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rnal implant와 Internal implant의 특징 비교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8 ก.พ. 2025
  • #치아 #임플란트 #익스터널임플란트 #인터널 임플란트
    안녕하세요,2809TV 이빨연구티비 입니다~🙆🏻‍♀️
    이빨연구티비 구독하기 👍🏻 : bitly.kr/yBUmKO
    ✨ 소중한 여러분~ 기다려주셔서 감사드리구요~
    댓글 동시에 구독 꾹~💕 잊지 말아주셔요~ 사랑합니다💗
    ✨Instagram 📸 👉🏻 / boa_dental
    ✨ homepage 💙 👉🏻 www.boaclinic.com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8

  • @JiminiHh
    @JiminiHh 2 ปีที่แล้ว +2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건 댓글 남겨주세요

  • @molrangs
    @molrangs 3 ปีที่แล้ว +1

    원장님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됐어요:)

    • @2809TV
      @2809TV  3 ปีที่แล้ว +1

      감사합니다. 궁금한 것은 댓글에 적어주세요^^

    • @molrangs
      @molrangs 3 ปีที่แล้ว

      @@2809TV bone level과 tissue level의 차이도 궁금합니다!

  • @hyeongilkim5137
    @hyeongilkim5137 2 ปีที่แล้ว +3

    안녕하세요 :)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궁금한점이 있어 여쭈어보고자 합니다 !
    Q. 왜 External implant 같은 경우에는 본레벨보다 높게 심어도 뼈가 녹는 부분이 internal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인가요?
    생물학적 폭경이 본레벨 보다 높게 심었으므로
    뼈가 많이 녹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하게 되었습니다 !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1

      안녕하세요. 익스터널에서 생물학적 폭경은 플랫폼과 어버트먼트가 만나는 갭에서부터 시작됩니다. 따라서 익스터널을 뼈에 높게?? 식립하는 경우 골흡수는 줄어듭니다. 생물학적폭경을 대략 2미리로 생각하면 익스터널을 2미리 높게 식립을하면 골흡수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 @hyeongilkim5137
      @hyeongilkim5137 2 ปีที่แล้ว +1

      @@2809TV 이런 다소 전문적(?)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주시니 너무 재미있고 유익하네요 ! 감사합니다 :)

    • @hyeongilkim5137
      @hyeongilkim5137 2 ปีที่แล้ว +1

      @@2809TV 그럼 플랫폼과 어버트먼트가 만나는 지점이 '세균'이 번식하는 지점이고,
      뼈는 이를 인식하여 세균이 있는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려고 하는 것이 맞을까요?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1

      @@hyeongilkim5137 네 맞습니다. 세균이 모여있는 지점 정도로 하면 될것 같습니다. 번식한다기보다는요.

    • @hyeongilkim5137
      @hyeongilkim5137 2 ปีที่แล้ว

      @@2809TV 귀한 시간 내주심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 @기린그림-m4s
    @기린그림-m4s 2 ปีที่แล้ว +1

    큰도움 되었습니다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1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dynasput5091
    @dynasput5091 2 ปีที่แล้ว +1

    internal type일때 커스텀 어버트먼트를 사용하면 말씀하신 단점을 어느정도 해소할수있을거라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SCRP시에 잘 빠지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말씀하신걸까요?? 커스텀 어버트먼트는 마진의 위치와 그 상부의 형태를 조정하지만 인터널 임플란트의 안쪽에 체결되는 헥스부분의 형태와 각도는 바꾸는게 아닙니다. 따라서 인터널 임플란트 여러개의 식립각도가 하용각도를 넘어서면 커스텀 임플란트라 하더라도 제거되지 않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 @JJPL0311
      @JJPL0311 ปีที่แล้ว +2

      @@2809TV 안녕하세요 미국 치과 보철제작회사에 다니고 있는 직원입니다.
      scrp시에, 인터널타입을 브릿지로 진행하려는경우 위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넌헥스타입을 솔루션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임플란트 여러개 브릿지를 scrp 넌헥스로 진행할때에도, 임플란트의 각도가 과하게 꺽여있을때는 정상적으로 제거및, 체결이 안되는 후기를 근래에 많이 접하고 있어,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혹시 임플란트들의 각도차이가 몇도 이상일시에는 넌헥스로도 scrp진행이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나, 자료가 있을까요?
      당연히, 시멘트타입으로 진행하는것이 베스트 이겠지만,
      손님이 브릿지를 scrp로 진행하고 싶다는 요청에 대해, 마냥 넌헥스를 항상 추천드리는것이 올바르지 않은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정말 급한질문인데,,, 제발 도움 부탁드립니다

    • @2809TV
      @2809TV  ปีที่แล้ว

      @@JJPL0311 안녕하세요. 브릿지에서 SCRP가 가능한 각도는 논문이 있다기 보다는 각 임플란트 회사의 넌헥스 어버트먼트가 몇도까지 SCRP를 허용할 수 있게 만들어졌는지가 중요하니 각 회사에 확인할 문제인 듯 합니다. 그리고 많이 꺽였는데 SCRP로 하려면 임플란트 회사에 인터널을 익스터널로 바꿔주는 어버트먼트가 있습니다. 그 어버트먼트를 끼운 후에 그 위에 SCRP를 하면 허용각도가 더 커질 것 같습니다.

  • @Teuni-g6n
    @Teuni-g6n 2 ปีที่แล้ว +1

    원장님 ㅠ인터널임플란트에서 biologic width에 관한 설명이 이상합니다. 콜드웰딩이되어서 틈이없어서 BW가 유지되는게 아니라 플랫폼스위칭 되어서 그렇습니다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그런가요? 플랫폼 스위칭이 이유라면 앵킬로스처럼 핏스쳐 어버트먼트 경계가 플랫폼에서부터 일정거리가 떨어져있어야하는데 대부분의 인터널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 경계가 치조골 바로 옆에 있거나 또는 힐링후에 치조골이 그 경계위로 자라기도 하는데 그건 어떻게 설명될까요??

    • @Teuni-g6n
      @Teuni-g6n 2 ปีที่แล้ว +1

      @@2809TV 아니요. 플랫폼 스위칭이란것은 종적인 bw 손실을 방지하기위해 횡적으로 bw를 고려한 결과입니다. 횡방향의 bw를 어느정도가지게되면서 종적인 치조골소실을 방지하는 결과입니다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네 그렇죠. 그렇지만 인터널 임플란트는 픽스쳐-어버트먼트 계면에서 횡적인 거리가 거의 없지 않나요?? 예전에 익스터널 와이드 임플란트에 레귤라 어버트먼트를 끼울 경우 횡적으로 거리가 생기면서 BW 손실이 방지된다고 하면서 생긴 개념일텐데 인터널에서 따지기에는 횡적인 거리가 거의 없다고 생각이 됩니다

  • @황미란-i5p
    @황미란-i5p ปีที่แล้ว +1

    어바트먼트 체결해서 이제 보철 들어갈때 픽스쳐와 어바트먼츠 체결시 그안의 소독?세척은 어떻게하고 인프체득해야할까요

    • @2809TV
      @2809TV  ปีที่แล้ว +1

      픽스쳐 내부를 특별히 소독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식염수로 한번 헹궈주시는 정도로 충분할 것 같습니다. 이미 구강내에 오래 있던 부분이고 타액을 다 닦아내거나 소독할 필요는 없습니다.

  • @이하지-q5h
    @이하지-q5h 2 ปีที่แล้ว +1

    인터널과 익스터널타입 코핑장착시 장착이 잘됐는지 보는방법 알고싶습니다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네.익숙해지면 손의 느낌 만으로도 알 수 있지만 엑스레이 찍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엑스레이를 수평각도를 잘 맞추어 촬영했을 때 코핑이 잘 들어갔으면 코핑과 픽스쳐 사이에 틈이 없구요 덜 들어가면 틈이 벌어져있는 것이 보일거에요

  • @h-luk
    @h-luk 2 ปีที่แล้ว +1

    제가 들어간 곳엔 Sub, internal, external이렇게 나뉘던데 sub도 인터널 타입으로 알고있는데 이 기준은 본레벨 티슈레벨 차이인걸까요?

    • @2809TV
      @2809TV  2 ปีที่แล้ว

      네.아마 그렇게 나누시면 sub가 본레벨 인터널. internal이 티슈레벨 인터널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겠네요

  • @라이너-z2n
    @라이너-z2n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ㅇ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