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럼프시험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9 ต.ค. 2019
  • 콘크리트의 부드러운 정도를 재는 시험. 원뿔대 모양의 틀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다진 뒤에 틀을 떼어 냈을 때 내려앉는 정도로 잰다.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31

  • @user-sc6px8tx5b
    @user-sc6px8tx5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슬럼프시험을 기사준비한다고 그냥 글로 봤을 때는 이해가 잘 되지 않았는데 직접 보여주시니 이해가 빠릅니다. 감사합니다

  • @user-to5gx5it9f
    @user-to5gx5it9f 2 ปีที่แล้ว +4

    저도 건설재료학 공부하면서 슬럼프 시험이 궁금했는데, 영상 덕분에 이해에 도움 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

  • @dongjilim9561
    @dongjilim9561 3 ปีที่แล้ว +4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역시 영상으로 보니 확 와닿습니다

  • @user-jg5yd1cd4q
    @user-jg5yd1cd4q ปีที่แล้ว

    슬럼프 시험에 관해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Moolmungmung2
    @Moolmungmung2 2 ปีที่แล้ว

    전산응용건축제도 공부중입니다. 슬럼프값 이란게 나오길래 궁금하여 찾아보니 좋은 영상이 있네요 참고 많이 되었습니다.

  • @user-nx5kq8qy3t
    @user-nx5kq8qy3t 4 ปีที่แล้ว

    도움되었습니다 영상 잘봤습니다ㅎㅎ

  • @user-ti3vr9rp6u
    @user-ti3vr9rp6u 2 ปีที่แล้ว +7

    저도 회사다니는데 다 가라로합니다 진짜 공부한시간 너무아까움

    • @jackpotchiken
      @jackpotchiken ปีที่แล้ว

      우리들은 교수들의 말에 속았지

  • @user-ds2tq6dm4h
    @user-ds2tq6dm4h ปีที่แล้ว

    게이지 달린 둥근원통 시험은 무엇을 측정하는 시험인가요?

    • @deepsound871
      @deepsound871 ปีที่แล้ว +1

      공기량 테스트요

  • @thekoreanhoon
    @thekoreanhoon ปีที่แล้ว +4

    레미콘 품질관리 일 힘들다고 들었는데 장단점 좀 알려주시길

    • @deepsound871
      @deepsound871 ปีที่แล้ว

      장점 힘든만큼 배우고 올라갈길이 보임, 초봉부터 작지않아서 좋음, 회사들마다 다르지만 레미콘회사에서 품질을 응원해줌, 생각보다 많은 지식을 얻어서 건설쪽 이직이 쉬워짐, 단점 몸이 많이 힘듬, 몸도 힘들고 현장가서 시험해야하는데 생산부에서 못하면 품질직원이 많이 힘듬, 빠른출근 가장늦은 퇴근, 같은 레미콘 회사 직원들 다 퇴근하는거 보고 제일 늦게 퇴근함 그런거보면 급여를 더 올려줘야함

    • @user-dq5yq5ii1z
      @user-dq5yq5ii1z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레미콘 품질 1년 했다가 퇴사했습니다. 우선 일자체가 사기꾼 과 능구렁이 같이 넘어가는 성격 그리고 전문성이 어느정도 필요하고 무엇보다 강인한 체력이 필요합니다.
      주로 일하는건 슬럼프,공기량,염화물,온도 이렇게 4가지를 현장에서 시험합니다. 시험한뒤에 남은 콘크리트를 펌프카에 버리거나 폐기물로 처리해야하기때문에 삽질을 굉장히 많이합니다.
      시험을 정리한뒤에는 공시체(시험체)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에 체력을 굉장히 많이 소모합니다. 제가 갔던 제일 빡센 현장같은경우 28일강도 9개 7일강도3개 예비3개 수평3개 수직3개 이렇게 만들었고 추가시험이 있으면 28일9개7일3개 수평3개 수직3개 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이게끝이 아닙니다 겨울같은경우 콘크리트타설후 보온양생을 하는데 이걸 타설부위까지 갖다 놔야하기때문에 양손에 공시체 들고 계단타고 올라가셔야 합니다.호이스트가 있다면 아주 다행이지만 없는경우가 있습니다.
      참고로 공시체 무게는 1개당 대충 8~10kg 정도 됩니다. 이걸 철제로 만든 캐리어가 있다면 4개씩 집어넣습니다. 한손에 대충 40kg 씩 들고 가셔야해요.
      현장에서 직접 공시체를 만들고 그거 수조에 예쁘게 넣어준뒤에 현장에서 폐공시체 (강도시험후 폐기물)을 갖다버리라고 하는데 이걸 어떻게 잘 말해서 넘어가거나 아니면 눈물 머금고 차에 옮겨실어야 하는데 그나마 포터,봉고가 편합니다.
      레미콘 회사같은경우 자체적으로 강도시험을 하는데 현장에서 미리만들어놓은거 강도확인합니다. 보통 3~4일 7일 14일 21일 강도를 확인하구요 3~4일에 기준강도 70%정도 나오면 합격이고 그 밑으로 나오면 바로 공장에서 제작한뒤에 본인의 재주껏 숨겨놓은 감리자 싸인이 들어간 싸인지를 갖다 붙입니다.
      제가 만난사람중에 손목 안아픈사람 딱 한명봤고 오래 일한사람들은 허리디스크,관절염등 고생하는사람 봤습니다.
      저같은경우 4달일하고나서 슬슬 손목에 통증오더니 6달 부터 정형외과 가서 충격파치료 주사치료 + 약 달고살았습니다.
      레미콘 품질일은 퇴사율이 매우매우높기떄문에 옆레미콘 회사 품질직원 내일못볼수도 있어요.
      그리고 주기적으로 건설회사에서 감리자 데리고 공장점검 오는데 눈앞에서 시방배합 (시험실 배합시험) 해야해요. 믹서(섞어주는 기계)가 있다면 다행이지만 없는경우 삽들고 섞으셔야해요.만약 혼화제 회사에서 사람이 파견나온다고 하면 그사람들 시키면 되지만 그것도 눈치껏 일시켜야 합니다. 대부분 같이작업해요.
      요약.
      퇴사율이 내가 다녔던 그 어느 회사보다 높았음 내 첫 신입은 현장 한번 같이가자마자 퇴사함.
      그이유는 엄청난 육체노동떄문인데 일단 일 시작하면 손목 내구도부터 닳기시작함. 빠르면 3일이내 부터 시작함.
      출근은 제일빨리하고 퇴근 제일 늦게하는거 맞음 성수기땐 심심치않게 야근함 성수기가 아니라도 타설이 잡혀있다면 가서 시험해야함.
      업무강도가 높기때문에 보통 레미콘 품질직원은 소수로 운영됨 그렇기때문에 님이 다니는 현장이 많아짐. 그만큼 또 육체 내구도 소모함.
      솔직히 비전은 없는거같음.
      추가로 보통 레미콘 신입은 35살 넘어도 받아줌. 그냥 님 몸뚱아리만 오면 다받아줌

  • @user-fp5bi8ep9w
    @user-fp5bi8ep9w 2 ปีที่แล้ว

    재욱이형 파이팅!ㅋㅋ

  • @user-ub3bf6do8u
    @user-ub3bf6do8u 3 ปีที่แล้ว

    지금 건설정보과다니는 고1입니다 실기작업형자격증에도움이되었습니다

  • @hodoo7942
    @hodoo7942 ปีที่แล้ว +1

    초짜인가 다지는거부터 슬럼프 공기량 싹다 제대로 안하네

  • @user-cq9yb6zf4n
    @user-cq9yb6zf4n 2 ปีที่แล้ว

    이영상 혹시 시험하시는분 동의하에 올리신건가요???? 아니면 당장내리세요

    • @user-xv9xo3oe4j
      @user-xv9xo3oe4j 2 ปีที่แล้ว

      노친네 갈길 가 라

    • @user-sc6px8tx5b
      @user-sc6px8tx5b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4

      니가 뭔데 내려라 마라야? 슬럼프 시험은 기사시험에도 문제로 출제되는 만큼 중요하다. 모르겠으면 가만히 보기나 해라

    • @user-cq9yb6zf4n
      @user-cq9yb6zf4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sc6px8tx5b왜반말인데? 영상시험하신분 동의했냐 물어본건데 글 못읽으시나?

  • @user-lg8ie5hn5f
    @user-lg8ie5hn5f 2 ปีที่แล้ว +2

    공기량 ㅋㅋㅋㅋ 웃고갑니다

    • @user-yx4sw4ox8e
      @user-yx4sw4ox8e 2 ปีที่แล้ว +1

      동영상 보기전인데 ㅋㅋ 맞추든가요

  • @user-ll3ly8wh2f
    @user-ll3ly8wh2f 2 ปีที่แล้ว +1

    엉망이네요 용적으로 1/3씩 채워 층당 25회 다짐 지키지 않고 공기량 또한 다짐불량

  • @user-wb8zp5hc7t
    @user-wb8zp5hc7t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시험자분이나 영상 올리신분이 슬럼프나 공기량 시험 방법의 숙지가 덜 되있는거 같네요
    슬럼프 채우는 분량, 다짐 횟수, 공기량 채움 분량, 다짐 횟수 모두 엉터리네요...
    엉망으로 시험 하는 영상으로 이제 배우시는 분들도 잘못 배우실까봐 걱정이네요...
    혹시나 이 영상으로 자격증 시험 참고하시고 시험장 가시면 탈락입니다.
    뭘 보라고 올리신건지 모르겠네요... "이렇게 하면 안되는거다"라면 합격입니다.

  • @user-jy9zq3gw4r
    @user-jy9zq3gw4r 3 ปีที่แล้ว

    공기량 ㅎㅎㅎ

  • @kimmin8227
    @kimmin8227 3 ปีที่แล้ว +1

    예전에 할때는 그냥 바닥에다가 시료를뿌리고 했는데 요즘은 리어카로 시료를받는구만ㅎㅎ 육안으로봤을때 슬펌프가15~16은 나오겠구만 다짐횟수를 적게하고 슬럼프콘도 천천히들어올리는거보소 ㅋㅋ 공기량도 다짐횟수를 적게하는거보니 공기량이 많이나올꺼같으니께 적게다지고 레버를 한번만 살짝눌러서 마추고ㅋㅋ 저레버 한번더꾸욱누르면 오버할꺼같은데 ㅋㅋㅋ 건식말고 습식으로하면 공기량은 장난못치지 ㅋㅋㅋㅋㅋㅋ

    • @user-ws3pj3yg7r
      @user-ws3pj3yg7r 3 ปีที่แล้ว +3

      예전이야기 입니다 지금 타설 이 중요하지 시험은 이미 중요하지 않은지 오래 되었습니다
      감리분 하고 시험실장님 들 차잡고 회차 시키면 소장이 짜르고 다른사람 뽑습니다

    • @user-lg3xg4mr1w
      @user-lg3xg4mr1w 3 ปีที่แล้ว

      ㅋㅋㅋㅋ 다짐횟수랑 공기량이랑 뭔 상관이에요?? 이해할수가없네 실제로 시험은 해보셨나????ㅋㅋ 실제로 해보셨어요 ?? 3층 25회 다지게 되있지만
      25회 다지나 20회 다지나 15회 다지나 똑같이 나와요

    • @user-gi5gj8bh2s
      @user-gi5gj8bh2s 3 ปีที่แล้ว +1

      지가다해본거얘기하고있노 ㅋㅋ

  • @user-nu1jj7bz5s
    @user-nu1jj7bz5s 3 ปีที่แล้ว +2

    헐 구라

    • @user-nu1jj7bz5s
      @user-nu1jj7bz5s 3 ปีที่แล้ว +2

      콘이30센치미터인대 체적에따라서 3등분 해서다지고 다지는횟수도각층마다25회다져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