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4년] 전기기능사 필기 이론 - 37강 전선

แชร์
ฝัง
  • เผยแพร่เมื่อ 9 ก.พ. 2025
  • 새로운 전기기능사필기 이론강의입니다.
    여러분의 자격증취득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산에듀는 항상 여러분과 함께하겠습니다.
    다산에듀의 홈페이지와 커뮤니티에 오시면 더 많은
    무료 공개자료와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산에듀 홈페이지에서는 이 영상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 교재구매 : 다산에듀 홈페이지
    www.e-dasan.net/
    ▶ 접속 ▶ 수강신청 ▶ 전기기능사필기
    www.e-dasan.ne...
    ■ 커뮤니티 : 네이버 다산에듀 공식카페
    '전기자격증 한번에 합격하기'
    cafe.naver.com...
    #전기기능사#전기기능사필기#다산에듀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47

  • @더센트-y8f
    @더센트-y8f ปีที่แล้ว +37

    1. 옥외용비닐절연전선: OW (Outdoor Wire)
    2.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 DV (Drop Vinyl Wire)
    3. 450/470 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 전선: NR (Non-sheathed cable with Rigid conductor wire)
    4. 450/470 V 이하 고무절연전선: RB (Rubber insulated wire with paper Bound)
    5. 비닐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VV (Vinyl insulated Vinyl sheathed cable)
    6. 고무 절연 클로로프렌 외장 케이블: RN (Rubber insulated Chloroprene sheathed cable) : Chloroprone의 마지막 N을 따서 RN으로 하지 않았나 싶어요. RC의 다른 약자와 겹치지 않게.
    7.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외장 케이블: CV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Vinyl sheathed cable)
    8. 미네랄 인슐레이션 케이블: MI (Mineral Insulated cable)
    9. 기기 배선용: NRI (Non sheathed cable with Rigid conductor for Internal wiring)
    10. 일반용 유연성 NF (Non sheathed cable with Flexible conductor)
    11. 기기배선용 NFI (Non sheathed cable with Flexible conductor for Internal wiring)
    12. 비닐절연 네온전선 NV (Non sheathed cable with Vinyl insulated neon wire)
    13. 옥외용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전선 OC (Outdoor Cross 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wire)
    14. 경동선: H (Hard - drawn copper wire)
    15. 동심중성선 수밀형 전력케이블: CN- CV- W (Concentric Neutral Conductive Vinyl Water blocking cable)
    16.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내화케이블: NFR (Non sheathed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polyolefine cable)
    17.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외장 네온 전선: NRC (Non sheathed Rubber insulated Chlroroprene sheathed neon cable)
    제가 찾아 본 결과인데 확실치는 않지만... 저처럼 답답하신 분들께 도움이 될까 싶어 올려봅니다.
    확실한 검증은 선생님께 여쭈어 보아야 할 뜻합니다...

    • @krko5344
      @krko5344 ปีที่แล้ว

      저도궁금해서찾아보려고했었는데
      감사합니다

    • @아야-q8g
      @아야-q8g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ㅜㅜ

    • @가시물그릇-y4y
      @가시물그릇-y4y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사랑합니다😢 ❤❤

  • @종훈송-w9k
    @종훈송-w9k ปีที่แล้ว +6

    감사합니다~~🙏🙏🙏

  • @xqlgjdkgjsd
    @xqlgjdkgjsd ปีที่แล้ว +7

    드디어 전기설비 입개르 ~ 전기설비 들어와서 기분좋으면 개추

  • @한카리아스-q8o
    @한카리아스-q8o ปีที่แล้ว +4

    문제풀이 15:35

  • @가나다-u2i
    @가나다-u2i 10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허기전
    허용전류, 기계적 강도, 전압강하

  • @tjason1901
    @tjason190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9:17 동축케이블에서 동축은 동이 축이라는의미가 아니라, 전류가 흐르게 되는 도체의 축이 같다는 것에서 온거 같은데요...

  • @balletplie
    @balletplie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20241030 2회독도 힘들게 여기까지 왔다.....그래도 지치지 않고 열심히 꾸준히!!! 하겠습니다.

  • @2-.177
    @2-.177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같은 직경의 전선인데 단선과 연선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 @songsong-
    @songsong- ปีที่แล้ว +1

    1회독입니다.

    • @songsong-
      @songsong- ปีที่แล้ว

      2회독입니다.

  • @Jeongs_U
    @Jeongs_U ปีที่แล้ว +3

    이론내용에 없는 문제는 그냥 풀이 보고 외워야하는건가요?

    • @imghost180
      @imghost18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ㄹㅇ설명도 없이 그냥 알겠거니하고 넘어감 책샀다 이거지

  • @sineojy
    @sineojy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1회독 완료

  • @블사가
    @블사가 ปีที่แล้ว

    11번 14번18번 21번등 이번에 새로개정된 KEC로 개정된 내용인가요?

  • @sineojy
    @sineojy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회독 완료

  • @이정원-e2n
    @이정원-e2n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RN이 아니라 PN 아닌가요?

  • @박시언-t3t
    @박시언-t3t 2 ปีที่แล้ว +11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제가 다름이 아니라 내년에 학교에서 전기 전자 동아리 신설을 목표로 계획을 짜고 자료조사를 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댓글 남깁니다. 우선 제가 질문하고 싶은 것은 '고압선의 경우 알루미늄을 송전선의 재료로 사용하는데 왜 일반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건물 혹은 전자제품에선 전선을 구리로 하는가''입니다. 구리의 저항이 1.68×10-⁸이고 2.82×10-⁸인 알루미늄보다 60%가량 낮아 전기전도도는 구리가 알루미늄의 60% 정도로 효율이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는데요. 하지만 그에 비해 알류미늄이 2.7g/cm³이고 구리는 8.94g/cm³로 알루미늄이 구리의 밀도에 3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LME 런던금속거래소의 가격표에 따르면 구리가 알루미늄보다 3.3에서 약 4배가량 더 비싸다는 것도 알 수 있었는데요. 이처럼 전기전도도는 구리보다 작지만 낮은 밀도와 저렴한 가격이란 측면에서 나머지 변인들은 같다는 조건하에 알류미늄의 단면적을 구리의 2배로 해서 사용하거나 줄의 갯수를 2배로 늘려 사용하면 더 경제적이지 않을까 하는 의문점이 남았습니다. 이제 막 전기에 호기심을 갖고 배우는 학생인 점을 감안하셔서 부디 잘못 알고있는 점이 있다면 너그럽게 이해해주시고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고등어-p5t
      @고등어-p5t 2 ปีที่แล้ว

      알루미늄은 구리보다 가볍고 저렴하며 유연할 수 있지만 일부 응용 분야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옵션이 될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매우 부드러운 금속으로 마감이 어렵고 설치에 필요한 노동력이 증가합니다. 다른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루미늄을 길게 사용하면 구리 케이블 값의 거의 두 배에 달하는 전압 강하가 발생합니다. 증가된 드롭은 컴퓨터나 텔레비전과 같은 민감한 장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는 종종 전압 강하를 보상하기 위해 케이블 크기를 늘려야 합니다.
      알루미늄 케이블은 특히 고주파 기계적 진동이 있는 산업 건물에 설치할 때 진동으로 인해 고장날 수 있습니다.
      구리에 비해 알루미늄의 수명이 짧으면 더 자주 교체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비 구리보다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한 엔지니어와 계약자는 알루미늄 케이블 설치와 관련된 인건비 증가로 인해 유지 관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할 수 있습니다

    • @박준홍-e8c
      @박준홍-e8c 2 ปีที่แล้ว +13

      중졸 전기 노가디언입니다.
      대학생이라 여러가지 요인들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시려는 모습 멋집니다.
      배운것이 없어서 설명을 심플하게 할수밖에 없어서 좋을것같네요.
      가장 큰 이유 한가지만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장 큰 요인 하나가 경제적 요인입니다.
      세상돌아가는 모든 이치가 바로 경제적 요인이기도하죠.
      전기선을 한번 시공하면 반영구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하게되죠.
      자유전자의 이동경로를 자동차 도로라고 정의하고
      LME 공시가를 차량가격으로 정의하고
      밀도를 크기는 같지만 중량이 다른 두 차가 있다고 가정해보고
      전도율을 연비라고 정의해봅시다.
      반영구적으로 운행할 차량을 구매하려고 한다면 차가 아무리 저렴하고 가볍고 기능 좋은 옵션이 많다고해도
      연비좋은 차량을 구매해야 가장 경제적 경제적이겠죠?
      전기선도 마찬가지입니다.
      포인트는 딱하나!
      구리선이 알미늄선보다 전자의 이동을 잘 시켜주기 때문에 평생쓸 전기세를 절감할수 있겠죠.
      동일한 아웃풋을 내려면 저항이 높은 알미늄은 인풋량이 증가하게되어 전기세가 어마어마할겁니다.
      그 어마어마한 전기세를 평생 부담할수는 없겠죵?
      그래서 재료비, 시공비가 다소 들더라도 구리선을 쓰는 이유입니다.
      공학도는 자연과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경제성이 좋은 요소를 선택하고 설계하는 엔지니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못이룬 꿈을 끝까지 노력하셔서 좋은 미래를 만들어주시기 바랍니다.
      도움되셨으면 좋겠네요.

  • @초코파이오예스몽쉘
    @초코파이오예스몽쉘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책에 없는 내용의 문제들이 유독 많은데 그냥 문제+답 자체를 외우는게 좋을까요?

  • @우산-r6m
    @우산-r6m ปีที่แล้ว

    책에 내용이 없는 문제는 4칸 5칸 위주로 암기해두면 될까요?

  • @가오오
    @가오오 ปีที่แล้ว

    드디어 3단원..bbbb

  • @balletplie
    @balletplie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024/09/23 하 이제 조금 쉬워지는건가??? 전기설비.....????

  • @완숙-u9d
    @완숙-u9d ปีที่แล้ว

    전기설비 입장 ~~ 🎉

  • @wooyechan
    @wooyechan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2회독 허기전

    • @wooyechan
      @wooyecha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3회독

  • @전기-h3h
    @전기-h3h ปีที่แล้ว

    기출 돌려야겠네

  • @김준가-b7e
    @김준가-b7e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설비 열받는다 진짜 왜이리 안외워짐

  • @캄영찬
    @캄영찬 2 ปีที่แล้ว +2

    나 김영찬 시험 하루 앞두고 시작했다 ㅋㅋ

    • @elec7
      @elec7  2 ปีที่แล้ว +2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천땅-t7s
    @천땅-t7s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회독!

  • @imghost180
    @imghost180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1

    설명이 부실 알겠거니하고 그냥 넘어가네

  • @신준호-g1v
    @신준호-g1v ปีที่แล้ว +12

    문제 읽고 답 읽고 .. 이럴거면 뭐하러 해설함 ㅋㅋ

    • @zmxnnc7225
      @zmxnnc7225 ปีที่แล้ว +24

      설비파트는 단순 암기인데 그럼 어떻게 해설해주면 좋겠니ㅋㅋㅋ

    • @푸른솔-f9g
      @푸른솔-f9g ปีที่แล้ว +3

      문제8번 공칭단면적은 기본적인 내용 같은데 설명없이 어물쩍 넘기니~~

    • @쥐새끼
      @쥐새끼 ปีที่แล้ว +3

      공짜로 보면서 말 많기는 ㅋㅋㅋ 얼마나 떠먹여줘야해 ㄹㅇㅋㅋ

    • @고양이고양이-m4n
      @고양이고양이-m4n ปีที่แล้ว +5

      단순암기를 풀이ㅋㅋㅋㅋ

    • @loro6846
      @loro6846 ปีที่แล้ว +4

      생각 안하고 말 하고..
      이럴거면 뇌는 뭐하러 들고다님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