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music
C. music
  • 198
  • 417 240

วีดีโอ

드보르작 - 첼로 협주곡 b minor Op.104 / Dvorak - Cello Concerto in b minor Op.104
มุมมอง 493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cafe.daum.net/leeruth/BR6b/4250 1악장: Allegro B단조 [00:00] 2악장: Adagio ma non troppo G장조 [16:18] 3악장: Finale. Allegro Moderato - Andante - Allegro vivo B단조 [30:31] 세르쥬 첼리비다케 (지휘) 스웨덴 라디오 심포니 오케스트라 Jacqueline du Pre (Cello) Sergiu Celibidache (Conductor) Swedish Radio Symphony Orchestra 1967/11/26 (ⓟ 2000) Stereo Concert Hall, Stockholm
하이든 - 첼로 협주곡 2번 D Major Hob. VIIb:2 / Haydn - Cello Concerto No.2 in D Major Hob. VIIb: 2
มุมมอง 590ปีที่แล้ว
1악장. 알레그로 모데라토(Allegro Moderato) [00:00] 2악장. 아다지오(Adagio) [11:53] 3악장. 알레그로(Allegro) [17:11] 미샤 마이스키 (첼로, 지휘)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 Mischa Maisky (cello, Conductor) Chamber Orchestra of Europe 1986/10 (ⓟ 1987) Stereo (DDD) Mozartsaal, Konzerthaus, Wien
베토벤 - 현악사중주 제9번, 다 장조 작품번호.59 / Beethoven String Quartet no.9 in C Major, op.59
มุมมอง 270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cafe.daum.net/leeruth 1st Mvt. Andante con moto - Allegro vivace [00:00] 2nd Mvt. Andante con moto quasi allegretto [08:33] 3rd mvt. Menuetto. Grazioso - Trio [19:34] 4th Mvt. Allegro molto [24:45] 연주 - Barylli quartet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No. 22 내림마단조 K.482 / MOZART - Piano Concerto No. 22 in E flat Major K.482
มุมมอง 494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 cafe.daum.net/leeruth/BR6b/4246 Mvt 1. Allegro [00:00] Mvt 2. Andante [13:01] Mvt 3. Allegro [22:43] 게자 안다 (피아노, 지휘)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카메라타 아카데미카 GEza Anda (piano, conductor) Camerata Academica des Salzburger Mozarteums
Zoltan Kodaly - Duo for Violin and Cello, Op.7 / 코다이 -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2중주 op. 7
มุมมอง 235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cafe.daum.net/leeruth/BR6b/4245 1st Mvt. Allegro serioso non troppo [00:00] 2st Mvt. Adagio [08:23] 3rd Mvt. Maestoso e largamente ma non troppo - Presto [15:21] 야샤 하이페츠 (바이올린) 그레고르 피아티고르스키 (첼로) 녹음연도 및 장소: 1960/11/20 & 21 Stereo, RCA Studios, Hollywood
랄로 - 스페인 교향곡 d minor Op.21 / Lalo - Symphonie Espagnole in d minor Op.21
มุมมอง 617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cafe.daum.net/leeruth/BR6b/4243 Mvt 1 Allegro non troppo [00:00] Mvt 2 Scherzando, Allegro molto [07:40] Mvt 3 Intermezzo Allegretto non troppo [11:51] Mvt 4 Andante [18:00] Mvt 5 Rondo, Allegro [24:52] 레오니드 코간 (바이올린) 샤를 브루크 (지휘) 컨서바토리 콘서트 오케스트라 Leonid Kogan (violin) Charles Bruck (Conductor) Orchestre de la Societe des Concerts du Conservatoire 1955/02 Mono Wagram Hall, Paris
모차르트: 세레나데 7번 D장조 KV 250 "하프너" / MOZART: Serenade No. 7 in D major KV 250 "Haffner"모차르트 세레나데 7번 완성
มุมมอง 1.3K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cafe.daum.net/leeruth/BR6b/4242 I. Allegro maestoso - Allegro molto [00:00] II. Andante [06:44] III. Menuetto [17:48] IV. Rondo. Allegro [22:22] V. Menuetto galante [30:31] VI. Andante [36:46] VII. Menuetto [44:27] VIII. Adagio - Allegro assai [50:13] Karl Bohm (conductor) Berliner Philharmoniker Thomas Brandis (violin solo)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 op. 64 I Mendelssohn-Violin Concerto in E minor op.64
มุมมอง 344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cafe.daum.net/leeruth/BR6b/4240 I. Allegro molto appassionato [00:00] II. Andante [12:19] III. Allegretto non troppo - Allegro molto vivace [20:20] 요한나 마르치 (바이올린) 볼프강 자발리쉬 (지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녹음연도 및 장소: 1954/06/09-10 Mono, Kingsway Hall, London
베토벤 - 교향곡 3번 I Beethoven-Symphony no.3 in E♭Major, Op.55 “Eroica”
มุมมอง 392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 cafe.daum.net/leeruth/BR6b/4238 I. 알레그로 콘 브리오 (Allegro con brio) [00:00] II. 장송 행진곡: 아다지오 아사이 (Marcia funebre: Adagio assai) [14:35] III. 스케르초: 알레그로 비바체 (Scherzo: Allegro Vivace) [30:55] IV. 피날레: 알레그로 몰토 (Finale: Allegro Molto) [36:44] 앙드레 클뤼탕스 Andre Cluytens (conductor)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Berliner Philharmoniker
Elgar- Cello Concerto in e minor, Op.85 I 엘가 - 첼로 협주곡 마 단조, 작품번호.85
มุมมอง 298ปีที่แล้ว
초립의 음악산책 : cafe.daum.net/leeruth/BR6b/4237 I. Adagio-Moderato [00:00] II. Lento-Allegro molto [07:07] III. Adagio [11:31] IV. Allegro-Moderato-Allegro, ma non troppo [15:35] 엘가 첼로 협주곡 in E minor, Op.85 베아트리스 해리슨 : 첼로 뉴 심포니 오케스트라 에드워드 엘가 : 지휘 Beatrice Harrison, Cello New Symphony Orchestra Sir Edward Elgar 23 March & 13 June 1928. Kingsway Hall & Small Queen's Hall, London,
모차르트 현악 사중주 No.16 & No. 17
มุมมอง 400ปีที่แล้ว
모차르트 현악 사중주 No.16 & No. 17
슈베르트: 화려한 론도 B단조 D. 895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환상곡 C장조 D. 934
มุมมอง 367ปีที่แล้ว
슈베르트: 화려한 론도 B단조 D. 895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환상곡 C장조 D. 934
베토벤 - 첼로 소나타 5번 라 장조 Op. 102 No.2 I BEETHOVEN - Cello Sonata No. 5 in D Major Op. 102-No.2
มุมมอง 325ปีที่แล้ว
베토벤 - 첼로 소나타 5번 라 장조 Op. 102 No.2 I BEETHOVEN - Cello Sonata No. 5 in D Major Op. 102-No.2
슈만 - 첼로 협주곡 a minor Op.129 I Schumann - Cello Concerto in a minor Op.129
มุมมอง 245ปีที่แล้ว
슈만 - 첼로 협주곡 a minor Op.129 I Schumann - Cello Concerto in a minor Op.129
하이든 첼로 협주곡 1번 C Major Hob. VIIb:1
มุมมอง 797ปีที่แล้ว
하이든 첼로 협주곡 1번 C Major Hob. VIIb:1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9번 E flat Major K. 271
มุมมอง 630ปีที่แล้ว
모차르트 - 피아노 협주곡 9번 E flat Major K. 271
멘델스존: 현악 8중주 E flat장조 op. 20 I Mendelssohn: Octet for strings in E flat major op.20
มุมมอง 239ปีที่แล้ว
멘델스존: 현악 8중주 E flat장조 op. 20 I Mendelssohn: Octet for strings in E flat major op.20
모차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3번 G Major KV. 216 I Mozart - Violin Concerto No.3 in G Major KV. 216
มุมมอง 496ปีที่แล้ว
모차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3번 G Major KV. 216 I Mozart - Violin Concerto No.3 in G Major KV. 216
베토벤 - 교향곡 7번 A Major Op. 92 Beethoven - Symphony No. 7 in A Major Op. 92
มุมมอง 2532 ปีที่แล้ว
베토벤 - 교향곡 7번 A Major Op. 92 Beethoven - Symphony No. 7 in A Major Op. 92
쇼팽 - 폴로네이즈 I Chopin - Polonaise
มุมมอง 1842 ปีที่แล้ว
쇼팽 - 폴로네이즈 I Chopin - Polonaise
라흐마니노프 - 교향곡 2번 e minor Op.27 I Rachmaninov - Symphony No. 2 in e minor Op.27
มุมมอง 4142 ปีที่แล้ว
라흐마니노프 - 교향곡 2번 e minor Op.27 I Rachmaninov - Symphony No. 2 in e minor Op.27
Haydn - Symphony No.104 in D Major (London) I 하이든 - 교향곡 104번 D Major (런던)
มุมมอง 2792 ปีที่แล้ว
Haydn - Symphony No.104 in D Major (London) I 하이든 - 교향곡 104번 D Major (런던)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liz._____.
    @liz._____.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의주야 너무 아름답다

  • @shin-i-chikozima
    @shin-i-chikozima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Colossal🎀 Drop a like 🏵️ Im on cloud☘️🍀🍀

  • @Hyunkim2345
    @Hyunkim2345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음악, 감사합니다.

  • @Maybe-Ch
    @Maybe-Ch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차이코프스키가 친구 루빈스타인의 죽음을 추모하며 만든 피아노 3중주곡

  • @user-mt1vz6rl2s
    @user-mt1vz6rl2s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In the some time, exit the someone' existence give us the hope. Though lt is he or she, we are happy.

  • @mkw1208
    @mkw1208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하이든곡 너무좋아여!!

  • @user-zg7wp7kb7m
    @user-zg7wp7kb7m 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상세하게 전 악장을 다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복 받으세요

  • @user-kr4gt3qt2c
    @user-kr4gt3qt2c ปีที่แล้ว

    코간의연주 알루미안의 조합! 귀한 영상 감사드립니다 피아노가 달빛에 흩어지는 잔잔한 물결 같습니다.

  • @syb7239
    @syb7239 ปีที่แล้ว

    Especially laro 's symphony spain 🇪🇸 ❤️

  • @syb7239
    @syb7239 ปีที่แล้ว

    All of the music is so great 👍

  • @syb7239
    @syb7239 ปีที่แล้ว

    Very fancy performance with vivid skill 👌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청천벽력입니다 슬픔 눈물납니다 말도안돼 살아생전 한번도 뵙지 못하고 카페에서만 가끔씩 답글을 드렸지요 인생이 이렇게 허망할까요. 초립님!!! 천국백성 으로 예수님의 빛난얼굴 뵈옵고 수호천사님들의 도움으로 천국에서 평화를 누리시고 안락 행복하시기를 두손모아 간절히 소윈기도 묵상기도 드립니다.아멘

  • @erichan7159
    @erichan7159 ปีที่แล้ว

    바비칸센터 신년음악회에서 들었던 곡이에요 불과 100여일 전인데 영원처럼 느껴지네요

  • @user-zj4yq8fh2u
    @user-zj4yq8fh2u ปีที่แล้ว

  • @user-cp7sx1eu2o
    @user-cp7sx1eu2o ปีที่แล้ว

    모짜르트 피아노 수고 하신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user-ks8ev9ti5l
    @user-ks8ev9ti5l ปีที่แล้ว

    저는 칼뵘 지휘의 베토벤 전원 교향곡 중 2악장이 제일 좋아요. 듣고 있으면 마음이 고요해지며 베토벤이 시골 전원 숲 속 시냇가에서 느꼈다는 창조주 신에 대한 감사와 경의를 저 또한 느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제일 좋아하는 클래식을 누가 물으면 저는 항상 베토벤 전원교향곡 2악장(칼뵘 지휘)를 말합니다. 좋은 영상 올려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자주 들으러 오겠습니다.

  • @user-bi9kq4kn7i
    @user-bi9kq4kn7i ปีที่แล้ว

    울음입니다. 가슴 깊은 곳에서 솟구치는 오열입니다. 우리와 같이 좀 더 있을 줄 알았는데 그는 홀연히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 사랑하는 친구여 80여 인생 길 참, 수고 많으셨습니다. 세상 근심 다 떨쳐버리고 하나님의 품 안에서 평안히 쉬소서. ​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배ㅇㅇ선생님 답글이 누가 돌아가셨습니까?

  • @daug_jang
    @daug_jang ปีที่แล้ว

    고딩시절 "비제의 아를르의 여인중 제1악장 왕의 행진" 이렇게 배웠지요. 검색하니 그냥 "아를의 여인 모음곡1"로 나오네요. 고딩시절 제가 가장 좋아했던 클래식이죠. 왕이 행진하고 각종 광대가 왕의 행진 앞에서 공연을 펼치는 모습이 상상되는 음악이죠.

  • @abrahamzuniga606
    @abrahamzuniga606 ปีที่แล้ว

    what a fabulous sound

  • @derickpark1669
    @derickpark1669 ปีที่แล้ว

    참 좋습니다. 마음이 평화로와지는군요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안녕 하시지요? 늘 행복 가득 하십시오. 감사합니다.

  • @cfhcxfcd756
    @cfhcxfcd756 ปีที่แล้ว

    오래되어 듣기 힘든 리찌 모노 음반 올려 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 @user-or9up6fe1h
    @user-or9up6fe1h ปีที่แล้ว

    24시 00분에 듣기 편안한 음악이네요~~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형식은 바이올린 협주곡인데, 교향곡이라 이름 한 아름다운 곡입니다. 감사합니다.

    • @user-ph5zn8ev4d
      @user-ph5zn8ev4d ปีที่แล้ว

      zzzzzzzzzzzzzzzzzzzz

  • @jungtaejin4158
    @jungtaejin4158 ปีที่แล้ว

    좋은 음악과 해설 감사합니다

  • @administer1908
    @administer1908 ปีที่แล้ว

    녹음이 어떻게 됐길래 B flat Major가 C Major가 됐네요ㅋㅋㅋ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네, 대단하십니다. 두 악장이 저작권으로 다른 연주를 끼워 넣었더니... 음악 전공하시나 봐요. 감사합니다.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감상하면서 켜놓고 잠이듭니다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 주, 행복 가득 하십시오.

  • @user-yp1fj5ku8u
    @user-yp1fj5ku8u ปีที่แล้ว

    찬미예수님 하느님의 현존 하느님의 찬란한 빛 파 라 다 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user-yj7ez7go1n
    @user-yj7ez7go1n ปีที่แล้ว

    19:20

  • @lorraines1476
    @lorraines1476 ปีที่แล้ว

    Have ony just found this ... superb works and stunning orchestration !!! Thank you, thank you. Will enjoy listening to this, over and over.

  • @user-vp7eb8cc8r
    @user-vp7eb8cc8r ปีที่แล้ว

    장엄하면서 멋드러진 아름다운 고요함이 어우러집니다요 ^^

  • @drheex
    @drheex ปีที่แล้ว

    Don't LIE!!!!!! Tell the Truth!!!!!! 한국인의 이중성격!!!!! Extravagance, luxury , Vanity "사치" 와 "허영" 오늘은 아름다운 이야기가 아니라 별로 아름답지 못한 이야기 한 수를 소개해야겠다. 하지만 우리가 이를 아름답게 하라는 경종으로 받아 드린다면 이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될 것이다. 얼마 전 서울에서 발행되는 일간지에 유명한 외국인 초빙교수가 한국에 살면서 목격한 한국인들의 이중인격에 대한 소감이 실렸다. 이 교수는 정신의학계의 세계적인 권위자인데, 한국을 떠나면서 후임으로 부임한 교수(외국인)에게 자신의 눈에 비친 한국인의 이미지에 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고 한다. 한국인은 너무 친절하다. 그러나 그것이 그 사람의 인격이라고 판단하면 오해다. 권력이 있거나 유명한 사람에게는 지나칠 정도로 친절하지만, 자기보다 약하거나 힘없는 서민에게는 거만하기 짝이 없어서 놀랄 때가 많다. 특히 식당 종업원에게는 마구 잡이로 무례하게 대해 같이 간 사람이 불쾌할 정도다. 잘 나가는 엘리트일수록 이러한 이중인격을 지녀서 인간적으로 마음을 주고 깊히 사귀고 싶지가 않았다. 아러케 잘사는 사람둘의 자식 들을 봐라 얼마나 건방 지고 예의가 잇나!! "동방 예의지국" ??? 너무 한심하지 아는가??? 공감이 가는소리다. 서울에서 온 점잖은 사람이 미국의 코리아타운 식당에서 종업원에게 “야, 이봐, 너” 하면서 큰 소리로 거만을 부리는 광경을 한인들도 많이 봤을 것이다. 그 사람이 친구나 친척이라면 ‘미국에서는그러면 안돼!’ 하고 충고를 해주겠지만, 잘 알지 못하는 사이거나 그가 VIP인 경우에는 충고는 커녕 난감하기 그지 없을 뿐이다. 한국에서 엘리트 계층에 속한다면 배운 사람이다. 배운 사람일수록 겸손해야 하는데 오히려 더 거만을 떤다. 대학을 졸업해서 지식은 많은데, 별로 지혜롭지가 못한 것이 한국인이다. 말은 유식한데 행동은 무식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준법정신은 더욱 엉망이다. 그러니 서양문화속의 신사도 정신, 노블레스 오블리쥬 (Noblesse Oblize)를 어찌 알겠는가? 서울에서 내가 겪은 일이다. 어느 회사 중역과 저녁을 먹고 그의 차로 호텔에 돌아오게 되었는데, 한가한 길에서 빨간 신호등이 켜지자 운전기사가 차를 멈추었다. 그때 중역이 “아무 차도 없잖아? 그냥 건너가”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나는 그 후부터 그 사람을 다시 보게 되었다. 힘 있는 사람부터 법을 안 지키니 부정부패가 만연할 수밖에 없다. 대법관으로 임명된 인사가 청문회에서 위장전입을 인정해야 할 정도니 정부 요직에 있는 다른 인사들이야 말해서 무엇 하랴! 한국 엘리트들의 또 다른 모순은 자기 잘못을 절대 인정하지 않는 다는점이다. 회사에서도 뭐가 잘못되면 전부 윗사람 탓, 아랫사람 탓이고 자기반성은 조금도 없다. 모두가 남의 탓이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의 성격이 너무 네거티브하다. 모여 앉으면 정치 이야기인데, 완전히 흑백논리로 빨갱이 파랭이로 평가한다. 호남친구들과 만나면 이승만, 박정희, 박근혜 혹평하는 것 듣다가 시간 다 가고, 경상도 친구들과 만나면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을 얼마나 미워하는지, 조용히 식사하자고 모인 저녁 자리가 피곤하게 느껴질 때가 많다. 한국에는 존경받는 대통령이 없다. 10여명의 대통령이 지나 갔는데 거의 모두가 감옥살이 아니면 자살을 했다. 모두가 이래서 죽일 놈이고 저래서 죽일 놈이다. 미국역사에 46명의 대통령이 지나 갔지만 링컨과 케네디가 자객들의 총을 맞았을 뿐, 그렇게 후임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을 괴롭히지 않았다. 잘 못을 탓하기 보다 자신의 도덕성과 전임자의 권위를 존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도덕성이 결핍되여 있는 이기주의 민주주의다. 한국 역사에 보복성 정치를 하는 것은 역사적 버릇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군주주의 잔재를 씻지 못하면 자유 민주주의는 자라나지 못한다. 좋지 않은 보복성이지만, 또, 그렇게 하지 않으면 새로운 정부가 일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도 문제인 것이다. 지지자들 또한 당연히 정치보복을 해야 속이 풀리는 모양새다. 벼락부자의 단점이 무엇인가? 국민소득은 30,000달러 수준인데, 국민의식은 아직도 500달러 수준(1970년대)이다. 돈만 많다고 선진국이 아니다. 경제가 눈부시게 발전했다고 자랑하지만 그것은 곧 벼락부자가 되었다는 뜻이다. 그저 남에게 내가 이만큼 가졌다고 자랑하고 싶어 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재산이 곧 사람평가의 기준인 것이다. 내가 미국에 돌아 가면 미국에 있는 한국 친구들에게 역이민을 절대 말리고 싶다. 요즘 미주 한인들 중에 한국에 가서 여생을 보내면 어떨까? 하고 역이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돈 없이 한국에서 살면 사람취급 제대로 못 받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돈 없는 사람은 동창들 사이에서도 냉대를 받는 곳이 한국이다. 미국에서 재산 몽땅 정리해도 한국에서는 아파트 하나 사기가 힘들어진 세상이다. 성공의 의미가 너무 좁다. 몇 평짜리 아파트에 사느냐, 강남에 사느냐 강북에 사느냐가 사람평가의 또 다른 기준이다. 돈 있고 잘사는 데도 자기보다 더 잘사는 사람을 부러워하며 항상 뭔가 불만족이다. 역이민? 절대 말리고 싶다. 한국에서 삶의 불만족은 국민에게 있는것이 아니고, 그 뿌리는 정치인들에게 있다.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어떻게 해서든지 뒤집어 엎고, 정권을 잡아 권세를 누리려 하는 것이 정치하는 사람들의 야심이다. 특히 특정지역 사람들이 정권을 잡으면 제 식구들끼리 모두 해 먹는다. 정치인이 아니라 해도 권력을 그렇게 좋아 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한국역사를 조금 공부해 보니까 국민성이 그렇게 되어 온 것이 지난 역사였다. 당치도 않은 사회주의를 꿈꾸면서, 북을 찬양하는 종북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았을 땐, 자신들이 민주화 투사라고 자칭하면서 모든 요직을 독점했다. 민주주의고 삼권분립 같은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자본주의를 미워하면서, 경제인들이 벌어 온 국민의 혈세를 빨아먹으면서, 자기는 올바른 처세를 하는체하고 활개를 치는 것이 한국의 많은 정치인들이다. 참으로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세계의 빈국인 북한의 김일성 주체사상 주사파를 그렇게 추종하면서 돈 좀 있다고 하는 좌파 정치인들의 자식들은 다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고 있다. 왜 러시아로 유학을 아니 보내는가? 줄기 나무에 기생을 하여 자라난 덩굴들이 본목(本木)의 진을 다 빨아 먹어 줄기나무가 누렇게 시들어 가고 있다. 민주-자본주의에 기생하여 자라난 종북-친북-간첩들이 대한민국을 한 20년쯤 빨아대니, 드디어 자유-민주주의도 시들어 말라 죽으려 하고 있다. 본목이 다시 살아 날려면 기생하는 그 엉겅퀴 덩굴의 밑둥을 자르면 될 것인데 그 근본을 자를 생각은 아니하고 가지들만 처낼려고 한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그래서 어렵다. 나라가 망해가는 것도 아랑곳 없이 나와 내 새끼만 잘 되면 그만이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한국인의 사고 개념이다. 입으로는 애국심을 떠들지마는 행동은 부족하다. 너무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이 아닌가? “ 국민소득은 이제 선진국 대열에 들어 섰는데, 노약자나 극빈자들을 보살피는 수준은 상당히 멀었다. 특별히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국민들이 경찰관을 우습게 여기는 풍조다. 미국에서는 경찰관에게 반항할 수가 없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국회의원이나 고관, 노동조합원까지도 경찰관을 너무 가볍게 보고 우습게 여긴다. 대한민국은 데모의 왕국이다. 데모를 많이 하면 민주주의 잘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모양이다. 데모의 사이즈도 몇 십명 몇 백 명이 아니다. 했다 하면 수 만명 수 백만명이다. 그렇게 데모를 하지만 정치인들은 눈 하나도 깜작을 아니 할 때가 많다. 자유 민주주의는 돈이 아니고, 억척도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악악 댄다고 해결 되는 것고 아니다. 자유 민주주의는 양심과 도덕을 먹고 사는 정치이념이다. 장치를 잘 하고 못하는 것은 이념의 선택 보다도 양심의 선택이 훨씬 더 중요하다. 두서 없는 글 읽어주시어 감사드리고, 한국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쓴 글이니 기분 나쁜 점이 있더라도, 이해를 구합니다.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잘 지내시죠? 감사합니다.

  • @drheex
    @drheex ปีที่แล้ว

    Don't LIE!!!!!! Tell the Truth!!!!!! 한국인의 이중성격!!!!! 오늘은 아름다운 이야기가 아니라 별로 아름답지 못한 이야기 한 수를 소개해야겠다. 하지만 우리가 이를 아름답게 하라는 경종으로 받아 드린다면 이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될 것이다. 얼마 전 서울에서 발행되는 일간지에 유명한 외국인 초빙교수가 한국에 살면서 목격한 한국인들의 이중인격에 대한 소감이 실렸다. 이 교수는 정신의학계의 세계적인 권위자인데, 한국을 떠나면서 후임으로 부임한 교수(외국인)에게 자신의 눈에 비친 한국인의 이미지에 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고 한다. 한국인은 너무 친절하다. 그러나 그것이 그 사람의 인격이라고 판단하면 오해다. 권력이 있거나 유명한 사람에게는 지나칠 정도로 친절하지만, 자기보다 약하거나 힘없는 서민에게는 거만하기 짝이 없어서 놀랄 때가 많다. 특히 식당 종업원에게는 마구 잡이로 무례하게 대해 같이 간 사람이 불쾌할 정도다. 잘 나가는 엘리트일수록 이러한 이중인격을 지녀서 인간적으로 마음을 주고 깊히 사귀고 싶지가 않았다. 공감이 가는소리다. 서울에서 온 점잖은 사람이 미국의 코리아타운 식당에서 종업원에게 “야, 이봐, 너” 하면서 큰 소리로 거만을 부리는 광경을 한인들도 많이 봤을 것이다. 그 사람이 친구나 친척이라면 ‘미국에서는그러면 안돼!’ 하고 충고를 해주겠지만, 잘 알지 못하는 사이거나 그가 VIP인 경우에는 충고는 커녕 난감하기 그지 없을 뿐이다. 한국에서 엘리트 계층에 속한다면 배운 사람이다. 배운 사람일수록 겸손해야 하는데 오히려 더 거만을 떤다. 대학을 졸업해서 지식은 많은데, 별로 지혜롭지가 못한 것이 한국인이다. 말은 유식한데 행동은 무식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준법정신은 더욱 엉망이다. 그러니 서양문화속의 신사도 정신, 노블레스 오블리쥬 (Noblesse Oblize)를 어찌 알겠는가? 서울에서 내가 겪은 일이다. 어느 회사 중역과 저녁을 먹고 그의 차로 호텔에 돌아오게 되었는데, 한가한 길에서 빨간 신호등이 켜지자 운전기사가 차를 멈추었다. 그때 중역이 “아무 차도 없잖아? 그냥 건너가”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나는 그 후부터 그 사람을 다시 보게 되었다. 힘 있는 사람부터 법을 안 지키니 부정부패가 만연할 수밖에 없다. 대법관으로 임명된 인사가 청문회에서 위장전입을 인정해야 할 정도니 정부 요직에 있는 다른 인사들이야 말해서 무엇 하랴! 한국 엘리트들의 또 다른 모순은 자기 잘못을 절대 인정하지 않는 다는점이다. 회사에서도 뭐가 잘못되면 전부 윗사람 탓, 아랫사람 탓이고 자기반성은 조금도 없다. 모두가 남의 탓이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의 성격이 너무 네거티브하다. 모여 앉으면 정치 이야기인데, 완전히 흑백논리로 빨갱이 파랭이로 평가한다. 호남친구들과 만나면 이승만, 박정희, 박근혜 혹평하는 것 듣다가 시간 다 가고, 경상도 친구들과 만나면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을 얼마나 미워하는지, 조용히 식사하자고 모인 저녁 자리가 피곤하게 느껴질 때가 많다. 한국에는 존경받는 대통령이 없다. 10여명의 대통령이 지나 갔는데 거의 모두가 감옥살이 아니면 자살을 했다. 모두가 이래서 죽일 놈이고 저래서 죽일 놈이다. 미국역사에 46명의 대통령이 지나 갔지만 링컨과 케네디가 자객들의 총을 맞았을 뿐, 그렇게 후임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을 괴롭히지 않았다. 잘 못을 탓하기 보다 자신의 도덕성과 전임자의 권위를 존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도덕성이 결핍되여 있는 이기주의 민주주의다. 한국 역사에 보복성 정치를 하는 것은 역사적 버릇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군주주의 잔재를 씻지 못하면 자유 민주주의는 자라나지 못한다. 좋지 않은 보복성이지만, 또, 그렇게 하지 않으면 새로운 정부가 일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도 문제인 것이다. 지지자들 또한 당연히 정치보복을 해야 속이 풀리는 모양새다. 벼락부자의 단점이 무엇인가? 국민소득은 30,000달러 수준인데, 국민의식은 아직도 500달러 수준(1970년대)이다. 돈만 많다고 선진국이 아니다. 경제가 눈부시게 발전했다고 자랑하지만 그것은 곧 벼락부자가 되었다는 뜻이다. 그저 남에게 내가 이만큼 가졌다고 자랑하고 싶어 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재산이 곧 사람평가의 기준인 것이다. 내가 미국에 돌아 가면 미국에 있는 한국 친구들에게 역이민을 절대 말리고 싶다. 요즘 미주 한인들 중에 한국에 가서 여생을 보내면 어떨까? 하고 역이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돈 없이 한국에서 살면 사람취급 제대로 못 받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돈 없는 사람은 동창들 사이에서도 냉대를 받는 곳이 한국이다. 미국에서 재산 몽땅 정리해도 한국에서는 아파트 하나 사기가 힘들어진 세상이다. 성공의 의미가 너무 좁다. 몇 평짜리 아파트에 사느냐, 강남에 사느냐 강북에 사느냐가 사람평가의 또 다른 기준이다. 돈 있고 잘사는 데도 자기보다 더 잘사는 사람을 부러워하며 항상 뭔가 불만족이다. 역이민? 절대 말리고 싶다. 한국에서 삶의 불만족은 국민에게 있는것이 아니고, 그 뿌리는 정치인들에게 있다.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어떻게 해서든지 뒤집어 엎고, 정권을 잡아 권세를 누리려 하는 것이 정치하는 사람들의 야심이다. 특히 특정지역 사람들이 정권을 잡으면 제 식구들끼리 모두 해 먹는다. 정치인이 아니라 해도 권력을 그렇게 좋아 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한국역사를 조금 공부해 보니까 국민성이 그렇게 되어 온 것이 지난 역사였다. 당치도 않은 사회주의를 꿈꾸면서, 북을 찬양하는 종북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았을 땐, 자신들이 민주화 투사라고 자칭하면서 모든 요직을 독점했다. 민주주의고 삼권분립 같은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자본주의를 미워하면서, 경제인들이 벌어 온 국민의 혈세를 빨아먹으면서, 자기는 올바른 처세를 하는체하고 활개를 치는 것이 한국의 많은 정치인들이다. 참으로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세계의 빈국인 북한의 김일성 주체사상 주사파를 그렇게 추종하면서 돈 좀 있다고 하는 좌파 정치인들의 자식들은 다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고 있다. 왜 러시아로 유학을 아니 보내는가? 줄기 나무에 기생을 하여 자라난 덩굴들이 본목(本木)의 진을 다 빨아 먹어 줄기나무가 누렇게 시들어 가고 있다. 민주-자본주의에 기생하여 자라난 종북-친북-간첩들이 대한민국을 한 20년쯤 빨아대니, 드디어 자유-민주주의도 시들어 말라 죽으려 하고 있다. 본목이 다시 살아 날려면 기생하는 그 엉겅퀴 덩굴의 밑둥을 자르면 될 것인데 그 근본을 자를 생각은 아니하고 가지들만 처낼려고 한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그래서 어렵다. 나라가 망해가는 것도 아랑곳 없이 나와 내 새끼만 잘 되면 그만이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한국인의 사고 개념이다. 입으로는 애국심을 떠들지마는 행동은 부족하다. 너무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이 아닌가? “ 국민소득은 이제 선진국 대열에 들어 섰는데, 노약자나 극빈자들을 보살피는 수준은 상당히 멀었다. 특별히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국민들이 경찰관을 우습게 여기는 풍조다. 미국에서는 경찰관에게 반항할 수가 없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국회의원이나 고관, 노동조합원까지도 경찰관을 너무 가볍게 보고 우습게 여긴다. 대한민국은 데모의 왕국이다. 데모를 많이 하면 민주주의 잘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모양이다. 데모의 사이즈도 몇 십명 몇 백 명이 아니다. 했다 하면 수 만명 수 백만명이다. 그렇게 데모를 하지만 정치인들은 눈 하나도 깜작을 아니 할 때가 많다. 자유 민주주의는 돈이 아니고, 억척도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악악 댄다고 해결 되는 것고 아니다. 자유 민주주의는 양심과 도덕을 먹고 사는 정치이념이다. 장치를 잘 하고 못하는 것은 이념의 선택 보다도 양심의 선택이 훨씬 더 중요하다. 두서 없는 글 읽어주시어 감사드리고, 한국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쓴 글이니 기분 나쁜 점이 있더라도, 이해를 구합니다.

  • @drheex
    @drheex ปีที่แล้ว

    Don't LIE!!!!!! Tell the Truth!!!!!! 한국인의 이중성격!!!!! 오늘은 아름다운 이야기가 아니라 별로 아름답지 못한 이야기 한 수를 소개해야겠다. 하지만 우리가 이를 아름답게 하라는 경종으로 받아 드린다면 이는 아름다운 이야기가 될 것이다. 얼마 전 서울에서 발행되는 일간지에 유명한 외국인 초빙교수가 한국에 살면서 목격한 한국인들의 이중인격에 대한 소감이 실렸다. 이 교수는 정신의학계의 세계적인 권위자인데, 한국을 떠나면서 후임으로 부임한 교수(외국인)에게 자신의 눈에 비친 한국인의 이미지에 관해 다음과 같이 평했다고 한다. 한국인은 너무 친절하다. 그러나 그것이 그 사람의 인격이라고 판단하면 오해다. 권력이 있거나 유명한 사람에게는 지나칠 정도로 친절하지만, 자기보다 약하거나 힘없는 서민에게는 거만하기 짝이 없어서 놀랄 때가 많다. 특히 식당 종업원에게는 마구 잡이로 무례하게 대해 같이 간 사람이 불쾌할 정도다. 잘 나가는 엘리트일수록 이러한 이중인격을 지녀서 인간적으로 마음을 주고 깊히 사귀고 싶지가 않았다. 공감이 가는소리다. 서울에서 온 점잖은 사람이 미국의 코리아타운 식당에서 종업원에게 “야, 이봐, 너” 하면서 큰 소리로 거만을 부리는 광경을 한인들도 많이 봤을 것이다. 그 사람이 친구나 친척이라면 ‘미국에서는그러면 안돼!’ 하고 충고를 해주겠지만, 잘 알지 못하는 사이거나 그가 VIP인 경우에는 충고는 커녕 난감하기 그지 없을 뿐이다. 한국에서 엘리트 계층에 속한다면 배운 사람이다. 배운 사람일수록 겸손해야 하는데 오히려 더 거만을 떤다. 대학을 졸업해서 지식은 많은데, 별로 지혜롭지가 못한 것이 한국인이다. 말은 유식한데 행동은 무식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준법정신은 더욱 엉망이다. 그러니 서양문화속의 신사도 정신, 노블레스 오블리쥬 (Noblesse Oblize)를 어찌 알겠는가? 서울에서 내가 겪은 일이다. 어느 회사 중역과 저녁을 먹고 그의 차로 호텔에 돌아오게 되었는데, 한가한 길에서 빨간 신호등이 켜지자 운전기사가 차를 멈추었다. 그때 중역이 “아무 차도 없잖아? 그냥 건너가” 라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나는 그 후부터 그 사람을 다시 보게 되었다. 힘 있는 사람부터 법을 안 지키니 부정부패가 만연할 수밖에 없다. 대법관으로 임명된 인사가 청문회에서 위장전입을 인정해야 할 정도니 정부 요직에 있는 다른 인사들이야 말해서 무엇 하랴! 한국 엘리트들의 또 다른 모순은 자기 잘못을 절대 인정하지 않는 다는점이다. 회사에서도 뭐가 잘못되면 전부 윗사람 탓, 아랫사람 탓이고 자기반성은 조금도 없다. 모두가 남의 탓이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의 성격이 너무 네거티브하다. 모여 앉으면 정치 이야기인데, 완전히 흑백논리로 빨갱이 파랭이로 평가한다. 호남친구들과 만나면 이승만, 박정희, 박근혜 혹평하는 것 듣다가 시간 다 가고, 경상도 친구들과 만나면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을 얼마나 미워하는지, 조용히 식사하자고 모인 저녁 자리가 피곤하게 느껴질 때가 많다. 한국에는 존경받는 대통령이 없다. 10여명의 대통령이 지나 갔는데 거의 모두가 감옥살이 아니면 자살을 했다. 모두가 이래서 죽일 놈이고 저래서 죽일 놈이다. 미국역사에 46명의 대통령이 지나 갔지만 링컨과 케네디가 자객들의 총을 맞았을 뿐, 그렇게 후임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을 괴롭히지 않았다. 잘 못을 탓하기 보다 자신의 도덕성과 전임자의 권위를 존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도덕성이 결핍되여 있는 이기주의 민주주의다. 한국 역사에 보복성 정치를 하는 것은 역사적 버릇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군주주의 잔재를 씻지 못하면 자유 민주주의는 자라나지 못한다. 좋지 않은 보복성이지만, 또, 그렇게 하지 않으면 새로운 정부가 일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것도 문제인 것이다. 지지자들 또한 당연히 정치보복을 해야 속이 풀리는 모양새다. 벼락부자의 단점이 무엇인가? 국민소득은 30,000달러 수준인데, 국민의식은 아직도 500달러 수준(1970년대)이다. 돈만 많다고 선진국이 아니다. 경제가 눈부시게 발전했다고 자랑하지만 그것은 곧 벼락부자가 되었다는 뜻이다. 그저 남에게 내가 이만큼 가졌다고 자랑하고 싶어 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재산이 곧 사람평가의 기준인 것이다. 내가 미국에 돌아 가면 미국에 있는 한국 친구들에게 역이민을 절대 말리고 싶다. 요즘 미주 한인들 중에 한국에 가서 여생을 보내면 어떨까? 하고 역이민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돈 없이 한국에서 살면 사람취급 제대로 못 받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돈 없는 사람은 동창들 사이에서도 냉대를 받는 곳이 한국이다. 미국에서 재산 몽땅 정리해도 한국에서는 아파트 하나 사기가 힘들어진 세상이다. 성공의 의미가 너무 좁다. 몇 평짜리 아파트에 사느냐, 강남에 사느냐 강북에 사느냐가 사람평가의 또 다른 기준이다. 돈 있고 잘사는 데도 자기보다 더 잘사는 사람을 부러워하며 항상 뭔가 불만족이다. 역이민? 절대 말리고 싶다. 한국에서 삶의 불만족은 국민에게 있는것이 아니고, 그 뿌리는 정치인들에게 있다.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어떻게 해서든지 뒤집어 엎고, 정권을 잡아 권세를 누리려 하는 것이 정치하는 사람들의 야심이다. 특히 특정지역 사람들이 정권을 잡으면 제 식구들끼리 모두 해 먹는다. 정치인이 아니라 해도 권력을 그렇게 좋아 하는 것이 한국인이다. 한국역사를 조금 공부해 보니까 국민성이 그렇게 되어 온 것이 지난 역사였다. 당치도 않은 사회주의를 꿈꾸면서, 북을 찬양하는 종북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았을 땐, 자신들이 민주화 투사라고 자칭하면서 모든 요직을 독점했다. 민주주의고 삼권분립 같은 것은 찾아보기 힘들다. 자본주의를 미워하면서, 경제인들이 벌어 온 국민의 혈세를 빨아먹으면서, 자기는 올바른 처세를 하는체하고 활개를 치는 것이 한국의 많은 정치인들이다. 참으로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세계의 빈국인 북한의 김일성 주체사상 주사파를 그렇게 추종하면서 돈 좀 있다고 하는 좌파 정치인들의 자식들은 다 미국으로 유학을 보내고 있다. 왜 러시아로 유학을 아니 보내는가? 줄기 나무에 기생을 하여 자라난 덩굴들이 본목(本木)의 진을 다 빨아 먹어 줄기나무가 누렇게 시들어 가고 있다. 민주-자본주의에 기생하여 자라난 종북-친북-간첩들이 대한민국을 한 20년쯤 빨아대니, 드디어 자유-민주주의도 시들어 말라 죽으려 하고 있다. 본목이 다시 살아 날려면 기생하는 그 엉겅퀴 덩굴의 밑둥을 자르면 될 것인데 그 근본을 자를 생각은 아니하고 가지들만 처낼려고 한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그래서 어렵다. 나라가 망해가는 것도 아랑곳 없이 나와 내 새끼만 잘 되면 그만이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한국인의 사고 개념이다. 입으로는 애국심을 떠들지마는 행동은 부족하다. 너무 이기적이고 기회주의적이 아닌가? “ 국민소득은 이제 선진국 대열에 들어 섰는데, 노약자나 극빈자들을 보살피는 수준은 상당히 멀었다. 특별히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국민들이 경찰관을 우습게 여기는 풍조다. 미국에서는 경찰관에게 반항할 수가 없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국회의원이나 고관, 노동조합원까지도 경찰관을 너무 가볍게 보고 우습게 여긴다. 대한민국은 데모의 왕국이다. 데모를 많이 하면 민주주의 잘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모양이다. 데모의 사이즈도 몇 십명 몇 백 명이 아니다. 했다 하면 수 만명 수 백만명이다. 그렇게 데모를 하지만 정치인들은 눈 하나도 깜작을 아니 할 때가 많다. 자유 민주주의는 돈이 아니고, 억척도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악악 댄다고 해결 되는 것고 아니다. 자유 민주주의는 양심과 도덕을 먹고 사는 정치이념이다. 장치를 잘 하고 못하는 것은 이념의 선택 보다도 양심의 선택이 훨씬 더 중요하다. 두서 없는 글 읽어주시어 감사드리고, 한국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쓴 글이니 기분 나쁜 점이 있더라도, 이해를 구합니다.

  • @jungtaejin4158
    @jungtaejin4158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너무 좋아요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늘, 행복 하십시오.

  • @user-ws8zh2bp1z
    @user-ws8zh2bp1z ปีที่แล้ว

    바하 지휘자로서의 Vegh도 보석이군요. 사십 년 들은 리히터를 잊어버릴 정도로..

  • @user-hj1xf4in8z
    @user-hj1xf4in8z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고맙습니다. 행복 하십시오.

  • @user-hj1xf4in8z
    @user-hj1xf4in8z ปีที่แล้ว

    Thanks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고맙습니다. 행복하십시오.

  • @user-hj1xf4in8z
    @user-hj1xf4in8z ปีที่แล้ว

    Thanks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행복하십시오.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멀리 수평선 밀려오는 파도가 내마음속 까지 닿습니다.감사합니다

    • @Cmusic-xx8md
      @Cmusic-xx8md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늘 행복하십시오.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jungtaejin4158
    @jungtaejin4158 ปีที่แล้ว

    좋은 음악 감사합니다

  • @user-hj1xf4in8z
    @user-hj1xf4in8z ปีที่แล้ว

    Thanks

  • @user-em9kc4ko4i
    @user-em9kc4ko4i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kingjoo3845
    @kingjoo3845 2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pp4ft9du2m
    @user-pp4ft9du2m 2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