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차량 itx 새마을 (18호기) (2014년 도입) (현대로탬 제작) (일본 도시바 IGBT) 차량가격은 (1량당 18억원 ) 이다. (도입당시 가격) 두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23) (2012년 도입) (현대로템 제작) (도시바 IGBT) 차량가격은 (대당 62억원 ) 이다. (도입당시 가격) 세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28) (두번째 차량과 사양은 비슷하다.) 네번째 차량 경의선 (경의중앙선) 331000호대 차량 (현대로템 제작) (도시바 IGBT) (2009년 부터 2014년 까지) 도입되었다. 다섯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54) (2013년 도입) 도입년도만 다를뿐 (사양은 두번째 세번째 차량하고 비슷하다.) 여섯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78) (2014년 도입) 도입년도와 차량가격만 다를뿐 (두번째 세번째 다섯번째 차량과 동일하다.) 차량가격은 대당 (63억원) 이다. (도입당시 가격) 일곱번째 차량 itx 새마을 (2013년-2014년 도입) 차량설명은 첫번째 차량 설명과 비슷하다. 여덜번째 차량 경의선 (경의중앙선) 331000호대 차량 (차량 설명은 네번째 차량과 동일하다.) 아홉번째 열번째 차량 8200호대 전기기관차 (8203.8256) (독일 지멘스 제작 ) (지멘스 GTO) (2003년 부터 2008년 까지 도입) 차량가격은 대당 49억원 이다. (도입당시 가격) 11번째 차량 7300호대 디젤기관차 (7374) (1986년부터 1996년까지 도입) 미국 EMD 에서 제작 (차량가격은 도입년도 시기에 따라서 다른데) 7374번대 차량은 1996년도에 도입되었고 가격은 96년당시 대당 19억 9천만원 이였다. (그때당시 19억원이면 상당히 큰금액이다.) 참고로 (7300호대 디젤기관차는 이미퇴역한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은 2026년 전후로 모두 퇴역예정이다. 12번째 차량 ITX 마음 (4량 편성 차량) (2022년 부터 현재까지 도입) 차량제작은 다원시스 에서 제작했으며 (소자는 히타치 IGBT 기반이다.) 차량 가격은 한량당 18억원 (현재 도입 기준 가격이다.) 13번째 차량 itx 새마을 (2013년-2014년 도입) 차량설명은 첫번째 일곱번째 차량 설명과 비슷하다. 14번째 차량 KTX 1 고속열차 (20량 편성) (1997년 부터 2003년까지 도입) 차량제작은 (프랑스 알스톰 대한민국 현대로템 (라이센스 기반 생산) 소자는 (알스톰 GTO 소자이며) 차량가격은 한량당 27억원 도입당시 기준 가격이다. 참고로 남가좌 건널목을 지나가는 차량들은 KTX 차량에 경우 행신행 또는 행신에서 출발하는 차량과 고양 행신 차량기지로 가는 차량이며 경의선 전동차 경우 서울역 출발 대곡 문산 방면 또는 문산역 출발 대곡 서울역행 열차가 지나간다. (경의중앙선 차량은 제외) (원래 경의선 출발점은 용산이였다.) (용산에서 출발해서 서울역을 거처 가좌역 문산역 까지 가는 노선이 경의선 본선이다. 하지만 현재 경의선 본선은 서울역에서 출발하며 우리가 알고있는 문산에서 용산을 거쳐 용문까지 가는 노선은 경의선 본선이 아닌 경의중앙선이다. 그리고 나머지 화물열차 또는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 새마을 마음 차량에 경우 수색차량 기지로 가는 차량이며 (수색 차량기지 에서 입고 출고된 차량은) 전부 남가좌역을 지나간다. 우리가 서울역이나 용산역 에서 기차를 타면 어디서 오나 생각하는데 전부 수색차량 기지에서 빈차로 출발해서 온다. 화물열차에 경우 시멘트 화물열차는 수색차량 기지 주위에 시멘트 공장이 있는걸로 알고있다. 영상 잘봤습니다.
@@railroad-man 저도 알어요 근데 우리 운영사들도 문제 많은게 코렐,서교공,부교공 등 여러 운영사들도 적자 허덕이니 최저입찰제로 질 낮고 사고 위험 있는 열차 뽑는게 문제죠.. 그리고 JR도 신차 잘 뽑는데가 히가시니혼,도카이,니시 니혼,큐슈 정도지.. 시코쿠,홋카이도는 적자 우리보다 더 심해서 신차 잘 뽑진 않아요.. 그나마 홋카이도가 최근에 737계, 733계 4000번대 뽑았지만 737 빼면 예전에 쓰던거 재탕이죠..
영상 아주 잘 봤습니다.❤❤ 철도남 님 그러나 서해선이 개통은 되나 서화성남양-홍성 구간만 개통이 되는 게 안타깝다고 생각하였으며, 2018년 여름 그때라도 원시-서화성남양 구간 기초공사를 어느정도를 하였더라도요. 그랬더라면 올 2024.10에 서해선 전구간이 개통이 되어 서해선 전철공용 지하구간에도 ktx이음과 통과하는 화물열차들을 보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말입니다. ㅠㅠ 이렇게 안 되서 많이 아쉽다고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서행하니까 설치 할 필요 없나봐요😄
설치 계획이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얼마전에 관종 한마리 쑈하던 거기네요
@@ryhd323 엥 누가 뭘했길래?!
@railroad-man 누가 자꾸 떨어질라고 시늉하다 전철기관사님께 기적으로 된통 혼났어요
@@ryhd323 뒤에 계신 기관사죠
@@김설윤-v4e 오홍
설국열차?
철박 앞마당이네요
SHOJAKU Garage(正雀車庫) in the very countryside🤔🤔🤔
1차분!
ㅎㅎㅎ
@@누나가누나가 왜 웃는거죠?
@@railroad-man그동네에 살았었어요. 엄청 소음이… 창밖으로 오고가는 풍경 많이 봤었거든요~ 그 옛날 찍었던 기억소환!!
그냥 옛 생각에…
혹시 이 영상을 제 미니 다큐멘터리에다 출처 남겨주고 써도 돼나요?
네 출처 만 써주신다면 사용하셔도괜찮습니다. 영상 만드시면 링크주세요
2010년인가요?
@@교통랜드 2024년입니다
저런 노상건널목 있을 때가 진국이었는데 말이죠
국철때가 생각나는 화질이네요
캠코더 어떤 거 쓰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갤럭시s24 썼습니다
캠코더는 아니고 카메라 fujifilm 10.2 megapixels라는 옛날 모델입니다
경의중앙선 신차가 아니라 경춘선 압니다😅
영상에 열차 편성번호 보면 저 열차는 경의중앙선 차량이 맞습니다.
아 잘못봤네요. 경의중앙선에도 신차가 들어온다니...
청량리 ~ 부전 까지도 ITX 새마을 이 다녔으면.
신주둥이 교행 ㄹㅈㄷ
찍으시니라 수고하셨읍니다
안녕하세요 잘봤습니다 밤늦게까지 촬영하시느라 추웠겠어요 근데 죄송한데 이름이 아니라 이음이 아닐런지요?
경의중앙선 원주시 연장하기를..
경의중앙선의 상징적인색깔이네요
왼쪽열차 경춘선 고속형 일반전동차
경의중앙선 차량입니다
これは日本の地下鉄に似ています。
경의중앙선 맞겟죠 경춘선이 아니고?! ㅎㅎ 코레일 열차들 각 호선 색깔에 맞게 도색되었는데 경의중앙선만 지금껏 1호선 전동차랑 같은거 씀..
@twosome_love 경의중앙선 차량입니다. 편성번호 앞에 331 또는 321 붙으면 경의중앙선입니다
모르는 사람 보여주면 2010년 경춘선이라고 해도 믿겠구만유
으악
@@Criskobe11superX ?
전설 아 니 그 자체
첫번째 차량 itx 새마을 (18호기) (2014년 도입) (현대로탬 제작) (일본 도시바 IGBT) 차량가격은 (1량당 18억원 ) 이다. (도입당시 가격) 두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23) (2012년 도입) (현대로템 제작) (도시바 IGBT) 차량가격은 (대당 62억원 ) 이다. (도입당시 가격) 세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28) (두번째 차량과 사양은 비슷하다.) 네번째 차량 경의선 (경의중앙선) 331000호대 차량 (현대로템 제작) (도시바 IGBT) (2009년 부터 2014년 까지) 도입되었다. 다섯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54) (2013년 도입) 도입년도만 다를뿐 (사양은 두번째 세번째 차량하고 비슷하다.) 여섯번째 차량 8500호대 전기기관차 (8578) (2014년 도입) 도입년도와 차량가격만 다를뿐 (두번째 세번째 다섯번째 차량과 동일하다.) 차량가격은 대당 (63억원) 이다. (도입당시 가격) 일곱번째 차량 itx 새마을 (2013년-2014년 도입) 차량설명은 첫번째 차량 설명과 비슷하다. 여덜번째 차량 경의선 (경의중앙선) 331000호대 차량 (차량 설명은 네번째 차량과 동일하다.) 아홉번째 열번째 차량 8200호대 전기기관차 (8203.8256) (독일 지멘스 제작 ) (지멘스 GTO) (2003년 부터 2008년 까지 도입) 차량가격은 대당 49억원 이다. (도입당시 가격) 11번째 차량 7300호대 디젤기관차 (7374) (1986년부터 1996년까지 도입) 미국 EMD 에서 제작 (차량가격은 도입년도 시기에 따라서 다른데) 7374번대 차량은 1996년도에 도입되었고 가격은 96년당시 대당 19억 9천만원 이였다. (그때당시 19억원이면 상당히 큰금액이다.) 참고로 (7300호대 디젤기관차는 이미퇴역한 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은 2026년 전후로 모두 퇴역예정이다. 12번째 차량 ITX 마음 (4량 편성 차량) (2022년 부터 현재까지 도입) 차량제작은 다원시스 에서 제작했으며 (소자는 히타치 IGBT 기반이다.) 차량 가격은 한량당 18억원 (현재 도입 기준 가격이다.) 13번째 차량 itx 새마을 (2013년-2014년 도입) 차량설명은 첫번째 일곱번째 차량 설명과 비슷하다. 14번째 차량 KTX 1 고속열차 (20량 편성) (1997년 부터 2003년까지 도입) 차량제작은 (프랑스 알스톰 대한민국 현대로템 (라이센스 기반 생산) 소자는 (알스톰 GTO 소자이며) 차량가격은 한량당 27억원 도입당시 기준 가격이다. 참고로 남가좌 건널목을 지나가는 차량들은 KTX 차량에 경우 행신행 또는 행신에서 출발하는 차량과 고양 행신 차량기지로 가는 차량이며 경의선 전동차 경우 서울역 출발 대곡 문산 방면 또는 문산역 출발 대곡 서울역행 열차가 지나간다. (경의중앙선 차량은 제외) (원래 경의선 출발점은 용산이였다.) (용산에서 출발해서 서울역을 거처 가좌역 문산역 까지 가는 노선이 경의선 본선이다. 하지만 현재 경의선 본선은 서울역에서 출발하며 우리가 알고있는 문산에서 용산을 거쳐 용문까지 가는 노선은 경의선 본선이 아닌 경의중앙선이다. 그리고 나머지 화물열차 또는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 새마을 마음 차량에 경우 수색차량 기지로 가는 차량이며 (수색 차량기지 에서 입고 출고된 차량은) 전부 남가좌역을 지나간다. 우리가 서울역이나 용산역 에서 기차를 타면 어디서 오나 생각하는데 전부 수색차량 기지에서 빈차로 출발해서 온다. 화물열차에 경우 시멘트 화물열차는 수색차량 기지 주위에 시멘트 공장이 있는걸로 알고있다. 영상 잘봤습니다.
와 뭐지 이 나보다 더 광기 인 사람은? 혹시 뭐하시는 분 이실까요?
더 불편한것은 제가 최근 본 6량+발전차 그 뒤에 회송하는 한 대의 객차...7량이였지요..
다른것들은 리미트인데 단하나만 오리지널💀💀💀
아 뭔지 알겠다 에어컨!!
안녕하세요. 열차 너무 잘찍어주셔서 잘 보고갑니다.!!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촬영포인트 공유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가산디지털단지역 가시면 있는 철도 포인트입니다. 11번출구로 나오셔서 오른쪽 방향으로 골목을 걷다가 구로IC교차로 육교 밑에 산책로에 있습니다.(자세한 것은 지도로 찾아보시길 권장합니다)
@ 감사합니다 ^^
저 디자인좀 바꾸면 좋겠음... 낡아가지고 보기 싫음.
참 오래도 쓰는듯 ㅋ 2호선도 예전에 저 디자인인데 색상만 초록색인 전동차 기억나네요 서울지하철공사 시절에 있던 ㄷㄷ
부산에는 86년식 전동차 현역임
일본에서는 저것보다 더 오래된 거 많이 다님
대도시권은 없던데요
@ 오사카 사카이스지선이나 교토 카라스마선, 후쿠오카 공항+하코자키선만 봐도 80년대 나온 전동차 잘 다님 한큐는 6-70년대 전동차 아직도 현역이고
@@Hitorigotou05 그건 거기랑 우리랑 상황이 아예달라요 우린 국가가 관리해서 열차라도 바꾸지 저긴 아예 철도가 민영화잖아요 jr 아니면 거의 돈 못벌어서 열차 못바꿔요
@@railroad-man 저도 알어요 근데 우리 운영사들도 문제 많은게 코렐,서교공,부교공 등 여러 운영사들도 적자 허덕이니 최저입찰제로 질 낮고 사고 위험 있는 열차 뽑는게 문제죠.. 그리고 JR도 신차 잘 뽑는데가 히가시니혼,도카이,니시 니혼,큐슈 정도지.. 시코쿠,홋카이도는 적자 우리보다 더 심해서 신차 잘 뽑진 않아요.. 그나마 홋카이도가 최근에 737계, 733계 4000번대 뽑았지만 737 빼면 예전에 쓰던거 재탕이죠..
마초맨 디젤기관차
지금은 현재 부산교통공사 1~4호선 환승음악이죠 과거때는 부산 1호선만 2012년까지 사용한 환승음악입니다
잘보고 갑니다 화이팅
영상 아주 잘 봤습니다.❤❤ 철도남 님 그러나 서해선이 개통은 되나 서화성남양-홍성 구간만 개통이 되는 게 안타깝다고 생각하였으며, 2018년 여름 그때라도 원시-서화성남양 구간 기초공사를 어느정도를 하였더라도요. 그랬더라면 올 2024.10에 서해선 전구간이 개통이 되어 서해선 전철공용 지하구간에도 ktx이음과 통과하는 화물열차들을 보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말입니다. ㅠㅠ 이렇게 안 되서 많이 아쉽다고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몇편성이에요?
글쎄요?
에휴..올 가을에 서해선 철도가 개통이 되지만은 서화성남양에서 끊겨서 많이 아쉽다고 보았었습니다. 그래서 서해선 부천이나 고양 쪽 등에서 ktx-이음 및 화물열차를 바로 볼 수 없는 것이 속상하다고 생각이 들었었습니다.😢😢
이 말 100% 공감된다. 휴.. 서해선 철도 원시-서화성남양 구간을 2018년 여름에 기초공사를 다 하였더라면 올 2024.10에 개통이 되었을텐데 말이다. ㅠㅠ 참.. 진짜로 안타깝다고 보았다.😢😢
ITX 새마을: 느린애가 있네ㅋ 신주둥이: 정차해야지(누가 놀리는거 같지만)
Itx마음 시운전이네요 정동진역에 itx마음이 들어오면 좋겠어요
이거 어케 촬영함?
좀 위험하니 따라하는 것은 삼가해주세요
능곡역➡️김포공항역 7분 걸린입니다, 김포공항역➡️원종역 5분 걸린입니다.
김포공항역 스크린도어 소리 승강장 안전문이 닫힙니다.
아 K차가 없어지다니ㅜㅜ
2호선이 특히 잠실철교를 지날 때 가장 빠르게 달립니다 ❤❤❤😮
난 한국에 안 살아봐서 잘 모르겠다..
?????예?????
@@railroad-man 나 정착민이요
🤔
🤔
@@railroad-man🤓👍
현대로템에서 수소연료동차를 가장 늦어도 2024년 6월에는 무조건 꼭 제작을 하여져야 한다고 보았었습니다. 그럼 량 수는 6량 1편성이 되는 것입니다. 100% 이렇게 꼭 되어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