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상온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발견한 연구진 모셨습니다 ft. 김갑진 카이스트 교수 / SBS 경제자유살롱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10 ก.พ. 2025
  • 1. 국내 연구진, 상온에서 양자역학 현상 최초 발견
    2. ‘상온 양자학적 스핀 펌핑’ 이해를 위한 기초 지식
    3. 세계 최초 발견 ‘상온 양자역학 스핀 펌핑’이란?
    4. 세계 최초 ‘상온 양자역학 스핀 펌핑’ 발견 앞으로 무엇이 달라질까?
    (총괄 : 박민하 / 기획 : 권애리 / 작가 : 이미숙 / 영상취재 : 박승원·강동철 / 편집 : 김남우/ 인턴 : 이선영)
    #양자역학 #네이처 #스핀펌핑 #스핀전류 #전자소자 #네이처 #카이스트#KAIST #스핀트로닉스 #김갑진 #전기차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237

  • @그래서_나는
    @그래서_나는 4 วันที่ผ่านมา +78

    저 교수님 언젠간 사고칠줄 알았더니 와우 대단하시네요

    • @judarwin1
      @judarwin1 3 วันที่ผ่านมา +6

      우리나라에 값진 연구를 하는 김갑진 교수님

    • @꼰미남-z3r
      @꼰미남-z3r 2 วันที่ผ่านมา +1

      과학이야기할때 눈반짝반짝 하시는거 보고 진짜 뭐하나 하긴 할거 같긴 했음

    • @neois-c3q
      @neois-c3q 2 วันที่ผ่านมา +3

      경상도 인재들은 과학계로 전라도는 우리법연구회로 ..

    • @GoopyMotions-s8t
      @GoopyMotions-s8t 18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1

      역시 즐기는자는 이길자가 없네요😂

  • @이창희-x2f
    @이창희-x2f 5 วันที่ผ่านมา +125

    설명하면서 눈 초롱초롱하신거 봐... 찐 맑눈광 과학자가 나타났다

    • @ChanChan-c4s
      @ChanChan-c4s 5 วันที่ผ่านมา +11

      귀여우신듯

    • @페르소나-o5g
      @페르소나-o5g 4 วันที่ผ่านมา +9

      정말 지금 까지 본 과학자 중에
      설명하는 걸 정말 좋아하는 분 같음
      뭔가 엄청 행복해 보임

    • @bigfish7926
      @bigfish7926 4 วันที่ผ่านมา +8

      너무 멋진분

    • @냥냥-l1x
      @냥냥-l1x 2 วันที่ผ่านมา

      주식사기로 돈 벌 생각하니까 당연히 눈이 초롱초롱해지죠 ㅋㅋㅋㅋㅋ

    • @꽐루이츠바사퀵브로사
      @꽐루이츠바사퀵브로사 2 วันที่ผ่านมา +2

      @@냥냥-l1x lk99에 물리셨나 사고방식 레전드네 ㅋㅋㅋㅋ

  • @dhbaek7267
    @dhbaek7267 4 วันที่ผ่านมา +21

    타고난 천재네.... 이론 이야기 하면서 너무 신나서 좋아 하는 모습이 진짜 타고난 천재!!

  • @Howe520
    @Howe520 4 วันที่ผ่านมา +56

    대한민국이 응용과학기술, 경제, 산업방면에는 엄청 발달했지만 가장 부족한게 기초과학분야에서 인류를 위한 기여입니다. 이분들이야 말로 현시대 가장 영웅이고 위대한 인물들입니다.

  • @vollovz
    @vollovz 5 วันที่ผ่านมา +59

    김갑진 교수처럼 이야기를 잼있게 하는 사람이 있었나? 이런분이 많아지면 좋겠다 이렇게 재미나게 말해야 꿈나무들이 많이 나올것이다~~
    저도 개인적으로 10여년 지난 해결하지못한 자기현상과 관련된 구조도를 책상 앞에 걸어놓고 매일 본다 ㅎㅎ 언젠가 해답을 찾겠지요 ㅎㅎ 누가 알까요? 특정조건에서 적은 에너지로 강한 자기적 공진이 발생하는 현상? 일명 자기공진~~

    • @System.Error.
      @System.Error. 4 วันที่ผ่านมา +6

      한국의 파인만 ㄷㄷㄷ

    • @용하재
      @용하재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이분 영상 보실려면 안될과학 에서 찾으시면됨

    • @julyspring8786
      @julyspring8786 2 วันที่ผ่านมา

      이분 안될과학 전자기학 편 무조건 봐야함.. 감동의 쓰나미

  • @장어진-l3t
    @장어진-l3t 5 วันที่ผ่านมา +55

    어쩜 이렇게 비전문가도 잘 이해할수 있게 이 어려운 이론을 재미있게 설명해 주실 수가 있을까?
    진짜 김갑진 교수님은 대한민국의 보배입니다.
    우리 아들이 내년에 카이스트 물리학과를 가고 싶어 하는데 잘 좀 부탁드립니다. 굽신굽신!!! ㅎㅎ

  • @유양류
    @유양류 3 วันที่ผ่านมา +9

    너무 흥미진진하게 봤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experiencer1119
    @experiencer1119 วันที่ผ่านมา +6

    42분을 넋놓고 봤네요. 정말 재밌습니다.

  • @당근-i6n
    @당근-i6n 3 วันที่ผ่านมา +15

    와 이렇게 일반인도 이해할수있게 설명하시다니 진짜 대단하시고
    놀라운 발견하신거 같아 존경스러워요

  • @ChanChan-c4s
    @ChanChan-c4s 5 วันที่ผ่านมา +88

    전설의 김갑진 교수님 반갑습니다

    • @neois-c3q
      @neois-c3q 2 วันที่ผ่านมา

      경상도 인재들은 과학계로 전라도는 우리법연구회로 ..

    • @이재롱-c8n
      @이재롱-c8n 2 วันที่ผ่านมา +4

      @@neois-c3q얼마되지도 않는 땅덩어리 가진 나라를 분열시키는 댓글...😅

    • @리븐꿀벅지
      @리븐꿀벅지 2 วันที่ผ่านมา

      @@neois-c3q 제발 10분간 숨을 참아주세요

  • @angdlansu
    @angdlansu 2 วันที่ผ่านมา +3

    김갑진 교수님 안될과학에서 보고 너무 감명받앗엇고, 아무것도 모르지만 큰일 하실 분이라고 느껴졋습니다. 축하드립니다. 연구자로서의 과학자 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도 너무 훌륭하십니다. 자석과 관련해서 리처드파인만이 상대를 업신여겨 가며 질문의 의도를 알면서도 상대에게 꼽을 주는 반면에,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잇게 성의와 열정을 보여 주시는 모습에 두번 박수치고 감명 받습니다.

  • @zalles90
    @zalles90 4 วันที่ผ่านมา +9

    와..이분 찐 행복해 하는모습...ㅎㅎ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시는군요..

  • @정하나-g8g
    @정하나-g8g 3 วันที่ผ่านมา +9

    대단합니다. 왜?라고 질문을 이어가면 예전 교육은 쓸데없다고 혼냈는데. 세상의 변화는 왜? 이런 의문이 필요한거네요. 양자컴퓨터와 많은 분야에 선한 영향력으로 이어져가길 기대합니다.

  • @formyfaterland
    @formyfaterland 4 วันที่ผ่านมา +9

    진짜 쉽게 설명 해주시네요.
    이게 바로 완벽하게 알고있는 사람의 모습이군요

  • @이병주-c5d
    @이병주-c5d 4 วันที่ผ่านมา +8

    초고차원의 원리를 최저차원으로 설명을 하시는 능력이 대단하세요.

  • @팜메라
    @팜메라 3 วันที่ผ่านมา +4

    김갑진 교수 님 !
    노벨상 화이팅 !!!!.....수고하셨고 감사합니다....

  • @uandikk82
    @uandikk82 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와 다 이해했다 너무유익하네요

  • @남희진-k4i
    @남희진-k4i 3 วันที่ผ่านมา +8

    개구쟁이처럼 너무 즐거워 하시네요 ㅎㅎ
    훌륭하신 공학자의 모습 참 멋지고 자랑스러운 분이네요

  • @Ddumgddung
    @Ddumgddung 5 วันที่ผ่านมา +41

    열이나지 않은 전자기기... 와.... 성공하면 진짜 대박이네요

  • @접속했어요
    @접속했어요 5 วันที่ผ่านมา +15

    하드디스크 설명 듣고 하드디스크에도 엄청난 기술이 있다는걸 알았네요... 어딘가에서 열심히 연구하시는분들 존경합니다~

  • @ChaosSein
    @ChaosSein 5 วันที่ผ่านมา +21

    천재가 좋아하는것에 미치면 이렇게 되는군요

  • @randomentertament5244
    @randomentertament5244 5 วันที่ผ่านมา +9

    왜이리 재밌게 설명을 잘하시냐 ㅋㅋ 시간가는 것도 모르고 봤네

  • @Jintaeks
    @Jintaeks 4 วันที่ผ่านมา +3

    설명을 너무 쉽게 해 주시네요. 그리고 너무 해맑게 웃으셔서 듣는 저도 기분이 좋아져요~

  • @bolasla8306
    @bolasla8306 3 วันที่ผ่านมา +5

    후학을 키우기 위해 같은 설명을 얼마나 많이 하셨을지 그 노고에 경의를 표합니다

  • @okseonhwang3231
    @okseonhwang3231 3 วันที่ผ่านมา +3

    교수님 멋있어요. 늘 재밌는 과학..자석의 위대함

  • @tmvmfpemchqh
    @tmvmfpemchqh 5 วันที่ผ่านมา +28

    흥미진진하게 봤습니다.
    사회자 분도 상당한 지식이 있으시군요.

    • @그래서_나는
      @그래서_나는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ㄹㅇ 일부러 좀 아는사람 부른듯

    • @thunder5311
      @thunder5311 วันที่ผ่านมา

      말귀를 못알아 들으셔서
      계속 예시를 들어서 설명 해주시는데요..?

  • @whirlwhirlfly
    @whirlwhirlfly 5 วันที่ผ่านมา +34

    양자 현상 중에 파동으로 설명되는 터널 효과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아주 잘 설명해주신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상온 양자라는 말을 부득이하게 쓰게 돼서 상온 초전도체 때와 자꾸 겹쳐보이는 분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초전도체는 전자가 얽힘 상태에 놓여서 저항없이 무손실 전류를 만드는 양자 현상이지만 온도에 굉장히 민감합니다. 불 위에서 가만히 있으라, 같은 상황이죠.
    김 교수님 논문은 순식간에 불을 지펴서 스핀이 튀어나오게 하는 것으로 오히려 역동적인 상황이라
    시청자들이 이런 점을 잘 구분해서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 @shk9340
      @shk9340 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이번 실험은 양자터널효과와 관련없습니다. 물리근간에 있는 각운동량 보존법칙이 아이디어의 시발점입니다. 스핀이라는것은 양자역학 개념에서 태어났지만 스핀의 총체적인 효과인 스핀트로닉스는 고전적인 팽이와 같은 움직임으로 스핀을 해석해왔습니다. 이번 실험은 처음으로 스핀을 양자역학적 시각에서 잘 측정돼고 봤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는겁니다.

    • @이윤율-l4w
      @이윤율-l4w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1. 양자 터널 효과와 상관 없습니다.
      2. 상온 양자 스핀 펌핑은 부득이하게 사용한 용어가 아니라 물리학적인 공식 용어입니다.
      3. 초전도체는 얽힘 상태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닙니다.
      4. 불을 지피거나 하는 비유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 @whirlwhirlfly
      @whirlwhirlfly 4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윤율-l4w 2번에 대해서는 교수님도 "상온 양자" 이렇게 쓰면 논란이 될 것이다, 라고 고민하셨다고 다른 영상에서 언급하셨습니다.
      3번에 대해서는 전자 쿠퍼쌍을 말한 것인데 초전도체의 핵심 원리입니다.

    • @이윤율-l4w
      @이윤율-l4w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whirlwhirlfly 사람들이 상온 초전도체와 관련이 있다고 오해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것과 '부득이한 사용'은 다른 표현입니다. 오히려 과학적 표현을 위해 오해를 불러일으킬 여지를 알면서도 사용하신 거죠.
      또한 BCS 이론의 쿠퍼 쌍은 단순히 전자가 입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상관 관계에 놓이게 되는 것이지 연관된 입자의 파동함수를 독립적으로 계산하지 못하게 되는 얽힘 현상과 다른 현상입니다.

    • @whirlwhirlfly
      @whirlwhirlfly 4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윤율-l4w4번에 대해서는 교수님도 전자가 돈다고 표현을 하듯이, 실제 전자는 돌지 않는다고 하죠, 비유 방식은 최대한 단순하게 한 것입니다.

  • @이다루-h8o
    @이다루-h8o 4 วันที่ผ่านมา +5

    김갑진 교수님. . . 내용이 뭔지 모르지만 축하부터 드립니다 .. . 교수님 덕분에 물리가 재밌습니다

  • @오치헌-n3y
    @오치헌-n3y 4 วันที่ผ่านมา +10

    40분 강의가 4분 같은 양자 스핀 펌핑 같은 몰입감이였네요.^^

  • @cjsdlsxo
    @cjsdlsxo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물론 더 공부해야 겠지만 처음 듣기에 너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jmj7954
    @jmj7954 2 วันที่ผ่านมา +1

    너무 재밌어요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김스킵
    @김스킵 3 วันที่ผ่านมา +3

    갑진교수님 너무 귀여우심ㅋㅋ

  • @아하아하-c9l
    @아하아하-c9l 4 วันที่ผ่านมา +8

    우리나라도 다시 과학 지원 열심히하자 아까운 천재가 너무 많다

  • @득도자경주최00
    @득도자경주최00 4 วันที่ผ่านมา +3

    참 좋아요 ^^

  • @알랴줌안-u8v
    @알랴줌안-u8v 4 วันที่ผ่านมา +6

    와 일반인도 어느정도 이해 가능하게 설명이 가능하신분이 있구나
    그게 더 대단한듯.

  • @timothycheon
    @timothycheon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물리학 너무 재미있는 분야같습니다.

  • @onemoon2811
    @onemoon2811 2 วันที่ผ่านมา +1

    교수님 대단하십니다^^
    항상 순수한 어린아이얼굴로 전공연구에 몰두하는모습!..그삶의 태도, 조금이라도 흉내내어 보겠습니다.

  • @fgmsm
    @fgmsm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새로운 발견은 했지만 응용이 되어야 진정한 빛을 보겠죠.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 @originlife7939
    @originlife7939 4 วันที่ผ่านมา +5

    이렇게 세세한 설명을 들어보니 물리학의 세계는 참 신기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 @Haeng-SeokKO
    @Haeng-SeokKO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비전공자가 알아들을 수 있도록 참 설명을 잘하시네요. 잘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라온사랑-c7h
    @라온사랑-c7h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김갑진 교수님~ 응원합니다~^^

  • @KrisdreismtiyakyBelieveme
    @KrisdreismtiyakyBelieveme 3 วันที่ผ่านมา +5

    아래분 말대로. , 저도 큰 사고(?) 치실거라 생각했죠!ㅎㅎ 선행학습없이 시골서 혼자공부한 진짜 천재시죠.

  • @최은주-s9r
    @최은주-s9r 5 วันที่ผ่านมา +8

    와 👏👏👏👏👏

  • @아이스크림은메로나
    @아이스크림은메로나 3 วันที่ผ่านมา +5

    또 당신입니까 대갑진...

  • @skylikey
    @skylikey 4 วันที่ผ่านมา +5

    천재가 있고 가르치는 능력의 천재가 있다는데... 오늘 처음 보네요.
    아니 물리학 이야기를 이렇게 재미있게 들었다고 41분이나???
    맙.소.사. 연구결과보다 그게 더 충격입니다.

  • @이름성-l3f
    @이름성-l3f 4 วันที่ผ่านมา +3

    카이스트 홧팅

  • @kevinkim4583
    @kevinkim4583 3 วันที่ผ่านมา +2

    진짜 이 어려운 개념을 정성들여 설명해주셔서 제 지식이 조금 늘어났습니다. 감사합니다 교수님. 항상 안될과학에서도 좋은 강의 해주셨는데 너무 재밌게 잘 설명해주십니다!…감사합니다

  • @홍준표-x3h
    @홍준표-x3h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김갑진 교수님의 얼굴을 보는 순간 바로 시청합니다. ㅋ

  • @lunararirang2684
    @lunararirang2684 2 วันที่ผ่านมา

    교수님이 진짜 친절하시네요.

  • @논리학-w4t
    @논리학-w4t 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이해가 되는 것 같음

  • @summerTV
    @summerTV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와 진짜 잼있다

  • @kulleelee2584
    @kulleelee2584 4 วันที่ผ่านมา +3

    김갑진 교수님 장점 - 뭐든 쉽게 이해하게 말씀하신다. 아항.. 그렇구나. 맞아 그러네... 아.. 그렇구나..
    단점 - 기억상실증이 뭔지를 알게 해주신다. 어라 뭐라고 하셨지? 자석이.. 음.. 전기가.. 음.. 뭐였더라?
    이 영상 끝까지 보시면서 어려운거 없었죠?
    근데 3초만 지나면, 무슨 말을 했는지 기억나는게 없죠?

  • @수요일-k9c
    @수요일-k9c 4 วันที่ผ่านมา +3

    와 재미있다.. ^^

  • @모바일프로-k3v
    @모바일프로-k3v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정치는 썩어도 국민은 한국을 살리고 있다..

  • @이재일-z9s
    @이재일-z9s 4 วันที่ผ่านมา +9

    이런 소중한 과학자와 주요
    인물들이 보호를 받았는가?
    이런 상태라면 초강대한은
    없을 수 있다.
    한국은 인재가 전부이다.
    잘 지키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 @amateurkim5619
    @amateurkim5619 5 วันที่ผ่านมา +9

    기사로는 뭔 소린지 모르겠더니만, 저자 직강이라 귀에 쏙쏙.

  • @ScottLee-n3k
    @ScottLee-n3k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대단하시네요

  • @단테-z1u
    @단테-z1u 23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1

    이거 왜 잼있냐... 밤새 봤네

    • @ChanChan-c4s
      @ChanChan-c4s 15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그러게요 보고 또 봄ㅋㅋㅋㅋㅋ재밌네 물리

  • @진돗개탄
    @진돗개탄 7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저런 게 다 재밌어야 카이스트 교수님이 되는거군요 ㄷㄷ

  • @REDWANG11
    @REDWANG11 3 วันที่ผ่านมา +8

    “기존에
    인류가 모르던 어떤 현상을
    처음으로 봤다”
    캬~ 간지 뒤져버려용

  • @diomedeaalbatross1479
    @diomedeaalbatross1479 วันที่ผ่านมา +1

    철로디움 합금의 계는,
    가열하면 전자파동의 변화로
    보강간섭들의 정상파가 재배열되며
    수직을 거치지 않고도 강자성체가 된다.
    상온에서 냉각절차에 해당하는
    에너지 비용을 치르지도 않고
    자석이라는 이진법 스위치를 켜고 끌 수
    있다는 말로 저는 이해되네요.
    감사합니다. 교수님.

  • @홍스라이프
    @홍스라이프 5 วันที่ผ่านมา +5

    상온 초전도체에 이어 상온 양자역학!

  • @jaeokElang
    @jaeokElang 4 วันที่ผ่านมา +8

    31:26즘 부터 0이었는데 +9로 바뀐다라고 하셨읍니다 그래서 -9는 어디갔지? 라는 질문, 0이었을때 +4이상은 있었읍니다
    서로 상쇄되서 0이었던거지 첨부터 0은 아니었고 그래서 -9는 어디갔지가 아니라
    -4이상은 어디 갔지? 가 맞는거 아닌가 해서 끄적여 봅니다 늘 건강히 오래도록 카이스트에서 훌륭한 가르침을 주시길,,,😊😊😊

    • @onionsoup485
      @onionsoup485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상태는 없습니다. 그림을 잘 보시면 +1(업스핀)주변은 모두 -1(다운스핀)입니다. 이게 계속 반복되는 구조라서 정확히 5:5로 존재하여 0입니다.상쇄되어 0이라고 하신부분이 있는데, 상쇄 되지 않은 상태는 없습니다.

    • @musicarte1
      @musicarte1 4 วันที่ผ่านมา

      그런 거 아닙니다. 아니었기 때문에 연구진이 고민에 빠졌던 겁니다.

    • @shk9340
      @shk9340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 - 부호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것들의 배치가 반복되는구조라 총량은 상쇄돼 0인겁니다. 온도를 올려 phase가 변하는 상전이 시점에 스핀은 한방향으로 정렬돼 9의 스핀값을 얻는데 그러면 각운동 보존법칙에 의해 -9도 어딘가에 있어야 한다는겁니다.

    • @jaeokElang
      @jaeokElang 4 วันที่ผ่านมา

      물리 지뿔도 모르는 인간이 화면에 보이는 숫자만 보고 이해 안돼서 쓴 글입니다
      모두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 @jangsoolim8434
    @jangsoolim8434 4 วันที่ผ่านมา +5

    아마 유튜브를통해서 양자역학이나 스핀강의를 쭉 해오셧고 다른 과학자분들도 양자역학에대해 많은 강의 영상들이 잇는데 전세계 국민들중에 그나마 양자역학에대해 이야기를 들어봣고 약간은 이해를 하는 국민은 대한민국 국민이 제일 많지않을까? 과학대국 대한민국을 희망합니다 많은 어린이들 장래희망1순위가 과학자가 되면 좋겟습니다

  • @shinyk64
    @shinyk64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정말 대단하십니다. 근데 100도씨로 올리려면 또 에너지(열)를 써야 하는거 아닌가요?

  • @PaWeGiWo
    @PaWeGiWo 4 วันที่ผ่านมา +3

    설명 너무 잘하신다.
    너무 흥미롭게 이해 90% 되게 잘들었네요.
    하루빨리 반중력장치 개발해서
    미중패권을 무찌르고
    한국이 전우주 최강이 되었으면 하네요.

  • @DaeWonJang
    @DaeWonJang 4 วันที่ผ่านมา +7

    보자 마자 너무 집중해서 끝까지 보게 되네요. 여윽시 명불허전 김갑진!!

  • @gedwed6715
    @gedwed6715 3 วันที่ผ่านมา

    관심이 없어도 매년 소식이 들려오시더라니 ㄷㄷ

  • @셀레모스
    @셀레모스 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안될과학 같은 곳에서 보던 분을
    뉴스에서 볼줄이야😅

  • @jong-heepark1645
    @jong-heepark1645 วันที่ผ่านมา

    Very Very intersting!!
    Spin state exist between Up and down only! Chemical bonding-nonbonding theory in case H atom-H atom bonding makes H2 molecule, if add one more (spin +1/2 or -1/2) it goes to none bonding state, and again upon adding one more (+1/2 or -1/2) it goes anti bonding so hydrogen molecule separates into atom. KAIST Physics you guys have great fun! I love hear from this, and very interesting stub. Thermodynamically the spin array seems relevant from my experience using Pd-PdHx with hydrogen environment experiment.

  • @cry_st.4604
    @cry_st.4604 3 วันที่ผ่านมา +6

    논문 써놓고 따로 나와서 친절하게 설명해주시는 착한분 👍

  • @WAVEW-e6l
    @WAVEW-e6l 4 วันที่ผ่านมา +5

    "노벨상 후보?, 직접출연" 캬~~~~~~~공중파의 클라스~~
    이미 안될과학서 기자들 이럴거라 예상했는데 역시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moonyoungparkpark8060
    @moonyoungparkpark8060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이거 뭔지 무지 실용적일 거 같네...

  • @Fasi-lj7hz
    @Fasi-lj7hz 5 วันที่ผ่านมา +4

    마법 같네요

  • @johnyu2003
    @johnyu2003 4 วันที่ผ่านมา +7

    조용히 이 나라를 이끌고 인류를 발전시키는 분은 정치인, 기자, 종교인이 아니고 과학자 입니다.

  • @SbN-o2z
    @SbN-o2z 4 วันที่ผ่านมา +14

    아무리 생각해도 쉬운 얘기가 아닌데, 너무 재밌게 앉은 자리에서 잘 배웠네요!
    천상 학자십니다. 부디 노벨상도 수상하시고, 국가와 인류를 위해 더 좋은 발견 많이 해주세요!!

    • @pel3798
      @pel3798 4 วันที่ผ่านมา

      안될과학에서 김갑진교수가 나와서 계속 얘기 했는데, 언론에서 저 "타이틀" 때문에 이상하게 저렇게 띄워주기를 하고 있는데 별거 아니라고 했음.
      과도하게 이상하게 국뽕처럼 몇몇의 국민들이 행동한다고.
      좀 "노벨상" 이런 단어 좀 자제 좀 하세요.
      언론 기자부터 뭔 전생에 노벨상 못받아 죽었나...

    • @fgmsm
      @fgmsm 4 วันที่ผ่านมา

      ㅋㅋ

    • @Renlaw666
      @Renlaw666 6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pel3798 네이처 에 올라간거면 별거 아닌게 아닙니다 ㅋ

  • @whirlwhirlfly
    @whirlwhirlfly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온도 얘기가 나와서 궁금한 것이,
    상 전이를 이용하면 인위적인 전류 공급은 안 해도 되지만 근데 온도를 급속으로 올리려면 전기 가열해야 된다는 것인데, 효율성 문제가 여전히 있는 거 같기도 하네요.

    • @wjaxh
      @wjaxh วันที่ผ่านมา +1

      여기서는 설명을 안해줬는데
      실험할 때 강한 레이저를 쏴서 온도를 올렸다고 합니다

  • @감자의일상-i3b
    @감자의일상-i3b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관측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궁금해요.(초6)

  • @Sniff.Sniff.
    @Sniff.Sniff.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이거.... 뉴스 볼라고 클릭했는데....

  • @제주-n9u
    @제주-n9u 4 วันที่ผ่านมา

    엄청난 발견이네요 상온에서 초전도체 현상이 가능한 시대가 올지도

  • @mattkim4358
    @mattkim4358 3 วันที่ผ่านมา

    교수님, 스핀 방향이 왼쪽으로 도는 이유가 전자의 앞 부분을 때려서 인가요?

  • @shootingStar236
    @shootingStar236 4 วันที่ผ่านมา

    갑자기 든 생각이 이 우주의 작동 원리도 어찌보면 자기장의 원리랑 비슷한 게 아닐까요??? 즉, 우리는 어떤 원자 안에서 살고 있는 거죠
    13:29 반자성체 라는 게 구리랑 물이다 라는 건 알지만 완전한 반자성체 라는 게 어떤 건지 이해가 잘 안되어서 물어보는 거 같네요
    26:12 전자도 휩니다. 빛도 휩니다.

  • @add2_chord
    @add2_chord 4 วันที่ผ่านมา +2

    양자역학이 진짜라는게 또 한번 밝혀진 발견이라고 이해하면 될거 같네요

  • @문영근-z2f
    @문영근-z2f 4 วันที่ผ่านมา

    신기하네

  • @Sunfull100
    @Sunfull100 2 วันที่ผ่านมา +3

    이분 곧 침착맨 채널에 나오실듯

  • @heart-of-people
    @heart-of-people 2 วันที่ผ่านมา +1

    1층에서 올라가다 부딪혀서 못 올라간 놈은 중간층에서 오래 오래 사는 건가요?

  • @Hoons_1018
    @Hoons_1018 4 วันที่ผ่านมา

    이세상은 시뮬레이션이 맞네

  • @hangjaeshin3538
    @hangjaeshin3538 5 วันที่ผ่านมา +2

    열이 나면 자성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온도로 돌아가면 다시 자성이 돌아와야하는데 그것도 아님. 그럼 차갑게 하면 자성을 부여할 수 있다면 차갑게 한 다음 다시 원래 온도로 되돌리면 자성이 생기고 유지가 되어야하는데 안됨...

  • @제프린
    @제프린 4 วันที่ผ่านมา +1

    1. 초전도체랑 상관없는 현상이고.
    2. 단지 논문 제목에 상온 양자가 들어가서 상온초전도체를 많은 사람들이 연상했을 뿐이고
    3. 쓰임새가 실용가치가 상당히 높아보이는 과학적 발견임.
    자석을 활용한 온갖 전자기기의 발열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
    일례를 들면 개인 컴퓨터 그래픽카드 CPU 하드디스크의 발열을 줄일 수가 있어서
    오버클락을 엄청나게 높혀서 성능을 뻥튀기 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임.
    4. 노벨상 까지는 모르겠음. 이 과학적 발견을 활용해서
    인류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는 결론이 10년후 20년후에 생기게 된다면
    충분히 노벨 물리학상을 받을 수 있는 내용임. 가능성이 있는 편임.

  • @이상권-b3j
    @이상권-b3j 4 วันที่ผ่านมา

    열도 일종의 전자가 아닌지요 잘 몰라서 궁금하내요
    그리고 자기장도 전자가 아닌지 궁굼하내요 코일에서 자석을 흔들면 전류가 발생하는데 왜 전류가 발생 할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박사님께서 알려주세요
    부탁합니다

  • @julie-q2q4p
    @julie-q2q4p 5 วันที่ผ่านมา +5

    이학 분야에서 노벨상 하나 더 나오면 이제 구색은 갖춘거다!

  • @bangu311
    @bangu311 4 วันที่ผ่านมา

    진짜 엄청난 발견을 하셨네요 근데 100도로 올려야되면 전자기기의 온도를 낮추는거가 힘들지않음?

  • @kpop인스펙터
    @kpop인스펙터 4 วันที่ผ่านมา +4

    이거로 제대로된 노벨상한번 받아보자

  • @1Q81725
    @1Q81725 3 วันที่ผ่านมา

    아마도, 장(4차원 계, 중력차원)과 물질의 조합에 따라 특정 온도에서 그런 현상이 일어나도록 도와주는 것 같습니다. 진공처럼 물질의 비중이 낮은 곳에서만 일어나는 활동이 비중이 높은 곳에서 일러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은 엮시 장과 물질의 결합빙식이나 에너지 레이어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현상입니다. 네 아무말 대잔치입니다 ㅋㅋㅋ

  • @심플한인생-p7j
    @심플한인생-p7j 4 วันที่ผ่านมา

    열나지 않는 전자기기라 그래픽카드에 적용하면 전기에너지 효율이 올라가겠군요
    다만 전력이 얼마나 사용하느냐가 관건일듯

  • @산기슭-w2s
    @산기슭-w2s 5 ชั่วโมงที่ผ่านมา

    양자는 몰라도 된다
    저 행복한 표정을 배우고 싶어

  • @파이팅-k3q
    @파이팅-k3q 2 วันที่ผ่านมา +1

    나도 연구자 였다면?~~~저항이 없는 초전도체를 저온에서 작동하는 이유? 추운 겨울에 눈 위에 저항 마찰력이 적은 비료 포대로 썰매 타면 큰 저항 없이 미끄러 지는 거잖아요 그래서 결국 저온에서 나타나는 열과 마찰력을 낮출 수 있는 재료를 개발하면 될 것 같네요~~~결국 사람이 살 수 있는 이유는 지구가 돌고 있기 때문 이군요~~지구 위 스핀 속 스핀 현상 이네요 물체와 생명이 존재한다는 것이 우주 지구 와 지구 구체 내 수많은 스핀 현상 속에 살고 있는 것이네요

  • @심기형-e5y
    @심기형-e5y 4 วันที่ผ่านมา

    교수님 천둥번개 원리를 밝혀서 노벨상에 도전하세요. 물분자의 극성이 배열되어 나타나는 현상인데 지상의 안개에서는 천둥번개가 안치는데 유일하게 번개의 역활은 공기중에 오염되어 있는 유기 물질을 분해하는 역활을 하는데 비행기를 타고 올라가면 공기중에는 무게 차에 의하여 다른 화합물의 경우 높이 가 다른데 ... 공기중에 있는 공기는 온도와 압력차가 공기흐름변화에 따라서 오염유기 물질이 물분자와 섞일때 나타나는데 이때 물분자의 독립되 건전지 처럼 형성되는 원리인데 이때 변압기처럼 물분자가 전기극성의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배열이 균일하게 되어 거대한 전기구름이 형성됩니다. 이때 거대한 전압이 형성되게 되지요. 물분자의 경우 수소와 산소의 구조적인 극성이 형성이 되어 전기량이 있는데 공기중에 화합물형태의 미분해된 유기 물질은 부도체형태입니다. 화합물의 경우 부도체이기 때문입니다. 물분자와 물분자 사이에 오염 유기 물질인 화합물이 섞여서 물분자의 독립적인 형태가 되면서 거대한 전자 구름이 형성되는데 두 먹구름 (오염유기물질과 물분자가 섞여 있는상태) 흰구름(주로 물분자만 있는 상태) .... 자연의 원리는 자정작용을 하는데 먹구름의 경우 유기오염물질이 섞여 있고 섞기려면 기압차가 심하여 바람에 의하여 서로 섞기게 됩니다. 이때 천둥번개가 일어나는 일이 있다고 봅니다. 물분자가 병렬과 직렬로 배열되어 거대한 전압이 나올수 있는 원리이고 운동에너지가 이러한 에너지도 마찰로 인한 전기도 형성된다고 봅니다. 화합물의 경우 부도체이기 때문에 정전기가 나올수 있는 원리로 거대한 물분자 정전기들이 거대한 먹구름이 두개가 붙디치면 천둥번개로 이어진다고 봅니다. 천둥번개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자정작용이 일어나는 원리가 이렇게 된다고 봅니다. 온도와 기압차에 의하여 공기 흐름이 형성되는데 .... 보통 바다의 경우 석유가 많이 나오는 유기물질이 공기중에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서 유기 오염물질이 많으면 천둥 번개가 정신없이 치는 지역이 있습니다. 결국 천둥번개의 작용은 유기화합물과 물분자가 섞어서 물분자의 전기값이 높은 전압이 되어지는 변압기 원리처럼 각각의 전기량이 병렬과 직렬형태로 배열될때 두 거대한 전기전압이 합쳐지면서 천둥 번개가 치는 것인데 마이너스와 플러스가 규칙있게 배열되는 현상이 일어나서 두개의 구름이 붙이치면 천둥번개가 치는 것입니다. 천둥소리는 거대한 전압 플러스와 마이터스 헤드엔 테일 형태의 물분자 거대 구름이 붙이치면서 감마선에 근접된 빛이 나오면서 완전연소되기 이전의 유기물질이 산소와 순간연소되면서 나오는 것이 순간 압력팽창이 천둥이고 전기와 전기가 붙이치면서 나오는 강력한 빛이 불안전 연소된 유기 물질을 분해시키는 원리라고 봅니다. 그리고 nature지에 논문 쓰실때 이것을 하시면 저를 3번째 저자로 넣어주세요 ㅎㅎㅎ, 이것은 노벨상의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전 이현상을 오래동안 관찰하여 내린 결론입니다. 저도다 물리학쪽에 많은 지식이 있으시기 때문에 이러한 원리를 좀더 구체화하시면 멋진 논문이 될것입니다. 천둥번개에 대한 많은 논문들이 있는데 정확한 분석에는 다들 어려움이 있더라구요. 접지관련원리로 설명하는 것은 접지는 천둥번개 이후 가장 가까운곳에 전기가 흐르는 현상이라고 봅니다. 공기중에 유기 불순물이 많을때 자정작용의 나타나는 원리가 천둥번개로 공기가 맑아지지요. 오존도 생산이 되고 산소에 의한 완전 연소도 되기도 하고... 강력한 알파, 엑스레이, 감마선으로 분해되는 원리라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는 폭발이 일어나기 위하여 3가지 요소가 있어야 합니다.

  • @바람따라-s2h
    @바람따라-s2h 3 วันที่ผ่านมา +1

    냉장고 속에도 자석이 존재한다면...냉장고자석 자막달때 잘좀달아주자.

  • @88fin5
    @88fin5 4 วันที่ผ่านมา

    아 이거 노벨상 가능성있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