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와 함께 교재를 이용하면 공부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교재 구매 홈페이지 : smartstore.naver.com/compu_books 컴활 자격증 취득의 가장 빠른 길🚀 [효율적인 컴활 자격증 취득]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Let's Do it❗❗ 00:05 개념설명 08:22 1번 10:33 2번 15:57 3번 19:57 4번 24:04 5번 24:33 6번 40:15 7번 43:21 8번 46:53 9번 48:39 10번 16:35 에 오타 : COLUML → COLUMN (COLUMN이 올바른 철자입니다!!) #컴활1급 #컴활1급필기 #컴퓨터활용능력1급
안녕하세요~😊 우선 INDEX 함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INDEX(범위, 행 번호, 열 번호) 함수는 이러한 형태로 사용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행 번호를 1,2,3,1,2,3,...으로 지정을 해야지 범위([$E$2:$E$4])에서 기획팀, 재무팀, 총무팀, 기획팀, 재무팀, 총무팀, ...이 결과로 나오게 됩니다. → 따라서 행 번호를 1,2,3,1,2,3,.... 으로 지정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기 1번과 4번의 [행 번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보기 1번 : MOD(A2,3)에서 아래 쪽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면... MOD(A2,3) = MOD(1,3) = 1 : 1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MOD(A3,3) = MOD(2,3) = 2 : 2를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MOD(A4,3) = MOD(3,3) = 0 : 3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0 MOD(A5,3) = MOD(4,3) = 1 : 4를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 보기 1번은 나머지가 0이 나오는 곳이 생기게 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행 번호는 1,2,3,1,2,3,... 이 나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 마찬가지로 보기 4번도 생각을 해보면, MOD(A2-1,3)은 언젠가 나머지가 0인 순간이 나오게 될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보기 4번 또한 정답에서 제외를 시킬 수 있습니다.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두부맘-b4l 1에서 3을 나누면 나머지가 1이죠. 1을 3으로 나눌 수 없으니 0을 하나 주면 10 10을 3으로 나누면 값이 3 나머지 1이죠. 0을 하나 줬다는 것은 실제로 나눴을 때 소수점이 나오잖아요. 그거 생각하면 돼요. 2를 3으로 나누면 20 나누기 3은 6 나머지 2
말씀하신 내용처럼, [C3]셀은 50이 아니라 90이 맞네요! 문제 풀이하면서 약간의 실수가 있었는데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C3]셀을 체크해야하는데, 실수로 [C1]셀을 체크하면서 풀이가 되었네요) 해당 문제에서는 COLUMN(C1)이나 COLUMN(C3)은 동일한 열이므로 동일한 결과로 3이 출력되기 때문에 정답은 동일하겠지만, 말씀하신 내용처럼 C3은 90이 아니라 50으로 생각해주면 감사하겠습니다❗️
@@compu_books 선생님 덕분에 겨우겨우 머리 써서 이번 함수1 강의는 다 들었네여 ㅋㅋㅋ 이해 안 되는 문제 있었는데 차근차근 천천히 생각하면서 푸니까 이해가 되기 시작했어요 ㅎㅎㅎ 이렇게 3과목까지 마스터하고 반복해서 꼭 컴활1급 필기부터 실기까지 취득할게요!!
안녕하세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아래에 적었는데, 해당 답변이 이해가 안되면 이어서 질문주세요❗ 1) 부서명이 있는 범위([E2:E4])에서 행 번호를 1,2,3 으로 지정해서 값을 가지고 올려고 합니다. 2) INDEX 함수에서 행 번호를 1,2,3 으로 지정해야하는데... 3) 보기 1번의 수식을 한 번 보겠습니다. =INDEX($E$2:$E$4, MOD(A2,3)) 에서 MOD 부분만 따로 보게 되면.... MOD(A2,3) = MOD(1,3) = 1 : 1을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1이 됩니다. 해당 수식을 아래쪽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게되면..... MOD(A3,3) = MOD(2,3) = 2 : 2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2가 됩니다. MOD(A4,3) = MOD(3,3) = 0 : 3을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0이 됩니다. MOD(A5,3) = MOD(4,3) = 1 : 4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1이 됩니다. 나머지가 0이 나올 수 있으니 해당 보기가 잘못 된 보기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7번 문제 보기 수식이 전체적으로 이해가가지 않습니다ㅠㅠ 혹시 자세하게 한 번만 더 풀이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43:12 MOD(A2,3)=MOD(1,3)=1 아닌가요….??ㅠㅠ 이렇게 된다면 INDEX($E$2:$E$4,1)=기획팀이 되는거 아닌가요ㅠㅠㅠㅠㅠㅠ 이해가 안돼요ㅠㅠ
안녕하세요~:) 다른 예시를 생각해보게 되면, 2를 3으로 나누는 경우... 2 = 3 * 0 + 2 : 몫이 0이고, 나머지가 2가 됩니다. 0 = 3 * 0 + 0 : 몫이 0이고, 나머지는 0이 됩니다. 따라서... 0을 3으로 나누는 경우 몫이 0, 나머지는 0이 되는 것이죠❗ 동일하게... 0을 4로 나누는 경우에도 나머지가 0이겠죠~😊
안녕하세요~:) 수식을 어떻게 작성하셨는지 모르지만.... 동일하게 「15」라는 결과가 출력이 된다면... 참조를 잘못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작성하신 수식이...「=SUM($B$2:$C$2)」또는 「=SUM($B$2:C$2)」의 수식은 아닐까요??^^ → '$'의 사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떤 부분이 이해가 안 되는지.. 말씀을 해주셔야지 답변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해당 질문에 어떻게 답변을 드려야할지 모르겠네요....😭😭 기존에 질문을 주셨던 다른 분들의 질문을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을 물어보셔야지, 답변을 드릴 수 있는데....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은 다소 곤란한 부분이 있네요...😱
교재 P.47의 [예제 표]를 보게 되면 이해가 되실텐데요! IFS 함수는 아래와 같이 사용을 하게되죠. IFS(조건1, 값1, 조건2, 값2, ... , [TRUE], [그 외 결과]) 문제의 예제를 보게 되면 점수에 따라서 결과 값을 구하기 때문에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점수"가 되겠죠. 따라서 [C2]셀에 아래와 같이 수식을 적어주게 됩니다. =IFS(B2>=90, "A", B2>=80, "B", TRUE, "C") --> 즉, IFS 함수의 첫 번째 인수에는 조건에 해당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데 문제에 보게 되면 점수에 따라 조건이 설정되므로 B2셀을 사용해야 하겠죠^^ c.f) 열심히 하시는 모습이 아주 보기 좋네요👍💯
@@sooromit [C2] 셀에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결과를 도출하게 됩니다. [C2] 셀에서는 [B2] 셀을 이용해서 조건을 작성하게 되고... [C2] 셀의 수식을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게 되면... [C3] 셀에는 [B3] 셀을 이용해서 수식이 작성되겠죠^^ → 의 개념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할 필요가 있어보이는데, 교재 P.44의 내용을 한번 더 복습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OFFSET(D6,-5,-3,2,2)」의 결과가 [A1:B2]의 영역이 된다는 것은 이해하셨을까요?^^ 그렇다고 하면.....이해가 되실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COUNT 함수를 살펴보게 되면... 📌COUNT(인수1, 인수2) : 범위에서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함 해당 [A1:B2] 영역에서 숫자가 들어있는 셀은 [B2]셀 뿐이기 때문에... 결과가 「1」이 출력되게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행이 가로, 열이 세로가 되겠죠^^ 행 : 1행, 2행, 3행, .... 열 : A열, B열, C열, ... 문제의 예시를 통해서 보게 되면...우선 아래의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C3] 셀을 기준으로 행 방향으로 「1」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하게 되면, 행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한 칸 떨어진 값을 가져오게 됩니다. → [C4] 셀을 가져오게 되겠죠. 동일하게.... [C3] 셀을 기준으로 행 방향으로 「-1」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하게 되면, 행 방향으로 (위쪽으로) 한 칸 떨어진 값을 가져오게 됩니다. → 음수로 「-1」이기 때문에, [C2] 셀을 가져오게 되겠죠.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동일한 질문이 있어 해당 답변을 적어드리겠습니다. 다른 분 질문의 답변을 참고하면 조금 더 빠르게 답변을 확인할 수 있으실거예요~😊 〓〓〓〓〓〓〓〓〓〓〓〓〓〓〓〓〓〓〓〓〓〓〓〓〓〓〓〓〓〓〓〓〓〓〓〓〓〓〓〓〓〓〓〓 [30, 60, 70]에서 첫 번째로 작은 값은 30입니다. [30, 60 , 70]에서 두 번째로 작은 값은 60입니다. --> [30,60,70]에서 세 번째로 작은 값은 70이 되겠네요! 첫 번째로 작은 값 = 가장 작은 값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함수가 처음에 당연히 어려울 수 있고, 많은 분들이 처음에 어려워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7번 문제를 보게 되면... [C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에 [C11] 셀까지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결과를 구하게 되는 문제입니다❗❗ 참조의 개념을 생각하게 되면 헷갈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C2] 셀의 수식은 「=INDEX($E$2:$E$4, MOD(A2-1,3)+1)」입니다. 여기에서 채우기 드래그를 아래쪽(행 방향)으로 함에 따라서... [E2:E4] 범위는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범위에 대해서 전체 고정을 해서 풀이하게 됩니다. 말씀하신 내용처럼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함에 따라서 열 방향으로는 참조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E앞에는 '$' 고정 기호가 없더라도 결과는 잘 출력이 되겠네요^^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어… 15:03 에서, =SUM($B$2:C2) 에서 B열 2행은 고정인거 알겠고, SUM이 인수의 합계를 구하는 거니까 B열2행 = 5 는 고정인거고 C2 10 을 더해서 15가 나오는 거잖아용? 그럼 만약에 D4셀이 아니라 D3셀을 구하게 되면 =SUM($B$2:C3) 이니까 5+10+14 가 되는 건가요? 아니면 “$B$2 부터” 라는 고정 전제가 되는건가요? 구럼 풀이거 5+10+7+14 가 되나요?
엑셀에서 채우기를 함에 따라 참조가 변하게 되는게 충분히 헷갈릴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수식을 입력하고 채우기를 아래쪽(행 방향)으로 하게 되면, 참조되는 부분도 동일하게 아래쪽(행 방향)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때 행 번호 앞에 '$' 표시가 있으면 채우기를 아래쪽(행 방향)으로 하더라도, 참조되는 행이 바뀌지 않게 됩니다. 동일하게 열에서도 생각해보면.... 수식을 입력하고 채우기를 오른쪽(열 방향)으로 하게 되면, 참조되는 부분도 동일하게 오른쪽(열 방향)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때 열 번호 앞에 '$' 표시가 있으면 채우기를 오른쪽(열 방향)으로 하더라도, 참조되는 열이 바뀌지 않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조심스럽게... 해당 개념의 학습 방법을 추천드리자면.... 1) 교재에 나온 예제 수식을 직접 적어가면서 이해하는 방법 2) 너무 헷갈린다고 하면....관련 문제를 함께 풀어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실 수 있습니다. 1~2 가지를 학습해보고..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고 하시면 이어서 질문 주세요❗
안녕하세요~:) 해당 내용을 잘 이해하신 것 같아요~😎 📌SWITCH 함수의 예제를 보게 되면.... [A2] 셀의 코드에 따라서 다른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으로 작성한 수식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 「=IFS(A2="P", "공무원", A2="B", "은행원", TRUE, "전문직")」 IFS함수는 여러 조건과 그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수식을 작성할 때 사용되고, SWITCH 함수는 하나의 조건을 지정해두고 결과값과 반환값이 다를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두 가지 함수가 헷갈릴 수 있겠지만, 반복하면서 익숙해지시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Excel에서 해당 데이터 입력 후 수식을 따라서 입력해보는 것도 좋은 학습이 될 수 있겠네요~😊
안녕하세요~:) 질문에 적어주신 것처럼 「FALSE」가 해당 문제에 고려할 요소는 아니겠네요^^ VLOOKUP 함수와 HLOOKUP 함수의 형태를 보게 되면...아래와 같습니다. 📌VLOOKUP(찾을값, 찾을범위, 열번호, k) 📌HLOOKUP(찾을값, 찾을범위, 행번호, k) 여기에서 「k」 인수에 따라서...아래와 같이 찾기/참조를 수행하게 됩니다. 📌k=0 또는 FALSE : 정확하게 일치 📌k=1 또는 TRUE : 유사하게 일치 해당 문제에서는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k」 인수가 문제에 영향을 주지는 않겠습니다~😊
✅ ROW 함수는 참조 셀의 행 번호를 구해주는 함수이기 때문에, ROW(A2) = 2가 출력이 되겠죠. (A2셀은 2행에 위치하기 때문에) ROWS 함수는 참조 셀 범위에서 행의 개수를 구해주는 함수이기 때문에, ROWS(A2) = 1이 출력이 되겠죠. (A2셀의 범위는 행이 한 개이기 때문에) 예를들어서 ROWS(A2:A3) = 2가 출력이 되겠죠. (셀 범위가 A2셀~A3셀이기 때문에 행이 두 개이죠) ✅ COLUMN 함수는 참조 셀의 열 번호를 구해주는 함수이기 때문에, COLUMN(A2) = 1이 출력되겠죠. (말씀하신 내용처럼 첫번째 열이므로) 열의 개수는 교재에 나온 것처럼, COLUMNS 함수를 사용해주면 되겠네요^^
안녕하세요~:) ①번 보기를 보게 되면... 「=SMALL(B1:B3, COLUMN(C3))」의 식에서 "COLUMN(C3)"의 값이 "3"인 이유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것 같네요^^ ✅COLUMN(셀) : 참조 셀의 열 번호 → 즉, COLUMN(C3)는 C3셀의 열 번호를 의미하는 것이죠. C3셀의 열 번호는 3열이기 때문에 "3"의 값이 출력됩니다. A열은 1열 / B열은 2열 / C열은 3열 / D열은 4열..... 이 되는것이죠❗❗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동일한 질문이 있어서 해당 답변을 적어드리겠습니다~😊 → 질문에 대한 답글을 참고하시면, 조금 더 빠르게 궁금한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0, 60, 70]에서 첫 번째로 작은 값은 30입니다. [30, 60 , 70]에서 두 번째로 작은 값은 60입니다. --> [30,60,70]에서 세 번째로 작은 값은 70이 되겠네요❗ 첫 번째로 작은 값 = 가장 작은 값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부분 때문이.... 의 개념입니다❗❗ [C2] 셀의 수식을 보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INDEX($E$2:$E$4, MOD(A2-1,3)+1」 위 수식의 결과로 "기획팀"이 출력되는 것은 이해를 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C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면서 결과를 출력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C3] 셀의 수식은 아래와 같이 입력되겠죠^^ 「=INDEX($E$2:$E$4, MOD(A3-1,3)+1」 위 수식에서 「MOD(A3-1,3)+1」결과로 「2」가 출력되므로... "재무팀"이 출력되게 됩니다❗❗ 참조의 개념을 생각하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타를 찾아주셔서.....😱😱 COLUMN 함수가 맞는 철자입니다❗ 즉, COLUML 함수가 오타입니다^^ → 해당 내용은 고정 댓글 상단에 추가해두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학습 중에 궁금한 내용은 언제든 문의주세요~👍
안녕하세요~:) SUMIF 함수는 조건에 맞는 셀들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조건에 맞는 셀들을 골라내어야 조건에 맞는 셀들의 합계를 구할 수 있겠죠? 📌SUMIF(조건범위, 조건, 합계범위)라는 식에서 보면 '조건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셀을 골라내는 개념입니다. 여기서 '조건범위(B2:B5)'에서 '조건(남자)'를 골라내는 식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되실 것 같습니다~:) 해당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의 내용이 정확히 이해가 되지는 않지만 잘 이해한 것 같기도 하네요...^^ 보기 ①번의 경우에는 「MOD(A2,3)」의 수식을 보게 되면... 특정 숫자를 3으로 나누게 되면 나머지가 → [0,1,2] 숫자 중에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INDEX 함수에서 올바른 행 번호를 가지고 오기 위해서는 나머지를 계산한 결과가 [1,2,3] 숫자 중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잘못된 보기가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SMALL(셀범위, k): k번째로 작은 값 SMALL(B1:B3,COLUMN(C3) =SMALL(B1:B3, 3)=70 18:07 왜 3이 되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데 1번에 보면 (C3)-->3 그리고 3번에 보면 (A1)-->1 괄호 안에 있는 숫자를 k값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문제 3번을 보고 질문을 주시는 것이겠죠??^^ 📌세미콜론(;) : 행 바꿈을 의미하게 됩니다. → 즉, 세미콜론(;)을 통해 데이터를 작성하게 되면 세로 방향으로 입력이 되겠죠❗ {1;2;3;4;5}는 아래와 동일한 형태가 됩니다. 1 2 3 4 5 📌콤마(,) : 열 바꿈을 의미하게 됩니다. → 즉, 콤마(,)를 통해 데이터를 작성하게 되면 가로 방향으로 입력이 되겠죠❗ {1,2,3,4,5}는 아래와 동일한 형태가 됩니다. 1 2 3 4 5 문제 3번을 살펴보게 되면, AVERAGE({1;2;3;4;5})로 수식이 작성되어 있는데.... AVERAGE({1,2,3,4,5})로 작성을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겠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구체적이고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 댓글을 빌려 감사인사를 하자면 원래 컴활 이론 공부가 너무 싫어서 컴활을 미루고 있었는대 우연히 이 강의를 알고 선생님께서 엄청 차근차근 알려주셔서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열심히 듣고 꼭 합격하고 후기 남길게요😊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안녕하세요~:) 우선 참조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수식을 작성할 때 셀 주소를 이용하게 되면, 다른 셀에서 수식을 여러 번 작성하지 않더라도... 참조를 이용해서 답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D2] 셀의 수식 : 「=SUM($B$2:C2)」 아래로 채우기 드래를 하게 되면... [D3] 셀의 수식 : 「=SUM($B$2:C3)」 → 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함에 따라 '$' 고정 기호가 없는 경우 행 방향으로 참조가 변하게 됩니다. 동일하게 아래로 채우기 드래를 하게 되면... [D4] 셀의 수식 : 「=SUM($B$2:C4)」 따라서 [D4] 셀의 정답은 63이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ompu_books $B$2가 절대참조로 D3셀 =sum($B$2:C3) D3셀 =sum($B$2:C4) 일때 $B$2이 값은 동일하게 계속 5, C3,4만 값이 변동되어 더해져야 하는거 아닌가용...? 요게 이해가 안되서요!ㅠㅠ 절대참조는 값이 변하기 않고 그 셀에 고정이라고 이해했는데 잘못 이해해서 생각한걸까요?ㅠㅠ
안녕하세요~:) 742와 81000은 수식에 대한 결과 값이고, 동호수와는 전혀 별개입니다❗ 10번 문제에서는 아래와 같이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원본 데이터 위치 = [A1:C5] 영역 📌[A6] 셀 = HLOOKUP("수도사용량", A1:C5, 2, FALSE) 📌[A7] 셀 = VLOOKUP("202-201", A2:C5, 3, FALSE) 즉, 원본 데이터의 영역은 문제에 제시된 까지 이고, [A6], [A7] 셀에 수식이 입력되어 있습니다 문제에서 묻는 내용은 [A6], [A7] 셀의 수식의 결과 값을 묻는 문제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내용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VLOOKUP과 HLOOKUP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찾을 값이 첫 행이나 첫 열에 있지 않아도 되기에.... 사실 엄청 Poweful한 함수인 것이죠❗❗ → 위의 내용을 이해하신다면, XLOOKUP 함수에 대해서 잘 이해하신 것이라고 생각해요~👍👍
안녕하세요~:) 📌OFFSET(기준셀, 행, 옆,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OFFSET 함수의 인수 중 행과 열은... 지정한 행과 열만큼 이동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높이와 너비는...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이해를 하게 되면... 특정 셀을 포함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더라도, 이해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즉... OFFSET(기준셀, 2, ... ) : 기준셀에서 2칸 행 방향으로 이동 OFFSET(기준셀, 행, 열, 2, 3) : 기준셀에서 행과 열만큼 이동한 곳에서 높이 2, 너비 3만큼 출력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42:15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MOD(A2,3)은 그냥 A2인 2 나누기 3해서 나머지인 1로 끝나는게 아니라 왜 A3 A4도 나누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무슨 연속해서 나눈다는 신호가 있었나요 A2라는 단어 자체가 A2 A3 A4…….. 연속해서 나타난다는 의미인가요? 53:46 그리고 조건이 A2이라고 하셨는데 여기서 A2는 P를 나타내서 조건이 A2인가요? 그럼 A3은 B인데 이런건 다 생략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나누어 드리겠습니다. 📌함수(1)의 7번 문제 해당 문제를 풀 때 [C2] 셀에 수석을 작성한 이후에 [C11] 셀까지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정답을 도출하게 됩니다. 즉, [C2] 셀에는 「=INDEX($E$2:$E$4, MOD(A2-1,3)+1)」 입력이 되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C3] 셀에는 「=INDEX($E$2:$E$4, MOD(A3-1,3)+1)」 입력이 됩니다❗ → 연속해서 나타난다는 의미는 전혀 잘못된 이해가 됩니다. 📌함수(1)의 [함수 Check] 위의 내용과 동일한 질문입니다. 해당 문제를 풀 때 [B2] 셀에 수석을 작성한 이후에 [B4] 셀까지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정답을 도출하게 됩니다. 즉, [B2] 셀에는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 입력이 되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B3] 셀에는 「=SWITCH(A3,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 입력이 됩니다❗ 질문의 내용을 보니, 참조에 대한 이해가 조금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교재 P.44의 '참조'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를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OFFSET(기준셀, 행, 열,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5번 문제를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OFFSET(B3, -1, 2)」 기준 셀인 [B3셀]에서 [-1행], [2열] 이동하는 문제가 되겠죠❗❗❗ [B3셀]에서 [-1행] 이동하면 1행 거꾸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되고 그럼 [B2셀]이 되고..... [B2셀]에서 [2열] 이동하면 2열만큼 오른쪽으로 두칸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D2]셀이 되겠죠. 질문에 답변이 되리라 생각하고,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강의를 한번 더 수강하시면서 복습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함수를 잘 이해하셨다면, 셀 서식 문제 또한 충분히 풀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무튼,,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리자면 학습 방법에 정해진 방법은 없지만 말씀하신 내용으로 진행하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Part1 내용은 확실히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댓글에는 없는 내용인 걸 보니 저만 이해를 못한 거 같아 질문 남깁니다! MOD 함수에서 1을 3으로 나누게 되면 0.333···이 되는데 왜 나머지 값이 1이 되는 걸까요? ** 기출문제 7번, 선지 2번 MOD(A2,3) +1 -> A2셀(1)÷3이 1이라고 말씀하셔서요! 제가 어떤 개념을 놓친 건지.. 매우 혼란스럽습니다 @_@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부분은 수학의 개념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예제 몇 가지를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7을 3으로 나누는 경우 7 = 3 * 2 + 1 : 몫이 2가 되고, 나머지가 1이 됩니다. 📌5를 3으로 나누는 경우 5 = 3 * 1 + 2 : 몫이 1이 되고, 나머지가 2가 됩니다. 📌2를 3으로 나누는 경우 2 = 3 * 0 + 2 : 몫이 0이 되고, 나머지가 2가 됩니다. 📌1을 3으로 나누는 경우 1 = 3 * 0 + 1 : 몫이 0이 되고, 나머지가 1이 됩니다. 위의 내용을 이해하시면, 질문의 내용이 이해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날카로운 댓글이네요^^ 말씀하신 내용처럼... 기본적으로 문자 데이터를 입력할 때 큰 따옴표(" ")를 표시해주어야지, 결과가 잘 출력이 됩니다❗❗ 그래도 6번 문제에서 명확히 잘못된 보기가 ④번이기 때문에... 그리 혼란이 없을 것 같지만.... 말씀하신 내용처럼...100% 정확한 보기를 위해서 큰 따옴표(" ") 처리를 하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동일한 생각을 가진 분이 계신다면... 도움이 될 수 있는 댓글이겠네요~👍👍 날카로운 댓글에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안녕하세요~:) 동일한 질문이 있어 해당 질문의 답변을 아래에 남겨드리겠습니다^^ → 다른 질문의 댓글을 확인하면, 조금 더 빠르게 답변을 확인할 수 있으실꺼예요~😊 〓〓〓〓〓〓〓〓〓〓〓〓〓〓〓〓〓〓〓〓〓〓〓〓〓〓〓〓〓〓〓〓〓〓〓〓 📌OFFSET(기준셀, 행, 옆,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OFFSET 함수의 인수 중 행과 열은... 지정한 행과 열만큼 이동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높이와 너비는...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이해를 하게 되면... 특정 셀을 포함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더라도, 이해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즉... OFFSET(기준셀, 2, ... ) : 기준셀에서 2칸 행 방향으로 이동 OFFSET(기준셀, 행, 열, 2, 3) : 기준셀에서 행과 열만큼 이동한 곳에서 높이 2, 너비 3만큼 출력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IFS 함수와 SWITCH 함수 예제를 보면 이해가 되는데 문제로 나오면 헷갈리것 같아요. '~~이면' 이 '조건1' 이 될수도 있고 '결과값1'이라고 착각할수도 있을것 같아서요...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실기를 한번도 안다뤄본 상태에서 필기만 이해하고 암기하자니 이해가 잘 안되어서 함수1 부분만 세번째 듣고 있습니다...ㅠㅠ
안녕하세요~:) 학습을 하는 중에 [실습] 화면을 보여드리기는 하지만... 말씀하신 내용처럼 [실기]를 학습하지 않기 때문에 100% 이해는 당연히 어렵습니다❗❗ → 하지만...[실기] 학습 후에 [필기] 학습하는 것보다... [필기] 학습을 통해 합격 후 [실기]를 준비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준비가 될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자면.....헷갈릴 수 있지만... 사용 편의에 의해서 두 가지 함수가 추가 되었습니다. (2024년 개정 되면서, 두 가지 함수가 추가됨) 📌SWITCH 함수의 예제를 보게 되면.... [A2] 셀의 코드에 따라서 다른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으로 작성한 수식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 「=IFS(A2="P", "공무원", A2="B", "은행원", TRUE, "전문직")」 이러한 이유로 헷갈릴 수 있겠지만, 반복하면서 익숙해지시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Excel에서 해당 데이터 입력 후 수식을 따라서 입력해보는 것도 좋은 학습이 될 수 있겠네요~😊
선생님 궁금한게 생겨 댓글 남깁니다. 43:05 7번 INDEX 함수 활용한 문제에서 1번 MOD(A2,3)과 4번 MOD(A2-1,3)에 A2에 1, 2, 3 대입 시 0이 생기는 부분이 있어 안된다는 설명은 이해를 했는데 3번 MOD(A2-1,3)+1 에서는 A2에 1, 2, 3 대입하면 0이 오진 않지만 대입하는 수에 따라 답이 다 달라져서 기획팀 재무팀 총무팀이 다 올 수 있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7번의 보기 ③번을 보게 되면...아래와 같습니다. 「=INDEX($E$2:$E$4, MOD(A2-1,3)+1)」 [C2] 셀부터 각 셀에 입력 될 수식을 생각해보겠습니다❗❗ [C2] 셀의 수식 : 「=INDEX($E$2:$E$4, MOD(A2-1,3)+1)」=INDEX($E$2:$E$4, MOD(0,3)+1) =INDEX($E$2:$E$4, 0+1)=INDEX($E$2:$E$4, 1)=기획팀 그리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수식이 입력되겠죠^^ [C3] 셀의 수식 : 「=INDEX($E$2:$E$4, MOD(A3-1,3)+1)」=INDEX($E$2:$E$4, MOD(1,3)+1) =INDEX($E$2:$E$4, 1+1)=INDEX($E$2:$E$4, 2)=재무팀 [C4] 셀의 수식 : 「=INDEX($E$2:$E$4, MOD(A4-1,3)+1)」=INDEX($E$2:$E$4, MOD(2,3)+1) =INDEX($E$2:$E$4, 2+1)=INDEX($E$2:$E$4, 3)=총무팀 .... 따라서... 기획팀 → 재무팀 → 총무팀 → ..... 순으로 결과가 잘 출력이 됩니다. 위의 내용을 이해하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하는데... 혹시 이해가 안되면... 추가로 댓글 주세요~😊
안녕하세요~:) 어떤 부분에서 질문을 주시는지 알 것 같습니다^^ INDEX 함수를 학습할 때도 질문의 생각을 하셨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야속한 답변일 수 있겠지만... Excel에서 만들어진 함수가 이렇게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해'라기 보다는 만들어진 방식으로 사용을 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Offset 함수는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하기 때문에, '이렇게 사용하는 함수구나...'라고 받아들여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선생님 7번문제에 2번3번에 MOD(A2,3) + 1 MOD(A2-1,3) + 1 부분에서 +1이 어디에 더해지는건지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그리고 e행 절대참조 해놓은 부분에 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 x) (2, x) 열부분을 제외한 행만 계산되어 나오는것도 맞나요..? ㅠㅠ
안녕하세요~:) 우선.. INDEX 함수를 살펴보게 되면,,, 📌INDEX(범위, 행번호, 열번호) : 범위에서 행 번호와 열 번호에 위치한 데이터를 반환 이 때 「+1」은 INDEX 함수의 '행 번호'에 더해지게 됩니다. 즉.... MOD 함수에서 3으로 나눈 나머지는 0,1,2가 되므로 → 「+1」을 통해서 1,2,3 행의 값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죠❗❗ 추가적으로 INDEX 함수의 범위는 [$E$2:$E$4]가 되는데.... 해당 범위의 행은 3개 / 열은 1개 입니다. 즉, 열이 1개 이므로... 열을 지정하지 않게 되면 첫 번째 열에서 가져오게 됩니다. 물론 「=INDEX($E$2:$E$4, MOD(A2,3)+1, 1)」과 같이 '열번호'에 「1」을 지정해도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IFS 함수 예제에서 51:34 조건에 점수 B2 셀을 넣었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문제에서 C2 셀을 채운다고 했으니까 바로 옆에 있는 셀을 기준으로 잡아야 한다고 암기해도 되는 건가요? SWITCH 함수에서도 B2 셀을 채운다고 했으니 바로 옆 셀 P가 있는 A2 셀을 기준으로 잡아서 조건을 만든 걸로 이해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예제의 내용대로 조건을 작성하면 되는데, “바로 옆에 있는 셀을 기준으로 잡는다고 암기”하는 것은 방향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아래의 답변을 통해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IFS 함수 예제 문제에 보면 [C2]셀에는 점수를 기준으로 결과를 표시하는 예제입니다. 점수를 기준으로 결과를 표시하기 때문에 점수가 있는 [B2] 셀을 기준으로 조건을 작성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IFS 함수에서 점수가 D열에 있다고 하면, 코드에 [B2]셀이 아닌 [D2]셀을 사용해서 풀이를 해야겠죠^^ 2) SWITCH 함수 예제 문제에 보면 [B2]셀에는 코드를 기준으로 값을 반환하기 때문에 코드가 있는 [A2] 셀을 기준으로 조건을 작성하게 됩니다. 해당 부분에서도 코드가 만약 E열에 있다고 하면, 코드에 [A2]셀이 아닌 [E2]셀을 사용해서 풀이가 되어야 합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마지막에 IFS, SWITCH 함수에서 [그 외 결과], [기본값]이 []에 묶여 있는데 예시에서는 그냥 “C”, "전문직"이라고 되어있는데 []를 안써도 되는건가용??? 그리고 스위치함수에서 p 이면 공무원, b 이면 은행원, 나머지는 전문직 이것들이 조건같은데 결과값인지 반환값인지 구분이 잘 안됩니당 헷갈리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요?? 스위치함수 예시 주신거 A2만 조건인가요?? 어떤 범위 없이 A2만 조건인게 이해가 잘 안됩니당ㅠㅠ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나누어 드리겠습니다❗❗ 📌대괄호([]) 함수의 설명에서 대괄호([])로 묶인 인수는 생략해도 된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IFS(조건1, 값1, 조건2, 값2, ..., [TRUE], [그 외 결과])에서... → [TRUE]와 [그 외 결과]는 생략을 하더라도 괜찮습니다. (필요에 의해서 사용) 📌SWITCH 함수 ✅SWITCH(조건, 결과값1, 반환값1, 결과값2, 반환값2, ..., [기본값]) → 첫 번째 인수에 들어가는 내용이 조건이 되고, 조건의 결과 값에 따라 반환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예시의 수식을 보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 [A2] 셀의 값이 "P"일때 "공무원" 출력, [A2] 셀의 값이 "B"일때 "은행원" 출력을 출력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의 [기본값] 자리에 "전문직"이 위치하게 되므로, [A2] 셀이 "P"와 "B"가 아닐 때는... 기본적으로 "전문직"이 출력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출문제 6) 2번 보기에서 OFFSET(B2,3,2)인데, B2를 기준으로 잡고 행을 따라갈 때 3이 B2를 무시하고 부터 세는 이유가 뭔가요? 혹시 그 이유가 행 혹은 열 번호는 말 그대로 그 해당 번호를 찾아 가면 되는 것이니까 6번 문제 1번 보기를 예로 들면 2행 번호니 정말 범위 안에 있는 것에서 2행을 찾으면 되는 것이고 , OFFSET 같은 건 기준셀을 잡고 행 만큼 이동해야 하니 기준셀은 움직이는 셀에서 제외하고 움직이는 셀부터 +1 -1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OFFSET 함수의 정의를 보겠습니다^^ ✅OFFSET(기준셀, 행, 열,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정의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OFFSET 함수는 기준 셀에서 얼마만큼 떨어져있는지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보기 2번 문제 수식인 "=OFFSET(B2,3,2)" 의 의미는 B2셀을 기준으로 3행 2열 만큼 떨어져 있는 값을 찾아야하는 것입니다. B2셀에서 1행 떨어져 있으면 B3셀, B2셀에서 2행 떨어져 있으면 B4셀, B2셀에서 3행 떨어져 있으면 B5셀이 되는 것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예제 2번의 프리노트 질문드립니다 성별이 여자, 나이 14인 학생의 용돈 합계를 구할 때, 조건1은 B2:B5, "여" 인데, 조건2에서는 C2:C%, 14 라고 설명해주셔서요 앞에 개념에서 배웠듯 시트명은 작은따옴표로 묶거나 안 묶어도 되고, 시트명에 공백이 있는 경우에만 작은 따옴표를 붙여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여기서 조건1의 "여"는 그냥 여로 쓰거나 '여'라고 써도 되고 조건2도 그냥 14거나 '14' 혹은 "14"라고 써도 되는 것일까요? 질문을 어렵게 드리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ㅠㅠ 교재와 함께 강의 너무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답변에 앞서, 3차원 참조에서 시트명을 작은 따옴표(' ')로 묶는 것과는 전혀 별개의 개념이기 때문에, 별개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동일한 형태로 사용하는 함수는 아래와 같은 함수들이 있을 수 있겠네요^^ 📌SUMIF(조건범위, 조건, 합계범위) 📌SUMIFS(합계범위, 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COUNTIF(조건범위, 조건) 📌COUNTIFS(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이 때 조건에 사용하는 데이터가 문자인 경우 큰 따옴표(" ")로 묶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 「SUMIF(B2:B5, "남", D2:D5)」와 같은 형태가 되겠죠^^ → 여기에서 "남"을 작은 따옴표로 묶으면 안됩니다❗ (Excel의 문법이 그렇습니다.... 즉, Excel 이라는 프로그램이 이렇게 만들어져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숫자 데이터만 활용할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 「SUMIF(C2:C5, 14, D2:D5)」와 같은 형태가 되겠죠^^ 참고적으로...한 가지를 더 말씀드리면,,, 조건에 부등호를 사용해서 조건을 작성하는 경우에 조건에 큰 따옴표(" ")를 적어주어야 합니다. 예를들어서 나이가 14세 이상이라는 조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수식을 작성합니다. → 「SUMIF(C2:C5, ">=14", D2:D5)」와 같은 형태가 되겠죠^^ 해당 부분은 Excel의 문법과 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이해라기 보다는... '이렇게 만들어졌구나...'라고 받아들여야 하는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강의와 함께 교재를 이용하면 공부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교재 구매 홈페이지 : smartstore.naver.com/compu_books
컴활 자격증 취득의 가장 빠른 길🚀
[효율적인 컴활 자격증 취득]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Let's Do it❗❗
00:05 개념설명
08:22 1번
10:33 2번
15:57 3번
19:57 4번
24:04 5번
24:33 6번
40:15 7번
43:21 8번
46:53 9번
48:39 10번
16:35 에 오타 : COLUML → COLUMN (COLUMN이 올바른 철자입니다!!)
#컴활1급 #컴활1급필기 #컴퓨터활용능력1급
42:18 7번 설명하실 때 왜 1,4이 제거가 가능한지 이해가 잘 가지 않아요…! 혹시 답변해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우선 INDEX 함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INDEX(범위, 행 번호, 열 번호) 함수는 이러한 형태로 사용을 하게 됩니다.
여기에서 행 번호를 1,2,3,1,2,3,...으로 지정을 해야지
범위([$E$2:$E$4])에서 기획팀, 재무팀, 총무팀, 기획팀, 재무팀, 총무팀, ...이 결과로 나오게 됩니다.
→ 따라서 행 번호를 1,2,3,1,2,3,.... 으로 지정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보기 1번과 4번의 [행 번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 보기 1번 : MOD(A2,3)에서 아래 쪽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면...
MOD(A2,3) = MOD(1,3) = 1 : 1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MOD(A3,3) = MOD(2,3) = 2 : 2를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2
MOD(A4,3) = MOD(3,3) = 0 : 3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0
MOD(A5,3) = MOD(4,3) = 1 : 4를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
→ 보기 1번은 나머지가 0이 나오는 곳이 생기게 되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행 번호는 1,2,3,1,2,3,... 이 나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 마찬가지로 보기 4번도 생각을 해보면,
MOD(A2-1,3)은 언젠가 나머지가 0인 순간이 나오게 될 것이고
이러한 이유로 보기 4번 또한 정답에서 제외를 시킬 수 있습니다.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Mod함수에서 1을 3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1이 되는게 ㅠㅠ아무리 찾아보고 해도 이해가 안가요...
@@두부맘-b4l 1에서 3을 나누면 나머지가 1이죠.
1을 3으로 나눌 수 없으니 0을 하나 주면 10
10을 3으로 나누면 값이 3 나머지 1이죠.
0을 하나 줬다는 것은 실제로 나눴을 때 소수점이 나오잖아요. 그거 생각하면 돼요.
2를 3으로 나누면 20 나누기 3은 6 나머지 2
18:10초에 colum(c3)에서 C3가 왜 50인가요? 90 아닌가요??
말씀하신 내용처럼, [C3]셀은 50이 아니라 90이 맞네요!
문제 풀이하면서 약간의 실수가 있었는데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C3]셀을 체크해야하는데, 실수로 [C1]셀을 체크하면서 풀이가 되었네요)
해당 문제에서는 COLUMN(C1)이나 COLUMN(C3)은 동일한 열이므로 동일한 결과로 3이 출력되기 때문에 정답은 동일하겠지만,
말씀하신 내용처럼 C3은 90이 아니라 50으로 생각해주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넵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덕분에 잘 듣고 있네요 ㅎ
학습 중에 궁금한 사항은 언제든지 문의주세요^^
Fighting입니다~~‼️👊
단번에 외우기는 어렵겠지만, 강의 들으니 함수가 친근하게 느껴집니다. 재밌어요! 댓글도 참고할 내용들이 많아서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함수] 부분이 당연히 처음에 어렵지만... 어떻게 보면... 다른 부분 보다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Fighting입니다~👊❗
선생님은 노벨상 받으셔야돼요 컴활 장수생인데 교재 구매하고 함께 보니 그동안 여러 영상과 요약집을 봐도 어려웠던것이 이해가 너무 잘돼요
좋은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이번에는 꼭 합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설명을 너무 잘해주시는데 처음 접하는 거라 정말 머리 터지겠네여,,,,,,,, 오늘 쉬고 내일 다시 해야지.......
함수가 처음에 접할 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컴활의 가장 높은 산이라고 이야기하는 함수이지만.... 이해를 하면서 학습을 하면 오히려 재미있는 Part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Fighting이예요~❗️👊
@@compu_books 선생님 덕분에 겨우겨우 머리 써서 이번 함수1 강의는 다 들었네여 ㅋㅋㅋ 이해 안 되는 문제 있었는데 차근차근 천천히 생각하면서 푸니까 이해가 되기 시작했어요 ㅎㅎㅎ 이렇게 3과목까지 마스터하고 반복해서 꼭 컴활1급 필기부터 실기까지 취득할게요!!
@@Jjea_Eul 합격 소식 기다리고 있을게요^^
1.5배속으로 들었는데도 중간중간 멈추고 다시 듣다보니 1시간 30분 정도 걸린것 같네요ㅠㅠ 함수3까지 듣고 다시 복습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
함수가 처음에는 당연히 어렵습니다^^
아무쪼록.. 필기 합격을 위해서 조금만 더 Fighting입니다!!
24:26 갑자기 친근해지는ㅋㅋㅋ 문제에 나온 이름조차도 존중하는 정석쌤 ㅠㅠ
이렇게 디테일하게 봐주시다니....감사합니다...^^
강의에 대한 피드백을 주시니 너무 기쁜데, 합격 소식까지 들려주시면 너무 기쁠 것 같습니다~☺️
Fighting~❗️👊
무심코 눌렀는데 웃겨요 😂ㅋㅋㅋ
함수 강의 듣기 전에 어려울까봐.. 지레 겁먹고 미루기만 했는데 이해가 쏙쏙 너무 잘 돼요! 덕분에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함수(2), (3) 강의도 잘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Fighting이예요~~👊❗
42:24 A2셀이 123 123 늘어나다보면 0이 나올 수 있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안녕하세요~☺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아래에 적었는데, 해당 답변이 이해가 안되면 이어서 질문주세요❗
1) 부서명이 있는 범위([E2:E4])에서 행 번호를 1,2,3 으로 지정해서 값을 가지고 올려고 합니다.
2) INDEX 함수에서 행 번호를 1,2,3 으로 지정해야하는데...
3) 보기 1번의 수식을 한 번 보겠습니다.
=INDEX($E$2:$E$4, MOD(A2,3)) 에서 MOD 부분만 따로 보게 되면....
MOD(A2,3) = MOD(1,3) = 1 : 1을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1이 됩니다.
해당 수식을 아래쪽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게되면.....
MOD(A3,3) = MOD(2,3) = 2 : 2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2가 됩니다.
MOD(A4,3) = MOD(3,3) = 0 : 3을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0이 됩니다.
MOD(A5,3) = MOD(4,3) = 1 : 4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1이 됩니다.
나머지가 0이 나올 수 있으니 해당 보기가 잘못 된 보기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Fighting입니다~👊❗
@@compu_books 1:1, 2:2, 0:3, 1:4가 어떻게 해서 나왔는지 이해가 안 됩니다.
그리고 Ex) 2:2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왜 2가 나오는지도 궁금합니다.
@@곱창전골-e9y 님아 2:2를 나눈 게 아니라
'MOD(A3,3) = MOD(2,3) = 2' >>>>> 2를 3으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는 2가 됩니다. 라는 뜻임
아예 문맥 핀트를 잘못 짚으신 듯
다른일때문에 진도가 계속 밀렸는데
함수 문제 너무 재밌어요ㅜㅡㅜ
안녕하세요~:)
함수가 재미있다고 하시니, 너무 좋네요^^
필기 뿐만아니라…. 실기도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남은 학습도 Fighting입니다~👊❗️
7번 문제 보기 수식이 전체적으로 이해가가지 않습니다ㅠㅠ 혹시 자세하게 한 번만 더 풀이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43:12
MOD(A2,3)=MOD(1,3)=1 아닌가요….??ㅠㅠ 이렇게 된다면 INDEX($E$2:$E$4,1)=기획팀이 되는거 아닌가요ㅠㅠㅠㅠㅠㅠ 이해가 안돼요ㅠㅠ
안녕하세요~:)
📌MOD(숫자, k) : 나눗셈의 나머지를 구함
말씀하신대로 「MOD(A2,3)=MOD(1,3)=1」은 맞습니다❗❗
이번 문제는 [C2]셀에 수식을 작성하고 아래로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셀을 완성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채우기 드래그를 했을 때 그림과 같이 값이 출력되는 수식을 찾아야겠죠~😊
그럼...1번 보기「=INDEX($E$2:$E$4, MOD(A2,3))」가 왜 잘못되었는지 살펴볼게요^^
[C2]셀 : 「=INDEX($E$2:$E$4, MOD(A2,3))」= INDEX($E$2:$E$4, MOD(1,3)) = INDEX($E$2:$E$4,1) = 기획팀
[C3]셀 : 「=INDEX($E$2:$E$4, MOD(A3,3))」= INDEX($E$2:$E$4, MOD(2,3)) = INDEX($E$2:$E$4,2) = 재무팀
[C4]셀 : 「=INDEX($E$2:$E$4, MOD(A4,3))」= INDEX($E$2:$E$4, MOD(3,3)) = INDEX($E$2:$E$4,0) = 오류
→ 강의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나머지가 0이 되는 시점이 생기기 때문에 해당 보기는 틀린 보기가 됩니다❗❗
3번 보기「=INDEX($E$2:$E$4, MOD(A2-1,3)+1)」를 보게되면.....
[C2]셀 : 「=INDEX($E$2:$E$4, MOD(A2-1,3)+1)」= INDEX($E$2:$E$4, MOD(0,3)+1) = INDEX($E$2:$E$4,1) = 기획팀
[C3]셀 : 「=INDEX($E$2:$E$4, MOD(A3-1,3)+1)」= INDEX($E$2:$E$4, MOD(1,3)+1) = INDEX($E$2:$E$4,2) = 재무팀
[C4]셀 : 「=INDEX($E$2:$E$4, MOD(A4-1,3)+1)」= INDEX($E$2:$E$4, MOD(2,3)+1) = INDEX($E$2:$E$4,3) = 총무팀
[C5]셀 : 「=INDEX($E$2:$E$4, MOD(A5-1,3)+1)」= INDEX($E$2:$E$4, MOD(3,3)+1) = INDEX($E$2:$E$4,1) = 기획팀
→ 이런 식으로 반복되겠죠 ^^
이해에 도움이 되는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및 확인했습니다~:)
위 답변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보기 ③번의 수식을 [C2] 셀에 입력했다고 가정하고....아래쪽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했을 때의 결과를...
일일이 구해보는 것도 이해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compu_books_manager감사합니다!!
@@compu_books감사합니다!
@@채원송-j9p Fighting입니다!!
선생님 저 이해력이 바닥을 치는데도 이해가 잘 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합격하면 다시 댓글 달게요 하 .. 댓글 달고 싶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이해가 잘 되신다니 좋은 결과 기대됩니다^^
충분히 합격 가능하시니 합격 댓글 기다리며 응원하고 있겠습니다~:) Fighting💯❗❗
42:56 0을 3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왜 0일까요,,? 환장😂
안녕하세요~:)
다른 예시를 생각해보게 되면, 2를 3으로 나누는 경우...
2 = 3 * 0 + 2 : 몫이 0이고, 나머지가 2가 됩니다.
0 = 3 * 0 + 0 : 몫이 0이고, 나머지는 0이 됩니다.
따라서... 0을 3으로 나누는 경우 몫이 0, 나머지는 0이 되는 것이죠❗
동일하게... 0을 4로 나누는 경우에도 나머지가 0이겠죠~😊
및 확인했습니다^^
15:33 드래그로 내리니까 똑같이 15가 나와요 ㅠㅠ
안녕하세요~:)
수식을 어떻게 작성하셨는지 모르지만.... 동일하게 「15」라는 결과가 출력이 된다면... 참조를 잘못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작성하신 수식이...「=SUM($B$2:$C$2)」또는 「=SUM($B$2:C$2)」의 수식은 아닐까요??^^
→ '$'의 사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8:19 3번 문항 전체적으로.. 이해가 안됩니다.... 조금 더 쉽게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안녕하세요~:)
어떤 부분이 이해가 안 되는지.. 말씀을 해주셔야지 답변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해당 질문에 어떻게 답변을 드려야할지 모르겠네요....😭😭
기존에 질문을 주셨던 다른 분들의 질문을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을 물어보셔야지, 답변을 드릴 수 있는데....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은 다소 곤란한 부분이 있네요...😱
53:38초에서 IFS함수 예제에 [C2]셀인데 그러면 IFS(C2>=90,"A",C2>=80,"B",TRUE,"C")아닌가요? 왜 B2인지 잘모르겠습니다.
교재 P.47의 [예제 표]를 보게 되면 이해가 되실텐데요!
IFS 함수는 아래와 같이 사용을 하게되죠.
IFS(조건1, 값1, 조건2, 값2, ... , [TRUE], [그 외 결과])
문제의 예제를 보게 되면 점수에 따라서 결과 값을 구하기 때문에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점수"가 되겠죠.
따라서 [C2]셀에 아래와 같이 수식을 적어주게 됩니다.
=IFS(B2>=90, "A", B2>=80, "B", TRUE, "C")
--> 즉, IFS 함수의 첫 번째 인수에는 조건에 해당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하는데
문제에 보게 되면 점수에 따라 조건이 설정되므로 B2셀을 사용해야 하겠죠^^
c.f) 열심히 하시는 모습이 아주 보기 좋네요👍💯
@@compu_books 그럼 왜 조건이 되는 점수가 B3이 아닌 B2인 것인가요?
@@sooromit [C2] 셀에 수식을 입력하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결과를 도출하게 됩니다.
[C2] 셀에서는 [B2] 셀을 이용해서 조건을 작성하게 되고...
[C2] 셀의 수식을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게 되면...
[C3] 셀에는 [B3] 셀을 이용해서 수식이 작성되겠죠^^
→ 의 개념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할 필요가 있어보이는데, 교재 P.44의 내용을 한번 더 복습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compu_books 상대참조를 참고하라는 말씀이시죠! 답변 감사합니답
잘 들었습니다. 어려운 함수 공부 팁도 공유해주셔서 힘이 나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Fighting!!
23:58 왜 여기 100이 아니라 1이 되는거에요?
안녕하세요~:)
우선... 「OFFSET(D6,-5,-3,2,2)」의 결과가 [A1:B2]의 영역이 된다는 것은 이해하셨을까요?^^
그렇다고 하면.....이해가 되실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COUNT 함수를 살펴보게 되면...
📌COUNT(인수1, 인수2) : 범위에서 숫자가 들어있는 셀의 개수를 구함
해당 [A1:B2] 영역에서 숫자가 들어있는 셀은 [B2]셀 뿐이기 때문에... 결과가 「1」이 출력되게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아 감사합니당 😅😊 이해 완~
53:28 B2가 아니고 A2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나누어서 이해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B2] 셀에는....코드가 "P"이면 "공무원", ...」
즉, [B2] 셀에는 ... 코드에 따라서 출력할 값을 입력하라는 내용입니다.
이해가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21:56 행이 가로 열이 세로 아닌가요?.,,, 행이 -1인데 왜 위로 한칸 이동하나요?,, ㅜㅜ
안녕하세요~:)
행이 가로, 열이 세로가 되겠죠^^
행 : 1행, 2행, 3행, ....
열 : A열, B열, C열, ...
문제의 예시를 통해서 보게 되면...우선 아래의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C3] 셀을 기준으로 행 방향으로 「1」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하게 되면, 행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한 칸 떨어진 값을 가져오게 됩니다.
→ [C4] 셀을 가져오게 되겠죠.
동일하게....
[C3] 셀을 기준으로 행 방향으로 「-1」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하게 되면, 행 방향으로 (위쪽으로) 한 칸 떨어진 값을 가져오게 됩니다.
→ 음수로 「-1」이기 때문에, [C2] 셀을 가져오게 되겠죠.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행이 가로 열이 세로 인데
행이 바뀌는거라 위로 올라가야해요
1행ㅡㅡㅡㅡㅡㅡ
2행ㅡㅡㅡㅡㅡㅡ
3행ㅡㅡㅡㅡㅡㅡ
@@이은댕-u5r 좋은 설명 감사해요^^
@@compu_books이해완!,, 감사해요
18:16 왜 세번째 작은 값이 70일까요? B열에서 제일 큰 값인 것 같은데ㅜ
안녕하세요~:)
동일한 질문이 있어 해당 답변을 적어드리겠습니다.
다른 분 질문의 답변을 참고하면 조금 더 빠르게 답변을 확인할 수 있으실거예요~😊
〓〓〓〓〓〓〓〓〓〓〓〓〓〓〓〓〓〓〓〓〓〓〓〓〓〓〓〓〓〓〓〓〓〓〓〓〓〓〓〓〓〓〓〓
[30, 60, 70]에서 첫 번째로 작은 값은 30입니다.
[30, 60 , 70]에서 두 번째로 작은 값은 60입니다.
--> [30,60,70]에서 세 번째로 작은 값은 70이 되겠네요!
첫 번째로 작은 값 = 가장 작은 값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compu_books 그렇네요! 감사합니다.
@berich128 Fighting입니다!!
17:53 c3셀의 열번호라 하시는데 왜 50을 네모칸을 치신지 모르겠어요 ㅠ 90에 네모칸을 치셔야하는거 아니에요? c니까 열번호3은 이해가는데...
안녕하세요~:)
해당 부분은 이해하신대로 [C열]의 열번호는 세번째라는 것을 설명면서 표시한 내용입니다~😊
@@compu_books_manager 앗 빠른답변감사합니다 선생님
@@choonsikk2 Fighting입니다~💯👍
및 확인했습니다^^
함수 넘 잘 가르쳐주시는데 ㅜㅜ 제가 시간에 쫒겨서인지 이제 갑자기 행과 열도 헷갈려요..ㅋㅋㅋ심각합니다 😂
이번시험 떨어지면 다시 맘잡고 찬찬히 강의 반복해서 들어야겠어요...😢
안녕하세요~:)
시험 시간이 얼마 남지 않으셨나보네요....😭😭😭😭
그래도 남은 시간 Fighting해서, 한 번에 합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9:52초에 1번 선지에서 3번째로 작은 값인데 왜 70이 되는건가요? b1에서b3면 30이 세번째로 작은값이 되는것이지 않나요?
[30, 60, 70]에서 첫 번째로 작은 값은 30입니다.
[30, 60 , 70]에서 두 번째로 작은 값은 60입니다.
--> [30,60,70]에서 세 번째로 작은 값은 70이 되겠네요!
첫 번째로 작은 값 = 가장 작은 값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compu_books 아 이해했습니다..!^^
17:10초에서 행과 열이 순서가 바뀐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행 개수와 열 개수」를 말씀하는 부분을 말씀하는 것이 맞을까요??
해당 부분을 말씀하는 것이 맞다면.... 행과 열의 순서가 바뀌지는 않았습니다~😊
42:18설명하실떄 문제에 $표시 E앞에 없어도 문제오류는 아닌거죠??
근데 $가 고정이라고 알고 있는데 $E$2면 E2셀에서 그냥 고정아닌가요...? ㅋㅋ 어렵네요 ㅠ
안녕하세요~:)
함수가 처음에 당연히 어려울 수 있고, 많은 분들이 처음에 어려워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7번 문제를 보게 되면... [C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에 [C11] 셀까지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결과를 구하게 되는 문제입니다❗❗
참조의 개념을 생각하게 되면 헷갈리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C2] 셀의 수식은 「=INDEX($E$2:$E$4, MOD(A2-1,3)+1)」입니다.
여기에서 채우기 드래그를 아래쪽(행 방향)으로 함에 따라서... [E2:E4] 범위는 고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범위에 대해서 전체 고정을 해서 풀이하게 됩니다.
말씀하신 내용처럼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함에 따라서 열 방향으로는 참조가 바뀌지 않기 때문에.....
E앞에는 '$' 고정 기호가 없더라도 결과는 잘 출력이 되겠네요^^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어… 15:03 에서,
=SUM($B$2:C2) 에서 B열 2행은 고정인거 알겠고,
SUM이 인수의 합계를 구하는 거니까 B열2행 = 5 는 고정인거고 C2 10 을 더해서 15가 나오는 거잖아용? 그럼 만약에 D4셀이 아니라 D3셀을 구하게 되면
=SUM($B$2:C3) 이니까
5+10+14 가 되는 건가요? 아니면
“$B$2 부터” 라는 고정 전제가 되는건가요?
구럼 풀이거 5+10+7+14 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 [D2], [D3], [D4] 셀의 수식을 적어보게 되면,
[D2] 셀의 수식은 「SUM($B$2:C2)」 = 5 + 10 = 15
[D3] 셀의 수식은 「SUM($B$2:C3)」 = 5 + 10 + 7 + 14 = 36
[D4] 셀의 수식은 「SUM($B$2:C4)」 = 5 + 10 + 7 + 14 + 9 + 18 = 63
이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리라 생각하는데, 이해가 안 되시면 추가적으로 질문주세요^^
진도 더 나가보니까 이해됐어용… 그래두 헷갈리네오 ㅠㅡㅠ 열공열공 입니다 답변 갑사해요
Fighting입니다❗
5:10 에서 행이 바뀌는 것 같은대 왜 열이 바뀐다고 하시는지, 또 열이 바뀌는 것 같은대 왜 행이 바뀐다고 하시는지 잘 모르겠습니더ㅠㅠ 헷갈리네요!
엑셀에서 채우기를 함에 따라 참조가 변하게 되는게 충분히 헷갈릴 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수식을 입력하고 채우기를 아래쪽(행 방향)으로 하게 되면, 참조되는 부분도 동일하게 아래쪽(행 방향)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때 행 번호 앞에 '$' 표시가 있으면 채우기를 아래쪽(행 방향)으로 하더라도, 참조되는 행이 바뀌지 않게 됩니다.
동일하게 열에서도 생각해보면....
수식을 입력하고 채우기를 오른쪽(열 방향)으로 하게 되면, 참조되는 부분도 동일하게 오른쪽(열 방향)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때 열 번호 앞에 '$' 표시가 있으면 채우기를 오른쪽(열 방향)으로 하더라도, 참조되는 열이 바뀌지 않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조심스럽게... 해당 개념의 학습 방법을 추천드리자면....
1) 교재에 나온 예제 수식을 직접 적어가면서 이해하는 방법
2) 너무 헷갈린다고 하면....관련 문제를 함께 풀어보면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실 수 있습니다.
1~2 가지를 학습해보고..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고 하시면 이어서 질문 주세요❗
54:25 두번째 예제에서 SWICH함수 관련 조건이 하나라고 말씀하셨는데 '셀코드=P'라는 조건 '셀코드=B'라는 조건 '셀코드가=C'라는 조건으로 보면 조건이 여러개라서 IFS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아닌가요?? 왜 조건이 하나라는 건지 이해가 안 돼요ㅠㅠ
안녕하세요~:)
해당 내용을 잘 이해하신 것 같아요~😎
📌SWITCH 함수의 예제를 보게 되면....
[A2] 셀의 코드에 따라서 다른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으로 작성한 수식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 「=IFS(A2="P", "공무원", A2="B", "은행원", TRUE, "전문직")」
IFS함수는 여러 조건과 그에 따른 값을 출력하는 수식을 작성할 때 사용되고,
SWITCH 함수는 하나의 조건을 지정해두고 결과값과 반환값이 다를 때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쉽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두 가지 함수가 헷갈릴 수 있겠지만, 반복하면서 익숙해지시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Excel에서 해당 데이터 입력 후 수식을 따라서 입력해보는 것도 좋은 학습이 될 수 있겠네요~😊
및 확인했습니다^^
선생님 10번 문제에 false는 의미 없는건가요 무시하고 풀어도 무관한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에 적어주신 것처럼 「FALSE」가 해당 문제에 고려할 요소는 아니겠네요^^
VLOOKUP 함수와 HLOOKUP 함수의 형태를 보게 되면...아래와 같습니다.
📌VLOOKUP(찾을값, 찾을범위, 열번호, k)
📌HLOOKUP(찾을값, 찾을범위, 행번호, k)
여기에서 「k」 인수에 따라서...아래와 같이 찾기/참조를 수행하게 됩니다.
📌k=0 또는 FALSE : 정확하게 일치
📌k=1 또는 TRUE : 유사하게 일치
해당 문제에서는 정확하게 일치하는 값이 존재하기 때문에 「k」 인수가 문제에 영향을 주지는 않겠습니다~😊
16:44초에 ROW와 ROWS는 ROW(A2)이면 이건 2이고 ROWS(A2)하면 얘도 행개수이니깐 2인가요? CULUMN은 열번호라고 했는데 CULUML(A2)이면 A가 열에서 첫번째니깐 1이 되는건가요? 그리고 열개수도 어떻게 구하면 되는거죠?
✅
ROW 함수는 참조 셀의 행 번호를 구해주는 함수이기 때문에,
ROW(A2) = 2가 출력이 되겠죠. (A2셀은 2행에 위치하기 때문에)
ROWS 함수는 참조 셀 범위에서 행의 개수를 구해주는 함수이기 때문에,
ROWS(A2) = 1이 출력이 되겠죠. (A2셀의 범위는 행이 한 개이기 때문에)
예를들어서 ROWS(A2:A3) = 2가 출력이 되겠죠. (셀 범위가 A2셀~A3셀이기 때문에 행이 두 개이죠)
✅
COLUMN 함수는 참조 셀의 열 번호를 구해주는 함수이기 때문에,
COLUMN(A2) = 1이 출력되겠죠. (말씀하신 내용처럼 첫번째 열이므로)
열의 개수는 교재에 나온 것처럼, COLUMNS 함수를 사용해주면 되겠네요^^
함수 포기해도 필기 붙을 수 있을까요.....ㅠ
안녕하세요~:)
함수는 포기하지 않으시면 좋겠습니다....😭😭😭
어쩌면.. .실기와 가장 연관된 부분이 함수이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당연히 생소하고 어렵게 느껴지겠지만, 2회독/3회독 하면서 훨씬 더 이해가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생님 45페이지 3번 문제 1번 c3인데 왜 스몰 b1:b3,3 여기서 3안이유가 c3여서 3인가요?
안녕하세요~:)
①번 보기를 보게 되면...
「=SMALL(B1:B3, COLUMN(C3))」의 식에서 "COLUMN(C3)"의 값이 "3"인 이유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것 같네요^^
✅COLUMN(셀) : 참조 셀의 열 번호
→ 즉, COLUMN(C3)는 C3셀의 열 번호를 의미하는 것이죠. C3셀의 열 번호는 3열이기 때문에 "3"의 값이 출력됩니다.
A열은 1열 / B열은 2열 / C열은 3열 / D열은 4열..... 이 되는것이죠❗❗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문제 3번에 =SMALL(B1:B3, COLUMN (C3) 이게 B1:B3에서 3번째로 작은 숫자가 왜 70일까요...? 30 아닌가요??ㅠㅠ
안녕하세요~:)
동일한 질문이 있어서 해당 답변을 적어드리겠습니다~😊
→ 질문에 대한 답글을 참고하시면, 조금 더 빠르게 궁금한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30, 60, 70]에서 첫 번째로 작은 값은 30입니다.
[30, 60 , 70]에서 두 번째로 작은 값은 60입니다.
--> [30,60,70]에서 세 번째로 작은 값은 70이 되겠네요❗
첫 번째로 작은 값 = 가장 작은 값
이렇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러조건일때 지금까지 IF를 중첩해서 사용했는데 이제부터는 IFS를 사용해야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2024년 시험이 개정되면서 IFS 함수가 추가되기는 했지만.... IF 중첩문도 자주 사용을 합니다❗
따라서... IF 중첩문과 더불어 IFS 함수의 사용법도 모두 숙지하시면 되겠습니다~😊
선생님! 7번문제에서 다른건 다 이해가 되었는데, C2에 저렇게 INDEX함수를 적용하면 그 셀에 ”기획팀“이라는 결과만 출력되고 밑으로 반복이 안되는것 아닌가요!? 어떻게 C1에 저 함수를 넣으면 밑애도 반복이되게 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부분 때문이.... 의 개념입니다❗❗
[C2] 셀의 수식을 보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INDEX($E$2:$E$4, MOD(A2-1,3)+1」
위 수식의 결과로 "기획팀"이 출력되는 것은 이해를 했다고 생각하겠습니다.
[C2] 셀에 수식을 입력한 후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면서 결과를 출력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C3] 셀의 수식은 아래와 같이 입력되겠죠^^
「=INDEX($E$2:$E$4, MOD(A3-1,3)+1」
위 수식에서 「MOD(A3-1,3)+1」결과로 「2」가 출력되므로... "재무팀"이 출력되게 됩니다❗❗
참조의 개념을 생각하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250114 수강완
자기 전 영상 한 번 더 보기!!
완료~
Fighting입니다~👊❗
17:10에 열번호 함수가 COLUML 이라고 되어있는데, 해당 문제서는 COLUM'N'이라고 되어있어서요! 혹시 둘이 같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우선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타를 찾아주셔서.....😱😱
COLUMN 함수가 맞는 철자입니다❗
즉, COLUML 함수가 오타입니다^^
→ 해당 내용은 고정 댓글 상단에 추가해두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학습 중에 궁금한 내용은 언제든 문의주세요~👍
40:34
Fighting입니다~❗❗
정석쌤 ㅜㅜ 듣다가 모르는게 있어서 댓글 남깁니당 ..
3번 문제에서 C3의 열번호는 3, A1의 행번호는 1이라고 하셨는데 열번호, 행번호는 알파벳 뒤에 숫자라고 생각하면 되는걸까요 ...?
안녕하세요~:)
행은 1,2,3,4, ... 로 구성되고, 열은 A,B,C,D,... 로 구성됩니다.
📌[A3] : [A3] 셀은 열은 A열이고, 행은 3행이 됩니다.
📌[B4] : [B4] 셀은 열은 B열이고, 행은 4행이 됩니다.
📌[D2] : [D2] 셀은 열은 D열이고, 행은 2행이 됩니다.
→ 이해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혹시 이해가 안되면 추가로 댓글주세요~😊
@@compu_books 그런데 C3의 열번호는 왜 3이 되는건가요?ㅠㅠㅠ
A열을 1열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럼 B열은 2열, C열은 3열이라고 하겠죠^^
@@compu_books 헉 감사합니다 -!
선생님 SUM 관련 함수 빈칸 채울 때 ex) 성별이 남자인 학생의 용돈 합계를 쓸 때 SUMIF(B3:B4,"남",D3:D4)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SUMIF 함수는 조건에 맞는 셀들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조건에 맞는 셀들을 골라내어야 조건에 맞는 셀들의 합계를 구할 수 있겠죠?
📌SUMIF(조건범위, 조건, 합계범위)라는 식에서 보면 '조건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셀을 골라내는 개념입니다.
여기서 '조건범위(B2:B5)'에서 '조건(남자)'를 골라내는 식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되실 것 같습니다~:)
해당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이해됐어요!! 답변감사합니다 또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7번 문제는 1번과 3번 보기가 둘다 모드 값이 1이잖아요..! 그런데 3번은 모드 값을 드래그 했을 때 값이 2가 되고 3이 되어서 정답인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의 내용이 정확히 이해가 되지는 않지만 잘 이해한 것 같기도 하네요...^^
보기 ①번의 경우에는 「MOD(A2,3)」의 수식을 보게 되면...
특정 숫자를 3으로 나누게 되면 나머지가 → [0,1,2] 숫자 중에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INDEX 함수에서 올바른 행 번호를 가지고 오기 위해서는 나머지를 계산한 결과가 [1,2,3] 숫자 중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잘못된 보기가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15:00 세상에 이런일이
Fighting입니다~👍👍
SMALL(셀범위, k): k번째로 작은 값
SMALL(B1:B3,COLUMN(C3) =SMALL(B1:B3, 3)=70
18:07 왜 3이 되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되지 않는데
1번에 보면 (C3)-->3
그리고 3번에 보면 (A1)-->1
괄호 안에 있는 숫자를 k값으로 생각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우선 질문의 내용은 잘못 이해를 한 부분이 있습니다.
행의 경우 : 1, 2, 3, 4, 5, 6, ...
열의 경우 : A, B, C, D, E, F, ....
→ 1행 2행 3행..../ A열 B열 C열 ...과 같이 워크 시트가 구성이 됩니다❗❗
📌COLUMN(셀) : 참조 셀의 열 번호
COLUMN(C3) : [C3] 셀은 C열이므로, 3이 출력이 됩니다^^
A열 → 1
B열 → 2
C열 → 3
D열 → 4
...
📌ROW(셀) : 참조 셀의 행 번호
ROW(A1) : [A1] 셀은 1행이므로, 1이 출력이 됩니다^^
1행 → 1
2행 → 2
3행 → 3
4행 → 4
...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53:46 에서 SWITCH함수에 대한 예시 풀 때 A2 말고 B2가 들어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교재 P.47의 예시로 주어진 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B2] 셀에 수식을 작성할 때, [A2] 셀을 참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A2] 셀을 적어주는 것이죠~😊
이미 설명해주신 내용이라면 죄송하지만 혹시 셀이나 수를 적을 때 콤마랑 세미콜론, 콜론의 차이가 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문제 3번을 보고 질문을 주시는 것이겠죠??^^
📌세미콜론(;) : 행 바꿈을 의미하게 됩니다.
→ 즉, 세미콜론(;)을 통해 데이터를 작성하게 되면 세로 방향으로 입력이 되겠죠❗
{1;2;3;4;5}는 아래와 동일한 형태가 됩니다.
1
2
3
4
5
📌콤마(,) : 열 바꿈을 의미하게 됩니다.
→ 즉, 콤마(,)를 통해 데이터를 작성하게 되면 가로 방향으로 입력이 되겠죠❗
{1,2,3,4,5}는 아래와 동일한 형태가 됩니다.
1 2 3 4 5
문제 3번을 살펴보게 되면, AVERAGE({1;2;3;4;5})로 수식이 작성되어 있는데.... AVERAGE({1,2,3,4,5})로 작성을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겠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구체적이고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 댓글을 빌려 감사인사를 하자면 원래 컴활 이론 공부가 너무 싫어서 컴활을 미루고 있었는대 우연히 이 강의를 알고 선생님께서 엄청 차근차근 알려주셔서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열심히 듣고 꼭 합격하고 후기 남길게요😊 행복한 일만 가득하세요~!!
이런 말씀을 남겨주시니… 너무 뿌듯하네요^^
아무쪼록…. 컴활 1급을 취득할 수 있도록 같이 Fighting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번주도 즐거운 한 주 되세요~☺️
2번 문제에서 B2셀이 절대참조이면 B2셀 값의 5는 고정이고 c셀만 변하면서 값을 더해가야 한다고 이해했는데 답은 왜 B2,3,4 로 내려가면서 구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우선 참조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수식을 작성할 때 셀 주소를 이용하게 되면, 다른 셀에서 수식을 여러 번 작성하지 않더라도...
참조를 이용해서 답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D2] 셀의 수식 : 「=SUM($B$2:C2)」
아래로 채우기 드래를 하게 되면...
[D3] 셀의 수식 : 「=SUM($B$2:C3)」 → 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함에 따라 '$' 고정 기호가 없는 경우 행 방향으로 참조가 변하게 됩니다.
동일하게 아래로 채우기 드래를 하게 되면...
[D4] 셀의 수식 : 「=SUM($B$2:C4)」
따라서 [D4] 셀의 정답은 63이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ompu_books $B$2가 절대참조로
D3셀 =sum($B$2:C3)
D3셀 =sum($B$2:C4) 일때 $B$2이 값은 동일하게 계속 5, C3,4만 값이 변동되어 더해져야 하는거 아닌가용...? 요게 이해가 안되서요!ㅠㅠ
절대참조는 값이 변하기 않고 그 셀에 고정이라고 이해했는데 잘못 이해해서 생각한걸까요?ㅠㅠ
@@미니밍밍-m4c 해당 수식은 "범위"의 합이 되기 때문입니다~😊
범위를 지정한다는 것은 엑셀에서 셀을 드래그 하면 지정되는 범위를 의미하겠죠.
해당 예시로 풀어서 설명드려볼게요!
[D2] 셀의 수식 : 「=SUM($B$2:C2)」 → [B2] 셀부터 [C2] 셀까지의 합 = [B2] + [C2] = 5+10 = 15
[D3] 셀의 수식 : 「=SUM($B$2:C3)」 → [B2] 셀부터 [C3] 셀까지의 합 = [B2] + [B3] + [C2] + [C3]= 5+7+10+14 = 36
[D4] 셀의 수식 : 「=SUM($B$2:C4)」 → [B2] 셀부터 [C4] 셀까지의 합 = [B2] + [B3] + [B4] + [C2] + [C3] + [C4] = 5+7+9+10+14+18 = 63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선생님! 10번문제에서.. A6,A7셀은 동호수자리인데.. 742와 81000이 들어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742와 81000은 수식에 대한 결과 값이고, 동호수와는 전혀 별개입니다❗
10번 문제에서는 아래와 같이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원본 데이터 위치 = [A1:C5] 영역
📌[A6] 셀 = HLOOKUP("수도사용량", A1:C5, 2, FALSE)
📌[A7] 셀 = VLOOKUP("202-201", A2:C5, 3, FALSE)
즉, 원본 데이터의 영역은 문제에 제시된 까지 이고, [A6], [A7] 셀에 수식이 입력되어 있습니다
문제에서 묻는 내용은 [A6], [A7] 셀의 수식의 결과 값을 묻는 문제가 됩니다^^
선생님 수업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XLOOKUP 함수에 질문있어 댓글 남깁니다.
Free note에서 찾을 범위와 반환범위가 모두 행을 기준으로 되어 있는데, 열 기준으로 범위 설정도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내용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VLOOKUP과 HLOOKUP의 기능을 포함하면서... 찾을 값이 첫 행이나 첫 열에 있지 않아도 되기에....
사실 엄청 Poweful한 함수인 것이죠❗❗
→ 위의 내용을 이해하신다면, XLOOKUP 함수에 대해서 잘 이해하신 것이라고 생각해요~👍👍
@@compu_books와우 정말 좋은 함수네요 !! 늦은 시간에도 답변 감사합니다:)
@@최리-q7b Fighting입니다!!
23:56에서 높이와 너비는 성명을 포함해서 2칸씩 가는게 맞나요?? D6에서 -5는 120을 제외하고 169부터 시작했어서 성명도 제외하고 2칸씩 띄는 줄 알았어요 ㅠ
안녕하세요~:)
📌OFFSET(기준셀, 행, 옆,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OFFSET 함수의 인수 중 행과 열은... 지정한 행과 열만큼 이동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높이와 너비는...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이해를 하게 되면... 특정 셀을 포함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더라도, 이해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즉...
OFFSET(기준셀, 2, ... ) : 기준셀에서 2칸 행 방향으로 이동
OFFSET(기준셀, 행, 열, 2, 3) : 기준셀에서 행과 열만큼 이동한 곳에서 높이 2, 너비 3만큼 출력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42:15 이해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MOD(A2,3)은 그냥 A2인 2 나누기 3해서 나머지인 1로 끝나는게 아니라 왜 A3 A4도 나누는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무슨 연속해서 나눈다는 신호가 있었나요
A2라는 단어 자체가 A2 A3 A4…….. 연속해서 나타난다는 의미인가요?
53:46 그리고 조건이 A2이라고 하셨는데 여기서 A2는 P를 나타내서 조건이 A2인가요?
그럼 A3은 B인데 이런건 다 생략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나누어 드리겠습니다.
📌함수(1)의 7번 문제
해당 문제를 풀 때 [C2] 셀에 수석을 작성한 이후에 [C11] 셀까지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정답을 도출하게 됩니다.
즉, [C2] 셀에는 「=INDEX($E$2:$E$4, MOD(A2-1,3)+1)」 입력이 되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C3] 셀에는 「=INDEX($E$2:$E$4, MOD(A3-1,3)+1)」 입력이 됩니다❗
→ 연속해서 나타난다는 의미는 전혀 잘못된 이해가 됩니다.
📌함수(1)의 [함수 Check]
위의 내용과 동일한 질문입니다.
해당 문제를 풀 때 [B2] 셀에 수석을 작성한 이후에 [B4] 셀까지 채우기 드래그를 해서 정답을 도출하게 됩니다.
즉, [B2] 셀에는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 입력이 되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B3] 셀에는 「=SWITCH(A3,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 입력이 됩니다❗
질문의 내용을 보니, 참조에 대한 이해가 조금 더 필요할 것 같습니다.
교재 P.44의 '참조'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를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4번과 5번에서 offset에서 왜 -1행 이동할 때 세로로 이동하고 2열 이동할 때 가로로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OFFSET(기준셀, 행, 열,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5번 문제를 예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OFFSET(B3, -1, 2)」
기준 셀인 [B3셀]에서 [-1행], [2열] 이동하는 문제가 되겠죠❗❗❗
[B3셀]에서 [-1행] 이동하면 1행 거꾸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되고 그럼 [B2셀]이 되고.....
[B2셀]에서 [2열] 이동하면 2열만큼 오른쪽으로 두칸 이동하면 되기 때문에...[D2]셀이 되겠죠.
질문에 답변이 되리라 생각하고, 혹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강의를 한번 더 수강하시면서 복습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및 확인했습니다^^
함수 너무 쉽게 배우네요!!! 단지 전강의인 셀 서식만 너무 어렵게 느껴지네요... 그래도 남은 강의들 다 하고 복습하겠습니다!! 아 질문 있는데요
제가 복습은 하나도 안하고 강의만 계속 들으며 진도나가는중인데 다 끝내고 처음부터 복습해도 큰 문제는 없겠죠??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함수를 잘 이해하셨다면, 셀 서식 문제 또한 충분히 풀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무튼,, 질문에 대한 답을 드리자면 학습 방법에 정해진 방법은 없지만 말씀하신 내용으로 진행하셔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Part1 내용은 확실히 숙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댓글에는 없는 내용인 걸 보니 저만 이해를 못한 거 같아 질문 남깁니다!
MOD 함수에서 1을 3으로 나누게 되면 0.333···이 되는데 왜 나머지 값이 1이 되는 걸까요?
** 기출문제 7번, 선지 2번 MOD(A2,3) +1 -> A2셀(1)÷3이 1이라고 말씀하셔서요!
제가 어떤 개념을 놓친 건지.. 매우 혼란스럽습니다 @_@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부분은 수학의 개념에 가까울 것 같습니다~😊
질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예제 몇 가지를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7을 3으로 나누는 경우
7 = 3 * 2 + 1 : 몫이 2가 되고, 나머지가 1이 됩니다.
📌5를 3으로 나누는 경우
5 = 3 * 1 + 2 : 몫이 1이 되고, 나머지가 2가 됩니다.
📌2를 3으로 나누는 경우
2 = 3 * 0 + 2 : 몫이 0이 되고, 나머지가 2가 됩니다.
📌1을 3으로 나누는 경우
1 = 3 * 0 + 1 : 몫이 0이 되고, 나머지가 1이 됩니다.
위의 내용을 이해하시면, 질문의 내용이 이해 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compu_books ㅎㅎ 다음 강의 보고 댓글 정독하다가 같은 내용의 답변을 해주셨어서 이해가 되었습니다! 작은 수를 큰 수로 나눌 때 역분해서 곱하는 것만 익숙해지다 보니까 가장 기초적인 개념을 잊고 살았네요 ㅠㅠ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saebyuk1869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해요~:)
Fighting입니다~👊❗️
18:35 기출 3번 풀어주실때 문항1번에 COLUMN 이랑 에서 알려주신 COLUML이랑은 다른 함수 인가요…? 마지막 철자가 틀려서 ㅠㅠ 다르다면 무엇이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우선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타를 찾아주셔서.....😱😱
COLUMN 함수가 맞는 철자입니다❗
즉, COLUML 함수가 오타입니다^^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학습 중에 궁금한 내용은 언제든 문의주세요~👍
@@compu_books 앗 감사합니다 🤓🤓
앗... 저희가 더 감사하죠...😊
늦은 시간까지 열심히 하시네요.. Fighting이예요~❗👊
38:08 6번 문제에 1번보기에 =HLOOKUP(영어,A1:D7,2)에서 영어는 문자이니까 "영어"라고 표기되어야 되는거 아닌가요? 큰따옴표를 생략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날카로운 댓글이네요^^
말씀하신 내용처럼... 기본적으로 문자 데이터를 입력할 때 큰 따옴표(" ")를 표시해주어야지, 결과가 잘 출력이 됩니다❗❗
그래도 6번 문제에서 명확히 잘못된 보기가 ④번이기 때문에... 그리 혼란이 없을 것 같지만....
말씀하신 내용처럼...100% 정확한 보기를 위해서 큰 따옴표(" ") 처리를 하는 것이 적절하겠습니다.
동일한 생각을 가진 분이 계신다면... 도움이 될 수 있는 댓글이겠네요~👍👍
날카로운 댓글에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빠른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10/03
2.1~2.4 수강
Fighting입니다~👊❗️
관련기출문제4번 높이 너비 부분에서 왜 성명포함해서 2 인거죠? 높이는 기준점 포함해서 세나요?
6번문제 2번 보기 3행 2열이부분이요, 왜 첫 열 포함 안하고 c5셀부터 1열 인가요??
안녕하세요~:)
동일한 질문이 있어 해당 질문의 답변을 아래에 남겨드리겠습니다^^
→ 다른 질문의 댓글을 확인하면, 조금 더 빠르게 답변을 확인할 수 있으실꺼예요~😊
〓〓〓〓〓〓〓〓〓〓〓〓〓〓〓〓〓〓〓〓〓〓〓〓〓〓〓〓〓〓〓〓〓〓〓〓
📌OFFSET(기준셀, 행, 옆,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OFFSET 함수의 인수 중 행과 열은... 지정한 행과 열만큼 이동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높이와 너비는... 출력하는 영역을 설정하는 개념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이해를 하게 되면... 특정 셀을 포함한다는 생각을 하지 않더라도, 이해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즉...
OFFSET(기준셀, 2, ... ) : 기준셀에서 2칸 행 방향으로 이동
OFFSET(기준셀, 행, 열, 2, 3) : 기준셀에서 행과 열만큼 이동한 곳에서 높이 2, 너비 3만큼 출력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 IFS 함수와 SWITCH 함수 예제를 보면 이해가 되는데 문제로 나오면 헷갈리것 같아요.
'~~이면' 이 '조건1' 이 될수도 있고 '결과값1'이라고 착각할수도 있을것 같아서요...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실기를 한번도 안다뤄본 상태에서 필기만 이해하고 암기하자니 이해가 잘 안되어서 함수1 부분만 세번째 듣고 있습니다...ㅠㅠ
안녕하세요~:)
학습을 하는 중에 [실습] 화면을 보여드리기는 하지만... 말씀하신 내용처럼 [실기]를 학습하지 않기 때문에 100% 이해는 당연히 어렵습니다❗❗
→ 하지만...[실기] 학습 후에 [필기] 학습하는 것보다... [필기] 학습을 통해 합격 후 [실기]를 준비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준비가 될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드리자면.....헷갈릴 수 있지만... 사용 편의에 의해서 두 가지 함수가 추가 되었습니다.
(2024년 개정 되면서, 두 가지 함수가 추가됨)
📌SWITCH 함수의 예제를 보게 되면....
[A2] 셀의 코드에 따라서 다른 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으로 작성한 수식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
→ 「=IFS(A2="P", "공무원", A2="B", "은행원", TRUE, "전문직")」
이러한 이유로 헷갈릴 수 있겠지만, 반복하면서 익숙해지시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추가적으로.... Excel에서 해당 데이터 입력 후 수식을 따라서 입력해보는 것도 좋은 학습이 될 수 있겠네요~😊
네~선생님 역시 반복 학습이 가장 좋은 방법인듯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궁금한게 생겨 댓글 남깁니다. 43:05 7번 INDEX 함수 활용한 문제에서 1번 MOD(A2,3)과 4번 MOD(A2-1,3)에 A2에 1, 2, 3 대입 시 0이 생기는 부분이 있어 안된다는 설명은 이해를 했는데 3번 MOD(A2-1,3)+1 에서는 A2에 1, 2, 3 대입하면 0이 오진 않지만 대입하는 수에 따라 답이 다 달라져서 기획팀 재무팀 총무팀이 다 올 수 있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7번의 보기 ③번을 보게 되면...아래와 같습니다.
「=INDEX($E$2:$E$4, MOD(A2-1,3)+1)」
[C2] 셀부터 각 셀에 입력 될 수식을 생각해보겠습니다❗❗
[C2] 셀의 수식 : 「=INDEX($E$2:$E$4, MOD(A2-1,3)+1)」=INDEX($E$2:$E$4, MOD(0,3)+1) =INDEX($E$2:$E$4, 0+1)=INDEX($E$2:$E$4, 1)=기획팀
그리고 아래쪽(행 방향)으로 채우기 드래그를 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수식이 입력되겠죠^^
[C3] 셀의 수식 : 「=INDEX($E$2:$E$4, MOD(A3-1,3)+1)」=INDEX($E$2:$E$4, MOD(1,3)+1) =INDEX($E$2:$E$4, 1+1)=INDEX($E$2:$E$4, 2)=재무팀
[C4] 셀의 수식 : 「=INDEX($E$2:$E$4, MOD(A4-1,3)+1)」=INDEX($E$2:$E$4, MOD(2,3)+1) =INDEX($E$2:$E$4, 2+1)=INDEX($E$2:$E$4, 3)=총무팀
....
따라서... 기획팀 → 재무팀 → 총무팀 → ..... 순으로 결과가 잘 출력이 됩니다.
위의 내용을 이해하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리라 생각하는데...
혹시 이해가 안되면... 추가로 댓글 주세요~😊
와 어렵다 어려워 거의 뭐 코딩이나 다름없네
처음에는 당연히 어렵습니다….😭😭
2회독/3회독 하면서 눈에 보이는 순간이 올꺼예요^^
선생님! 39:03에서 2번 문제 offset 기준값에서 행과 열만큼 이동하면 그 기준 값을 포함하지 않는데, HLOOKUP이나 VLOOKUP에서는 찾을 값에서(그 값을 포함하여) 이동을 하는데
단지 기준 값이 여서 포함을 하지 않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어떤 부분에서 질문을 주시는지 알 것 같습니다^^
INDEX 함수를 학습할 때도 질문의 생각을 하셨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야속한 답변일 수 있겠지만... Excel에서 만들어진 함수가 이렇게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해'라기 보다는 만들어진 방식으로 사용을 하는 것입니다.
→ 따라서 Offset 함수는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하기 때문에, '이렇게 사용하는 함수구나...'라고 받아들여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글거갗아요ㅠㅠ…
함수 부분이 처음에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이지만,,, 이해가 되는 시점이 오면... 오히려 점수를 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선생님 7번문제에 2번3번에 MOD(A2,3) + 1 MOD(A2-1,3) + 1 부분에서 +1이 어디에 더해지는건지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그리고 e행 절대참조 해놓은 부분에 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1, x) (2, x) 열부분을 제외한 행만 계산되어 나오는것도 맞나요..? ㅠㅠ
안녕하세요~:)
우선.. INDEX 함수를 살펴보게 되면,,,
📌INDEX(범위, 행번호, 열번호) : 범위에서 행 번호와 열 번호에 위치한 데이터를 반환
이 때 「+1」은 INDEX 함수의 '행 번호'에 더해지게 됩니다.
즉.... MOD 함수에서 3으로 나눈 나머지는 0,1,2가 되므로 → 「+1」을 통해서 1,2,3 행의 값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죠❗❗
추가적으로 INDEX 함수의 범위는 [$E$2:$E$4]가 되는데.... 해당 범위의 행은 3개 / 열은 1개 입니다.
즉, 열이 1개 이므로... 열을 지정하지 않게 되면 첫 번째 열에서 가져오게 됩니다.
물론 「=INDEX($E$2:$E$4, MOD(A2,3)+1, 1)」과 같이 '열번호'에 「1」을 지정해도 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ompu_books 진짜 너무 쉽게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채르밍-d6o Fighting입니다!!
선생님 IFS 함수 예제에서 51:34 조건에 점수 B2 셀을 넣었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문제에서 C2 셀을 채운다고 했으니까 바로 옆에 있는 셀을 기준으로 잡아야 한다고 암기해도 되는 건가요? SWITCH 함수에서도 B2 셀을 채운다고 했으니 바로 옆 셀 P가 있는 A2 셀을 기준으로 잡아서 조건을 만든 걸로 이해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예제의 내용대로 조건을 작성하면 되는데, “바로 옆에 있는 셀을 기준으로 잡는다고 암기”하는 것은 방향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아래의 답변을 통해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IFS 함수
예제 문제에 보면 [C2]셀에는 점수를 기준으로 결과를 표시하는 예제입니다.
점수를 기준으로 결과를 표시하기 때문에 점수가 있는 [B2] 셀을 기준으로 조건을 작성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IFS 함수에서 점수가 D열에 있다고 하면, 코드에 [B2]셀이 아닌 [D2]셀을 사용해서 풀이를 해야겠죠^^
2) SWITCH 함수
예제 문제에 보면 [B2]셀에는 코드를 기준으로 값을 반환하기 때문에 코드가 있는 [A2] 셀을 기준으로 조건을 작성하게 됩니다.
해당 부분에서도 코드가 만약 E열에 있다고 하면, 코드에 [A2]셀이 아닌 [E2]셀을 사용해서 풀이가 되어야 합니다.
@@compu_books 답변 감사합니다! 그러면 1) IFS 함수 예제에서 B2셀이 아닌 B3셀을 조건으로 해도 괜찮은 건가요?
‘김정석’의 경우 [C2]셀에는 [B2]셀의 점수를 기준으로 조건을 작성하고,
‘이컴활’의 경우 [C3]셀에는 [B3]셀의 점수를 기준으로 조건을 설정하면 되겠죠^^
@@compu_books 아 이해했습니다!! 필기를 세 번이나 불합격하고 막막하던 참에 선생님 강의 들으면서 다시 공부 시작했어요.. 들어 본 강의들 중 가장 이해가 잘돼요!! 🥹🥹 열심히 해서 이번에는 꼭 합격하고 싶네요 감사합니다!
아....꼭 합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어차피 합격은 하실 수 있지만, 이왕이면 단기간 합격을 응원하겠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마지막에 IFS, SWITCH 함수에서 [그 외 결과], [기본값]이 []에 묶여 있는데 예시에서는 그냥 “C”, "전문직"이라고 되어있는데 []를 안써도 되는건가용???
그리고 스위치함수에서 p 이면 공무원, b 이면 은행원, 나머지는 전문직 이것들이 조건같은데 결과값인지 반환값인지 구분이 잘 안됩니당 헷갈리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요?? 스위치함수 예시 주신거 A2만 조건인가요?? 어떤 범위 없이 A2만 조건인게 이해가 잘 안됩니당ㅠㅠ
안녕하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나누어 드리겠습니다❗❗
📌대괄호([])
함수의 설명에서 대괄호([])로 묶인 인수는 생략해도 된다는 의미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즉, IFS(조건1, 값1, 조건2, 값2, ..., [TRUE], [그 외 결과])에서...
→ [TRUE]와 [그 외 결과]는 생략을 하더라도 괜찮습니다. (필요에 의해서 사용)
📌SWITCH 함수
✅SWITCH(조건, 결과값1, 반환값1, 결과값2, 반환값2, ..., [기본값])
→ 첫 번째 인수에 들어가는 내용이 조건이 되고, 조건의 결과 값에 따라 반환값을 출력하게 됩니다.
예시의 수식을 보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 SWITCH(A2, “P”, “공무원”, “B”, “은행원”, “전문직”)」
[A2] 셀의 값이 "P"일때 "공무원" 출력,
[A2] 셀의 값이 "B"일때 "은행원" 출력을 출력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의 [기본값] 자리에 "전문직"이 위치하게 되므로, [A2] 셀이 "P"와 "B"가 아닐 때는... 기본적으로 "전문직"이 출력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출문제 6) 2번 보기에서
OFFSET(B2,3,2)인데, B2를 기준으로 잡고 행을 따라갈 때 3이 B2를 무시하고 부터 세는 이유가 뭔가요?
혹시 그 이유가 행 혹은 열 번호는 말 그대로 그 해당 번호를 찾아 가면 되는 것이니까
6번 문제 1번 보기를 예로 들면 2행 번호니 정말 범위 안에 있는 것에서 2행을 찾으면 되는 것이고 ,
OFFSET 같은 건 기준셀을 잡고 행 만큼 이동해야 하니 기준셀은 움직이는 셀에서 제외하고 움직이는 셀부터 +1 -1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OFFSET 함수의 정의를 보겠습니다^^
✅OFFSET(기준셀, 행, 열, [높이], [너비]) : 기준 셀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의 값을 구함
정의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OFFSET 함수는 기준 셀에서 얼마만큼 떨어져있는지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보기 2번 문제 수식인 "=OFFSET(B2,3,2)" 의 의미는 B2셀을 기준으로 3행 2열 만큼 떨어져 있는 값을 찾아야하는 것입니다.
B2셀에서 1행 떨어져 있으면 B3셀,
B2셀에서 2행 떨어져 있으면 B4셀,
B2셀에서 3행 떨어져 있으면 B5셀이 되는 것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예제 2번의 프리노트 질문드립니다
성별이 여자, 나이 14인 학생의 용돈 합계를 구할 때, 조건1은 B2:B5, "여" 인데, 조건2에서는 C2:C%, 14 라고 설명해주셔서요
앞에 개념에서 배웠듯 시트명은 작은따옴표로 묶거나 안 묶어도 되고, 시트명에 공백이 있는 경우에만 작은 따옴표를 붙여야 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여기서 조건1의 "여"는 그냥 여로 쓰거나 '여'라고 써도 되고 조건2도 그냥 14거나 '14' 혹은 "14"라고 써도 되는 것일까요?
질문을 어렵게 드리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ㅠㅠ 교재와 함께 강의 너무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답변에 앞서, 3차원 참조에서 시트명을 작은 따옴표(' ')로 묶는 것과는 전혀 별개의 개념이기 때문에, 별개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동일한 형태로 사용하는 함수는 아래와 같은 함수들이 있을 수 있겠네요^^
📌SUMIF(조건범위, 조건, 합계범위)
📌SUMIFS(합계범위, 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COUNTIF(조건범위, 조건)
📌COUNTIFS(조건범위1, 조건1, 조건범위2, 조건2, ...)
이 때 조건에 사용하는 데이터가 문자인 경우 큰 따옴표(" ")로 묶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 「SUMIF(B2:B5, "남", D2:D5)」와 같은 형태가 되겠죠^^
→ 여기에서 "남"을 작은 따옴표로 묶으면 안됩니다❗
(Excel의 문법이 그렇습니다.... 즉, Excel 이라는 프로그램이 이렇게 만들어져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숫자 데이터만 활용할 때는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 「SUMIF(C2:C5, 14, D2:D5)」와 같은 형태가 되겠죠^^
참고적으로...한 가지를 더 말씀드리면,,,
조건에 부등호를 사용해서 조건을 작성하는 경우에 조건에 큰 따옴표(" ")를 적어주어야 합니다.
예를들어서 나이가 14세 이상이라는 조건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수식을 작성합니다.
→ 「SUMIF(C2:C5, ">=14", D2:D5)」와 같은 형태가 되겠죠^^
해당 부분은 Excel의 문법과 같이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이해라기 보다는... '이렇게 만들어졌구나...'라고 받아들여야 하는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