㅠㅠ 옷을 몇 번 갈아입히는지 ㅠㅠ 그래서 힘들었는데......놔둘게요 ㅠㅠ

    • @yeri0903
      @yeri0903 4 ปีที่แล้ว

      저희아이도 16개월인데.똑~~~같아요 ㅠㅠ
      저도 그래서 귤을 못주고 안주고 직접까줘서 먹여주고 했는데 ㅜㅜ
      저희아이만 그런줄 알았는데 ...이상한게.아니라 정말 다행이고 반갑네요 ㅎ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1

      ㅎㅎㅎ저는 귤이나 포도처럼 점점 감당 안되는 아이템은 저의 정신건강을 위해 매번 그냥 주지는 않고요 2/3정도는 까서 그릇에 주고 나머지 1/3만 껍질채 주어요^^

    • @rosemarryy7733
      @rosemarryy7733 4 ปีที่แล้ว

      레몬오렌지 짜는소품있잖아요 쥬스컵과함께 나무쟁반에 과일 쥬스짜기교구로 세팅해줘보세요

  • @yyuunneeww
    @yyuunneeww ปีที่แล้ว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어느대학 무슨과 교수님이실까요~~?

  • @씽뾱뾱
    @씽뾱뾱 4 ปีที่แล้ว +4

    몬테소리 교제나 교구 구매하려면 어디서 구매할수있을까요?? 인터넷을 쳐보니까 여기저기 몬테소리라하고 많아서요ㅠㅠ

    • @박주일-m2d
      @박주일-m2d 4 ปีที่แล้ว +1

      직접 피스멘토님 통해 구매가능하세요~한국 몬테소리가 있고 아가월드라고 수입하는 교구가 있어요

  • @Hamaria7221
    @Hamaria7221 4 ปีที่แล้ว +1

    교수님께 배움을 얻으려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 @rounmom_yougatamgu
      @rounmom_yougatamgu  4 ปีที่แล้ว

      instagram.com/amimontessori_kr?igshid=1tg1bkuyjnyf2
      이것에 홈페이지 링크도 있어요

  • @dear2707
    @dear2707 4 ปีที่แล้ว +1

    0~3세 라는 기준이 만인건가요?? 16개월이지만 한국나이로 3살인데;;; 너무 늦지 않은건 아닌가 걱정이 되네요..ㄷㄷ

    • @박은희-b4c
      @박은희-b4c 4 ปีที่แล้ว +2

      만나이로 보셔야할거 같아요~3돌정도요^^

    • @예쁜동자
      @예쁜동자 4 ปีที่แล้ว +2

      교육학자들은 만으로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보는 나이로는 5세까지로 보면되고, 16개월이면 더 두고 보셔요.
      아직 걱정할 시기는 아닌듯,
      제가 이 또래 아이들 돌보는 직업이였어서 댓글 드립니다.

    • @joohakim5411
      @joohakim5411 4 ปีที่แล้ว

      16개월은 만1세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