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온] 서로 만나지 못한 🌊강과 바다에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강, 다시 바다를 만나다" (KBS 20220211 방송)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7 ก.พ. 2022
  • 다큐ON (토요일 밤 11시 40분 KBS 1TV)
    “강, 다시 바다를 만나다” (2022년 2월 11일 방송)
    물은 모든 생명체에게 필요하다. 인간 역시 생활하고 생산하는 모든 곳에 물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빌려 썼던 물을 지배하기 시작했다. 하굿둑도 그렇게 세워졌다. 해일과 홍수를 예방하고 안정적으로 용수를 확보한다는 명목이었다. 강의 하구에 거대한 구조물이 세워지면서 쓸모없는 바닷물은 막고, 쓸모가 많은 담수만 끌어왔다. 그렇게 30여 년이 흘렀다. 서로 만나지 못한 강과 바다에는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
    “하구를 둘러싼 분분한 견해 차이”
    하굿둑을 둘러싸고 상반된 두 가지 의견이 있다. 첫째는 하굿둑을 열어야 자연도 사람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50년 넘게 낙동강을 지켜온 어부는 하굿둑에 막혀 물고기가 사라진 어장 때문에 고달파진 삶을 토로한다. 또,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9천 마리 이상의 큰고니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든 것은 먹이 부족을 가져온 생태의 변화 때문이라고 한다. 큰 배가 드나들 정도로 깊었던 장항항에 토사가 쌓여 그 기능을 상실한 것도, 600년의 전통을 가진 포구마을이 전국에서 가장 가난한 마을이 돼버린 것도 모두 하굿둑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30년간 하굿둑이 있는 삶에 익숙한 사람들은 물의 사용처도, 사용량도 더욱 다양하고 많아졌음을 지적한다. 하굿둑을 열었을 때, 물이 유통하고 강의 저수량이 적어지면서 파생될 문제 예컨대 용수 부족과 염해피해에 대해 우려한다. 그래서 농민을 중심으로 모인 두 번째 의견은 하굿둑의 개방을 반대하고 있다.
    둑을 열어야 살 수 있다는 사람들과 열면 죽을 것이라는 사람들의 견해 차이. 해결 방법은 없을까?
    “네덜란드 사례로 보는 해수와 담수의 성공적인 유통”
    강의 하구를 통째로 막은 나라는 우리나라와 네덜란드밖에 없다. 우리보다 일찍이 바닷물을 막았던 네덜란드는 녹조와 수생태계 파괴를 먼저 경험했고, 해결방법을 고민했다. 그들의 선택은 하굿둑은 유지한 채 바닷물을 강으로 유입하는 것이었다. 바닷물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일정 지역만 기수역으로 조성해 어류 회귀와 수질 개선의 기반을 만들고, 인근 농지는 상류에 신설된 취수원과 연결된 관로를 통해 맑은 물을 공급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수질은 개선되었고 농사에도 아무런 지장이 없었다. 물이 맑아지고 바다와 연결되면서 강 주변 마을에는 관광객이 찾아오고 농업만큼이나 관광업이 번영하게 되었다. 하굿둑을 개방하자 시민도 농민도 모두 행복해졌다.
    “하굿둑이 열리고, 강은 다시 미래를 만났다”
    우리나라에서도 낙동강 하굿둑을 개방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목표는 낙동강 하굿둑의 수문 중 일부를 열어 바닷물을 유입하고, 상류 15km 지점까지를 기수역으로 복원하겠다는 것이었다. 다만, 관건은 염분의 유입범위를 15km 지점으로 조절할 수 있는지였다. 조절에 실패하면 부산시민의 식수와 김해평야의 농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낙동강 하구 통합운영센터를 설치해, 실시간 염분 모니터링과 수문 관리 자동화 시스템, 5개 관계기관의 통합운영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3년간의 시험개방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염분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주변 농지에 염해 피해를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 낙동강은 시험개방의 성공을 기반으로 본격 개방에 돌입한다. 또한, 낙동강의 사례는 다른 강의 하굿둑 개방 노력에 기폭제가 되고 있다. 다시 강과 바다를 잇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 결과로 강에 물고기와 어부가 돌아오고, 강변마을의 사람들이 다시 웃음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해본다.
    #강 #바다 #하굿둑
    ※ [다큐ON] 인기 영상 보기
    코시국★에 세계 최대 크기 선박 12척 모두 만선 기록한 대한민국 클라스! • [다큐온] 코시국★에 세계 최대 크기 선...
    한진해운 파산이 가져온 한국 해운업의 몰락과 냉혹한 현실 • [다큐온] 한진해운 파산이 가져온 한국 ...
    조선업 위기를 풍력 에너지 발전의 기회로 삼은 대한민국의 ★POWER★ • [다큐온] 조선업 위기를 풍력 에너지 발...
    녹조류와 땅이 주는 선물, 신재생에너지 건물 • [다큐온] 녹조류와 땅이 주는 선물, 신...
    K-수소에너지 산업이 이끄는 세계 에너지의 미래 • [다큐온] K-수소에너지 산업이 이끄는 ...
  • บันเทิง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0

  • @user-ue9kt5lv3t
    @user-ue9kt5lv3t 2 ปีที่แล้ว +8

    유튜버들이 너무 자극적인 소재만 하니까 정신이 없는데 이런 다큐가 차분하고 편하다
    이런건 역시 공영방송이지

  • @user-cd8ot5kb7t
    @user-cd8ot5kb7t 2 ปีที่แล้ว +4

    참 깨끗하고 바른 방송을 보니 넘 고맙네요. 좋은 내용에 감사드립니다.

  • @user-cl8kr3jq2u
    @user-cl8kr3jq2u 2 ปีที่แล้ว +5

    이런 다큐 너무좋아요.내가 늙었나벼

  • @user-iy9fp5qx3j
    @user-iy9fp5qx3j 2 ปีที่แล้ว +6

    우리나라 토목공사 설계단계부터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야 합니다. 저희 동네도 영주댐이 생기고 무섬마을엔 더 이상 모래톱이 쌓이지 않습니다.

    • @minso8060
      @minso8060 2 ปีที่แล้ว +2

      사람들이 무지하고 돈밖에모르는결과죠 비극입니다 자연을 세월의 자연스런변화에 그냥두면 안될까요

  • @squebourra
    @squebourra 2 ปีที่แล้ว +2

    우효 최신다큐

  • @user-me2rp6tf5u
    @user-me2rp6tf5u ปีที่แล้ว +2

    금강도 빨리 해야 됩니다.

  • @user-bd7ej1yk7s
    @user-bd7ej1yk7s 2 ปีที่แล้ว +1

    시간이 흐르면
    그곳에서생태가다시그곳에맞는생물
    자라나는곳바로자연의힘이다ㆍ넘 ㆍ

  • @user-gn6nz2su6s
    @user-gn6nz2su6s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밀양 나오니 끔찍하네. 다큐가 아니라 호런데?? ?

  • @user-dk9js7gj2h
    @user-dk9js7gj2h ปีที่แล้ว +2

    강은 흘러야 한다.

  • @user-iy6sz2ms8b
    @user-iy6sz2ms8b ปีที่แล้ว +1

    자연이다

  • @whenever0807
    @whenever0807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맹박이가 이 방송을 싫어합니다

  • @user-ec6nt6xr3k
    @user-ec6nt6xr3k 2 ปีที่แล้ว +2

    왜우리는 해수관리와 담수관
    리를잘하는 나라에서 배우지않
    는거죠 해외견학을가는공무원
    은 여자있는술집이나찾고관광
    이나하고 오고 뭘선진농법이든
    해수관리든 배우지못하고 세금
    은 쓰면서 합리적인개발을못하
    는건가요 방법을찾는것이하루
    이틀걸리는게아닌데 이미실행
    하고있는나라에서라도 배워야
    되는데 그것도못하는건 왜? 왜
    ? 창의적인건 바라지도않겠지
    만 남들성공한것도 못 따라하는
    거죠. ㅡ. 공무원과정치꾼들의
    태만은. 일반기업이면 모두 짤
    릴사람들뿐입니다

  • @user-tc9mp7zg2k
    @user-tc9mp7zg2k 2 ปีที่แล้ว +1

    그렇다고 없애면, 물
    부족!
    두면, 생태계 파괴.
    해결책은 없는가?
    나누어 싸우지 말고
    같이 해결책을 찾아바야지.
    외국은 예로 들지말고,
    우리의 강수량과
    계절 온도 지질적
    누수량 용수량과
    식수량,공업용수량,
    희석수의량과 정수
    재 사용량!
    정확한 데이터가
    있는가?
    외국의 사례가 우리
    조건과 맞다는 근거는 없다.
    조건에 맞는 우리것을 연구 발전시켜 실용 시켜야할 것이다.
    네덜란드와 우린 지역적 또한 지질적
    유기물이 다르기에
    생선의 종류도 다르지.
    네덜란드?
    이 방송뭐야!
    상식에 반하는 방송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