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배 판옥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2 ส.ค. 2021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당시 조선수군의 주력선으로 맹활약하여
    일본의 침략으로 부터 조선을 구해낸 위대한 전함 판옥선을
    김재근교수님의 한국의배라는 책자를 참고하여 3D모델링해
    보았습니다.
    ---------------------------------------------------------------------------------------------------
    3D모델링 : SolidWorks 2018
    렌더링 : SolidWorks Visualize 2018
    영상편집 : Premiere Pro 2020
    배경음악 : Interstellar Mood - Nico Staf
    참조문헌 : 1994년 서울대학교출판부 김재근저 한국의 배
    --------------------------------------------------------------------------------------------------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55

  • @user-bj2ph3nj2q
    @user-bj2ph3nj2q 21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오호 대단하네요 연안 해전에 최적화된 戰船!! 선조들의 지혜가 집약 !!!

  • @gokalbi8841
    @gokalbi8841 2 ปีที่แล้ว +4

    목수님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LBY0210
    @LBY0210 2 ปีที่แล้ว +4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hiroono1
      @hiroono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선의 목공기술이 일본에 비해 크게 열등했던 사실은 당시 건축을 보면 분명하다. 일본에는 5중탑 등 고층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정교한 목공기술이 있었지만 조선은 2층건물을 만드는 기술조차 없었다. 한국인은 무지하기 때문에, 송재의 강도가 삼나무나 노송나무보다 높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차이는 적고, 배로서의 견뢰성은 목공 기술에 의존한다. 일본선과 충돌하면 조선선이 결합부에서 붕괴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배의 모양을 봐도 일본의 배에는 용골이 있어 안정하고 있었지만, 평저의 조선의 배는 속도도 직선성도 안정성도 매우 뒤떨어지고 있었다. 현재 조선에서 보면 고무 보트와 같은 구조이며 결함선이다.
      이순신은 그 점을 깨달았기 때문에 그의 전략은 먼 곳에서 불이 붙은 화살을 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세키야마섬 해전은 이순신이 이겼고, 그 후의 전투는 이순신이 모두 졌다. 화살만으로는 일본군에 방어되면 위력이 없기 때문이다.

  • @user-re4hu6xh7q
    @user-re4hu6xh7q 2 ปีที่แล้ว +7

    대단한영상이네요 그리고 판옥선이얼마나 안적적이고 튼튼하고 강한건인지 알게되었습니다

  • @jinshiksung
    @jinshiksung ปีที่แล้ว +5

    저거 덮이면 거북선이네 2층

  • @user-ox3dn2df5e
    @user-ox3dn2df5e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2 ปีที่แล้ว

    판옥선을 만드는데 걸리는 기간은? 원균이 칠천량에서 모두 꼴아 밖은 뒤에 명량 대첩이후에 70여척으로 빠른 회복이 될 수 맀었던 것은 배를 만드는 데 시간이 안 걸려서 인지요 아니면 세곡선 같은 수송선을 전함으로 개조 했기에 배들을 충당, 회복이 빨랐던 것일까요?

  • @user-hw3is2zp4w
    @user-hw3is2zp4w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진짜 좋은 영상이네요

    • @hiroono1
      @hiroono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선의 목공기술이 일본에 비해 크게 열등했던 사실은 당시 건축을 보면 분명하다. 일본에는 5중탑 등 고층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정교한 목공기술이 있었지만 조선은 2층건물을 만드는 기술조차 없었다. 한국인은 무지하기 때문에, 송재의 강도가 삼나무나 노송나무보다 높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차이는 적고, 배로서의 견뢰성은 목공 기술에 의존한다. 일본선과 충돌하면 조선선이 결합부에서 붕괴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배의 모양을 봐도 일본의 배에는 용골이 있어 안정하고 있었지만, 평저의 조선의 배는 속도도 직선성도 안정성도 매우 뒤떨어지고 있었다. 현재 조선에서 보면 고무 보트와 같은 구조이며 결함선이다.
      이순신은 그 점을 깨달았기 때문에 그의 전략은 먼 곳에서 불이 붙은 화살을 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세키야마섬 해전은 이순신이 이겼고, 그 후의 전투는 이순신이 모두 졌다. 화살만으로는 일본군에 방어되면 위력이 없기 때문이다.

  • @ok12911
    @ok12911 2 ปีที่แล้ว +6

    왜선은 판옥선에 비해 크기가 작고 약해서 대포도 제대로 싣지 못하고, 왜군이 판옥선으로 넘어가는건 성벽 넘는 급이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hiroono1
      @hiroono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선의 대포에 대해서는, 일본군이 빼앗은 것이 현존하고 있다. 그것을 보면 제작 정밀도가 거친 청동제이며, 활 화살 정도의 사거리 밖에 없고, 명중 정밀도가 낮고, 또 사격시에 대량의 흑연이 주위에 누출된 것을 알고 있다. 또한 당시 조선의 포탄은 폭발하지 않는 단지 철구이므로 상대에게 주는 데미지는 작다. 조선군의 유일한 유효한 무기는 불을 입은 활화살이었다. 그러니까 가볍고 기동력이 높은 일본군의 철포의 적이 아니었던 것이다.

  • @hawk8873
    @hawk8873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 김재근 교수님 책은 불후의 명저이지요. 지금도 그분의 역작, "배의 역사"는 관련 서적중 최고의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한선은 중국의 정크선과 마찬가지로 늑골 구조가 없고 가룡목으로 횡강 압력을 버티는 구조라는것, 그때문에 거북선도 최하층 갑판은 수평 이동이 불가능하고 위로 뚜껑만 달아서 물건을 쟁여놓거나 병사들 휴식 공간으로 썼다는 점을 고증했을때 이해 할 수 있었죠.

    • @hiroono1
      @hiroono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선의 목공기술이 일본에 비해 크게 열등했던 사실은 당시 건축을 보면 분명하다. 일본에는 5중탑 등 고층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정교한 목공기술이 있었지만 조선은 2층건물을 만드는 기술조차 없었다. 한국인은 무지하기 때문에, 송재의 강도가 삼나무나 노송나무보다 높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차이는 적고, 배로서의 견뢰성은 목공 기술에 의존한다. 일본선과 충돌하면 조선선이 결합부에서 붕괴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배의 모양을 봐도 일본의 배에는 용골이 있어 안정하고 있었지만, 평저의 조선의 배는 속도도 직선성도 안정성도 매우 뒤떨어지고 있었다. 현재 조선에서 보면 고무 보트와 같은 구조이며 결함선이다.
      이순신은 그 점을 깨달았기 때문에 그의 전략은 먼 곳에서 불이 붙은 화살을 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세키야마섬 해전은 이순신이 이겼고, 그 후의 전투는 이순신이 모두 졌다. 화살만으로는 일본군에 방어되면 위력이 없기 때문이다.

  • @hyung-yulcho841
    @hyung-yulcho841 2 ปีที่แล้ว

    포가 너무 높아서 배의 중심이 너무 위에 있는 것 같읍니다. 혹시 배가 뒤집힐 염려는 없었는지요(capsize)

  • @ykj1630
    @ykj1630 2 ปีที่แล้ว +2

    판옥선 하면 바다에 떠있는 허나의 성처럼 느껴짐. 실제 역할도 그러했고

  • @sobluex2
    @sobluex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영상 잘 봤습니다. 영상중 앞부분의 판옥선 보여주는 10초가량을 제작중인 영상에 사용하고싶은데 가능할까요?

    • @mocsoo1968
      @mocsoo1968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출처만 남겨주신다면 사용 가능 하십니다.^^

    • @sobluex2
      @sobluex2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네 사용한다면 꼭 출처를 표기하고 사용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iroono1
      @hiroono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선의 목공기술이 일본에 비해 크게 열등했던 사실은 당시 건축을 보면 분명하다. 일본에는 5중탑 등 고층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정교한 목공기술이 있었지만 조선은 2층건물을 만드는 기술조차 없었다. 한국인은 무지하기 때문에, 송재의 강도가 삼나무나 노송나무보다 높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차이는 적고, 배로서의 견뢰성은 목공 기술에 의존한다. 일본선과 충돌하면 조선선이 결합부에서 붕괴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배의 모양을 봐도 일본의 배에는 용골이 있어 안정하고 있었지만, 평저의 조선의 배는 속도도 직선성도 안정성도 매우 뒤떨어지고 있었다. 현재 조선에서 보면 고무 보트와 같은 구조이며 결함선이다.
      이순신은 그 점을 깨달았기 때문에 그의 전략은 먼 곳에서 불이 붙은 화살을 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세키야마섬 해전은 이순신이 이겼고, 그 후의 전투는 이순신이 모두 졌다. 화살만으로는 일본군에 방어되면 위력이 없기 때문이다.

  • @Madman_or_Greatman
    @Madman_or_Greatman ปีที่แล้ว

    갤리온, 갤리, 캐러벨, 보선, 정크선 등도 해 주실수 있나요?

    • @mocsoo1968
      @mocsoo1968  ปีที่แล้ว

      죄송합니다. 제가 배나 함선등에 관해 알고있는게 많지 않습니다. 이 영상 같은 경우도 관련 서적을 여러차례 읽고 자료를 찾아가며 겨우 만든거거든요.

  • @user-rb4rv5kj8h
    @user-rb4rv5kj8h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외람되지만 실제 제작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dudrak7575
    @dudrak7575 2 ปีที่แล้ว

    제자리선회를 위한 활동은 무엇인지요?

    • @daumkan
      @daumkan ปีที่แล้ว

      한 켠의 노는 앞으로 젖고 한 켠의 노는 뒤로 저으면 제자리 급선회 합니다.

  • @akairyo
    @akairyo 2 ปีที่แล้ว +2

    조선
    나라이름 답게 조선기술이 뛰어난 국가였네요
    지금의 한국이 조선기술 최고의 지위를 유지하는게 다 과거의 기술을 잊지않고 있었던게 가장 큰 이유였네요
    조선시대때 과학과 기술 예술을 중요시 했더라면 훨씬 더 훌륭한 과학기술을 갖고 나라를 지켜
    임진왜란이란 비극도 맞을 필요도 없었을 것이고 병자 정묘호란을 겪을 필요도 없었을건데 안타깝네요

    • @user-xz4zc1cq8u
      @user-xz4zc1cq8u ปีที่แล้ว +2

      선조나 원균 같은 것들을
      이제는 국민들 스스로 만들고 있으니
      답답 그자체.

    • @hiroono1
      @hiroono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선에 기술 등 없다. 2층짜리 건축 기술조차 없었다. 재현을 시도한 거북선은 빨리 침몰해 버렸다.

  • @paullee6549
    @paullee6549 ปีที่แล้ว

    노 가 한쪽에 10개 양쪽모두 20개,,,상식적으로 노 수량이 모자라서 뭄직이지 못하겠다,,총 40개는 되어야 하지 않나요?

    • @mocsoo1968
      @mocsoo1968  ปีที่แล้ว +1

      기록에 의하면 판옥선은 한쪽에 10촉씩 총 20촉의 노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user-ut4ge2kh3t
    @user-ut4ge2kh3t ปีที่แล้ว

    저렇게돼있으면 노젓는곳으로 어떻게가는거야??

  • @user-xm5wl6cf9z
    @user-xm5wl6cf9z ปีที่แล้ว +1

    선조대왕재조명하라 임진왜란 진실을 말한다 선조대왕재조명하라 경장겸선전관 정걸장군 명량해전 진실을 말한다 역사왜곡 말아주세요 경장겸선전관 정걸장군 임진왜란 최고의 구국공신 판옥선거북선도경장정걸장군이만들었다모든전투해전에승리할수있었다

  • @user-zx8dm2xs8r
    @user-zx8dm2xs8r ปีที่แล้ว +1

    비가오면 포를 못쏘는가?

    • @daumkan
      @daumkan ปีที่แล้ว

      그럴리가....

  • @hiroono1
    @hiroono1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

    조선의 목공기술이 일본에 비해 크게 열등했던 사실은 당시 건축을 보면 분명하다. 일본에는 5중탑 등 고층건축을 가능하게 하는 정교한 목공기술이 있었지만 조선은 2층건물을 만드는 기술조차 없었다. 한국인은 무지하기 때문에, 송재의 강도가 삼나무나 노송나무보다 높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그 차이는 적고, 배로서의 견뢰성은 목공 기술에 의존한다. 일본선과 충돌하면 조선선이 결합부에서 붕괴되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배의 모양을 봐도 일본의 배에는 용골이 있어 안정하고 있었지만, 평저의 조선의 배는 속도도 직선성도 안정성도 매우 뒤떨어지고 있었다. 현재 조선에서 보면 고무 보트와 같은 구조이며 결함선이다.
    이순신은 그 점을 깨달았기 때문에 그의 전략은 먼 곳에서 불이 붙은 화살을 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세키야마섬 해전은 이순신이 이겼고, 그 후의 전투는 이순신이 모두 졌다. 화살만으로는 일본군에 방어되면 위력이 없기 때문이다.

    • @masizzungchocowooyoo3546
      @masizzungchocowooyoo354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조선시대에는 석탑이 다수이다 뿐이지 만들어진 다층 목탑도 충분히 존재한다. 법주사 팔상전은 5층 목탑이며 화순 쌍봉사 대웅전도 3층목탑으로 이들은 모두 조선시대 목탑이다. 애초에, 아시아 최대였던 황룡사 9층목탑이 신라에 있었고 일본의 소류사 목탑도 모두 백제인들이 지어준것으로 한국양식을 가지고있는데 한국에 다층목탑 기술이 없을리가 없지않냐ㅋㅋㅋ너는 이런 간단한 것도 모르냐? 아 거기다 심지어 일본의 가장 오래된 건축회사도 백제계가 만든 회사다ㅋㅋㅋㅋ
      조선시대 건물에 단층건축물이 많은 이유는 조선 후기에 불어닥친 소빙기 때문이며 난방기구인 온돌은 2층 이상에 설치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일반 민가에서는 다층건물이 많지 않았고 이때 건축물이 가장 많이 남아있기 때문으로 이런 건물들은 모두 생활용 주택이다. 그 밖에 상업이나 종교목적 건물은 다층건물이 얼마든지 존재하며 조선 말기에 선교사들이 남기 그림이나 사진, 심지어 일본인들이 그림과 글로 남긴 것들에도 쉽게 찾아볼수 있다. 흔히 조선의 단층건물이라며 날조용으로 쓰이는 조선시대 사진의 건물도 잘보면 대로변의 상업 건물은 모두 다층이며 당시 사진의 한양과 평양의 객잔과 같은 대형 숙박시설도 다층이었던 것이 당시 사진에 잘 나타나있다.
      그리고 소나무가 삼나무보다 강도가 훨씬 강한것은 일반인에게도 상식이다. 당장 가구 고를때도 삼나무 가구는 살짝 눌러보면 목재가 움푹 들어가는데 넌 집밖에 나가서 소나무나 삼나무를 나무를 본적이 있기는한거냐? 이는 내 전공시간에 배운것이고 자격을 갖춘 교수들의 강의내용이므로 목재와 건축자재에 대해서는 관련 학위를 가진 나는 너같은 아마추어의 반박은 받지않겠다.
      이순신은 한번도 패배한적이 없으며 이는 한국 일본 중국 모두 교차기록으로 동일하다. 한국 , 미국, 포루투갈 해군등 전세계 모든 해사기관이 이순신에 관하여는 같은 내용을 가르치며 심지어 해상자위대도 같은 내용으로 가르친다. 그런데도 니 뇌내 망상의 출처는 대체 어디서 튀어나온거냐? 조선 수군의 전법은 대포를 쏴서 적선을 깨부수고 접근하여 불화살로 확실하게 소각하는 식이었으며, 조선수군의 배는 견고해서 곧잘 충각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는 당시 와키자카의 한산해전의 기록이나 일본에 있던 서양 선교사의 기록에도 나와있고 쉽게 찾아볼수 있다. 잠깐이라도 찾아본적 조차 없는건지?
      네놈이 무식하니까 아는게 없는것일테고, 없는 지식으로 넷우익들나 떠들어대는, 전제조건 자체가 모두 틀려먹은 말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니 그런 멍청한 해석이 나오는것이다. 잘 모르는것에 대해 감히 뇌내망상을 함부로 씨부리냐? 니가 그러면 그럴수록 무식함만 드러나는꼴이지ㅋ

    • @hiroono1
      @hiroono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masizzungchocowooyoo3546 후타미네지 대웅전은 높이가 불과 10m로 작았다. 2층과 3층에 사람이 들어갈 수 없다. 즉 무리하게 3중의 탑에 보여주는 방법뿐이며, 기술적으로는 히라야이다. 일본의 호류지의 오층탑은 32m 이상이지만, 그것을 실현시킨 구조를 쌍봉사 대웅전에서는 사용하지 않았고, 그러한 기술을 조선에서는 몰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실현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의 탑의 지붕 구조는 백제 유래가 아니라는 것이다. 백제의 궁대공이 일본으로 이주한 것은 사실일지도 모르지만 그 기술 수준 자체가 높았다는 증거는 없다.
      어쨌든 조선시대의 목조기술은 저급이며 일본의 목공기술과 비교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다음은 조선 문헌에 적힌 이순신이 패배한 기록이다. 이순신이 일본군에 대해 우세하게 싸운 것은 전쟁 개시 후 불과 3개월의 한산도 해전까지이며, 그 후는 전패이다. 한국인은 거짓말을 멈추고 한반도의 역사를 잘 배우십시오.
      부산포해전 1592년 8월29일 이순신 등이 부산에 주둔한 일본군을 공격했지만 이길 수 없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쓰고 있다.
      명량해전 명량 해전 1597년 9월 16일 조수의 흐름에 의해 일시적으로 조선이 유리해져 일본군의 크루시마가 죽었지만 저녁이 되어 조수가 바뀌자 조선군은 철수했다. 일본에 쫓긴 이순신은 9월 21일에는 멀리 전라도 북단의 고군산도(군산 앞바다)까지 도피했다. 이순신의 일기에 썼다.
      순천해전 1598년 10월 3일 명·조선군은 수륙 양면에서 이순신을 포함한 총공격을 했지만 일본군이 격퇴하고 조선군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삼로의 싸움(제2차 울산성의 싸움, 사천의 싸움, 순천의 싸움)에서 명·조선군은 모든 공격으로 패퇴하여 이에 따라 삼로로 나뉘었다 명·조선군은 녹을 수 있도록 함께 무너져, 인심은 무서워져, 도피의 준비를 했다고 기술되고 있다.
      노량해전 1598년 11월 18일 무혈철퇴의 쌍방 합의를 설치한 뒤 철퇴하려는 일본군에 대해 명국·조선군이 약속을 깨고 공격을 가했지만 일본이 격퇴하고 이순신은 죽었다.

    • @hiroono1
      @hiroono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asizzungchocowooyoo3546 무지한 한국인에게 가르쳐 주자. 대표로서 압축 강도를 예로 들면, 삼나무, 소나무, 오크는 4:5:9이다. 오크가 삼나무보다 강하다고 한다면 알지만, 삼나무와 소나무의 비교는 의미가 없다. 그리고 비중으로 보면 소나무는 삼나무보다 20% 무겁기 때문에 배를 만들 때 조금 두꺼운 삼나무를 사용하면 완전히 같은 정도의 강도가 된다.
      이것은 물리적인 사실이므로 무지한 한국인이 아무리 울어도 변하지 않는다.

    • @masizzungchocowooyoo3546
      @masizzungchocowooyoo3546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hiroono1 기껏 반론이라고 한다는게 쌍봉사 대웅전이 작으니 무효이니 이딴 개소리냐? ㅋㅋㅋㅋ 네놈이 말한 소류사 목탑은 물론 모든 동아시아의 목탑은 실질적 용도가 있는게 아닌 종교적 의미이므로 올라갈수 있고 없고는 중요하지 않단다. 아니 그전에 황룡사는 올라갈수 있었으며 동시기의 다른 탑들도 마찬가지다. 그저 전란이 빈번하여 목재로 된 탑은 계속 불타니까 이후에 석탑이 많아지것뿐, 반론하려면 전부 찾아봤어야지 기껏 잠깐 검색해서는 쌍봉사 대웅전이 어쩌구 저쩌구ㅋ
      일본 아스카시대 건물들은 백제인들이 지은 가능성이 있는게 아니라 일본측이 초청해서 직접 가서 만든거다. 당장 백제 화가 담징이 그린 벽화까지도 최근까지 존재하다가 니들이 홀랑 태워먹어버렸잖냐 근대사 기억도 못하는거냐?? 일본에 최초로 수미산과 오작교를 만들어준사람은 누구게? 노자공이다 임마, 그럼 이건 나와있을까? 일본서기야 그리고 한국이 일본 건축의 원류가 한국이라 주장한 사람은? 존카터 코벨, 일본사를 전공한 미국의 동양 미술학자다. 이런 이들의 연구에 반대되는 주장을 하는 너는 니가 이런 이들보다 잘났다고 생각하는거냐?
      울산성의, 사천, 순천 모두 해전이 아니고 그저 수군은 멀리서 포격지원을 했을뿐이다. 부산성에서는 성안에 틀어박혀서는 배에는 오르지도 못하고 일방적으로 포격에 쳐맞고있던 일본군이 조선에 승리한 전투라는게 말이나 되는소리냐? 무슨 코미디도 아니고ㅋㅋㅋ 애초에 공성병력도 없는상태에서 상륙까지 해서는 일본군 본진을 전멸시켰어야 승리라는거냐? 네놈이 하고있는건 전부 괴변에 불과하다.
      거짓역사는 니놈만 주장하고있는거겠지, 전에 찾아보았던 일본측 위키나 여타 기록에도 니가 말한 그딴식으로 써있지는 않았다. 그러면 한산해전 이후에 조선수군과 전투를 피하라던 히데요시는 병신 머저리냐? 해전을 하지말라 했는데 어떻게 이기지? 명량전투에서 일본군이 철수한 시간이 더 빠르고 그 이후에 이순신이 철수한건 알고는있냐? 당연히 전투가 끝났으니 숙소로 돌아가지 그걸 어떻게 일본군이 이겼다고 해석하는지 이건 무슨 정신없는놈이냐... 거기다 노량해전은 그렇게도 자기 전공을 자랑하고 부풀리기 좋아했던 시마즈 본인이 "많은 배를 잃었고 많은 병사를 잃었다"고 패배를 얼버무리는 식으로 자조적인 변명식 기록으로 패배했음을 기록하고있거늘, 그리고 여기서 병사를 죄다 잃어서 이후 세키가하라에서는 그 많던 군세중 동원할수 있던 병력이 고작 5000이었는데? 이거를 보고 일본의 승리라고 한다면 시마즈는 무슨 치매병 환자라도 된다는거냐?
      네놈이 누굴 상대하고있는지 모르는 모양인데 지금 목재 함수율에 콘크리트 크리프.. 이런거 하는것도 머리아픈데 너같은 애새끼 징징거림을 들어주는것도 정도가 있다. 나는 이 모든것을 일본에서도 유학했던 동아시아 조경사 교수에게서 대학교 강의내용으로 교육받고 이수한 것이다. 네놈은 그럼 어떠한 관련학위라도 있기는 한거냐?
      니가 아무것도 아닌건 이미 알겠다만 당장 이 아래거 5분안에 풀어오면 관심이라도 있는 사람인것 정도는 인정해준다ㅋㅋㅋㅋ
      한중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하루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예상되어 콘크리트가 동결할 염려가 있을 때 적용한다.
      2.단위수량은 초기동해를 적게 하기 위하여 소요의 워커빌리티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되도록 적게 한다.
      3.먼저 가열한 시멘트와 굵은 골재, 다음에 잔골재를 넣어서 믹서 안에 재료 온도가 40℃ 이하가 된 후, 마지막으로 물을 넣는 것이 좋다.
      4.물-결합재비는 원칙적으로 60퍼센트 이하로 하여야 한다.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동인 등고선상의 모든 점은 같은 높이이다.
      2.등고선의 간격은 급경사지에서는 좁고 완경사지에서는 넓다.
      3.등고선 간의 최단거리 방향은 그 지표면의 최소경사 방향이다.
      4.등고선은 등경사지에서 등간격이며 등경사 평면인 지표에서는 등간격의 평생선을 이룬다.
      표준품셈을 적용하여 기계화 시공으로 식재공사를 할 경우 지주목을 세우지 않을 때는 인력품의 몇 %를 감하는가?
      1.3%
      2.5%
      3.10%
      4.20%
      조선시대 선비들이 정원 동쪽 울타리 밑에 국화를 심은 이유로 가장 적합한 것은?
      1.주돈이의 애련설의 재현
      2.음양오행의 원리를 적용한 상징성 확보
      3.왕희지의 난정고사에 의한 계획 모방
      4.도연명의 안빈낙도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과 흠모
      도장(塗裝)공사에 사용되는 도장재료 중 도료의 원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건조제(dryer)는 건조된 도막에 탄성, 교착성, 가소성 등을 주어 내구력을 증가시키는데 쓰이는 것이다.
      2.수지(Resin)는 용제나 유지에 용해되어 있으나 도장 후에는 도막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서 천연수지와 합성수지로 대별된다.
      3.용제(solvent)는 도막의 주요소를 용해시키고 적당한 점도조절 또는 도장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4.희석제(thinner)는 도료의 점도 저하와 증발의 속도 조절을 위하여 사용하며, 여러 종류의 신너가 대표적이다.
      친절하게도 계산문제는 안넣었단다 고르기만하면 되ㅋㅋㅋㅋ
      모든것 이전에 건축이란, 그 시대와 장소에 맞는 형태를 띄게 되어있고 나름대로 최선에 의한 차이일 뿐인것을 그것에 대해 어느곳이 더 기술이 열등하니 아니니 하는 망언을 짖거린것부터가 니놈이 관련 종사자는 커녕 제대로 되먹지도 못한 인간이라는것을 보여준거다. 공부하랴먄 제대로 공부해라, 계속 그렇게 사진 몇장이나 선택적으로 검색 하면서 제대로 반론도 못하고 자기모순이나 만들어내며 빌빌거려봤자 아무도 니말 들어주지 않는단다ㅋ

    • @hiroono1
      @hiroono1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masizzungchocowooyoo3546 덧붙여 이순신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고 말하는 것은 한국인만이 믿는 거짓말이다. 다른 나라에서는 이순신 등 아무도 모른다. 일본의 도고 헤이하치로가 이순신을 존경하고 있다는 말도 한글만으로 쓰여져 있다. 도고 히라하치로는 물론 일본인이며 조선어를 모른다. 그것이 무슨 뜻인지, 당신에게 알 수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