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농사 11/12] 도복관리_벼 쓰러짐의 원인, 대책, 피해. 수발아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4 ก.พ. 2025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19

  • @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기사 3 ปีที่แล้ว +2

    강의 잘 들었습니다

    • @paper-doll
      @paper-doll  3 ปีที่แล้ว

      고맙습니다.

  • @eogksalsrnrwkdb1941
    @eogksalsrnrwkdb1941 4 ปีที่แล้ว +2

    도복때문에 매년 조마조마 합니다. 그런데 도복방지를 위해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 조건을 잘 조절하여 도복없는 농사를 해야 겠습니다.

    • @paper-doll
      @paper-doll  4 ปีที่แล้ว +1

      벼 쓰러짐 없는 올 농사 기대합니다.

  • @elley12
    @elley12 3 ปีที่แล้ว +1

    시골뜨기님 감사합니다.틈틈이 봐야겠습니다.4번째 다섯번째 가장 밑에 있는 마디를 짧고 굵게..오늘 자세히 관찰해보겠습니다.이삭패서 지금 벼가 수그러지는 시기인데 물관리는 걸러대기 보통으로 하면 되겠지요?

    • @paper-doll
      @paper-doll  3 ปีที่แล้ว +1

      네. 수확하는데 논 굳기가 지장이 없는 한 늦게까지 논물을 축이는 정도가 좋습니다. 물이 고여있을 필요는 없습니다.

    • @elley12
      @elley12 3 ปีที่แล้ว +2

      ​@@paper-doll 물이 축축한 정도가 좋군요...모심을때처럼 물이 넘쳐요..ㅠㅠ옆논에서 물이 넘쳐서 낼 물을 빼야겠네요..물을 좋아하는 윗논때문에 논둑이 다 넘친다는..그 와중에 개구리밥까지 넘어오는데 혹시 우리논으로 개구리밥이 번식할까 걱정되는데 괜찮은지 여쭤봐요

    • @paper-doll
      @paper-doll  3 ปีที่แล้ว

      @@elley12 지금 개구리밥은 벼에 지장이 없습니다. 모가 어릴 때는 조금 지장을 받을 수도 있지만. 지금 논의 물은 마른 날이 더 많게 하게 간간히 적셔주는 정도로만~~`

  • @정홍성진
    @정홍성진 4 ปีที่แล้ว +1

    논바닥을 시간날때마다 바짝 말리고 쩍쩍 갈라지게 합니다~물이 안빠지는곳은 도복이 잘 되고 수확할때 콤바인에 작업도 힘듬!

  • @elley12
    @elley12 3 ปีที่แล้ว

    선생님 오늘 논에가서 마디를 보는데 구별하기 힘들던데 마디가 어떻게 구분되는지 팁을 주세요.그냥 덮여있어서 잘 모르겠어요..하나 뽑아서 한거풀 벗겨봐야 되는지요?

    • @paper-doll
      @paper-doll  3 ปีที่แล้ว +1

      줄기 하나를 따로 떼서 줄기를 감싼 서너 개의 잎집을 모두 벗겨내면 안에 대나무처럼 마디가 구분되는 중심 줄기가 보입니다. 이삭목 아래 마디가 가장 길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마디 사이가 짧습니다.

  • @귀농투잡일지
    @귀농투잡일지 4 ปีที่แล้ว

    이삭이 언제 필지 모르는데 도복일정을 어떻게 알수가 있나요?
    벼 모내기후 기준일을 잡고 몇일 지난후 도복관리를 해야 하는지 설명해 주실수 없을까요?
    출수가 무슨뜻인지도 몰라서요.설명 내용이 전혀 이해가 되지가 않네요.정확한 일정이 아쉽습니다.

    • @paper-doll
      @paper-doll  4 ปีที่แล้ว +1

      출수는 벼 이삭이 잎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이삭패기는 지역, 품종, 파종시기, 기상에 따라 다릅니다.
      해당 지역의 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경기도 이천에서 중만생종인 추청벼를 5월 15일에 모내기 했다면 8월 15일로 추정됩니다.
      출수기는 한 논에서 벼 이삭이 50% 나온 때입니다.

  •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4 ปีที่แล้ว +1

    보리밭에서 도복이 생기는 이유는 남녀 데이트 장소로 사용되기에 생기지만 젖은 논의 도복은 왜 일어나나요?

    • @paper-doll
      @paper-doll  4 ปีที่แล้ว +1

      남녀 대신 바람이 바람을 피워서겠죠? 크크

  • @chj5432459
    @chj5432459 5 ปีที่แล้ว

    👍

    • @paper-doll
      @paper-doll  5 ปีที่แล้ว

      하루에 세끼 잘 받앟습니다.
      힘내서 자료 만들겠습니다

  • @아는만큼보인다-l9u
    @아는만큼보인다-l9u 4 ปีที่แล้ว

    근데 도복경감제 쓰면 수확량줄어드는거랑 관련은없나요?

    • @paper-doll
      @paper-doll  4 ปีที่แล้ว

      10개가 표준인데 12개가 될 정도로 무성할 때 도복경감제를 뿌리면 11개가 될 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12개 짜리가 쓰러진다면 8개가 될 수 있으니 1개 줄더라도 도복 우려되면 사용하는게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