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ncSignal싱크시그널
SyncSignal싱크시그널
  • 187
  • 127 644
[Atmega128A + Jkit-128-1 + C언어 + Microchip Studio] #10-1 버튼을 토글 스위치처럼 구현
영상 올리고 생각난 부분입니다.
위 영상의 경우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토글이 계속 on/off로 자동 갱신이 됩니다.
현재 버튼을 눌렸을 때 상태값이 바뀌게 되어 있기 때문이죠.
그걸 원하지 않는 경우는 버튼을 누르고 땔 때 상태값을 바꾸게 하면 계속 누르고 있을때 on/off로 자동 갱신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มุมมอง: 136

วีดีโอ

[Atmega128A + Jkit-128-1 + C언어 + Microchip Studio] #10 Switch 회로와 PINx 레지스터
มุมมอง 105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23 - 타겟보드에서 Switch 연결 01:24 - 디지털에서 입력 회로(플로팅) 02:38 - 풀업 저항 회로 04:23 - 타겟보드에서 Switch 회로도 분석 05:52 - 바운싱 현상 07:18 - 실습
[Atmega128A + Jkit-128-1 + C언어 + Microchip Studio] #9 LED회로, 관계 연산자, If문
มุมมอง 128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29 - 타겟보드 회로도 다운로드 01:12 - LED 회로 03:42 - IF문 : 관계 연산자 06:30 - IF문 : 형태 08:45 - 실습
[Atmega128A + Jkit-128-1 + C언어 + Microchip Studio] #8 C언어의 연산자와 함수 사용
มุมมอง 154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50 - 연산자 02:39 - 함수란? 04:45 - 함수의 형태 06:59 - 실습 15:50 - 결과
[Atmega128A + Jkit-128-1 + C language + Microchip Studio] #7 C language data type
มุมมอง 112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14 - 상수와 변수 00:36 - 왜 변수가 필요한가? 01:55 - C 언어의 자료 형태 02:44 - 문자형 03:48 - 부호가 있는 정수형 04:44 - 부호가 없는 정수형 05:15 - OS와 Firmware에서 C언어의 자료 형태 비교 05:45 - stdio.h에서 제공하는 자료형 07:17 -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08:15 - 실습 08:56 - 변수명을 만드는 규칙 14:32 - 결과
2024 channel introduction video
มุมมอง 212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새해 인사 01:21 - 채널 운영에 앞서 운영자 정신 상태. 02:46 - 운영자 개발 능력 04:55 - 채널 운영
[Atmega128A + Jkit-128-1 + C language + Microchip Studio] #6-1 Register utilization practice (USART)
มุมมอง 237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45 - USART 테스트 소스 01:38 - 인터럽트의 간단한 설명 02:06 - 인터럽트 처리 02:50 - 메인 함수 동작 03:17 - 송신 부분(헛소리 포함됨) 04:48 - USART 레지스터 14:15 - 통신선 연결 방법 15:32 - Target board(Jkit-128-1) 하나로 테스트 16:03 - Target board(Jkit-128-1) 두 개로 테스트
[Atmega128A + Jkit-128-1 + C language + Microchip Studio] #6 Register and output control
มุมมอง 201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17 - Atemga128A 데이터시트 다운로드 01:42 - Register란? 03:01 - Atemga128A의 메모리와 Register의 메모리 위치 05:43 - DDRA, PORTA의 메모리 주소. 07:06 - Io.h(Iom128a.h) 파일에서 DDRA, PORTA 10:03 - DDRx, PORTx란? 14:44 - 저번 시간의 문제 풀이 16:36 - C언어에서 주석 처리 18:09 - DDRA를 수정하고 LED 제어 18:37 - 타겟보드(JKit-128-1)의 Reset 버튼 위치
[Atmega128A + Jkit-128-1 + C language + Microchip Studio] #5 Using Delay function
มุมมอง 217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44 - _delay_ms()함수를 이용해 LED 깜박이는 코딩 04:56 - Build 및 Download 05:23 - 결과 보기 05:41 - _delay_ms() 헤더 파일에서 F_CPU 확인 07:37 - F_CPU, 주파수, System clock 10:43 - 타겟보드의 시스템 클럭 11:29 - 왜 F_CPU에 값을 넣는 이유 12:40 - 마무리
[Atmega128A + Jkit-128-1 + C language + Microchip Studio] #4 Conversion of hexadecimal in Firmware
มุมมอง 149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0:42 - Firmware는 왜 진수를 사용하는가?(Why does firmware use hexadecimal numbers?) 01:55 - 진수란?(What is number system?) 04:00 - 일반적인 N진수에서 10진수 변환(Convert from common N number system to decimal number) 06:09 - 일반적인 10진수에서 N진수 변환(Convert N number system from common decimal numbers) 08:13 - 1 byte에서 2진수, 16진수 변환(Convert binary and hexadecimal numbers from 1 byte) 13:00 - C언어에서 2진수, 10진수 사용...
Agricultural product (apple) sorting device using AI model
มุมมอง 98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영상 소개 01:44 - TMI 영상 업로드 지연(video upload delay) 03:18 - 시연 영상(Demonstration video) 04:41 - 외관(product appearance) 04:36 - 사과 AI 판별(Apple AI Discrimination) 07:44 - AI 모델 변경/업데이트(AI model change/update) 08:56 - AI 모델 관리 웹사이트(AI model management website)
[Atmega128A + Jkit-128-1 + C language + Microchip Studio] #3 Create a project, simple LED control
มุมมอง 223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1:14 - 프로젝트(솔루션) 만들기(Create a project(solution)) 02:20 - 고급언어와 저급언어(High-level, Low-level Language) 09:20 - 펌웨어 기본 구조(Firmware basic structure) 13:38 - 간단한 LED 제어(Simple LED control) 16:26 - 프로젝트 빌드(Build project) 18:32 - 타겟;보드에 다운로드(Download to target board)
[Atmega128A + Jkit-128-1 + C language + Microchip Studio] #2 Install Microchip Studio
มุมมอง 259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00:00 - 콘텐츠 소개 01:42 - 마이크로칩 스튜디오 설치(Microchip Studio Installation) 06:15 - 타겟보드(Jkit-128-1)와 PC(Windows)와 연결 구조 09:29 - 하드웨어 연결 방법 13:34 - USB 드라이버 설치(CP210x USB to UART Bridge VCP Drivers) 15:33 - 타겟보드와 연결
[Atmega128A + Jkit-128-1 + C언어 + Microchip Studio] #1 시작하기 전에...
มุมมอง 240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tmega128A Jkit-128-1 C언어 Microchip Studio] #1 시작하기 전에...
채널소개 버전 0.722(Intro. Ver. 0.722)
มุมมอง 279ปีที่แล้ว
채널소개 버전 0.722(Intro. Ver. 0.722)
슬기로운 코딩 생활 - 2022년7월26일 촬영
มุมมอง 314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 - 2022년7월26일 촬영
슬기로운 코딩생활 - 2022년 6월 13일
มุมมอง 174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생활 - 2022년 6월 13일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4주차 보고)
มุมมอง 110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4주차 보고)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3주차 보고)
มุมมอง 96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3주차 보고)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2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มุมมอง 66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2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1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มุมมอง 57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4월 1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4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มุมมอง 41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4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3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มุมมอง 46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3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2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มุมมอง 91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2주차 보고)-성적 처리 프로그램(Servlet)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1주차 보고)
มุมมอง 41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3월 1주차 보고)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4주차 보고)
มุมมอง 45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4주차 보고)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3주차 보고)
มุมมอง 65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3주차 보고)
채널소개 버전 0.656(Intro. Ver. 0.656)
มุมมอง 612 ปีที่แล้ว
채널소개 버전 0.656(Intro. Ver. 0.656)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2주차 보고)
มุมมอง 30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2주차 보고)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1주차 보고) : 2주 보고
มุมมอง 302 ปีที่แล้ว
슬기로운 코딩 생활(2022년 2월 1주차 보고) : 2주 보고

ความคิดเห็น

  • @user-pg9rn4if2n
    @user-pg9rn4if2n 21 วันที่ผ่านมา

    7 세그먼트를 활용하여 1초씩 증가해서 9999까지 보여주는 것도 알고싶은데, 너무 어렵네요.. 설명이 혹시 가능할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17 วันที่ผ่านมา

      답변이 늦었네요. 급하면 아래 링크에 영상을 참고하세요. 이전에 찍었던 영상인데 다시 업데이트 할려고 영상을 내렸습니다. 비공개 영상이니 링크를 타고 가셔야합니다. [FND-1] 4채널 FND 회로도 및 제어하는 방법(4 Channels FND Control) th-cam.com/video/fuBVrSduHbU/w-d-xo.html [TIMER-2] ATMEGA128에서 타이머/카운터1을 CTC 모드로 4채널 FND 제어하기(CTC모드) - (1) th-cam.com/video/nZdNYSsRWnY/w-d-xo.html [TIMER-2] ATMEGA128에서 타이머/카운터1을 CTC 모드로 4채널 FND 제어하기(CTC모드) - (2) th-cam.com/video/IgDcnepDdeQ/w-d-xo.html [TIMER-2] ATMEGA128에서 타이머/카운터0, 1의 다중 CTC 모드로 버튼, LED, 4채널 FND 제어하기(CTC모드) - (3) th-cam.com/video/4Tp13hPSrSI/w-d-xo.html

  • @user-bg6mp5cg1c
    @user-bg6mp5cg1c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빛과같은 강의네요 감사합니다

  • @Doraji711
    @Doraji711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 @user-tf3oh6ny5p
    @user-tf3oh6ny5p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에게 강의 들었던 학생입니다 지금은 편입하여 프로그래밍언어 강의 찾던중 교수님을 다시뵙게되어 댓글남깁니다 항상건강하십쇼!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공부하다. 궁금한거 있으면 물어보세요. 강의 들었으면 연락처도 알듯한데. 카톡, 문자 상관 없습니다.

  • @user-hh2yq8tb4w
    @user-hh2yq8tb4w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교수님. 교수님 수업 듣는 학생 중 한 명인 전기과 1-3 지종인입니다. 질문을 하려고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연락처가 안 나와서요. 혹시 연락처를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여기다가? 개인정보를? 학교 홈페이지 들어가면 나와 있습니다.

  • @user-dp9ci2jk3u
    @user-dp9ci2jk3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감사합니다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올리고 생각난 부분입니다. 위 영상의 경우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토글이 계속 on/off로 자동 갱신이 됩니다. 현재 버튼을 눌렸을 때 상태값이 바뀌게 되어 있기 때문이죠. 그걸 원하지 않는 경우는 버튼을 누르고 땔 때 상태값을 바꾸게 하면 계속 누르고 있을때 on/off로 자동 갱신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user-dp9ci2jk3u
    @user-dp9ci2jk3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잘 보고있습니다 혹시 푸쉬 스위치를 토글 스위치로 바꾸는 코드 강의좀 해주실수있나요 이왕이면 pic로 부탁드랴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토글 스위치는 단자가 하나 더 있습니다. 세 단자 중에 가운데가 신호 단자입니다. 토글 스위치를 움직일 때마다 가운데를 기준으로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붙는 구조입니다. 디지털로 토글 스위치를 구현 할려면 한쪽은 5V, 반대쪽은 GND로 연결하고 가운데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연결(물론 5V에 저항 연결 하셔야 합니다.)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영상 찍어서 업로드 해 볼께요.

    • @user-dp9ci2jk3u
      @user-dp9ci2jk3u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yncsignal7559 푸쉬 스위치러 c언어통해 토글 스위치로 못 바꾸나요 예를 들어 푸쉬 스위치로 한번 눌렇을때 led가 켜지면서 깜빡거리고 다시 푸쉬스위치를 눌렀을때 꺼지고 이런식으로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user-dp9ci2jk3u 그 부분은 코딩으로 해결하셔야 합니다. 스위치의 상태값을 저장하는 변수를 하나 만드시고, 예를 들어 버튼을 한번 누르면 그 변수가 2가지의 상태값을 가지게 만들면 됩니다. 음 이 부분은 제가 영상으로 제작해서 올려볼께요.

  • @user-uk6dq9nf3f
    @user-uk6dq9nf3f 2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어딜 뒤져도 이만큼 잘 설명해주는 곳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잘 이해됐어요. 어서 천 명 넘으셔서 수익도 얻으시면 좋겠습니다. 구독하고 갑니다.

  • @user-yc6oc2ru9b
    @user-yc6oc2ru9b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둘이 무슨 차이인지 몰랐는데 감사합니다

  • @user-qq1vu1ed4j
    @user-qq1vu1ed4j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영상 보고 도움 많이 받습니다. 다양한 영상 제작 감사드립니다~

  • @user-ig7sr4wm3k
    @user-ig7sr4wm3k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선생님 14:58 까지 하고 Read Signature을 눌렀는데 STK500DII 오류가 떳네요 오류내용은 Commands are not allowed in disconnected mode 삭제하고 다시 깔아봐고 계속 이 오류가 뜨네요.. 어쩌면 좋을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구버전을 설치하는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최신버전은 th-cam.com/video/bpQ27cGlLzU/w-d-xo.html 영상으로 최근에 올려뒀으니 확인해보세요. 연결 부분 체크하는 부분도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체크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보통 케이블 문제가 대부분이었습니다.

  • @user-dp9ci2jk3u
    @user-dp9ci2jk3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저도 댓글하나 부탁드려요 실행하려고 하면 make: Make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make: *** 타겟 `Makefile'를 만들 규칙이 없음. 멈춤. Build failed with 1 errors and 0 warnings... 이렇게 뜬느데 해결방법없나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부분 이 경우 헤더파일을 잘못 쓴 경우가 큽니다. include 뒤 헤더파일 이름 체크해보세요. 아 구버전으로 하시나 보네요. 혹시 프로젝트 경로에 한글이 들어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한글이 들어간 경우 경로를 인식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4.19버전은 toolchain을 반드시 먼저 설치해 주셔야 합니다. toolchain버전을 잘못 설치할 경우도 마찬가지로 안됩니다. 설정에 toolchain 부분에 경로가 공백으로 되어 있는 경우 재대로 설치가 안된 경우입니다. 그런 경우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다시 toolchain설치하고 avr studio 4.19를 설치하시는게 좋습니다. 왠만해서는 최신버전을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최신버전은 toolchain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아무리 해도 안되면 화면 캡처해서 채널과 연동된 메일로 보내주세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지금은 구버전을 사용안하지만 혹시나 해서 Avr studio4.19 설치하고 프로젝트 만들고 toolchain을 이후에 설치했더니 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에러내용 : Build started 27.2.2024 at 11:47:07 make: Make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make: *** 타겟 `Makefile'를 만들 규칙이 없음. 멈춤. Build failed with 1 errors and 0 warnings... 또, 한글경로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한글경로 문제인가도 싶은데 그건 확인해 봐야겠네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한글 경로 문제가 맞네요. 확인했습니다. D:\한글경로\test 폴더에 프로젝트를 만들었더니 같은 에러가 발생하네요. toolchain 문제보다는 프로젝트 경로에 한글이 들어가서 발생한 듯합니다. 확인해보세요. 바탕화면이나 문서 경로에서 프로젝트 만들지 마시고 별도의 프로젝트 폴더를 영어로 만들어서 해보세요.

    • @user-dp9ci2jk3u
      @user-dp9ci2jk3u 3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yncsignal7559 네네 나붕에 해볼게여

  • @user-ec7iu9sk2r
    @user-ec7iu9sk2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정말 감사합니다. 큰~~~도움 되었습니다. 복 많이 받으세요 덕분에 논리식 간략화 하는 문제 자신이 조금 생겼습니다 근데 맨 뒤 두 번째 문제 답( A+B반전) 뒤에 NOR 쓰신거와 맨 끝 문제 답 (AB반전) 뒤에 NAND 달은 이유 궁금합니다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A+B)는 A와 B를 Or시키고 마지막에 Not을 시킨거죠? 그게 바로 Nor의 논리식입니다. 마지막 /(AB)도 A와 B를 And하고 나온 값을 Not 시켰죠? NAND의 논리식입니다. 참고로 드모르간 법칙은 NAND와 NOR에 관한 공식입니다.

    • @user-ec7iu9sk2r
      @user-ec7iu9sk2r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yncsignal7559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mi8bp8hk7u
    @user-mi8bp8hk7u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모터제어와 usart통신도 다루실 예정인가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하긴 할껀데.. 그것은 별도로 재생목록을 만들어봐야겠네요 ^^;

  • @John_P_THorr
    @John_P_THorr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혹시 JTAG 방식으로도 연습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Jtag 애뮬레이터가 있긴 합니다. 특히 Jtag 방식을 사용하면 브레이크 포인트를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죠. 지금 타겟 보드로는 힘드니 다른 모듈로 가능하면 영상 만들어 볼께요.

  • @narisett1350
    @narisett13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라이베리파이는 쓸게 못되나요? I2c, spi도 있어서 괜찮라 보이는데.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라즈베리파이 말씀하시는거 맞죠? 라즈베리파이는 32비트입니다.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비하면 큰 프로세서입니다. 보통 라즈베리파이는 리눅스나 윈도우 같은 OS가 설치가 됩니다. 그러니 펌웨어가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해야겠죠? 당연히 OS가 들어가니 임베디드 개발할때 사용됩니다. 지금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더 하위 프로세서입니다. 쉽게 예를 들면 집에 월패드로 방마다 난방 제어를 하죠? 방마다 난방 제어에 들어가는 것들은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개발하고 월패드는 라즈베리파이와 같은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개발합니다. 적용되는 분야가 다릅니다.

    • @narisett1350
      @narisett13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yncsignal7559 5400원짜리 라즈베리파이 피코말하는 것이구요. 264kb램이라 os 응용프로그램까지는 어려울 것같습니다.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narisett1350 덕분에 라즈베리파이 피코도 알게 됐네요. 32비트를 저가형으로 판매 하나 봅니다. 관련해서 좀 더 찾아보니 Thonny라는 프로그램으로 파이썬으로 코딩을 하던데 맞나요? 그리고 C++도 가능하다고는 적혀있는데 그 부분은 찾지 못했네요. 좋은 모듈이네요. 라즈베리파 피코로 다양한 실습을 할 수 있는 모듈이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그럼 라즈베리파이 피코도 콘텐츠 제작하면 좋을듯하네요 ^^. 아 그리고, 용량이 적다고 해서 OS 올리는게 어려운것은 아닙니다. TinyOS, uCOS와 같은 소형 OS도 있으니깐요. 개인적으로는 uCOS를 해봤으나 현장에서 RTOS를 사용할 정도의 일은 없었습니다.

    • @narisett1350
      @narisett1350 5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yncsignal7559 파이썬, 아두이노, c++도 다 쓸수있는 것같습니다. 사용하던 기존 센서를 이용하는 포팅하는 주제로 하시는 것이 나아보입니다.

  • @winow2104
    @winow2104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 @user-ec9cs9dz5k
    @user-ec9cs9dz5k 7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혹시 STM32처럼 아트메가는디버깅모드에 없나요 ? 만약 있다면 영상 같은 게 있을까요? 아니면 디버깅모드에 따로 설치해야 하나요? 제가 지금 위에처럼 하면서 디버깅모드에도 들어가면 Studio 창이 없어지고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해야 해서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6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디버깅 모드 사용 가능합니다. 다만 애뮬레이터가 필요합니다. Jtag 애뮬레이터가 가능한데...저도 몇 번 사용해 본 적은 있습니다. 전 대부분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해서 원하시는 답변은 못 드리겠네요.

  • @tv-zg5sm
    @tv-zg5sm 8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카르노맵 어렵던데 자세하게 쉽게 설명 해주시니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user-id9ty5fd4l
    @user-id9ty5fd4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선생님 혹시 프로그램 자체가 응답 없음으로 자꾸 뜨는건 무슨 문제일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응답 없음이 뜨는 부분을 먼저 알아보세요. 장치 연결할때 뜨는 건지, 빌드(컴파일)할때 뜨는건지...응답 없음으로 뜨는 구간이 어디 인지 알아보세요. PC가 오래된 경우 더러 뜨는 경우가 있더군요. 최신 버전인 Microchip Studio를 쓰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user-id9ty5fd4l
      @user-id9ty5fd4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yncsignal7559 감사합니다. Mircochip으로 바꿔야겠군요

    • @user-id9ty5fd4l
      @user-id9ty5fd4l 9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syncsignal7559 심할 땐 킨지 5초도 안돼서 응답없음이 뜨더군요

  • @winow2104
    @winow2104 ปีที่แล้ว

    감사합니다!!

  • @user-ub3xm4li3l
    @user-ub3xm4li3l ปีที่แล้ว

    재밌어요^^

  • @user-et9um5ol5r
    @user-et9um5ol5r ปีที่แล้ว

    진짜 컴구조 너무 어려웠는데 감사합니다ㅜㅜㅜ

  • @user-sf9zb1cn9j
    @user-sf9zb1cn9j ปีที่แล้ว

    교수님 EEPROM 헤어 파일은< avr/io.h >에 포함 되어 있나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죄송합니다. 댓글이 늘었네요. EEPROM은 eeprom.h파일이 따로 존재합니다. 댓글 모아서 보여주는게 있는 걸 이제야 알고 달아봅니다.

  • @jihoonkim8506
    @jihoonkim8506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선생님 전기회로, AVR 혼자 독학하면서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혹시 따로 오프라인 강의는 안하시나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대학교에서 시간강사로 강의를 하고 있기는 합니다...댓글 모아서 보여주는게 있는 걸 이제야 알고 댓글을 달아봅니다.

  • @user-yp1kd1sy1d
    @user-yp1kd1sy1d ปีที่แล้ว

    사용하시는 필기도구 안내 부탁 드립니다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ปีที่แล้ว

      윈도우에서 기본으로 제공해주는 툴입니다. 이름이 생각 안나서 답글 안달고 있다. 이제 보내네요. 마우스 오른쪽 키 누르고 연결 프로그램으로 찾아보니 "사진"이라고 뜹니다.

  • @maymire
    @maymire ปีที่แล้ว

    2진수 이해가 안되서 영상찾던중 이영상보고 바로이해해버렸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ㅠ

  • @user-um1vc8hs1w
    @user-um1vc8hs1w ปีที่แล้ว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dldldldlju
    @dldldldlju ปีที่แล้ว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user-de4cy4ow4n
    @user-de4cy4ow4n 2 ปีที่แล้ว

    영상 보고 바로 구독 눌렀습니다 블로그 글을 10군데 이상 둘러봤는데도 기초가 없어서인지 하나도 이해가 안되다가 이 영상으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ㅜㅜ 감사합니다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

  • @haguo7886
    @haguo7886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빌드했는데 build failed ...no build tools defined 나왔는데 어떻게해야되나요,,ㅠㅠ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toolchain 설치하셨는지 확인해보세요. Avr Studio4.19와 toolchain 3.4.4? 버전이 설치되어야합니다. toolchain은 C언어로 컴파일이 가능하게 해주는 툴이기 때문에 이게 설치 되어 있어야 C언어 소스를 인식합니다. 확인 하는 방법이 프로젝트 속성에서 찾아볼수 있는데... 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eessang_01&logNo=80177365419 여기 링크 한번 참고해보세요.

  • @tamsaasoo5418
    @tamsaasoo5418 2 ปีที่แล้ว

    잘 보고 있습니다! ㅎㅎ

  • @user-sf9zb1cn9j
    @user-sf9zb1cn9j 2 ปีที่แล้ว

    항상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좀 배웠습니다.

  • @Claphoon
    @Claphoon 2 ปีที่แล้ว

    스튜디오가 바뀌었네요 목소리도 오랜만에 들으니 좋네요!

  • @HJ-ur8sg
    @HJ-ur8sg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avr studio 코드 관련해서 하나만 여쭈어 봐도 될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언제든 물어보세요? ^^

  • @kyungminstudent6074
    @kyungminstudent6074 2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저는 이 채널을 구독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이 프로젝트 진행하는 것이 궁금하였는데 영상이 따로 올라오지 않아서 이렇게 댓글 남깁니다!! 일개 구독자밖에 안되어 이렇게 영상 언제 올라오는지 맘대로 여쭤보는게 염치없고 죄송하지만 이 프로젝트 진행을 어떻게 하는지가 궁금하여 이렇게 댓글을 남깁니다! AVR 관련 유튜브 영상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좋은 영상들을 제작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AVR을 공부함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항상 유익한 영상 업로드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이리저리 일만 많이 벌리고 수습이 안되는 경우네요.. 올해 이사, 회사이전, 모친병원 등 여러 일들이 겹치니 계획했던 일들이 상당히 미뤄지네요. 낚시 채널이 된듯해 죄송합니다. 정확하게는 제가 게으른게 한 몫 한듯합니다. 해당 프로젝트는 하드웨어를 수정하는 일이 더 있어서 손을 못쓴듯합니다. 모터 제어하는 영상을 올리면서 진행시키도록 해볼께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아참 어떤 프로젝트인지는 모르겠지만 막히는 부분이 있으면 물어보세요.

  • @taeminchoi9949
    @taeminchoi9949 2 ปีที่แล้ว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 @user-pk3bs9nj6h
    @user-pk3bs9nj6h 2 ปีที่แล้ว

    항상 자세히 갈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배우고 있습니다 여쭈어보고싶은게 있어서 그러는데 저도 jkit-128-1키트를 구매하여 똑같이 따라하고있습니다 다만 브레이크 포인트를 걸어서 디버깅 스타트버튼 을 눌러도 칩에 프로그램만 씌어지고 디버깅이 되지않는데 가지고 계시는 키트보드도 저랑똑같이 안되는지 여쭙고싶습니다...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STK500으로 브레이크 포인트를 이용한 디버깅은 안됩니다. 그러기 때문에 Jkit-128-1의 출력 모듈을 이용해 디버깅을 하셔야하는데.. LED8개를 이용해 디버깅을 하시면 될듯합니다. 개인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디버깅은 TextLCD를 주로 사용합니다. PC어플, 서버, 안드로이드 앱은 브레이크 포인트 디버깅을 사용하구요. 브레이크 포인트 거실려면 JTAG 애뮬레이터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ISP는 버전별로 되는거 있고 안되는거 있는듯하구요.

  • @simplerj9558
    @simplerj9558 2 ปีที่แล้ว

    좋은 영상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td4mn5tg3t
    @user-td4mn5tg3t 2 ปีที่แล้ว

    목소리가 잘 안들려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음성을 증폭 시켜서 올려볼께요. 주말에는 영상 데이터가 집에 없어서 주일에 올리겠습니다.

  • @llIIlIIlI
    @llIIlIIlI 2 ปีที่แล้ว

    반갑습니다 교수님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2 ปีที่แล้ว

      반갑습니다. 이름이 익숙한데.. 제가 아는 분은 아니죠? ^^

  • @kim19680210
    @kim19680210 3 ปีที่แล้ว

    커먼 캐소드 회로가 잘못된거 아닌가요? 커면 애노드와 같네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1채널짜리 캐소드와 애노드 FND만 설명을 드리고, 4채널 FND에 COM부분의 회로를 재대로 설명을 못드렸네요. 보시는 회로는 캐소드타입이 맞습니다. 단지 COM에 들어가는 부분에 ATMEGA128에서 출력되는 FND_SEL0(3:13)에서 FND_SEL00(4:28)로 연결 이름이 바뀝니다. 중간에 트렌지스터를 이용한 회로가 있는데 설명을 안드렸네요. ATMEGA128에서 해당 핀(FND_SEL0~3)을 High신호를 줘야, FND_SEL(00~33)로 변환하는 회로를 거쳐서 신호가 Low로 떨어집니다. 해당 4채널 FND는 캐소드 소자가 맞으며, 중간에 High신호가 Low신호로 바뀌는 회로가 중간에 하나 더 있는데 영상에서 설명이 빠졌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영상도 오래됐으니 올해 수정해서 올리도록하겠습니다.

  • @user-wc8cm7hy4n
    @user-wc8cm7hy4n 3 ปีที่แล้ว

    adc interrupt 관련 질문해도 될까요? adc 이용하는걸 폴링방식으로는 짰는데 interrupt로 못바꾸겠어서...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4 หลายเดือนก่อน

      댓글 모아서 보여주는게 있는 걸 이제야 알고 댓글을 달아봅니다.... 너무 늦게 달았지만 그 부분은 한번 올려볼께요.

  • @user-oq6qm2ii5m
    @user-oq6qm2ii5m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atmega128에 LCD를 연결하려고 하는데요, 코드 build에는 에러가 없다는데 LCD가 아예 작동을 안하네요,,,, 메세지엔 gcc plug-in: Output directory C:\Users\shfur\OneDrive\microp eallast\default\ does not exist gcc plug-in: Created directory C:\Users\shfur\OneDrive\microp eallast\default\ 이런 것이 뜨는데, 이 메세지가 제 LCD가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 되었을까요?? 그리고, 만약 원인이라면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LCD가 안나오는건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일단 LCD 종류부터 알아야겠네요. 텍스트 LCD인가요? 그래픽 LCD인가요? 보통 LCD는 드라이버 마다 고유 초기코드가 존재합니다. 1. 회로 연결을 재대로 했는지 확인해 보세요. 2. LCD의 드라이브별로 초기설정 코드가 재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이외에도 통신으로 LCD를 출력하는 부분은 통신 프로토콜 소스가 맞는지도 확인해야합니다. 경험상 회로가 문제가 없다면 초기화 소스가 문제일 가능성이 아주 큽니다

  • @user-fr2rm5on9l
    @user-fr2rm5on9l 3 ปีที่แล้ว

    1

  • @user-wc8cm7hy4n
    @user-wc8cm7hy4n 3 ปีที่แล้ว

    c:/winavr-20081205/bin/../lib/gcc/avr/4.3.2/../../../../avr/bin/ld.exe: cannot find -lC:WinAVR-20081205GDASCII make: *** [GD.elf] Error 1 헤더파일 다운받아서 제가 평소에 빌드하던 폴더에 같이 넣고 add 해준 후 빌드하는데 자꾸 저런 오류가 뜹니다. 뭐가 문제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툴채인이 설치가 안됐거나 연결이 안돼있어서 나는 오류같습니다. Avr Studio4.19말고 toolchain 파일도 같이 설치하셨죠? 이부분이 서로 연결이 안된겁니다. 16:54 부분을 보시면 Exteral Tools 부분에 avr-gcc, make의 경로가 재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user-wc8cm7hy4n
      @user-wc8cm7hy4n 3 ปีที่แล้ว

      @@syncsignal7559 혹시 헤더파일을 이용 할 때 이런 오류면 뭐가 문제죠? C:\AVR\default/../last.c:8: undefined reference to `usart_init' C:\AVR\default/../last.c:12: undefined reference to `tx_string' make: *** [last.elf] Error 1 Build failed with 2 errors and 2 warnings... 4.17버전에 winavr도 같이 이용하고 있어서 avr-gcc, make 경로는 제대로 되어있습니다. 외부 헤더파일을 처음 이용해보는데 이런 문제가 생기네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user-wc8cm7hy4n last.c 소스파일에 usart_init라는 함수가 정의되어있지 않다는 말입니다. last.h파일에 usart_init파일을 정의하고 last.c에 소스가 있는지 확인해주세요. C언어는 대소문자 구분하기 때문에 철자 잘봐주시고, ()안에 파라미터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헤더파일과 소스파일 연동은 th-cam.com/video/NZ_pzRQ612Q/w-d-xo.html 영상 확인해보세요. 문제를 모르시겠으면 프로젝트를 압축하고 채널 메일로 보내주세요.

  • @bert-md6pm
    @bert-md6pm 3 ปีที่แล้ว

    안녕하세요 avrstudio 4.19로 시작하는 학생입니다 빌드는 성공했는데 포트연결에서 막히네요ㅠ 기타 장치 FT230X Basic UART 라고 뜨는데 왜그런지 알수 있을까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USB 드라이브가 없어서 생기는 오류 같습니다. FTDI칩을 쓰는 보드를 구입하신거 같은데 드라이버를 설치하셔야합니다. ftdichip.com/products/ft230xq/ 여기서 드라이버 설치하시고 해보세요

  • @user-qi2ts4ru5f
    @user-qi2ts4ru5f 3 ปีที่แล้ว

    빌드를 하면 make: Make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러한 오류가 뜨는데 어떻게 해줘야할까요 ㅠㅠ

    • @user-qi2ts4ru5f
      @user-qi2ts4ru5f 3 ปีที่แล้ว

      위에 꺼는 해결 했는데요... ../first.c:6:1: fatal error: opening dependency file dep/first.o.d: No such file or directory 또 이런 오류가 뜨네요 ㅠㅠ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user-qi2ts4ru5f 프로젝트에서 컴파일할때 파일이나 폴더를 찾을수 없을 경우입니다. 프로젝트에서 소스파일을 비정상적으로 생성할 경우 주로 나오는 오류입니다. 4.19버전은 중간에 한글 경로가 있는 경우도 오류가 나오지만 소스파일을 붙여넣기 할때도 같은 오류가 생깁니다. 소스파일을 File->new 항목을 이용하여 생성할 경우 프로젝트에서 소스파일의 위치를 인지하는데 다른 프로젝트에서 복사해서 붙여넣기 할 경우 발생합니다. 4.19는 되도록 윈도우 탐색기에서 소스파일을 프로젝트 폴더에 복사하고 툴 내에 있는 프로젝트 경로에서 마우스 오른쪽키 누른후 add를 이용해 추가하셔야합니다. Ctrl+C, Ctrl+V로 소스파일을 복사하시면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user-qi2ts4ru5f
      @user-qi2ts4ru5f 3 ปีที่แล้ว

      @@syncsignal7559 감사합니다! 덕분에 해결되었어요 ㅎㅎ

  • @yjchoi7574
    @yjchoi7574 3 ปีที่แล้ว

    잘보고있습니다. 강의보면서 jkit128로 can bus에 실려있는 숫자를 fnd로 표시하는 것을 만들고 있습니다.fnd를Delay함수로 지연을 쓰다가 보니 밝기가 만족스럽지못해서 검색을 해보니 rtos라는것을 쓰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실무에서는 os를 사용하시나요?. 아니면 좀 큰프로그램에서만 os를 사용하나요?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RTOS가 들어갈 일이 크게 많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uCOS를 사용한 경험이 있긴하지만 os가 들어갈 정도면 차라리 ARM으로 리눅스를 넣으시는게 더 좋습니다. 이유는....하드웨어 가격이 많이 저렴해졌죠.....

    • @syncsignal7559
      @syncsignal7559 3 ปีที่แล้ว

      CAN BUS에 바로 연결해서 FND제어를 하셨나요? 보통 바로 연결하지 않는데 특이하게 구성하셨네요 ^^; 일반적으로는 FND를 통신으로 제어하려고하면 CAN BUS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MCU에서 받아서 다시 FND로 제어하는 식으로 구현하셔야합니다. 일반적인 통신은 Start Bit와 Stop Bit가 존재를 하는데, CAN BUS에 대해 자세히 알지는 못하지만 동일한 개념일것으로 보입니다. 원인은 이런 Start Stop Bit의 영향일 수도 있고, 그리고 통신 속도와 FND가 사람의 눈에 최적으로 보여지는 지연 부분에 문제일 가능성이 크겠네요. 그것도 아니고 온전히 출력 부분의 전류가 문제라면 Not 게이트를 두번 달아서도 해결이 가능합니다. 뒤에 OS부분의 글만 눈에 들어와서 첫부분에 답변을 이제 드리네요.

  • @user-sf9zb1cn9j
    @user-sf9zb1cn9j 3 ปีที่แล้ว

    고생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열심히 몇번이고 보겠습니다.